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어 학습자의 토르플 인식 및 학습전략 연구

        최윤희 한국슬라브어학회 2017 슬라브어연구 Vol.22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ussian learners' perceptions about TOEIC and to analyze their learning strategies,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based on their study areas and TORFL scores. For this study, one hundred twenty six Russian learners were selected, i.e. sixty eight students in the high school and fifty eight students in the university. The results identified five factors in the students' perceptions about TORFL: Practicality of TORFL, TORFL and improving Russian skills, ways to study TORFL, basic Russian proficiency for TORFL skills and ways to improve TORFL scores. The results showed that Russian proficiency for TORFL skill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ussian learners' effective strategies and cognitive strategies were very low. In order to use more effective strategies, they should try to decrease their anxiety about Russian and feel confident with Russian. To use more cognitive strategies, it's important for them to practice Russian and use Russian. They should practice new expressions and pronunciations. They should try to speak in Russian with people, watch Russian media and movies, and write simple writings as well. Learning strategies are the keys to successful language learning and learners can improve their communication abilities by using them effectively. TORFL-oriented Russian learners should find out what kind of strategies they don't use and use various learning strategies when learning Russian. 본 연구는 고등학교, 대학교의 러시아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토르플에 대한 인식과 학습전략을 조사하여 실질적으로 러시아어 실력 함양뿐 아니라 토르플 준비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진행된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토르플은 학습자들에게 대입 및 취업을 위해 사회에서 요구되고 있는 대표적인 러시아어 실력 평가 시험이다.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통해 각각의집단에서 토르플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바에 대해 크게 5가지 요인으로, 그 학습자들이 평소 러시아어실력 함양을 위해 활용하는 학습전략을 6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각 요인들에 대한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단순 비교를 위한 것이 아니라 러시아어를 전공하는 학습자들을 대표하여 고등학교와 대학교 러시아어 학습자들이 지니는 토르플에 대한 인식 및 학습 전략을 살펴보고자 실시한 내용과분석이다. 토르플에 대한 인식에서는 전반적으로 대학생들의 긍정적인 답변률이 높았던 반면, 학습전략에대한 문항들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응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르플에 대한 결과는 졸업 후 토르플인증서에 대한 필요성과 실용성이 대학생들에게 더 많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며, 학습전략의 결과는 외국어 고등학생들의 높은 학업 성취도에서 보여주는 전반적인 학습유형이 반영된 것으로 여겨진다. 토르플이 국내 대표적인 러시아어 검증 시험으로 자리매김을 해감으로써 토르플과 관련하여 보다 질적인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들도 병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토르플에 응시하는 러시아어 학습자들의 관점에서 토르플에 대한 논의와 토르플과 관련된 수업을 진행하는 교수자 혹은 토르플 수업에참여하고 있는 학습자의 입장에서 효율적인 토르플 학습 환경을 개발하고 긍정적인 결과를 성취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러시아어 학습자들의 관점에서 학습자들의 토르플에 대한 인식과 필요, 학습유형을 살펴 좀 더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점에서는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하지만 표집 된 연구 대상이 제한적인 점에서 연구의 한계점을 지닌다. 즉, 고등학교와 대학교 모두 일정 지역 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것으로 연구결과를 전국 러시아어학습자에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보다 대표성 있는 표본을 대상으로 향후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연구의 외적 타당도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습자들의 학습전략 검사는 토르플 교수-학습시 필요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학습자들의 학습 유형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한 것으로 러시아어 학습에 대한 보다 질적인 학습전략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각 문항 및 전략들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 및 다른 외국어 학습자들과의 비교 분석 등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더 좋을 것으로 본다. 향후 러시아어 학습자들의 토르플에 대한 인식을 좀 더 체계적으로 조사 분석할 필요가 있다. 학습자들의 인식에 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토르플에 대한 인식은 어떤 구인들로 이루어져 있고, 토르플에 대한 인식 차이, 토르플 성적과 러시아어 학습의 동기부여와 연관성이 있는지 등을 함께 조사한다면, 러시아어 학습자들의 토르플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는데 더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지역별, 학년별로 더 ...

      • KCI등재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문장 부호 비교 연구

        한현희(Hyun Hee Ha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7 노어노문학 Vol.29 No.3

        본 연구는 러시아어와 한국어 문장 부호의 올바른 이해와 사용 유도를 목적에 두고 「러시아어 맞춤법 및 구두법 편람」, 「러시아어 맞춤법 및 구두법 규정」, 「한국어 문장 부호 해설」을 기초 자료로 삼아 쌍점과 줄표를 중심으로 그 기능과 용법을 체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러시아어 쌍점과 줄표는 각각 10개, 15개의 기능을, 한국어의 쌍점과 줄표는 각각 5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쌍점의 경우 예시 열거, 표제 설명, 직접 담화 표지, 기타 기능이 공통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러시아어 쌍점의 보충 및 부연 설명 기능은 한국어의 쉼표가, 러시아어의 부제 표지 기능은 한국어의 줄표가 수행한다. 열거나 구체적 내용 설명 예고 기능, 직접 인용 표지 기능과 내용, 원인, 이유, 근거 설명 기능은 러시아어 쌍점의 고유 기능으로 확인되었다. 줄표의 경우 의미 관계 구체화와 문체적 기능이 공통적으로, 러시아어의 대립접속사 대체 기능이 한국어의 정정 및 변경 기능과 일부 유사, 러시아어의 설명, 정밀화, 반복 성분의 강조 기능이 한국어의 보충 및 부연 설명 기능과 일부 겹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러시아어 줄표의 반복어(구) 대체, 요약, 병렬 구조 및 도치 구문 강조 기능은 한국어에서 쉼표가, 러시아어의 연결 기능은 한국어의 물결표가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사와 술어 기능 외 내용 전환, 돌발 상황 표지 및 논리적 의미, 대조적 뉘앙스, 동종술어 강조 기능은 러시아어 줄표의 고유 기능으로 확인되었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Russian and Korean punctuation by comparing punctuation marks - colon and dash. As a result, Russian colon and dash have more functions than Korean colon and dash. Russian and Korean colons all have functions as example enumeration, title explanation, indication of direct speech and etc. But Korean comma serves as supplementary explanation, and dash as subtitle indication function of Russian colon. The functions of a warning of explanation or example enumerations and indication of direct quotation and direct question have only Russian colon. Russian and Korean dash all have functions as concretization of semantic relations and Stylistic function. The substitution function of opposing alliances of russian dash is similar to the correcting and changing function of Korean dash, and the emphasis function of explanatory, clarifying, repeating constituent of sentence of Russian dash similar to the supplementary explanation function of Korean dash. But Korean comma serves as emphasis on repeating phrases, summaries, parallel structures, and constructions of inversion of Russian dash. Korean swung dash plays role of Russian connecting dash. The function of copula and predicate, emphasis function of contrasting shade of meaning and homogeneous predicates have only Russian dash.

      • KCI등재

        러시아어에서 의미적 태의 전환: 생격의 분리를 중심으로

        남혜현 한국슬라브어학회 2009 슬라브어연구 Vol.14 No.2

        러시아어 생격분리에서 나타나는 언어일반적인 특성과 언어개별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러시아어에서 생격의 분리는 소유주외치와 소유물외치라는 다양한 유형의 격교체 현상을 동반한다. 일반적으로 생격의 분리는 소유주외치와 연관되는데, 특히 외치된 소유주가 여격을 취하며 소유물이 대격을 취하는 경우가 가장 전형적이다. 여격을 제외한 소유주외치구문과 소유물외치구문은 격체계가 발달된 러시아어의 특징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다른 언어처럼 러시아어도 BP(신체부위)와 기타비분리성 소유관계로 간주할 수 있는 CL(몸에 착용된 옷), FM(형태), GR(그룹)이 생격의 분리를 가장 쉽게 유발하는 소유관계이다. 물론 생격분리가 일어나는 소유관계의 범위는 형태-통사적인 유형별로 각기 구별된다. 이밖에 러시아어에서는 PLC(대상이 존재하는 장소)가 다른 언어보다 특히 자주 생격 분리를 유발하는데, 이것은 소유주외치만을 허용한다. 셋째, 러시아어도 다른 언어처럼 물리적 작용의 타동사가 생격의 분리를 쉽게 용인하며, 이들 술어는 소유물외치를 더 선호한다. 그러나 다른 언어와 달리, 러시아어에서는 상태 술어도 생격의 분리를 빈도수 높게 허용하는데, 이 경우 술어는 소유주외치만을 허용하며, 외치된 소유주는 у 생격을 취한다. 넷째, 러시아어도 다른 언어들처럼 전치사구, 즉 장소어(LOC)가 생격의 분리를 가장 쉽게 용인하며, 직접보어와 자동사의 주어도 생격의 분리를 허가한다. 그러나 다른 언어와 달리 러시아어에서는 무생물 타동사의 주어가 생격의 분리를 허가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 소유물외치와 연관된다. 즉 러시아어가 다른 언어와 달리 타동사의 주어가 생격분리를 허용할 수 있는 것은 이들 언어에는 없는 소유물외치라는 유형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다섯째, 러시아어에서도 생격의 분리를 가장 쉽게 허가하는 의미역은 PL(장소)과 PA(피영향자)이다. 그런데 다른 언어와 달리, 러시아어에서는 EFF(실행자)도 생격의 분리를 쉽게 용인하는데, 이는 타동사의 무생물 행위주로서 주어의 위치에 놓이므로, 소유물외치만을 허용한다. EFF가 소유주외치를 허용하지 못하는 또 다른 이유는 그것이 무정성을 띄기 때문이다. 소유주외치는 소유주가 유정성을 띄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여섯째, 러시아어 생격 분리에는 PL(장소), LOC(장소어), PLC(대상이 존재하는 장소)의 관계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들은 모두 공간개념과 연결되며, 생격분리를 쉽게 허용한다. 이 경우 대부분 소유주외치가 일어나며, 외치된 소유주는 У생격을 취한다. 이것은 у생격이 공간의 의미를 가지며, 이 공간관계를 통해 소유관계를 표현하기 때문이다. У생격구문은 러시아어에서 매우 빈도수 높게 사용되는 구문이므로, 러시아어 생격 분리에서 통계상 PL, LOC, PLC의 관계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일곱째, 위의 표를 중심으로 소유주, 소유물 논항과 그것이 외치되어 취하는 격형태 사이의 연결규칙성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유명사구의 소유관계가 POS이고, 의미역이 PL이며, LOC의 위치에서 상태의미의 술어와 결합하는 조건에서 생격 분리가 일어나면, 소유주가 외치되어 у 생격을 취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만약 소유명사구의 소유관계가 BP이고, EFF의 의미역을 가지면서 SU자리에서 act의 술어와 결합한다면, 소유주는 주어자리에 남고, 소유물이 외치되어 조격을 취한...

      • KCI등재

        러시아어의 한글 표기 실태

        최지영(Choi, Ji Yo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14 노어노문학 Vol.26 No.4

        러시아의 경제 성장과 더불어 한국과 러시아의 교류는 사회, 정치, 경제, 문화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해지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교류가 확대됨에 따라 러시아를 소개하고 러시아어를 한국어로 표기해야 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러시아어의 한글 표기는 언론계, 출판계, 학계 등에서 시작되어 일반인들에게 노출되는데 러시아어의 한글 표기의 규정을 만들어 가야 하는 학자, 통역사나 번역자 등도 통일된 한글 표기를 하고 있지 않다. 본고에서는 러시아학 학계의 러시아어의 한글 표기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일관되고 통일된 표기를 지향하고자 러시아 관련 학술 논문집에서 나타나는 러시아어의 한글 표기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학술 논문집에서 러시아어 인명이 다양하게 표기되는 이유는 첫째, 러시아 전문가들의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무관심, 둘째, 러시아어 외래어 표기법의 보급과 확대의 미흡, 셋째 원지음주의 지향으로 볼 수 있다. 현행의 <러시아어 외래어 표기법>이 완벽하다 할 수 없으나 공식 표기법을 따르는 것이 통일성, 간결성, 체계성을 갖추어 러시아어 한글 표기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The economic growth of Russia has been consequently improving all these exchanges between South Korea and Russia in the fields of society, politics, economy, literature and others. Such positive changes in the exchanges through the various fields have also increases chances of the Korean language being written in Russian. The Korean orthography in Russian is exposed in many circles from the press circles to the publication circles, the academic circles and others, and the language is written in diverse ways without any rules or principles. In particular, even scholars, translators, interpreters and others who have a responsibility with trying to establish rules regarding how to write Korean in Russian do nothing to uniformize the orthography but write the language as they wa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Korean orthography in Russian performed by the Russian academic world and to pursue universal orthography, this study looks into how Korean words are being currently written in Russian in the academic world and discusses ideas to uniformize the Korean orthography in Russian. In the academic journal, names are presented in Russian in every different way, and the reasons are considered first, that Russian experts are indifferent about a foreign orthography, second, that Russia lacks both the distribution and education of the foreign orthography, and third, that they seek this principle based on original sounds only. The study does not argue that the present foreign orthography in Russia is desirable as it is but still, following the official orthography will be a way to maintain consistency of orthography with unity, simplicity and systemicity preserved.

      • KCI등재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어의 사용 현황과 지위에 관한 연구

        정영주(Jung, Young Joo) 한국노어노문학회 2014 노어노문학 Vol.26 No.2

        본고에서는 현재 우크라이나에서 벌어지고 있는 갈등의 핵심적인 원인 중 하나를 러시아어의 지위 문제로 파악하고,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어의 사용 실태를 분석하고, 언어법의 입법 배경과 주요 내용, 그 입법과 폐지를 둘러싼 갈등의 원인과 양상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 갈등이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되어 갈 것인지 진단한다. 우크라이나는 우크라이나어를 헌법상의 유일한 국어로 인정하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분야에서 러시아어가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는 이중언어 국가이다.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어 구사자가 전체 인구의 적게는 1/3, 많게는 절반에 이르고 있으나, 2012년 8월에 법률 「국어정책 토대에 관한 법」(이하 ‘언어법")이 통과되기 전까지 러시아어의 지위는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언어법은 각급 지자체 주민 인구의 10%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를 지역어로 선정하여 공공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법이다. 이 지역어 중 핵심적인 것이 러시아어이고, 이 법을 통하여 지역어가 해당 지역에서 국어인 우크라이나어의 영역을 침범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이 법의 입안, 통과, 시행, 폐지, 폐지 무효화를 둘러싸고 우크라이나는 극심한 갈등을 겪었다. 러시아어의 지위를 둘러싼 갈등은 현재에도 진행형이며 시시각각 양상을 달리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헌법상의 유일한 국어로서의 우크라이나어의 지위를 지키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동부의 러시아어 구사자들은 법률상의 지위의 불안정함을 깨닫고 헌법에 러시아어의 지위를 명기하고자 한다. 이전처럼 지역어의 지위에 만족하지 못하고 우크라이나어에 이은 제2의 국어로 러시아어를 인정해줄 것을 요구하는 세력도 적지 않다. 현 시점에서 우크라이나 정부는 러시아어를 헌법에서 지역어로 규정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으나, 이것이 러시아어 구사자들을 만족시키고 동부의 연방제 전환이나 분리 요구를 잠재울 수 있을지는 앞으로 지켜보아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status of Russian language as an important cause of conflict in Ukraine, analyzes the use of Russian language in Ukraine, and studies the legislative background of the language law, major details of the law, and cause and aspect of conflict surrounding legislation and abolition. Also, this paper diagnoses the direction in which this conflict will be unfolded in the future. Ukraine acknowledges Ukrainian language as the only state language in the constitution, but it is a bilingual nation in which Russian language is widely used in different fields. While at least 1/3 and at most half of total population in Ukraina is speaking Russian language, the status of Russian language was not legally acknowledged until the passing of the law 「On the principles of the state language policy」 (hereinafter referred to as ‘language law") in August 2012. Language law is a law that designates languages used by over 10% of residents in each local government as regional languages to be used at public institutions. Russian language is the core of regional languages, and regional languages can invade the territory of Ukrainian language, the state language, in the corresponding region. Ukraina suffered an extreme conflict in regards to drafting, passing, enforcement, abolition and invalidation of abolition of this law. The conflict about the status of Russian language is present progressive and shows constantly changing aspects. The Ukrainian government wishes to protect the status of Ukrainian language as the state language in the constitution. However, people in the east who speak Russian language recognize insecurity of legal status and are trying to specify the status of Russian language in the constitution. There is a large group of people demanding that Russian language should be acknowledged as the second state language next to Ukrainian language without being satisfied with the status of regional language. At this point, Ukrainian government is considering the measure of regulating Russian language as a regional language in the constitution, but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this measure can satisfy Russian language users and calm demands in the east for conversion to the federal system or separation.

      • KCI등재

        러시아 언어-문화 공간에서 언어 변화와 소통

        임수영(Lim Soo Yo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2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20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 이십여 년 동안 러시아 언어-문화 공간에서 일어나고 있는 언어 변화는 러시아의 급격한 변화, 즉 민주주의 정치제도의 도입과 자본주의 경제의 실현, 탈 이데올로기화, 반 전체주의(антитоталитаризм) 경향, 다양한 사회문화적 제약의 완화와 개방 등이 원인이 된 것이다. 이 시기의 러시아어는 무엇보다도 그것이 사용되는 소통 공간의 상황 변화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직전 시기의 소비에트 러시아어와는 여러 측면에서 사뭇 대조적인 양상을 보인다. 소비에트 시기에는 언어가 전체주의 이데올로기의 영향 하에 일종의 ‘이데올로기의 소유물(идеологическая собственность)’ 혹은 ‘이데올로기적 현상(идеологический феномен)’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이 시기 러시아어는 매우 의례적(ритуальный), 즉 대단히 형식적이고 무미건조하다는 것이 특징이었다. 이와 같은 성격의 전체주의 시기 러시아어 사용 환경은 당연히 러시아어를 문체적, 기능적으로 빈곤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소비에트 시기의 러시아어는 이른바 ‘деревянный’ 혹은 ‘дубовый язык’이라 불리기도 하며, 보통의 언어와는 구별되는 새로운 혹은 색다른 점을 가지는 언어라는 의미의 ‘новояз’(new speak)나 그것의 비현실적인 모습을 강조한 ‘квазиязык’이라는 용어로 규정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소비에트 러시아어는 20세기 후반 페레스트로이카를 기점으로 하여 언어 사용 및 소통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된다. 즉, 언론매체나 집회 등의 소통 공간에서 공개 담화의 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발언과 표현이 이전 시기에 비해 현저하게 자유로워졌다. 이것은 곧 개인적, 사회적 소통의 상황 및 장르의 변화를 의미한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어 발달 양상에서 큰 특징은 대중매체가 언어 변화에 전례 없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중 매체 언어는 현실 변화에 따른 다양한 언어적 소통 상황의 변화를 분명하고 신속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이것은 또다시 일반 대중의 언어 사용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어 어휘 변화 양상을 본 논문에서는 크게 다음의 네 가지 항목, 즉 어휘의 의미적 변화, 어휘의 문체적 변화, 속어ㆍ은어 사용 활성화, 외래어 사용 활성화로 나누어 관찰하고 있다. 어휘의 의미적 변화는 구체적으로 의미 탈락 현상, 의미의 탈 이데올로기화, 탈정치화, 정치화 등의 경향으로 나타난다. 어휘의 문체적 변화는 무엇보다도 중립화(нейтрализация) 경향으로 나타난다. 즉, 상문어체(высокий книжный стиль)의 단어들이 문체적으로 중립적 혹은 하급의(сниженный) 콘텍스트에 자주 사용되면서 중립적 문체의 성격을 새로 가지게 되거나, 반대로 비속어와 같은 하급 문체의 단어들이 중립적 콘텍스트에 자주 등장하면서 원래의 문체적 성격에서 벗어나고 있다. 완곡어법은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어에서 정치적혹은 사회적으로 부정적 연상을 불러일으키는 어휘를 애매하게 혹은 우회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대상의 본질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어에서는 속어와 은어의 사용이 활성화되고 있다. 러시아어에서 속어, 은어 등의 비표준적 어휘는 언론매체를 통해 일반화 과정을 보다 신속하게 거치고 있다. 외래어 사용의 활성화는 급격한 현실의 변화로 새롭게 등장한 여러 대상이나 현상에 대한 명명과 보다 정확한 의미 전달의 필요성에서 비롯된다. 신조어 사용의 활성화 역시 러시아 현실 변화에 따른 명명의 필요성 때문이며, 다양한 영역에서의 신조어는 러시아 사회문화적 현실을 보다 분명하게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러시아어와 폴란드어의 수동구문 비교

        정정원 한국슬라브어학회 2010 슬라브어연구 Vol.15 No.2

        이와 같이 지리적, 언어학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폴란드어와 러시아어는 수동구문에서 여러 가지 차이를 드러낸다. 첫째, 러시아어의 수동태는 수동 형동사 구문과 재귀구문을 통해서 실현되지만, 폴란드어 수동태문은 수동 형동사 구문을 통해서만 실현된다. 이때 폴란드어 수동태문의 행위주는 전치사와 결합된 ‘przez + 대격’의 형태를 취하며, 러시아어 수동태문의 행위주는 조격 형태를 취하여 도구역과 형태적으로 일치된다. 한편 폴란드어 수동태문에서는 조동사와의 결합을 통해 반드시 인칭, 시제를 표시해야 한다. 둘째, 폴란드어에서는 자동사에서 파생된 수동태문이 자주 발견되는데 반해, 러시아어에서는 자동사에서 파생된 수동태문이 지극히 예외적인 경우로 간주된다. 자동사에서 파생된 수동태문이 다른 슬라브어에서도 자주 발견되는 현상임을 고려하면 이것은 슬라브어족 내에서 러시아어 수동태문이 갖는 독특한 특징이다. 셋째, 재귀동사 구문과 형동사 구문에서의 상적 분배가 비교적 뚜렷하게 드러나는 러시아어와 달리 폴란드어 수동구문은 동사의 상에 따라 분화되지 않는다. 폴란드어뿐 아니라 체코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를 비롯한 여러 슬라브어에서 불완료상 동사가 수동 형동 구문에서 사용되는 것을 보면 완료상 동사만 수동 형동 구문에 사용되는 것은 러시아어 수동구문의 변별적 특징으로 보아야 한다. 넷째, 러시아어에서는 수동태의 행위 의미와 상태 의미 구분이 주로 문맥을 통해서 가능한데 반해, 폴란드어 수동태문에서는 조동사를 통해 행위 의미 또는 상태 의미 발현 여부가 결정된다. 이 때 폴란드어 조동사 zostać는 완료상 파생 형동사와 결합하여 행위 의미만을 지시하고, 조동사 być 는 완료상 파생 형동사와 결합 시에는 상태 의미를, 불완료상 파생 형동사와 결합 시에는 행위 의미를 지시한다. 다섯째, 러시아어 재귀구문이 불완료상 동사의 수동태로 사용되는 데 반해, 폴란드어 재귀구문은 수동태로 사용되지 않으며, 대신 피의체역이 주어가 되는 반사역구문이 된다. 이에 폴란드어에서 재귀구문은 수동태의 하위 유형이 아니라 수동태와 동등한 지위를 지니는 재귀태로 불린다. 다른 슬라브어와 비교했을 때 재귀구문이 수동태로 사용되지 않은 것은 폴란드어에서 발견되는 특수한 현상이다. 여섯째, 피의자역이 항상 주격을 갖는 현대 표준 러시아어의 수동구문과 달리 폴란드어 수동 구문에서는 피의자역이 주격이 되지 않고, 능동구문에서처럼 사격의 형태를 띠는 경우가 발견된다. 이러한 폴란드어 무주어 재귀 구문과 –no/to 구문에서는 술어가 어떠한 논항과도 문법적으로 일치되지 않는 3인칭 혹은 무인칭 주어를 가지게 되며, 이것은 불특정 다수의 행위주의 존재를 암시하는데, 이는 동일한 의미를 지시하는 러시아어 부정인칭문의 술어가 3인칭 복수형으로 일치되는 것과 유사하다. 이와 같이 동일하게 슬라브어에 뿌리를 둔 폴란드어와 러시아어의 수동태형은 술어의 형태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는 많은 유사점을 공유하지만, 논항과 조동사의 결합, 상의 분배, 술어의 타동성, 행위 및 상태 의미의 발현, 재귀구문 및 무인칭 구문과의 관계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상이점을 드러낸다. The Russian and Polish passive constructions have many different characteristics, although two languages are very close linguistically as well as geographically. First, Russian passive voice is based on both the passive past participle and the reflexive passive, whereas Polish passive voice is exclusively related to the past passive participle. The Polish passive construction has ‘przez + acc’ as an Agent marker and the Russian passive construction has an Agent marker of the instrumental case that also serves as a marker of a different semantic role as Instrument. In addition, the Polish passive sentence must have an auxiliary verb być or zostać indicating grammatical categories such as Person and Tense. Second, the passive constructions with the predicates derived from intransitive verbs are often found in Polish as well as in many other Slavic languages. Such constructions are exceptional in the Russian language. Third, the imperfective past passive participles are used in Polish, whereas they are not allowed in Russian, where the reflexive serves as an imperfective counterpart to the perfective passive of past participle. The imperfective verbs in the passive past participle are also found in the other Slavic languages, such as Serbo-Croatian and Czech. Fourth, the distinction between actional and state readings in the passive construction is made by means of the auxiliary verbs in Polish. Namely, the auxiliary verb zostać leads to an actional reading, while być can get either actional or state readings depending on the aspect of the main predicate. However, the actional or state reading of the Russian passive predicates can be done just by the contexts or the use of temporal or spatial adjuncts. Fifth, the reflexive can be used in the Russian passive sentences, but the Polish reflexive passive is not possible. Instead the Polish reflexive has an anticausative reading. The reflexive is a subcategory of passive voice in Russian, but it is considered as one of voices in Polish. Sixth, the Patient can have the accusative case in Polish impersonal reflexives and –no/to constructions. In the Russian language –no/to constructions are found just in the Northern dialects and the impersonal reflexives are not found.

      • KCI등재

        한국어 복합명사의 러시아어 번역

        최문정(Choi Moon-jeo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10 노어노문학 Vol.22 No.3

        본 논문은 한국어 복합명사를 러시아어로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에 관한 연구이다. 명사가 두 개 결합된 복합명사로 된 시사용어 약 800개를 분석하였다. 먼저 한국어 복합명사의 결합구조를 유형별로 정리하고 각 유형에 따른 러시아어 번역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한국어의 복합명사는 러시아어로 형용사+명사(A+N) 또는 명사+명사(N+NGen)의 명사구 구조로 번역된다. 뒤에 오는 명사가 서술성 명사이고, 앞에 오는 명사가 상태성 명사인 경우(NA+NV/NA)(유형[I]), 러시아어로는 A+N 구조로 번역된다. 앞에 오는 명사가 상태성 명사가 아니라면(NN+NV/NA 또는 NV+NV)(유형[II]) 러시아어로는 N+NGen 구조로 번역된다. 뒤에 오는 명사가 비서술성 명사이고, 앞에 오는 명사가 상태성 명사인 경우 (NA+NN)(유형[Ⅲ]), 러시아어로는 A+N 구조로 번역된다. 앞에 오는 명사가 상태성 명사가 아니라면(NN+NN 또는 NV+NN)(유형[Ⅳ]) 러시아어로는 A+N, N+NGen 구조가 모두 가능하다. 마지막의 유형[IV]는 러시아어로 두 가지 구조로 번역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번역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제시할 수 있는 한 가지 판단 방법은 한국어 복합명사의 앞에 오는 명사에 {적}과 {의}를 붙여보는 것이다. 앞의 명사에 {적}을 붙여서 연결해 보아 자연스러운 경우는 러시아어로 A+N 구조로, {의}는 붙일 수 있는데 {적}은 결합될 수 없는 경우는 N+N 구조로 번역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자료의 예를 통해 확인하였다. 중의성을 띠는 한국어 복합명사의 의미 차이와 러시아어의 대응 문제는 더 깊은 연구를 요하는 과제이다.

      • KCI등재

        Преподавание русского яэыка в Южной Корее - ВЧЕРА - СЕГОДНЯ - ЗАВТРА

        Ким Се Иль(김세일)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03 슬라브학보 Vol.18 No.2

        19세기 말 한국과 러시아가 첫 외교적 접촉을 가진 이래로 한국에서 러시아어와 관련한 교육 문제는 주로 한반도의 대내외적 정치상황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왔다. 사실 한국동란 이전 시기에 한국에서 공식적인 러시아어 교육은 없었으며, 1920년대를 중심으로 러시아문학이 일본의 영향을 받으면서 전달되어진 과정만을 볼 수 있을 뿐이다. 한국동란이 끝난 1954년에 이르러서야 한국외국어대학교에 러시아학과가 설립되었으며, 이때 러시아어문학을 연구한 자들이 한국에서 러시아어 교육의 ‘제 1세대’로 성장하게 된다. 이후 냉전시기에 세계 열강 중 하나로서 소련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1970년대와 80년대에 고려대학교, 서울대학교, 조선대학교 등에 노어학과가 서립되었으며, 1988년 서울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와 고르바쵸프의 ‘페레스트로이카’, ‘글라스노스치’등의 개방정책으로 인해 더욱 그 관심이 촉발되면서 연세대학교, 중앙대학교 등 매년 4-5개 대학교에서 노어학 관련 학과들이 개설되었다. 이와 더불어 독일, 미국, 프랑스, 러시아 등 외국에서 노어노문학을 전공하는 연구자들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노어노문학의 르네상스 시대가 1990년대 초까지 이어지게 된다. 현재 한구에는 36개 대학에 노어노문학 관련 학과들이 있고, 14개 고등학교(특목고 5개, 일반고 9개)에 제2외국어로서 러시아어가 개서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새로운 희망의 땅’으로서 증가되었던 러시아어에 대한 관심은 1990년대 중반 이후 급속히 가라않게 되었으며, 전공 학생 수가 절반 이하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대외적인 원인은 한국과 러시아의 경제적 위기 (한국의 외환위기로 인한 IMF 관리, 러시아의 모라토리움)를 들 수 있으며, 대내적으로는 국내 대학들의 구조조정의 영향과 새로운 시대에 부합하는 러시아어 교육방법론의 개발 소홀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대학 구조조정 중에서 학과제 학생선발에서 학부제로의 전환은 러시아어 교육에 가장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또한 타 외국어와 비교할 때 러시아어 교육 방법 및 교재 개발의 부실은 해당 교육자들이 해결해야 할 당면 문제이다. 현재 한국에서 외국어는 영어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어가 새로운 관심의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반면 러시아어 교육의 위기적 상황은 앞으로도 일정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남북한 종단철도와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연결로 인한 새로운 물류 유통 구조 형성 및 인공위성과 관련한 한국과 러시아의 과학 기술 협력 체결 등은 장기적으로 러시아를 한국의 새로운 파트너로 성장시킬 원인이 될 것이다. 한편, 한국에서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 겪고 있는 러시아어 교육의 위기적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 특히 러시아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 국가의 무화 전파는 언어로부터 출발된다는 점에서 러시아 정부의 ‘해외 러시아어 교육 정책 활성화’는 문제 해결의 첫번째 단추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러시아어 부치사(adposition)에 대한 유형론적 고찰

        허성태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0 동유럽발칸연구 Vol.25 No.1

        A adposition is a part of speech which expresses the relationship of one word to another. This paper tries to survey the various aspects of Russian adposition and to trace how the Russian adposition. system follows the universal typology. It is well observed that each language has a unique adposition system. However, we are able to find out some meaningful generalizations on the basis of the typological approach in Russian. The case of human language can be indicated by word orders, inflectional endings, and adpositions. The priority of selecting the core case by these three types is 'word order > inflectional ending > adposition. A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Russian adpositions a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 V-adposition and N-adposition. Adpositions can be classified roughly into three types : preposition, postposition, and circumposition. A preposition occupies most of Russian adpositions. In the view of grammaticalization, the Russian adposition has developed step by step from a noun, verb, and adverb. In Russian, nominative, accusative, dative, genitive, instrumental can be represented by inflectional ending, Other cases - by adpositions. Each Russian adposition governs a noun or pronoun in an oblique case. Russian adpositions may be subdivided as primary, adverbial and compound which derived from other word class. A some adpositions govern two or even three cases. 부치사(adpositions)의 주요기능은 격표시이다. 언어보편적인 성격을 띠는 격은 언어에 따라 성조, 곡용어미, 접사, 단어, 어순 등에 의해 명사의 문법적 기능을 표현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명사로 하여금 문장 내에서 다양한 문법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문법 표지 가운데 형태적 층위의 수단(곡용어미, 접사, 단어)을 부치사라고 정의한다. 러시아어의 경우 전치사가 이에 해당한다. 러시아어 전치사는 자신이 요구하는 격어미를 취한 명사와 결합하여 하나의 구를 형성함으로써 시간, 장소, 원인, 목적, 조건, 양보, 공동, 양태 등의 부사적 기능을 수행한다. 전치사로 대별되는 러시아어 부치사는 피지배성분과의 상대적 위치, 격지배 관계, 구성성분(형태), 조어적 관점, 자신이 지배하는 격의 수, 기능, 의미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전치사와 후치사 중 어느 것을 문법표지로 이용할 것인지의 여부는 기본적으로 해당 언어의 어순에 의해 결정된다. 언어는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인 핵어(head)와 의존어(dependent) 사이의 어순을 일관되게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 때문에 핵어인 서술어와 의존어인 목적어의 어순이 OV인 경우, 즉 의존어가 핵어의 앞에 오는 경우에는 후치사가 선호되고, 반대로 VO처럼 의존어가 핵어의 뒤에 오는 어순에서는 전치사가 선호된다. 왜냐하면 부치사와 명사 사이의 문법적 관계도 일종의 핵어와 의존어 사이의 관계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러시아어는 VO 어순의 전형적인 전치사 구조의 언어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어에는 언어 유형론의 관점에서 보면 후치사, 환치사, 전/후치 겸용 부치사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 어류들이 다소 존재한다. 한편, 인구어 공통조어 시대에 주격, 목적격, 소유격, 여격, 탈격, 처격, 호격이 곡용에 의해 표현되었는데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다른 격으로 융합되거나 전치사로 대체되는 변화를 겪는다. 현대 러시아어에서는 주격, 대격, 생격, 여격, 조격은 아직도 명사 자체의 곡용에 의해 표현하는 반면에 기타의 격은 부치사 즉, 전치사로 대체되었다. 그리고 러시아어 부치사는 기능에 따라 동사를 직접 꾸미는 동사 부치사(V-adposition)와 명사적인 성격이 강하게 남아 있으면서 본래의 부치사와 결합하여 또 하나의 부치사를 형성하는 명사 부치사(N-adposition)로 구분할 수 있다. 실사가 허사화하면서 문법소로 변화해 가는 과정을 문법화라고 하는데 이 과정에서 범주적 변화, 의미적 변화, 형태적 변화 등이 일어난다. 러시아어의 부치사에서도 이러한 문법화 과정이 관찰된다. 언어변화 및 문법화의 경향으로 볼 때 근원적 부치사들도 다른 실사에서 발전했을 가능성이 많다. 부치사는 원래 명사, 동사, 부사 등에서 발달한 것으로서 부치사로 바뀐 뒤, 이 부치사가 다시 격을 나타내는 접사나 동사의 접사로 바뀌고, 나중에는 절을 연결하는 연결사로 바뀌기도 하는데 러시아어의 경우 부치사들이 동사나 명사 등에 접두사로 결합하여 매우 생산적으로 새로운 파생어를 형성한다. 영어의 경우 부치사는 종속접속사로 쓰이기도 한다. 러시아어의 경우에는 부치사가 지시사와 같은 매개체 없이 단독으로는 직접 종속접속사로 쓰이지 못하고, 주로 지시사 то (to) ‘it’와 보문소 что (čto) ‘that’를 동반하여 종속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러시아어 부치사는 명사의 기능 외에도 동사의 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