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레이먼드 윌리엄즈의 노동계급 교육사상 : 공적 페다고지의 관점에서

        이윤미(Yoonmi Lee) 韓國敎育思想硏究會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1

        이 논문은 영국의 맑스주의 이론가이자 문화사가인 레이먼드 윌리엄즈(Raymond Williams, 1921-1988)의 문화주의적 교육사상을 노동계급에 대한 관점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윌리엄즈는 문화이론(cultural studies) 분야의 선구자이자 대표적 학자로 알려져 있고 교육학에도 영향을 주었지만 그의 교육사상에 대한 본격적 조명이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이 논문에 서는 레이먼드 윌리엄즈의 문화맑스주의의 핵심개념들을 검토하면서 이를 기초로 한 그의 노동계급 교육론을 살펴본다. 특히, 1946년에서 1961년의 15년간에 걸친 노동자교육 참여기간 동안 저술된 초기 저작들에 초점을 두어 그 교육론을 확인한다. 또한, 윌리엄즈의 논의를 보다 현대적 맥락에서 조명하기 위해 그의 교육사상을 ‘공적 페다고지’의 맥락에서 살펴보면서 그 시 사점을 논의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ideas of Raymond Williams(1921-1988), British literary critic and cultural historian. Williams has not been typically thought of as an educational thinker, yet much can be found in his work that have implications regarding pedagogical thought and practice. This paper is a reappraisal of Raymond Williams as a practitioner as well as theorist in education, especially focusing on his early career related to adult education with the university extension program of Oxford University, associated with the Workers' Educational Association (WEA). He had worked as a tutor for 15 years between 1946 and 1961, and had written a number of pieces on education and pedagogical concerns related to working class education. Raymond Williams is also considered a major scholar that has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studies in public pedagogy. At a time when public institutions and civic liberties have increasingly been challenged by neoliberalism and global capitalism,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politics over politicizing the public pedagogy and providing a language of resistance and possibility is crucial for promoting democratic social change. In this paper, Raymond Williams' work is featured in relation to the cultural politics of public pedagogy as well as his role in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the British working class education

      • KCI등재

        『열쇳말』의 내적 구성원리와 신뢰성

        송승철 ( Seungcheol Song ) 한림과학원 2021 개념과 소통 Vol.- No.27

        레이먼드 윌리엄즈(Raymond Williams)의 『열쇳말』(Keywords)은 특정 분과학문에 속하는 전문용어가 아니라, 영국이 이차대전 후 복지국가를 지향하던 상황에서 당대의 핵심적 삶에 대한 사유와 경험을 기술할 때 필요한 “일반적 용어” 110 개를 선정하고, 각각의 용어에 담긴 의미의 다양성, 역사적 형성과정, 그리고 상호 관계를 추적한 저작이다. 그런데, 문화연구와 개념사, 그리고 지성사 분야에서 이 저작이 가진 위상과 신뢰성에 대한 평가가 너무 달라서 함께 붙여놓으면 마치 학계의 분열적 증상의 발현처럼 보인다. 필자의 판단하건데, 학계의 이와 같은 불일치의 가장 큰 이유는 윌리엄즈가 『열쇳말』에서 활용한 방법론에 대한 이해의 부족과 연관이 있다. 윌리엄즈 스스로 자신의 방법론을 ‘역사적 의미론’으로 명명했지만 방법론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힌 바가 없다. 그러나 『열쇳말』을 처음부터 끝까지 찬찬히 읽어보면 비록 모든 항목에 다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정한 패턴에 따라 기술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윌리엄스가 자신이 선택한 어휘가 지칭하는 의미들의 역사적 변화와 상호연관성을 추적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과 이념을 ‘내적 원리’라는 이름 아래 다음과 같이 정리해보았다. 윌리엄즈의 ‘역사적 의미론’은 (1) 개념이나 담론 대신 단어를 중심으로 의미의 역사적 변화과정을 추구하는데, (2) 이때 대상을 “잠정적으로” 괄호치고, 단어의 내적 연관성에 주목하는 게 도움이 되고, (3) 의미변화의 추적 때 문학비평적 방법론의 활용과 단어의 물적 형태변화의 고찰이 중요하며 (4) 이런 변화과정은 의미의 일반화, 전문화, 추상화로 요약된다는 것이다. 윌리엄즈의 이러한 방법론은 언어의 살아있는 활력의 환기를 통해 언어의 전문화, 일반화, 추상화를 통해 작동하는 이데올로기에 대항하려는 그 자신의 비평의식의 산물이었다. 그런데, 이런 식의 서술방식은 독자―특히, 언어와 역사의 비환원적 결합 방식에 대한 요약적 지식을 원하는 개념사 전공자―의 입장에서 볼 때 여러 약점을 노정한다. “잠정적”이지만 현실에 괄호 치고 단어 자체를 살피는 방법론에 유보 없이 동의하기 어려울 것이고, 단어의 활력으로 이데올로기의 지배에 맞서려는 저자의 의도의 실효성에 동의하기도 쉽지 않을 터이다. 또한, 개념을 거부하고 전반적 사회조직과 지배적 관념이 서로 “녹아든”(in solution) “살아진 삶 전체”(a whole lived experience)에 대한 강조로 말미암아 명시적인 체계적 방법론의 개발을 회피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저자의 방법론에 대한 일정한 사전 지식이 없을 때 논지의 맥락을 잡기가 쉽지 않다. 반면에, 윌리엄즈의 방법론은 장점도 적지 않다. 개념화되기 이전의 살아있는 언어적 활력을 중시하는 윌리엄즈 특유의 서술방식은 새로운 개념을 향한 사유를 촉발하고, 한 단어가 지칭하는 여러 개념들 간 차이를 보다 명확하게 하거나, 추상화된 근대적 개념에 담긴 의미의 미묘한 차이를 드러내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진보”를 대상으로 한 윌리엄즈의 용례와 코젤렉의 용례를 비교함으로써 두 사람의 유사성과 차이를 덧붙인다. Raymond Williams's Keywords, first published in 1976 and revised in 1983, is concerned with the complex processes of linguistic change and with the interrelations of about 110 ‘general’ terms which he judged necessary to describe the thoughts and experiences relevant to the British cultural and social issues of his era. Academic responses to this book vary enormously, however, depending upon the field of specialization, with scholars from cultural studies or conceptual history or intellectual history expressing widely discrepant evaluations in a kind of academic schizophrenia attack. In my view this discrepancy arises primarily from a pervasive misunderstanding of the peculiar methodology which William used in Keywords. He termed his approach “historical semantics”, but unfortunately did not describe its methods in any detail. If, however, we read Williams's description of his chosen words, carefully, starting at the beginning and continuing through to the end, it is evident that most (but not all) of the items are processed according to a certain pattern.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determine Williams's particular analytical approaches and also the underlying intentions ― that is, the inner constitutive principles he used to track the historical changes and the interrelations of meanings for his selected vocabulary. These principles can be enumerated as follows: (1) In his ‘historical semantics' Williams pursues the historical changes of meaning by focusing on ‘words’ rather than concepts or discourses. (2) He finds it helpful to focus on interconnections among the meanings within a word, putting its relations to social institutions and specific historical situations, “temporarily” to one side. (3) When tracing changes in meaning, Williams applies literary-critical methods, as well as delving into changes in the material form of the words themselves. (4) These changes can be summarized as the historical processes of generalization, specialization, and abstraction of meaning. The peculiar approach which Williams adopted in Keywords was a product of his critical consciousness, by means of which he was trying to counter the contemporary bourgeois ideologies. These ideologies operated through lengthy historical processes of specialization, generalization, and abstraction of language, in an attempt to foreclose the living vitality of language. Thus Williams adopted a narrative method which many readers find unsatisfactory, who are seeking instead a knowledge summary in the form of a non-reductive combination of language and history. Readers may also find it difficult to wholly agree with his examination of the selected words, which cuts them off, if only temporarily, from reality. And not everybody will accept as effective the author’s intention to confront the ruling ideologies with the vitality of everyday words. In fact, Williams's avoidance of an explicitly systematic methodology is related to his emphasis upon “a whole lived experience” in which general social processes and the dominant ideologies are “in solution.” Thus, without some prior knowledge of the author's methodology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his explications. On the other hand, Williams's method has provided and, even now, still provides many different illuminating insights. Williams's peculiar descriptive narrative, which emphasizes the vitality of living words over conceptualization, prompts us toward new opportunities for conceptualization. His approach also elucidates conceptual differences whenever the same word is used for some conflicting concepts. And finally, it reveals the subtle contradictory differences in meanings which are often contained, and are therefore hard to discern, within most abstract modern concept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윌리엄즈의 ‘감정구조’ 개념과 계급에 대한 제(諸) 개념들의 검토

        정유정(You-Jung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8

        본 연구는 ‘B’지역노조라는 현대 일본의 ‘계급지향적’ 노동운동을 검토하기 위해, 우선 그 이론적 틀을 모색하는 작업이다. 현재 일본에서 ‘계급지향적’인 노동운동은 주변에서 ‘잔여적인’ 노동운동으로 설정되지만, 그럼에도 그 활동은 활발히 계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그 ‘계급지향적’ 노동운동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살펴보았다. 먼저 윌리엄즈에 의한 개념의 변화를 검토하고, 마르크스주의의 계급·계급의식 개념과 ‘언어적 전희’의 새로운 주체 개념 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B’지역노조의 사례에 맞게 ‘감정구조’ 개념을 재해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본 연구에서는 ‘B’지역노조의 ‘집단적 노동자’와 ‘개인화된 노동자’, ‘노동자’와 ‘비노동자’가 물질적 공간 혹은 비물질적 공간에서 집단화를 이룬다고 보았고, 그 ‘감정구조’는 “계급지향성”을 둘러싼 모순과 절충’이라고 정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그에 대한 ‘감정구조’의 모형을 제시했다.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B’ local union, which conducts “class-oriented” labor movements in contemporary Japan. “Class-oriented” labor movements are active, while they have been residual on the margins of Japanese society and the country’s labor movement situation. This research examin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class-oriented” labor movements and investigates Williams’ “structure of feeling.” First, the “structure of feeling” concept is examined. Second, the study compares several theories on the working class of Marxism and alternative subject of “linguistic turn.” Third, this study redefines the “structure of feeling” in terms of the case of “b:” local union. The results show that “collective workers-individualize workers” and “workers-non-workers” of “B” local union establish their own labor movements on the material or immaterial space and consider their “structure of feeling” as the “negotiation and contradiction on the class-orientation.” Consequently, this study offers a model of their “structure of feeling.”

      • KCI등재

        아시아국가 스마트시티 구축사업에 대한 ‘저개발의 개발’론적 고찰

        김기홍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0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9

        The Smart City creation projects are underway all around the world. It is an innovative urban strategy that uses advanced technology to reduce environmental waste and improve the quality of citizens’ lives, with key elements such as “ICT technology,” “urban management,” “environment,” “economic development” and “democracy.” Advanced countries are interested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urban residents and establishing a sustainable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Under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which lack not only cutting-edge technology but also basic infrastructure, want to revolutionary advance the development of lagging regions and countries through the smart city creation projects. In this regards, ASEAN Smart City Network the organization of 10 ASEAN city members was organized and has been selected and supported 26 pilot cities, seeking a holistic and qualitative transformation of the entire region based on these hub cities. Many countries in Africa are also working on large-scale metropolis projects for national development. The question of feasibility and success remains. The development project of Metropolis at the global level has long been a subject of consideration in the implications of imperialism's colonial rule and the issue of criticism of capitalism.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dre G. Frank's theory of “development of underdevelopment,” advanced areas in the center are parasitical on the underdevelopment of the hinterland, so diffusionists’ idea of a trickle-down effect cannot be expected, rather is subject to continued exploitation. Studies have shown that there was a worrisome ‘development of underdevelopment’ phenomena that matched the arguments of dependence theory. It is time to reconsider the smart city construction project of underdeveloped countries. 본 논문은 영국 문화연구의 대표적 학자인 레이먼드 윌리엄즈와 종속이론가 안드레 프랑크의 이론을 바탕으로, 전 세계적으로 진행 중인 스마트시티 구축사업을비판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스마트시티는 첨단 기술을 이용해 환경폐기물을 줄이고 시민 삶의 질을 제고하는 혁신적인 도시 전략으로서, ‘ICT 기술’, ‘도시경영’, ‘환경’, ‘경제발전’, ‘민주주의’ 등이 핵심 요소다. 선진국은 도시 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과 지속 가능한 환경 관리 체제 구축에 관심을 두고 있다. 첨단 기술은 물론, 기본적인 인프라조차 부족한 저개발 및 개발도상 국가는 스마트시티 구축사업을 통해국가의 발전을 혁신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한다. 아세안의 경우, 10개국으로 구성된아세안 스마트시티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협력하며 26개 시범도시를 선정하고 지원해, 이들 거점 도시들을 바탕으로 지역 전체의 총체적인 질적 전환을 꾀하고 있다. 다수의 아프리카 국가들 역시 대규모 도시 개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실현과성공의 가능성 문제가 제기된다. 글로벌 차원의 대도시 개발 사업은 제국주의의 식민지배 함의와 자본주의 비판 분야에서 오랜 검토대상이었다. 특히 프랑크의 ‘저개발의 개발’ 이론에 의하면, 중심부의 선진화된 지역은 주변부의 저개발에 기대어발전을 유지하므로, 배후지는 낙수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오히려 지속적 수탈의 대상이 된다. 연구 결과, 종속이론의 주장에 부합하는 우려할만한 ‘저개발의 개발’적사태가 벌어지고 있었다. 저개발 국가의 스마트시티 구축사업에 대한 본연적인 재고가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관점 Punto de Vista』 지의 문화담론 연구

        조영실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08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19 No.2

        Este trabajo tiene por objetivo investigar el contexto y la concepción de la ‘política cultural’ de los intelectuales de izquierda argentinos de los años 1980s. La revista de cultura Punto de Vista, tiene una historia larga en el campo intelectual argentino. Para el estudio proponemos tres capítulos excepto la introducción y la conclusión. En primer lugar, examinamos las condiciones históricas de la publicación de Punto de Vista y el contexto en que se propuso la ‘democracia cultural’. En segundo lugar, desarrollaremos la historia de la revista según etapas. Por último, el grupo de la revista emprendió su idea prestando varias concepciones de Raymond Williams, un crítico cultural inglés. Por lo tanto llegamos a la tercera tarea: estudiar cuáles conceptos y términos se han prestado y reproducido. Con esto podemos confirmar lo que quiere decir la ‘política cultural’ de la revista. Con este estudio podemos llegar a comprender con cuán productividad funciona la aplicación precisa de una teoría a otro espacio cultural. La revista Punto de Vista ha sido un triunfo intelectual que floreció un discurso creativo y configurativo en la crítica cultural en la Argentina.

      • KCI등재

        레이먼드 윌리엄스의 『열쇳말』과 개념사

        송승철 ( Seung Cheol Song ) 한림과학원 2012 개념과 소통 Vol.0 No.10

        레이먼드 윌리엄스(Raymond Williams)의 『열쇳말 Keywords』은 문화와 사회에 관한 논의에 필요한 ‘일상적’ 용어와 ‘일반적’ 용어를 대상으로 각 용어에 내포된 복잡한 의미망의 형성과정과 그 현재적 의미를 기술한 저작이다. 그런데 『열쇳말』에 대한 개념사 내부의 평가는 개념사 밖의 문화연구 분야나 일반 인문학 전공자 사이의 평가와 상당한 차이가 있다. 개념사 내부에서 윌리엄스는 퀜틴 스키너(Quentin Skinner)의 논쟁대상으로 비판적 관점에서 한번 언급되고 사라진다. 그러나 개념사 밖 문화연구와 이론 연구 분야에서 이 저작의 영향력은 지속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 논문은 윌리엄스와 스키너의 ‘대화’를 개념사적 입장에서 접근하되, 『열쇳말』 자체를 윌리엄스의 집필의도와 그의 학문적 이력 속으로 돌려놓고 평가함으로써 양자 간의 ‘생산적’ 대화를 유도하려고 한다. 스키너의 주장은 윌리엄스 식의 접근이 현실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생산할 수 없다는 것인데, 그 이유는 크게 세 가지이다. ①윌리엄스는 단어와 개념을 구분하지 않는다. ②언어분석은 의미, 지시대상, 태도의 세 가지 차원이 있으나, 윌리엄스는 이 셋을 모두 ‘의미의 내적 구조’로 환원시킨다. ③이런 오류의 근본적 원인은 윌리엄스의 반영론적 언어관이다. 스키너의 비판에 대해 윌리엄스는 직접적 답변이 아니라 복화술로 응답한다. 그런데 먼저 지적해야 할 사실은 두 사람 사이에는 차이보다 오히려 공통점이 더 많다는 점이다. 그리고 사회적 맥락을 중시하는 스키너의 접근과 언어의 내적 구조를 강변하는 윌리엄스의 차이는 역사학자와 문학비평가의 차이를 보여 주는 면이 있다. 윌리엄스가 화용론과 의미론을 분리하지 않음으로써 논의에 일부 혼란을 가져온 건 사실이다. 하지만 단어의 내적 구조와 발전에 집중한 것은 그가 반영론적 언어관을 가지고 있다거나 어휘들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부족 때문이 아니라, 이 저작의 출간과정과 그의 학문적 발전과정 사이의 불일치 그리고 무엇보다 어휘분석을 통해 노동계급의 언어사용에 예리한 의식을 불어넣으려는 그의 실천적 목적에서 기인한다. 결론적으로 지금 우리의 몫은 『열쇳말』에 대한 스키너의 비판을 넘어서는 일이다. 문학비평가 특유의 통찰로 진행된 단어의 내적 구조와 발전을 강조하는 방법론은 일정한 한도 내에서 개념사적 방법론으로 유용한 접근방식이 될수 있다. 무엇보다 단어를 문제화하려는 저자의 의식은 개념사적 입장에서도 배울 만하다. 그런 의미에서 개념사 입장에서도 『열쇳말』에 대한 가장 중요한 질문은 과연 윌리엄스가 단어를 어떤 방식으로 문제화했으며 어느 정도 성공했는가 하는 점일 것이다. Raymond Williams`s Keywords, first published in 1976 and revised in 1983, concerns the complex process of linguistic changes, and their present significance, as applied to the ``everyday`` and ``general`` terms required to discuss issues of culture and society. The reputation of the work, however, is remarkably different within the community of conceptual history and outside of it. Inside the world of conceptual history, Keywords has often been mentioned as a critical target: being spurned by Quentin Skinner, for example. Outside, it has had considerable influence, especially in the area of cultural studies and critical theories. This article intends to approach the ``dialogue`` between Skinner and Williams, by reading Williams`s Keywords according to his original intentions, as well as by placing the book within the context of his overall academic development. Skinner`s criticisms may be summed up in three points: (1) Williams fails to distinguish words and concepts; (2) Williams collapses three different linguistic dimensions - meaning, reference, and attitude - into the internal structure of meaning alone; (3) the fundamental source of his failure is his idea of language as reflection. Williams made no rejoinder to Skinner, except indirectly through his supporters. We also should admit that the approaches of Skinner and Williams agree more often than they disagree. It is true Williams suffers some confusions, by his neglecting to distinguish semantics from pragmatics. Nevertheless, his focus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words does not arise primarily from expressing the reflectional idea of language, nor from any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s within the words concerned, but rather from the delay between the inception of Keywords and its actual publication, and especially from the author`s intention to provide “an extra edge of awareness” to working-class people. This article concludes that Williams`s methodology of focusing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words and their development may be, when carefully used, a valuable addition to the methodolgy of conceptual history. Moreover, Williams`s intention to make words ``problematic`` should be accepted as a useful way to shake up the current approach, which is inclined otherwise to become too specialized within academic boundaries. The most significant question about Keywords may then be seen as understanding the ways that Williams problematized keywords, and to what degree he succeeded in his intention.

      • KCI등재

        문화연구의 감정론적 전환을 위하여

        이명호(Myung ho Lee) 한국비평이론학회 2015 비평과이론 Vol.20 No.1

        감정은 일상적 경험의 중요한 일부를 차지하면서도 오랫동안 문화연구 내에서 큰 비평적 주목을 받지 못했다. 문화연구가 감정을 중요한 논의 주제이자 문화현상으로 포괄해 들이지 못하는 동안 감정연구는 인류학, 사회학, 역사학, 여성학 등 여타 학문분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져왔다. 이 논문은 문화연구에 오랫동안 지연된 '감정론적 전환'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 전환을 통해 문화연구는 개인을 사회와 접합시키는 기제이자 사회적 권력관계를 추동하는 힘으로서 감정을 포괄해 들임으로써 새로운 방향성과 구체성을 얻을 수 있다. 이 글은 넓은 의미의 감정연구가 좁은 의미의 감정연구와 정동연구로 분화되어 온 이유 및 과정을 살피고, 두 경향을 각기 대변하는 레이먼드 윌리엄스의 느낌의 구조와 로렌스 그로스버그와 브라이언 마수미의 정동경제론을 살펴본다. 거칠게 구분하자면 감정은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되고 해석된 느낌이고 정동은 육체적 강렬성이다. 정동은 비의식적ㆍ비주체적 느낌이다. 감정과 정동을 구분하는 취지나 그 효용성에 공감하면서도 본 논문은 양자를 완전히 별개의 범주로 분류하기보다는 보다 유연한 접근을 취하고자 한다. 감정과 정동은 완전히 다른 종류나 질적 차이를 지닌다기보다 양태의 차이로 볼 수 있다. 문화연구가 수행해야 하는 작업은 정동이 감정으로, 감정이 정동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복합적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레이먼드 윌리엄스의 '느낌의 구조'는 감정과 정동이 복합적으로 얽혀드는 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 글은 윌리엄스의 느낌의 구조 개념이 사회적 의미질서에 고정된 좁은 의미의 감정으로도 사회화되기 이전의 정동으로도 구획되지 않고 둘 사이를 왕래하고 순환하는 넓은 경험영역을 포착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주장한다. Despite constituting a significant part of ordinary experience, emotions have rarely drawn critical attention within cultural studies. While emotions have been vigorously investigated in other areas such as sociology, anthropology, and women's studies, the turn to emotion studies in cultural studies has long been deferred. This paper argues for the necessity of emotion studies in cultural studies. It makes a case for viewing emotions as social, cultural, and collective as well as individual, phenomena. And it reviews the two distinct tendencies within emotion studies in its broad sense: emotion studies in a narrow sense and affect studies. Roughly speaking, emotion refers to a feeling socio-culturally constructed and interpreted, and affect is bodily intensity, non-conscious and asignifying. The former originated from Raymond Williams' argument on the structure of feeling, which reintroduces the subjective into the social, and the latter Lawrence Grossberg's and Brian Masumi's theorization of affective economy, which seeks to explain how, through affective investment, ideologies are internalized and naturalized. While admitting to some extent the validity of emotion/affect distinction, I argues for a more flexible approach to this distinction: the difference between affect and emotion is taken as a modal difference of intensity or degree rather than a formal difference of quality or kind. In order for a balanced approach to emotion/affect split, this paper argues for the usefulness of Raymond Williams' structure of feeling, which has theoretical potential of dealing with social experience at the very edge of semantic availability.

      • KCI등재

        레이먼드 윌리엄스의 저항적 힘과 이질적 정신

        김양순(Yangsoon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08 비평과이론 Vol.13 No.2

        This study explores Raymond W illiams’s idea of language and literary criticism, focusing on the difference of his approach that epitomizes his role as “the marginal man of Cambridge English,” “alien mind,” and “oppositional” force. His life long-concern for culture and language can be considered as a genuine opposition to the dominant discourse about culture and language in the post-war years. First, reading Culture and Society (1958) and Keywords (1976), this paper discusses Williams’s “historical semantics,” which differs significantly from a mechanism of stabilizing variant meanings of a word in the chronological order of their dominant usage. Second, through Marxism and Literature (1977), it deals with Williams’s critique of Saussurean structural linguistics and his ambivalent relationship to abstract Marxism analysis. Third, it examines Williams’s analysis of modernism that is not simply antagonistic. In The Politics of Modernism (1989), he speaks of the “two faces of modernism”—once a voice of dissent and then a metropolitan orthodoxy with its own supportive critical industry—and forcefully condemns the result of modernism. Finally, this paper illustrates Williams’s argument against the literary formalism of Cambridge English mainly through The Country and the City (1973) that is Williams’s greatest “oppositional” text. Despite its real limitations, Williams’s work is view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bodies of socialist literary-cultural criticism in a period of postmodernism. The greatness of his work, this paper argues, comes not only from its range, scope and seriousness but also from its negative force that showed how limited and problematic the prevailing idea of culture, language, literary criticism was. Williams had an intuitive ability to make his idea of language and literature against what he saw as the inhumanities of “writing”―of theory, abstraction, schematization, the techniques he often identified with structuralism and chilly modernist distance.

      • KCI등재

        좌절한 시대의 정서적 허기

        주창윤(Chang Yun Joo) 한국언론학회 2012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레이몬드 윌리엄스의 ‘정서의 구조’ 개념을 비판적으로 적용해서 2011년 전후 한국 당대문화 기저에 깔려있는 정서들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 글은 ‘정서의 구조’ 개념을 유행하는 문화의 패턴 아래에 깔려있는 체험된 공통의 경험이나 정서들, 특정 시기에 부상적 문화와 밀접히 관련된 상호 주관적 경험, 세대가 새로운 정서의 구조를 형성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파악했다. 2011년 한국 사회에서는 다양한 문화적 욕구들이 폭발하면서 새로운 형식의 텍스트, 담론, 의례들이 부상했다. 다양한 문화현상에는 대중이 동시대를 살면서 느끼는 경험과 정서들이 있는데, 이 글은 그것을 ‘정서적 허기’로 파악했다. 정서적 허기는 위로, 분노 혹은 정의감, 연대감이나 공감이라는 정서를 기반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정서적 허기는 한국 사회 맥락에서 보면 세대와 계급이 수렴하는 장(field) 속에서 형성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cultural criticism is to explore feelings and experiences which are in the base of contemporary culture, critically adopting the terms of ‘structures of feeling’ coined by Raymond Williams. This study redefined the structures of feeling as felt sense of the quality of life at a particular place and time. Firstly, it is connected with common experiences and feelings constituted in the pattern of popular culture. Secondly,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emergent culture. Finally, new generation will have its own structures of feeling, shaping its creative response into a new structure of feeling. This study defines the new experiences and feelings in its own ways to the unique world it inheriting, taking up many continuities as the sentimental hunger in neo-liberalistic capitalism. The sentimental hunger is constructed in consolation, anger, sense of justice, nostalgia, feeling of solidarity and sympathy in contemporary Korean popular culture. From the social context of Korea, the sentimental hunger is also constitutive or constituted in the field which is interacted with class consciousness and generation conscious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