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극과 혁명 - 혁명 전후 메이에르홀드 무대의 실험과 혁신을 중심으로 -

        전정옥 ( Jun Jung Ok ) 한국연극학회 2018 한국연극학 Vol.1 No.66

        20세기 초 러시아는 세 번의 혁명을 치르며 사회에 대한 개혁과 민중이 받은 극심한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혁명의 근본 모토를 마련했다. 러시아혁명과 함께 “역동적 상호작용”을 실천했던 20세기 초반의 러시아 문화혁명의 경우, 1917년을 전후로 전무후무한 실험과 혁신을 거쳤음을 살필 필요가 있다. 소위 러시아 아방가르드로 불리는 문화의 개념이자, 현상이자 실천은 1917년 러시아혁명을 경험하며 아무것도 저어하거나 삼가지 않으며 그들만을 묶는 단일한 전략 혹은 관심사를 가지고 도전적으로 혁명기 문화를 만들어냈다. 특히나 “혁명 이후 1918년에서 1923년 사이의 시기에는 정치 경제적 혁명과 문화 예술적 혁명 사이에 일정한 조응관계”가 형성되었으며, 러시아혁명의 진행 과정 안에서 문화와 예술은 발 빠른 실천과 폭넓은 실험을 수행해 나갔다. 그 성과를 무대예술 전반으로 국한시켜 본다면, 1917년 혁명기 러시아연극이 사회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예술의 대응방식을 선보이며 전환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러시아혁명과 연극과의 특별한 관계가 형성되는데, 혁명기 러시아연극은 사회혁명을 수행하는 조력자로서 연극이 사회혁명에 부합하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강구하고자 했다. “혁명기의 예술에 대한 연구가 혁명 전체의 진행 방향과 성격을 가늠해보는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듯이, 당시 혁명을 자신의 예술적 과업으로 받아들인 예술가들이 창작이라는 실천행위를 통해 어떠한 방식으로 혁명의 중심에 섰는가? 는 결국 러시아혁명기 문화, 혹은 혁명과 문화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핵심 질문이 될 것이다. 본고는 러시아연극이 혁명과 관계 맺은 전반적 지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메이에르홀드를 중심으로 설계된 ‘연극의 10월(театральная октябрь)’의 생성과 혁명기 러시아연극의 실천과정을 추이하고자 한다. ‘연극의 10월’은 정치 사회적 혁명에 이어 연극의 혁명이 뒤따라야 한다고 주장한, 러시아연극의 실천적 혁명 프로젝트로 평가할 수 있다. 짧은 기간이었지만, 이 프로젝트는 러시아혁명의 총체성 속에 공존했으며 10월 혁명의 이데올로기적 지향점에 부합하는 이론적 체제를 갖추고 젊은 예술가들의 적극적 공감을 얻었다. 본 연구는 그들이 주창했던 예술에 대한 지향점이 어떠한 방식으로 무대에서 구체화 되었으며, 우리가 그들의 실험을 통해 얻어야 할 것들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서부터 시작된다. Russia went through three revolutions for about 10 years in the early 20th century. Considering that a revolution represents the will the members have, deeply imagining the utopian future, or the future that is different from the present, the physical time, namely the process is necessary to have critical mind about the reality and seek agreement. The three revolutions of Russia make us guess how ardent and resolute are the identical recognition of the reality and the imagination of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cultural revolution practicing "dynamic interaction"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Russian revolutions was the unprecedented time of experiment and innovation in the cultural history of Russia. Russian avant-gardes experienced the unprecedented process of experiment and innovation through russian revolutions in 1917. There was a constant corresponding relation between political-economic revolutions and cultural-artistic revolutions from 1918 to 1923. It may be possible because politics allowed experiments throughout art and culture in the revolutionary period in 1917, though it was different in the ideological system of socialism that transformed into Stalin‘s one-man dictatorship. That formed a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russian revolutions and dramas, and the purpose throughout the cultural field including Russian dramas was to carry out revolutions through dramas as a helper and companion performing political revolutions. In that period, artists accepting revolutions as their artistic tasks rose a revolt about the same age through works of art, since they dreamed the different art of the future by criticizing the contemporary art. It should be understood in the practical aspect to proceed from the contemporary art to the new art through the awareness and critical analysis of such reality in the center of their revolutions. This study argues that political and social revolutions should be followed by revolutions in dramas, by understanding the revolution in 1917 and a great meaning of Russian cultural revolution in the historical contex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how they actualized on stages 'October of dramas' constructed with Meyerhold as a central figure and the intention point toward art they advocated in processes of revolutions in order to continue the experiments of new art and new dramas in the center of revolutions.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dramas and revolutions, that is to say the revolution of dramas prompted from social revolutions, focusing on the stage in the latter part of constructivism and 'October of Theatre' as the basis to mark the peak of the biomechanical system. This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about what we should obtain in such historical processes, although their purposes of experiment and innovation were not achieved in the end.

      • KCI등재후보

        술탄 갈리예프의 무슬림 민족공산주의

        이승환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코기토 Vol.- No.69

        술탄 갈리예프는 비러시아계 무슬림 민족인 볼가 따따르인으로 러시아 혁명기에 활동한 마르크스주의자였고 반(反)식민 혁명가이자 이론가였다. 1917년 4월 바히토프와 함께 무슬림 민족 공산주의를 제창한 술탄 갈리예프는 10월 혁명 발발 직후 볼셰비키에 가입하였고 볼셰비키 조직 내의 영향력 있는 위치에서 러시아 내 민족 문제의 해결과 러시아 혁명의 수호에 앞장섰다. 그가 볼셰비키 내의 무슬림 민족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던 1918년 당시, 혁명 러시아는 어려움에 봉착하고 있었다. 서구의 자본주의 국가들은 러시아 내전에 간섭하여 백군을 직접 지원하고 있었고 혁명 러시아를 국제적으로 봉쇄하고 있었다. 볼셰비키 지도부는 이러한 고립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서구에서의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기다리고 있었다. 하지만 결국 서구에서 프롤레타리아 혁명은 일어나지 않았고 혁명 러시아는 세계 사회주의 혁명의 실현이라는 전망을 상실해가고 있었다. 술탄 갈리예프는 동방 전술을 통해 혁명 러시아에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술탄 갈리예프의 동방 전술은 프롤레타리아 민족 이론과 프롤레타 리아 민족 독재 이론, 공산주의에 이르는 무슬림적 방식으로 더욱 구체화 된다. 프롤레타리아 민족 이론은 식민지의 사회주의 혁명을 이끌 주체를 정의한 것이었고, 프롤레타리아민족 독재이론은 식민지의 혁명을 세계 혁명으로 전화시키는 데 필요한 개념이었다. 또한 술탄 갈리예프는 식민지 동방에서의 사회주의 혁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동방에서의 혁명 전술이 그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맑스주의의 유럽중심주의를 인식하고, 그것을 극복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 같은 술탄 갈리예프의 이론들은 1960년대 식민지 해방운동의 국면에서 비서구의 마르크스주의자들 뿐 아니라 유럽의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사상가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간 러시아혁명의 역사는 언제나 서구의 혁명가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왔다. 역사가들은 러시아 혁명을 레닌, 스탈린, 트로트키와 같은 인물들의 사상과 활동을 중심으로 서술했으며 술탄 갈리예프와 이슬람 민족공산주의자들을 철저히 외면해왔던 것이다. 이는 서구 마르크주의자들의 오만이었다. 제국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래 마르크스주의는 유럽뿐 아니라 억압과 착취가 존재하는 곳 그 어디에서든 해방을 위한 철학으로서의 역할을 해왔으며 그 중심에 비서구의 마르크스주의자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실천이 있었다. 그리고 비서구 마르크스주의의 역사적 전통, 그 시작에 술탄 갈리예프가 위치한다. Sultan Galiev was the most highest ranked muslim bolsheviks and most influential national communist in 1920"s USSR. He was a Marxist and Tatar nationalist. When he was chairman of Islam National Commit, USSR faced the a few difficult problems. Bolsheviks expected Proletarian Revolution in West Europe for escape these problem. They thought Russia Revolution was prologue of World socialist revolution. But Western Proletariat did not uprise. Sultan Galiev indicated new revolutional vision for Bolsheviks. He argued that Bolsheviks find their ally not West but East. This was his Eastern strategy. The Eastern strategy was composed of about three theory. Those are the Proletarian Nation, the Proletarian dictatorship over colonial Metropolises and the Muslim way to socialism. Sultan Galiev argued that the world was divided into oppressor nation and oppressed nation. All colonized nation was Proletarian nation. Therefore they will be subject of world socialist revolution. And the proletarian nations should have dictatorship over non revolutionary nation like western Europe nations for abolition world imperialism. These thesis are rereading of Marx-Leninist revolutionary theory for imperialist and colonialist world. The national communist seek to national way to communism. Sultan Galiev argued that Muslim people had their own way to achieve communist society. It would be Islamic and communistic way. After 1923 Stalin seized power of Russian communist party and Soviet Govermant. Stalin purge Sultan Galiev on Russian communist party and In 1928 liquidated all national communist in Soviet Union. After liquidation of national communist stalin argued that Stalinist is host of marxist revolutionary theory and eliminated all memories and contribution of Sultan Galiev and national communist. But ideas of Sultan Galiev and muslim national communist were revived in 1960’ when colonial liberation revolution had arisen strongly.

      • KCI등재

        "Foucault Effects" in Russian/Soviet History

        구자정(Koo, Ja-je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4 역사문화연구 Vol.50 No.-

        본 연구는 러시아 근현대사 연구에 푸코의 문제의식과 방법론을 적용한 3인의 러시아사 연구자, 엥겔쉬타인, 홀퀴스트, 하르호르딘의 연구사례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서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근대적 주체의 탄생과정에 천착하는 푸코식의 연구방법론이 러시아와 같은 비(非)서유럽 지역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이론적으로 확인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기존의 러시아 혁명사 연구가 1917년 러시아 혁명을 의미있는 사회적/경제적/정치적 전환이 일어난 역사적 전환점이자 시대적 분기점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푸코의 문제의식이 적용된 상기 러시아사 연구자들의 연구에서는 1917년 혁명이 가져온 사회적 변화의 본질적 "혁명성"이 부인되고 있다. 여기서 확인되는 공통된 결론은 1917년 혁명 이전의 제정 러시아 사회와 혁명 이후 소비에트 사회를 함께 관통하며 작동하는 지식/권력 관계망의 연속성이며, 러시아 혁명은 시대구분을 가능케 하는 "단절"이라기보다는 기존의 권력/지식 관계가 오히려 강화되고 제도화하는 도약의 계기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설명은, 근대 혁명을 본질적인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변화가 일어나는 역사적 계기로 인식하기보다도, 기존에 작동하던 지식/권력 관계망이 재편성되거나 전도되는 계기로 바라보며 권력관계망의 계보학적 연속성에 주목하던 푸코 자신의 관점과 시선이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속성을 만들어내는 권력의 작동방식에 대한 시선에서는 연구자들 사이에 큰 차이가 확인되는데, 예컨대 엥겔쉬타인은 서유럽과 구별되며 러시아 사회에서만 작동하던 또 다른 비(非)푸코적 맥락의 권력/지식 관계를 근대 러시아/소비에트사 공간에서 확인했던 반면, 하르호르딘과 홀퀴스트는 러시아에서의 권력/지식의 관계망 역시 푸코가 제기했던 범유럽 근대성의 경계 내부에 위치시키며, 어떤 의미에서는 "서유럽보다도 더 서유럽적"인 러시아사의 역사상을 제시하고 있다. В данном исследовании рассматривается практическая возможность применения проблематики Фуко к исторической обстановке, никогда не являвшейся предметом исследования этого философа: русской истории. Для достижения этой цели будут критически проанализированы работы трех историков-последователей школы Фуко, которые занимаются российской историей: Лауры Энгельштейн, Питера Холквиста и Олега Хархордина. Автор утверждает, что применив в исследовании русской истории такие концепции теории Фуко, как Власть/Знание нексус и тезис об управляемости, они устранили понятие о якобы «преобразующей и предписывающий» власти, и, тем самым, бросили вызов принятому учению о Русской Революции. Согласно этому новому критическому подходу, Революция представляется не «моментом разрыва», который разделил старый имперский порядок и новую послереволюционную советскую систему, но как момент преемственности, в котором имперские, дореволюционные практики не только продолжились, но и были усилены новым советским государством. Несмотря на общий тезис непрерывности, три историка-последователя Фуко пришли к различным выводам. В то время как для Энгельштейн эта преемственность, выражающаяся в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отсталости» русского и советского общества, ставит вопрос о русской современности как отличной от европейск, своеобразной современности, то Холквист и Хархордин видят преемственность как доказательство, свидетельствующее о том, что опыт России является неотъемлемой частью общеевропейского проекта современности.

      • KCI등재

        민족과 혁명 : 1920년대 초 사회주의 수용에서 러시아혁명 인식의 문제

        최은혜 ( Choi Eun-hy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7 No.-

        본고는 1920년대 초반 식민지 조선에서 사회주의 사상이 수용될 때, 러시아 혁명이 미친 영향을 살피고 그것이 어떤 인식론적 변화를 가져왔는지 살펴보았다. 주지하듯 1차 세계대전 중 발발한 러시아혁명은 유일하게 자본주의 및 제국주의에 대항하는 혁명이자 농민ㆍ노동자가 전제정치를 뒤엎고 선두에 선 혁명이었다. 이 혁명의 여파는 특히 민족 문제의 해결을 원하는 식민지들에게 크게 몰아쳤는데, 조선에서 또한 마찬가지였다. 워싱턴 회의로까지 이어지는 베르사유 체제 속에서 레닌의 민족자결주의는 조선의 사회주의자들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사회주의자들의 주도로 형성된 러시아혁명 및 볼셰비즘에 대한 인식은 3ㆍ1 직후 보다 더 명징하게 민족자결의 문제와 관련되었으며, 이는 민족의 자족적 운동을 넘어선 세계 혁명에 대한 잠재성을 안고 있는 것이었다. 한편 조선의 사회주의자들에게 러시아혁명은 정치ㆍ문화ㆍ경제적으로 낙후되었던 러시아를 인류가 이상으로 생각하는 체제의 선두에 서게 한 사건이었다. 후진으로서의 조선은 러시아혁명을 통해 역전의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었다. 러시아혁명이 민중에 의한 혁명이었다는 점은 사회주의자들에게 3ㆍ1을 민중 운동으로 자리매김하게 하고, 그랬을 때 3ㆍ1은 조선에도 혁명이 일어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사건이 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사회주의자들은 세계사적 동시대성을 ‘실천적으로’ 확보했다. This article explored the impact of the Russian revolution on accepting socialism in colonized Joseon during the early 1920s and went further to acknowledge the changes the Russian revolution made on the epistemological features of accepting socialism. The Russian revolution, which took place during WWI, was the only revolution that stood up against capitalism and imperialism, and a revolution led by farmers and workers revolting against autocracy. This revolution had a substantial impact on colonies yearning for self-determination, and Joseon was not an exception. National selfdetermination, called forward by Lenin himself, affected socialists in Joseon in various ways within the context of the Versailles system that persisted until the Washington confer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ion of the Russian revolution and Bolshevism led by socialists and national self-determination was more clear than that in the period following the 3ㆍ1 independence movement. The situation had the potential to escalate into an international revolution, over a national self-determination movement. However, socialists in Joseon considered the Russian revolution to be an event that allowed Russia to escalate from its lagging political, cultural, economic status into a nation that leads the system considered to be ideal to mankind. Joseon, in its lagged state, had a chance to change the game through the Russian revolution. The fact that the Russian revolution was led by the people led socialists to set the 3ㆍ1 independence movement as a movement by the people. By doing so, the 3ㆍ1 independence movement suggested that a revolution may break out in Joseon. As a result, socialists in Joseon “practically” secured their historical simultaneity.

      • KCI등재

        세계사 속의 러시아혁명

        한정숙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18 韓中關係硏究 Vol.4 No.1

        이 글은 러시아혁명 100주년을 맞아 세계사 속에서 이 혁명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혁명의 일반적 의미를 살펴본 다음, 1917년 러시아혁명의 의미를 사회 내부의 변화라는 면과, 국제관계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필자는 러시아혁명 이후 비서구 공간에서 새로운 노선에 따라 포괄적 근대화가 진행되었음을 중시하고 이 과정을 ‘유라시아 혁명’이라고 칭했다. 러시아혁명의 의미 중 대내적 측면은 서구에서 일어난 이중 혁명의 대안으로서의 사회주의적 근대화를 이루었다는 것이다. 러시아혁명은 재산소유의 절대성에 바탕을 두지 않은 시민적, 사회적 권리의 성립을 가져왔고 여성해방, 소수민족 차별철폐를 가져왔다. 한 때는 산업생산력의 해방도 가져온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소련의 사회주의적 근대화는 사회구성원의 정치적 자유를 유보한 채 이루어졌으며, 후견독재체제의 수립으로 이어졌다. 소련 후기에는 생산력 해방의 효과도 사라졌다. 대외적 측면에서 러시아혁명의 의미는 식민지, 반식민지 민중의 민족해방투쟁과 반파시즘 투쟁을 고취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볼셰비키는 제국주의 전쟁과 제국주의지배에 가장 철저하게 반대한 세력이었다. 소련은 반파시스트 투쟁을 지원했으며, 히틀러 독일의 격파에 결정적 공을 세웠다. 20세기에는 많은 아시아-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이 사회주의적 근대화를 모범으로 삼아 자국의 근대화를 이루고자 하였다. 현재 러시아혁명의 최대 후계자는 중국이다. 중국과 러시아의 협력 관계는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서구적이지 않은 길을 거쳐 20세기를 지나왔던 사회로서의 동질감에 바탕을 두고 있다. On the occasion of the Centennial of the Russian Revolution this article tries to consider its meaning in world history. It first traces the general meaning of the word “revolution” and then considers two aspects of the Russian Revolution: the transformation of social orders in the country and its influence o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an inclusive modernization process according to a new principle has been going in a considerable part of the non-Western world. The author names it “Eurasian Revolution.” The Russian Revolution was the starting point of socialist modernization as an alternative to the Dual Revolution in the West as conceptualized by E. Hobsbawm. Civil and social rights in Soviet Russia were not based on the property ownership. Soviet society pursued a path of moderniza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bourgeois” society. In its initial phase it achieved the emancipation of the productive power, women’s liberation and the abolition of the discrimination against national minorities. But the socialist modernity of the Soviet society was attained without the political freedom of the members of the society and it resulted in the ‘tutelage dictatorship.’ In the second half of the Soviet period the effect of the emancipation of the productive power disappeared. On the international dimension the Russian Revolution inspired the liberation movement of the peoples of colonial and semi-colonial societies. The Bolsheviks were the most thoroughgoing opponents against the imperialist wars and rules. The Soviet power also assisted the anti-fascist struggles and contributed decidedly to the triumph over the Hitler-Germany. During the 20th century many countries of Asia, Africa and Latin Africa tried to modernize their own society following the Soviet model. The most powerful follower of the Russian Revolution nowadays is China. China and Russia have a cooperative relation. It is based on the common experiences of the both countries proceeding through the 20th century via non-Western path starting from the socialist revolution.

      • KCI등재후보

        1917년 러시아혁명 이전 러시아 기층 노동자들의 운동 연구

        이득재(Lee Deuk Jae) 한국문화연구학회 2017 문화연구 Vol.5 No.2

        올 2017년은 러시아 혁명이 일어난 지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그동안 우리의 경우 러시아 혁명은 주로 레닌, 볼셰비키, 당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고 주로 10월 혁명과 그 이후에 주안점을 두고 연구되어 왔다. 본고는 러시아 혁명 100주년을 맞이하여 러시아 혁명으로 일컬어지는 1905년과 1918년 혁명을 가능하게 했던 러시아 혁명 이전 기층 러시아 노동자들의 운동을 연구주제 로 잡았다. 이 주제는 국내에 전혀 소개되지 않았던 러시아 기층 노동자들의 운동의 역사이다. 그동안 러시아 혁명사가 지식인 중심이거나 지성사 중심으로 서술되어 왔다면 기층 러시아 노동자들의 운동의 역사, 혹은 민중사를 다룸으로써 그러한 역사 서술의 짝패를 이루어 러시아 혁명사를 온전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is year 2017 is a centennial of the russian revolution in 1917. Until now the Russian revolution has been studied centering on Lenin, Bolshevik, party and mainly October Revolution itself and its following history. This treatise tries to study the history of the movement of general workers to make October Revolution possible before 1905 and 1917 Revolution to celebrate the centenary of October Revolution 1917. Concretely speaking, this treatise’s aim is to study the substratum of russian workers’ movement beginning from Chaikovsky Circle and the workers’ effort to gain their identity by differentiating them from the intellectuals, which has not been introduced into us until now. This treatise aims at understanding the whole history of russian revolution by making a pair of history through the history of russian people or workers.

      • ‘혁명’의 개념 변화에 관한 고찰

        길윤미(Kil, Yoon-Mi),문경자(Moon, Kyung-Ja)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4 동서인문 Vol.0 No.2

        프랑스와 러시아 사회에서 혁명이란 용어는 긴 의미 변화과정을 겪어왔으며 이것이 정치 사회적 혁명이라는 근대적 의미로 정착되는 시기는 프랑스 대혁명을 거치면서이다. 프랑스 대혁명은 러시아 사회에도 강력한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 혁명 이전에는 익숙하지 않았던 혁명이란 용어가 일상 속으로 들어오게 되고, 러시아 지식인들 사이에서 프랑스 혁명을 연구하여 이를 통해 러시아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건의 추이를 가늠하고자 하는 시도들도 활발해졌다. 그러나 20세기 이후에는 오히려 러시아 혁명이라는 세계사적 사건이 프랑스 사회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1920년 프랑스 공산당의 창당이나 앙드레 지드, 사르트르 등 프랑스 지성인들의 사회주의 혁명과 공산주의에 대한 열띤 논의에서 러시아 혁명과 러시아 공산주의의 영향이 강하게 드러난다. 프랑스 혁명에 대한 긍정적 해석은 이것이 세계사에 있어 새 시대의 서막을 알린 대 사건이었으며 민중의 정신을 일깨우고 인간 정신의 진보에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 근거한다. 러시아 혁명 역시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혁명으로서 세계사에 대전환을 가져왔으며 세계 발전의 방향을 정립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19세기 프랑스 사회와 20세기 러시아 사회에서 혁명의 의의에 대한 의심과 회의도 결코 적지 않았다. 혁명의 폭력성과 혁명 이후에 뒤따르는 공포 정치를 경험한 두 나라의 민중들에게 혁명은 더 이상 절대적 가치로, 신성한 것으로 남을 수 없었던 것이다. 오늘날 혁명의 개념은 더욱 확대되어 정치성과 무관한 곳에서도 폭넓게 사용된다. 모든 종류의 위선과 억압에 맞서 저항하고자 하는 의지, 삶의 혁신을 꿈꾸는 정신의 자유와 열정의 의미가 혁명 정신 이란 말에 집약되면서 혁명의 긍정적 가치가 다시금 되살아나고 있는 듯하다. In French and Russian societies, the term ‘revolution’ has undergone a long process of change in its meaning and the period in which it began to be used as a contemporary meaning of socio-political revolution was through the French Revolution. The French Revolution had a strong influence also to Russian society. As the term ‘revolution’ that was unfamiliar prior to the French Revolution became commonplace, Russian intellectuals actively tried to evaluate the progress of events occurring in Russia by studying the French Revolution. After the 20th century, however, the Russian Revolution rather had significant effects on French society. The Russian Revolution’s influence is prominently revealed in the formation of the French Communist Party in 1920 or the heated discussion on socialist revolution and communism by French intellectuals such as Andre Gide and Sartre. The positive interpretation of the French Revolu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it was a major event as the prelude to a new era in the world history, while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of human spirit and awakening the spirit of people. The positive significance of the Russian Revolution can be found in the sense that it also brought a major transition to the world history as the world’s first socialist revolution and while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world’s advancement. However, there were also many doubts and skepticism about the significance of revolution in the 19th century French society and the 20th century Russian society. For the people of the two countries that experienced the violence nature of revolution and following reign of terror, revolution could no longer remain as an absolute value and a sacred thing. Today, the concept of revolution has further expanded and used extensively in situations unrelated to politics. As the meaning of the determination to resist against every type of hypocrisy and suppression and the freedom and passion of a spirit dreaming of life’s innovation has integrated into the term ‘revolutionary spirit’, it seems that positive value of revolution is reviving once again.

      • KCI등재

        [논문] 술탄 갈리예프의 무슬림 민족공산주의

        이승환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코기토 Vol.- No.69

        술탄 갈리예프는 비러시아계 무슬림 민족인 볼가 따따르인으로 러시아 혁명기에 활동한 마르크스주의자였고 반(反)식민 혁명가이자 이론가였다. 1917년 4월 바히토프와 함께 무슬림 민족 공산주의를 제창한 술탄 갈리예프는 10월 혁명 발발 직후 볼셰비키에 가입하였고 볼셰비키 조직 내의 영향력 있는 위치에서 러시아 내 민족 문제의 해결과 러시아 혁명의 수호에 앞장섰다. 그가 볼셰비키 내의 무슬림 민족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던 1918년 당시, 혁명 러시아는 어려움에 봉착하고 있었다. 서구의 자본주의 국가들은 러시아 내전에 간섭하여 백군을 직접 지원하고 있었고 혁명 러시아를 국제적으로 봉쇄하고 있었다. 볼셰비키 지도부는 이러한 고립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서구에서의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기다리고 있었다. 하지만 결국 서구에서 프롤레타리아 혁명은 일어나지 않았고 혁명 러시아는 세계 사회주의 혁명의 실현이라는 전망을 상실해가고 있었다. 술탄 갈리예프는 동방 전술을 통해 혁명 러시아에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술탄 갈리예프의 동방 전술은 프롤레타리아 민족 이론과 프롤레타리아 민족 독재 이론, 공산주의에 이르는 무슬림적 방식으로 더욱 구체화 된다. 프롤레타리아 민족 이론은 식민지의 사회주의 혁명을 이끌 주체를 정의한 것이었고, 프롤레타리아민족 독재이론은 식민지의 혁명을 세계 혁명으로 전화시키는 데 필요한 개념이었다. 또한 술탄 갈리예프는 식민지 동방에서의 사회주의 혁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동방에서의 혁명 전술이 그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맑스주의의 유럽중심주의를 인식하고, 그것을 극복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 같은 술탄 갈리예프의 이론들은 1960년대 식민지 해방운동의 국면에서 비서구의 마르크스주의자들 뿐 아니라 유럽의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사상가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간 러시아혁명의 역사는 언제나 서구의 혁명가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왔다. 역사가들은 러시아 혁명을 레닌, 스탈린, 트로트키와 같은 인물들의 사상과 활동을 중심으로 서술했으며 술탄 갈리예프와 이슬람 민족공산주의자들을 철저히 외면해왔던 것이다. 이는 서구 마르크주의자들의 오만이었다. 제국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래 마르크스주의는 유럽뿐 아니라 억압과 착취가 존재하는 곳 그 어디에서든 해방을 위한 철학으로서의 역할을 해왔으며 그 중심에 비서구의 마르크스주의자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실천이 있었다. 그리고 비서구 마르크스주의의 역사적 전통, 그 시작에 술탄 갈리예프가 위치한다. Sultan Galiev was the most highest ranked muslim bolsheviks and most influential national communist in 1920’s USSR. He was a Marxist and Tatar nationalist. When he was chairman of Islam National Commit, USSR faced the a few difficult problems. Bolsheviks expected Proletarian Revolution in West Europe for escape these problem. They thought Russia Revolution was prologue of World socialist revolution. But Western Proletariat did not uprise. Sultan Galiev indicated new revolutional vision for Bolsheviks. He argued that Bolsheviks find their ally not West but East. This was his Eastern strategy. The Eastern strategy was composed of about three theory. Those are the Proletarian Nation, the Proletarian dictatorship over colonial Metropolises and the Muslim way to socialism. Sultan Galiev argued that the world was divided into oppressor nation and oppressed nation. All colonized nation was Proletarian nation. Therefore they will be subject of world socialist revolution. And the proletarian nations should have dictatorship over non revolutionary nation like western Europe nations for abolition world imperialism. These thesis are rereading of Marx-Leninist revolutionary theory for imperialist and colonialist world. The national communist seek to national way to communism. Sultan Galiev argued that Muslim people had their own way to achieve communist society. It would be Islamic and communistic way. After 1923 Stalin seized power of Russian communist party and Soviet Govermant. Stalin purge Sultan Galiev on Russian communist party and In 1928 liquidated all national communist in Soviet Union. After liquidation of national communist stalin argued that Stalinist is host of marxist revolutionary theory and eliminated all memories and contribution of Sultan Galiev and national communist. But ideas of Sultan Galiev and muslim national communist were revived in 1960’s when colonial liberation revolution had arisen strongly.

      • KCI등재

        20세기 초 중국의 근대국가 구상과 러시아 1차 혁명

        양일모 ( Il Mo Ya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論叢 Vol.72 No.1

        19세기 후반 이후로 아시아 지역이 세계사적 차원에서 식민지 쟁탈의 무대가 되면서, 제정 러시아는 제국주의적 침략에 가담했고 서양 열 강의 일원으로 변신하기 시작했다. 이웃하는 러시아의 변화는 중국인 의 근대국가 구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과정 속에서 러시아에 대한 중국의 인식 또한 위협, 모방, 연대, 공포, 학습, 희망 등 다양한 모습으로 바뀌어 갔다. 이 글은 청일전쟁에서 러시아 1차 혁명 전후에 이르는 약 10여 년간을 중심으로 청조 내부의 다양한 근대 국 가 건설의 구상이 러시아에 대한 인식과 연동되는 과정을 규명하면서, 나아가 중국의 타자에 대한 표상의 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1905년 러 시아 1차 혁명에 대한 청의 인식과 그 영향이 그 이전의 러시아 인식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하는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20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러시아에 대한 청의 인식이 중국인의 근대 국가 구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러시아를 표상하는 담론의 주체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왕조체제의 지속을 전제로 정권을 유지하고자 한 조정의 관료, 왕조체제 내에서 개혁을 추구한 사대부 관료, 새롭게 등장한 근대적 지식인과 언론매체, 만주족 정권을 타도하고 공화국을 건설하고자 외친 혁명가들이 각각 격변하는 러시아를 사상의 자원으로 활용하면서 모색하고자 했던 근대 적 구상의 의미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러시아 혁명을 바라보는 중국의 인식은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드러 났다. 청조 당국과 관료들에게 러시아 혁명은 혼란과 소요를 미연에 방 지할 수 있는 강력한 군주제를 실현할 수 있는 입헌군주제의 준비를 서두르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양계초 등과 같은 망명 정치인에게 러시 아 혁명은 전제정체가 바뀌어야 하는 타당성을 실감하게 하는 계기를 부여하고 지방의회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었지만, 한편으로 는 혁명으로 인한 내분의 가능성뿐만 아니라 토지국유와 같은 사회주 의적 정책의 위험성을 알려주는 각성제가 되었다. 청조 타도를 외친 젊 은 학생과 지식인들은 러시아 혁명을 바라보면서 중국에서 군주제도를 타도하는 정치혁명과 노동자 농민의 경제적 자유를 확보하는 사회혁명 의 동시성을 주장하는 자신들의 혁명이론을 강화시켰다. 이처럼 러시 아는 중국의 정치현실과 담론을 형성하는 주체와 맞물려 서로 다른 이 미지로 표상되었다.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several aspects of interrelation between the various projects of modern nation-building inside the Qing dynasty and their awareness of Russia, and further to examine the structure of representing the Other in modern China, comparing the Chinese recognition of the Russian Revolution of 1905 with their earlier perception of despotic Russia. In order to analyz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inquire into each of the subjects of discourses which produced various imaginations of Imperial Russia. I will consider the different ways of thought expressed by the typical Chinese political social groups, such as the government officials, gentry, modern intellectuals and the mass media, revolutionary groups, while making practical use of Russia as a resource of thinking. I argue that Imperial Russia was represented in different images, depending on the subjects who formed China’s political discourse and reality.

      • KCI등재

        초창기 사회주의 지식인의 러시아혁명 인식

        김현주(Hyun-Joo Kim),카게모토 츠요시(KAGEMOTO Tsuyoshi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동방학지 Vol.201 No.-

        이 연구는 한국에서 최초로 레닌과 볼셰비즘을 본격적으로 소개한 글로 평가받는 김명식의 「니콜라이 레닌은 어떠한 사람인가」(『동아일보』, 1921.6.3.~8.31, 총 61회 연재, 이하 「레닌」)를 중심으로 조선의 사회주의 지식인들이 공론장에서 러시아혁명과 볼셰비즘을 논제로 삼기 시작했을 때의 문제의식과 인식 내용을 살펴보았다. 「레닌」의 전체 20절 중 서론과 결론을 제외한 18개의 절은 일본에서 여러 저자가 발표한 글 또는 책에서 발췌하여 번역한 것이다. 본고는 첫째 「레닌」의 일본어 저본을 확정하고, 둘째 저본들의 성격을 검토했으며, 셋째 저본들을 분절하여 교차적으로 배치한 의도와 효과를 분석했다. 「레닌」의 본론은 다음과 같은 논문과 책에서 가져온 내용이 짜깁기되어 있다. 야마카와 히토시(山川均)의 「레닌의 생애와 사업(レーニンの生涯と事業)」, 「레닌의 첫인상(レーニンの第一印象)」(『社會主義硏究』, 1921.4)에서는 1917년 혁명에 성공하여 소비에트 정부의 수반이 되기까지 레닌의 생애와 혁명 활동, 그리고 레닌에 대한 짧은 인상기를 가져왔다. 우치야마 쇼조(內山省三)의 『世界革命史論』(江原書店, 1919.7.)에서는 러시아의 근대사와 혁명운동의 전개, 1905년에서 1917년까지 러시아 국내 혁명의 경과, 그리고 혁명 성공 후 볼셰비키의 정책에 대한 서술을 가져왔다. 마지막으로 출처 미상의 볼셰비키의 헌법에 대한 설명과 나카메 히사요시(中目尙義)가 번역한 『볼셰비즘 비판: 원제 과격파의 본령(ボルシェヴィズム批判 : 原名 過激派の本領』(大鐙閣, 1921)에서 가져온 볼세비키의 대내외 선전에 대한 설명이 있다. 김명식은 레닌주의자인 야마카와의 글과 반볼셰비즘의 주장이 담긴 우치야마와 나카메의 책에서 가져온 조각들을 교차 배열함으로써 검열을 우회하는 한편, 레닌의 생애 이야기를 넘어서 러시아혁명의 역사적 조건과 현재 모습을 이해하고자 했다. 김명식이 레닌이 활약하기 이전 러시아의 근대사와 혁명운동에 대한 우치야마의 분석에 관심을 가진 것은 식민지인 조선의 상황과의 유사성 때문이었다. 한편 독일과의 강화조약을 볼셰비키의 굴욕적 양보로 평가한 우치야마에 대해 레닌을 인용하면서 주석을 단 것은 강화조약이 제국의 해체와 연동되어 있었음을 인식한 결과로서 식민지 지식인의 위치성을 드러낸다. 아울러 그는 우치야마와 나카야마의 글을 통해 혁명 후 법과 제도 등으로 구현된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현황도 파악하고자 했다. 「레닌」의 목표는 러시아혁명에 대한 역사적이고 종합적인 이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im Myung-sik(金明植, 1890~1943)'s “What kind of person is Nikolai Lenin?” (Dong-A Ilbo, 1921.6.3.~8.31, serialized 61 times in total, hereinafter “Lenin”), as the first article to introduce Lenin and Bolshevism in earnest. Of the total 20 verses of “Lenin”, 18 verses-that is, excluding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were translated from articles or books published by various authors in Japan at the time. This study first confirms the original Japanese articles of “Lenin”, before examin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analyzing the intention and effect of having segmented and intersected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