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극동러시아에서의 인프라 및 제도 구축을 통한 환동해 국가와의 경제 협력 활성화

        최영진(Choi, Young-Ji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8 亞細亞硏究 Vol.61 No.3

        본고는 극동러시아가 인프라 및 제도 구축을 통한 환동해 국가와의 경제협력의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는데, 여기서 이들 경제주체들 간 경제적 관계의 확장성을 이론적 근거에 기초해 살펴본다. 기존 국가 중심의 경제발전 모델과 국가 주도의 신자유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에 ‘글로컬 국가(Glocal State)’의 이론적 시각을 논의한다. 먼저 중국과 러시아 간 환동해 북방지역에서의 중층적 개발정책과 대외개방화 전략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환동해 북방지역에서 무역거래와 투자의 특징을 검토한 후, 새로운 경제협력의 양상, 즉 극동러시아 경제협력구에서 해외노동의 허용조치 등에 대해 논의한다. 이어서 최근 러시아가 아·태 시장으로의 확대를 지향하며 조직적·제도적 기반 구축을 도모하면서, 극동러시아에서의 자원의존적 경제의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한 선도개발구역과 블라디보스톡 자유항 지정을 통한 투자유치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 인근지역인 중국 동북지역 뿐만 아니라 환동해 국가인 한국과 일본이 각각 이들 프로젝트에 어떻게 참여하는지에 대해 비교하며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극동러시아에서 환동해 국가들이 거둔 경제협력의 성과와 한계를 평가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changes in regional economic relations through regional development and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Northeast China and Russia Far East in East Sea Rim through the theoretical lens. After critically examining the existing state-centered economic development model and the state-led neoliberalism, we will discuss the theoretical approach of ‘Glocal State’. First, after taking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layered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and macroeconomic policies of the two countries, we comprehend and evaluate how those policie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developing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s for the base of economic activities. Subsequently, the features of trade and investment in the East Sea are examined. It also discusses aspects of new economic cooperation, ie, Special Economic Zones (SEZs), owing to the benefits of taxes and labor migration from overseas. Russia have recently made endeavors to attract foreign investment through the designation of Special Economic Zones in the Russia Far East, that is, the development of the Territories of Advanced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TASED) and the Free Port of Vladivostok so as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natural resource-base trade.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Russia has been shifting from strategic areas to all-round cooperation. Finally, we will assess results and limitations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le considering opportunities for investment from Korea and Japan in the East Sea Rim.

      • 극동러시아의 경제특구 정책에 관한 연구

        조영관 ( Young Kwan Jo ) 한국유라시아학회 2019 Acta Eurasiatica Vol.10 No.1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러시아 경제의 장기적 침체가 전망되는 상황에서 러시아 정부는 투자, 수출증대를 위한 구체적인 실현 방안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극동러시아 지역에 대한 투자 유치를 통해 제조업을 육성하고 수출을 늘리기 위하여 극동러시아 개발과 동시에 경제특구 정책을 추진하였다. 러시아가 그동안 추진했던 경제특구들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으나, 최근의 극동러시아 경제특구는 연방정부 차원에서 큰 기대를 가지고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경제특구의 추진 전략에 대해 2015년 9월에 개최된 동방경제포럼을 통해 동북아시아 지역국가와 기업들에게 대대적으로 발표하기도 하였다. 이후 선도개발구역과 자유항 등 경제특구는 극동러시아의 다른 정책과 비교하여 매우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선도개발구역과 자유항 등 경제특구에는 한국, 중국, 일본 등의 기업들이 투자하고 있다. 비록 중국의 경제성장률 하락 등과 같은 개별 국가들의 경제 문제나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제재 지속과 같은 외적인 요인들이 투자의 어려움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지만 지역 국가들 간의 에너지, 물류, 운송, 관광 등 다양한 분야들에서 협력의 필요성에 따라 극동경제특구는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 long-term downturn in the Russian economy was expected. In this situation, russian government needed concrete measures to increase investment and exports. Therefore, in order to foster manufacturing and increase exports by attracting investments in the Far East Russia region, the government promoted the SEZ policy. The special economic zones have not achieved great results in far eastern Russia. But the recent Far Eastern Special Economic Zones have high expectations from the federal government. There were an announcement on the strategy of promoting these SEZs in the Eastern Economic Forum held in September, 2015. Since then, Advanced Development Territories and Free Port have been actively promoted in Far East Russia. As a result, companies from Korea, China and Japan are investing in Advanced Development Territories and Free Port. Although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decline of China's economic growth rate, or the continuation of Western sanctions on Russia, may be hinder investment foreign companies in various areas such as energy, logistics, But the need for cooperation in far eastern area between Russia and Korea, China, Japan is very high. So we can predict the development of the Far Eastern Special Economic Zones.

      • 러시아 極東地域과 우리나라의 地經學的 關係

        이충배 중앙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1998 산업경영연구 Vol.7 No.1

        소련의 붕괴와 독립국가연합의 탄생과 함께 러시아 극동지역은 인근 동북아국가의 경제적 관심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이에 본 고는 러시아 극동지역의 경제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인근국가와의 경제협력관계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최근 러시아 극동지역과 인근국가와의 경제협력관계는 주로 무역과 투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한국은 러시아 극동시장의 先占을 위해 빠르게 접근하면서 한국내 러시아 붐을 조성하였다. 그러나 러시아의 政ㆍ經의 불안과 함께 우리기업의 러시아 극동진출은 많은 어려움과 문제점을 노출한 바 있다. 이와 같이 한국의 러시아 극동진출은 가파른 변동을 보여왔다. 러시아 극동지역의 더 넓은 지역은 한국에게는 기회를 가져다 줄 수 있음이 분명하지만 이에 수반되는 도전도 만만하지 않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의 대러시아 진출이 좀 더 장기적이고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The collapse of the Soiet Union and consequent creation of the CIS(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brought about the possibilities of Russia's economic interaction with North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This paper reviews firstly the overall economic situation of the Russian Far East and then analyzes the possibilities of economic relations between the Russian Far East and Northeast Asian countries. Due to its economic potential with abundant resource base. South Korea was focused on resource development in and trade with the Russian Far East. However it was known that South Korea's businesses were suffered from manγ problems in Russian market due to political unstability and lack of institutions etc. Many firms were withdrawn front Russian market. Consequently South Korea's advance to Russian market was too hasty.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s that South Korea's businesses approach to the Russian Far East in long-term basis with consistency.

      • KCI등재

        러시아 극동지역 수출 주도적 발전 전략에 대한 SWOT 분석

        이리나 코르군,김민수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3 아태연구 Vol.20 No.1

        This paper highlights the situation with Far East development which rose to the most important issue on the Russian government agenda. The paper is structured according to the logic of SWOT analysis. Russian Far East represents a very big territory where economic activity is unevenly dispersed and cannot be balanced in principal. Regions vary in type of resources they have, climatic conditions and geographical positions. Unfortunately, transport infrastructure does not facilitate trade not to mention development. It is needless to say that state of industry in the Far East has deteriorated during transition years. Despite all the revenues from export of resources all the regions rely heavily on state subsidies for their everyday life. Lack of funds, on one hand, restricts freedom of regional governments to undertake development programs and on the other hand induces unproductive competition between the regions for state financing. There are numerous threat for development i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as well. Asian region where Russian Far East is located is highly competitive. It is true both for manufacturers as well as for resource producers. Although Russia does possess a lot of resources, not everybody is ready to buy them. Those export relations that they have are heavily concentrated on neighboring China and Korea, to a lesser degree on Japan. In order to overcome existing obstacl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uch a program that would allow some flexibility and divergence from the national development model; some room for domestic consumption. Also integration into Asia region should proceed not only in the economic sphere but also in culture, science. As an alternative, government should adjust plans for lesser number of population concentrating on industries with higher value-added.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se policies would not be abandoned after some time as it was the case many times before.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 국가 아젠다 가운데 가장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극동지역 발전과 관련된 상황을 SWOT 분석 방법을 통해 살펴본다. 러시아 극동지역 발전을 위한 모든 프로그램들은 대개 수출 주도적 발전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수출이 제조업 발전을 촉진시키고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적어도 현재와 같은 방법으로 추진되는 러시아 극동지역 발전 시나리오는 최적의 것이 아니라고 본다. 현재와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극동지역은 보다 더 자원 의존적인 지역이 되어 에너지 자원 수출에 편중된 지역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러시아 극동지역은 면적이 대단히 넓은데, 역내 지방들의 경제 활동이 고르게 발전되어 있지 않아 지역 전체적으로 균형적인 발전을 이루기가 어렵다. 극동지역 내 지방들은 보유 자원의 유형, 기후 조건 그리고 지리적 위치 면에서 서로 커다란 차이가 있다. 일부 지방들은 해외 수출에 좋은 지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다른 일부 지방들은 그렇지 못하다. 또한 교통인프라도 무역을 활성화시켜 지역경제를 발전시키기에는 불충분한 상황이다. 게다가 포스트소비에트 시기 정부의 제조업 지원 중단으로 극동지역의 제조업은 많이 쇠퇴한 상태이다. 그리고 자원 수출에 따른 수익에도 불구하고 극동지역의 모든 지방들이 연방정부 재정 지원 의존도가 극히 높은 상황이다. 극동지역 지방 정부들은 재정이 부족하여 한편으로는 독자적인 발전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는데 커다란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연방정부의 재정지원을 더 많이 받기 위해 서로 비생산적인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런 내부적인 제약 요인 이외에 국제 환경에서도 극동지역 발전에 제약이 되는 요인들이 있다. 러시아 극동지역이 위치하고 있는 아시아 지역은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한 곳이다. 제조업 분야뿐 아니라 자원 수출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러시아가 자원을 많이 보유하고 있지만, 아시아의 모든 국가들이 러시아로부터 자원을 구매하려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게다가 극동지역의 수출은 이웃한 중국, 한국 그리고 일본에 심하게 편중되어 있다. 현존하는 여러 가지 장애를 극복하고 수출 주도적인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현행 발전 모델보다 좀 더 유연하고 다양화된 프로그램, 내수를 고려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그리고 극동지역의 아시아 지역으로의 통합은 경제 분야에서 뿐 아니라 문화와 과학 분야에서도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극동지역의 감소되는 인구 상황을 고려하여 고부가가치 산업 발전에 집중하는 것과 서비스 산업을 발전시키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 또한 수립한 정책을 과거에 그랬던 것처럼 중도에 폐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 러시아의 ‘동방정책’과 한국의 대 극동 경제협력 확대방안

        제성훈 ( Sung Hoon Jeh ),이재영 ( Jae-young Lee ) 한국유라시아학회 2015 Acta Eurasiatica Vol.6 No.-

        이 연구의 목적은 3기 푸틴 정부 하에서 가속화되고 있는 러시아의 ‘동방정책'의 연장선상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극동 개발정책을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한국의 대 극동 경제협력 확대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2012년 5월 3기 푸틴 정부의 출범과 동시에 극동 개발과 대 아태지역 경제협력 강화를 골자로 하는 러시아의 ‘동방정책'은 더욱 구체화 · 가속화되었다. 3기 푸틴 정부의 ‘동방정책'에서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극동 개발정책은 계획 측면에서 기존 ‘추격형 발전'에서 ‘선도적 발전'이라는 개념하에 현실적이고 적정한 연방예산 확보 계획을 마련했으며, ‘백화점식’ 사업 나열에서 벗어나 극동의 특성에 맞는 교통 · 물류 및 제조업 기반 확보에 중점을 두고 아태지역으로의 수출지향형 산업 발전 및 해당 지역 국가들과의 경제 관계 발전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변화로 인식된다. 또한, 제도 측면에서도 기존과 달리 계획의 집행력을 강화하기 위해 연방 거버넌스를 혁신했으며, 투자매력도 제고를 위해 파격적인 특혜와 새로운 개발 모델을 도입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한국의 대 극동 경제협력 확대방안으로 양국 총리회담 정례화와 극동개발부의 카운터 파트너 조직 신설을 골자로 하는 협력 추진체계 개선, 선도개발구역 내 반제품 또는 부속품 생산을 통해 극동과 아태지역을 연결하는 새로운 역내 분업, 대규모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 참여, 석유 · 가스 가공분야 진출 및 플랜트 건설 참여, 남 · 북 · 러 3자 경제협력 프로젝트의 시범사업으로서 라진-하산 프로젝트 참여 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going Far East development policy as an extension of Russia’s “Look East Policy”,and, on this basis, to present measures for expanding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in the Russian Far East. After taking office in May 2012, the Putin administration is accelerating “Look East Policy” that is focused on Far East development and cooperation with Asia-Pacific region. The Putin administration’s Far East development policy as the core of the “Look East Policy” is regarded as a paradigm shift from the conventional policy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policy concept is based on “advanced development” instead of previous “catch-up development”. Second, it aims to develop export-oriented industries towards Asia-Pacific region. Third, reform of the federal governance has strengthened the executive force of the plan. Finally, the introduction of the exceptional tax favor and new development model has enhanced the investment attractiveness. Thus, there are measures Korea can and should take with respect to Russian Far East development: holding regular prime ministers’ meeting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establishing a partner organization for Far East development, new regional division of production involving production of semi-finished products or components of goods at zones of advanced socio-economic development, participation in large-scale infrastructure projects, participation in oil/gas processing and plant construction sectors, cooperation linked to trilateral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Russia.

      • KCI등재

        러시아의 극동지역 개발전략과 한,중,일의 극동진출정책 비교연구

        성원용 ( Weon Yong Sung ) 한국비교경제학회 2009 비교경제연구 Vol.16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러시아의 극동지역 개발전략과 프로그램을 검토하고, 한·중·일 3국의 대러 극동지역 경제협력 현황 및 극동진출정책에서 드러난 각국의 전략적 목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국의 극동진출을 활성화할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러시아는 극동·자바이칼 지역이 아·태지역 국가들의 에너지·원료공급지로 전락하고 아시아-유럽간 경제적·공간적 연계체계에서 러시아가 보유한 통합적 잠재력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는 것을 국가안보상의 중대한 위협요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혁신`원리에 기초한 극동·자바이칼 지역의 경제잠재력 증대, 아·태지역에서 러시아의 국가이익 실현, 안락한 거주환경 구축 및 정주 강화 등을 지향하는 종합적인 지역개발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중국은 접경국의 이점과 `전략적 동반자관계`라는 유대관계를 바탕으로 지역 및 국경협력을 강화하고 있고, 일본은 일-러 지역협력의 대원칙을 선도적으로 제시하면서 실질협력을 견인하는 실용주의적 자세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한국이 국익 극대화를 위한 국가간 견제와 경쟁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극동지역 진출을 본격화하기 위해서는 한-러간 상호신뢰 확보를 전제로 전략적 이익 공유지점을 찾아 이를 실질협력 사업으로 발전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rst examine the latest Russian Far East development strategy and then present policy directions to accelerate Korea`s Far East advance hereafter by making comparativ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Russian Far East and ROK, China, and Japan respectively and strategic goals of each country to entry into the Far East. Russia has become wary of the risks that Russia could be transformed into only raw material and energy resources supply area for Asia-Pacific countries and could not realize its total potentials owned in economical and spatial linkage between Asia and Europe. Against this backdrop, Russia is with a great will implementing strategy for developing backward Russian Far East and Trans-baikal regions and enforcing its economic cooperations with Asia-Pacific countries. At this moment, China is enforcing regional and cross-border cooperations with Russia on the territories between Russian Far East and Northeast China provinces, using its comparative advantage as a neighboring country having common border with Russia and closer bilateral ties based on the principal of `strategic partnership.` On the other hand, Japan has taken a practical position to drive up real business cooperation, showing its ability to take the initiative in developing action plan for Russian-Japanese regional cooperation in the Far East. Therefore, in order to fully entry into the Far East under circumstances in which fierce restraint and competition between countries for national interests are expected, ROK needs to find strategic potentials of common interests based on mutual trust and convert them into real business cooperation projects.

      • KCI등재

        러시아의 극동시베리아 개발과 한반도 정책

        한종만 평화문제연구소 2012 統一問題硏究 Vol.24 No.2

        이 글은 극동시베리아 지역의 잠재력과 남북한과 러시아의 지역협력과 경협 가능성을 모색한다. 한반도 통합과정에서 경제협력을 원활히 하기 위해 남북러의 철도, 가스관 등의 사회간접자본의 구축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극동시베리아는 석유, 천연가스, 석탄 등의 연료자원을 포함한 천연자원의 보고지역이다. 극동시베리아의 개발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러시아가 독자적으로 개발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인접 국과의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남북한은 극동시 베리아 지역과의 지리적 인접성과 생산요소와 산업구조의 상호보완성을 갖고 있다. 남북한이 극동 시베리아 지역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면 경협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북한의 개방을 유도하면서 한반도 통합의 계기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sources potential of the Far Eastern Siberia and then deduce specific business opportunities and methods of cooperation on regional developmen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Russia. In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Korean peninsular, it will be essential and necessary to build an infrastructure, particularly for railway linking and pipeline natural gas projects, to facilitate the economic cooperation among South Korea, North Korea, and Russia. Far Eastern Siberia has the world’s largest storage of natural resources including oil, natural gas, coal, and etc. The development of the Far Eastern Siberia requires time and the effort of neighbouring countries since it is a handful for the Russian government alone to handle. Two Koreas have both geographical proximity and ideal complementary economic relationship with Far Eastern Siberia of Russia. If South and North Korea were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Far Eastern Siberian territories, then there would be an increase in economic activity with Russia. It would also eventually lead to the opening of North Korea and provide a catalyst for reunif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탈소비에트 시기의 러시아와 일본의 영토분쟁 : 옐친시대를 중심으로

        윤영미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04 평화연구 Vol.12 No.1

        본 논문은 체제전환기의 러시아연방정부가 냉전의 유산으로 남아 있는 쿠릴영토문제를 옐친시기를 중심으로 국내 여론에 바탕을 두고 살펴보았다. 민주화 과정과 자본주의 경제 체제의 전환 속에서 대외적으로 일본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투자와 협력관계를 모색을 시도한 옐친정부는 일본정부가 요구하는 네 개의 섬반환 요구에 별다른 외교적 진전 없이 그의 전임자인 고르바초프와 마찬가지로 일본과의 평화조약에 서명을 이루지 못하고 기대했던 경제적 협력관계에 뚜렷한 성과를 돌출해 내지 못하였다. 더욱 강해진 러시아 내의 민족주의와 영토에 대한 러시아인들의 국민적 자부심이 더해져 탈냉전기의 일본과의 영토문제는 이전보다 더 민감한 정치적인 이슈로 등장하였고 일본에의 영토반환에 대한 대다수의 정치가들과 국민적 인식과 여론은 부정적이다. 아울러 쿠릴섬이 지닌 경제적, 군사 전략적 가치가 더해져 섬반환 문제는 러시아연방정부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러시아극동 지방정부와 쿠릴섬 주민들의 의사가 반영된 장기적 차원에서 일본정부와의 지속적인 외교적 협상으로 이어져야한다고 본다. 현 러시아정부의 대일정책이 영토문제 국한하지 않은 세계화 시대에 동반자적인 협력관계를 모색하고 지향해가고 있는 시점에서 쿠릴섬을 둘러싼 여러 이해관계를 일본정부가 어느 정도 수용하고 반환에 따른 어떠한 필요조건을 충족시켜줄 수 있느냐 여부가 분쟁해결에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간주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al with relations with Japan, especially regarding the territorial dispute over the Kuril islands under Yeltsin's leadership. While the ownership of these islands is obviously of economic and military importance, in my discussion of this issue I am primarily concerned with its political significance at grassroots, based on examination of the results of national (1991, 1992, 1994, 1998) and regional opinion poll (1992). According to an analysis o the public opinion polls, it reveals that the majority of Russians, and Kuril residents in particular, are strongly opposed to any return of the islands to Japan. In the post-Soviet period, it is evident that domestic political influences in the form of a revived nationalism have further stimulated the territorial dispute with Japan. In this context, in this transition period Gorbachev's successor, Yeltsin, had been keen to establish closer relations with Japan for obvious economic reasons and made it clear that intended to conclude a peace treaty. Peaceful negotiations over the Kuril islands have been reached. Both present-day Russia and the former Soviet Union have had a long history of territorial conflict with Japan. This continues in the drawn-out dispute surrounding ownership of the Kuril Islands. Japan has claimed that the Soviet occupation of these islands is illegal and that the four islands must be returned to Japan before full political, economic or diplomatic relations can be restored. In conclusion, overall relations with Japan remain uncertain and the disputed islands is unclear - up to and indeed beyond Putin's attempts to restore relations with Japan. Regarding this issue, the most important point still remains that the matter should be left to future generations of the Kuril islands and that between Russia and Japan should be developed a favorable environment for peaceful negotiations and strong diplomatic relations in the context of a changing world community.

      • 러시아 시베리아와 한국과의 경제협력 과제와 전망

        한종만 培材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06 自然科學論文集 Vol.17 No.1

        시베리아·극동지역에서의 협력 사업은 이 지역의 발전은 물론 러시아의 경제력을 배가시킬 뿐만 아니라 동북아와 아·태지역 경제발전의□기관차□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제 한국은 다가오는 시베리아·극동 시대를 맞아 그 잠재력을 현실화하는 데 적극 참여할 의사가 있음을 분명하게 밝히고 한반도의 국운을 유라시아 대륙으로 확장하는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다. 시베리아의 잠재력이 21세기에 더욱더 구체화될 것이라는 데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시베리아지역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러시아의 적극적인 투자의지뿐만 아니라 중국과 남북한으로부터 노동력 유입과 한국을 비롯한 일본과 미국으로부터 자본유입이 우선 과제라고 보인다. 21세기 한국의 미래는 시베리아에 달려 있다고 보인다. 한반도 통합과정에 있어서 시베리아와의 인적·물적 교류의 활성화는 상호간의 경제적 이익을 창출시킬 뿐만 아니라, 사업의 추진과정에서 재외 한민족 및 북한 동포를 참여시켜 민족 동질성과 정체성을 유지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교류의 활성화는 북한의 개혁과 개방을 유도하여 한반도의 통합 여건을 가속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1세기 한반도의 통합과 동북아시아의 중심국가로 부상하게 만드는 초석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sources potential of Siberian & the Far Eastern territories and deduce specific business opportunities and methods of cooperation on regional development between Korea and Russia. Russian Siberia & Far East have the world's largest storage of natural resources including oil, natural gas, coal, fishes, woods, and etc. The development of Siberia & the Far East requires time and the effort of neighbouring countries since it is a handful ofe the Russian government alone to handle. Korea has both geographical proximity and ideal complementary economic realtionship with Siberia & the Far East of Russia. If Korea were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Siberia & Far Eastern territories, then there would be an increase in economic activity between two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