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띄어쓰기 오류 양상과 띄어쓰기 문제에 대한 고찰

        임은정 한국국어교육학회 2022 새국어교육 Vol.- No.13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재 분석과 학습자들의 띄어쓰기 오류 분석을 통해 한국어 띄어쓰기 규정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방법: 한국어 교재에서 띄어쓰기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3종의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중급 학습자 19명의 작문 자료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띄어쓰기 오류를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결과: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서 띄어쓰기를 일부 다루고 있으나, 띄어쓰기 규정에 대한 세밀한 내용은 담지 못했다. 학습자들의 작문 과제에서 나타난 띄어쓰기 오류는 띄어 써야 하는 것을 붙여 쓴 오류가 많았으며, 의존 명사를 앞말에 붙여 쓰는 오류, 합성어와 ‘명사+명사’ 구성, 또는 합성어와 보조 용언 구성을 구분하지 못해 단어들을 붙여 쓰거나 띄어 쓰는 오류가 높은 빈도를 보였다. 결론: 한국어 학습자들의 띄어쓰기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초급부터 학습자들이 띄어쓰기에 집중할 수 있도록 교수해야 하며, 복잡한 현행 띄어쓰기 규정을 간소화하면서도 언중이 유연하게 띄어쓰기를 할 수 있도록 복잡한 조건 없는 띄어쓰기 규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보다 쉬운 띄어쓰기 규정의 정립을 위하여

        박정규(Park Jeong-Gyu) 우리말학회 2021 우리말연구 Vol.67 No.-

        국어 사용자들이 반드시 따라야 할 규정 중에는 <한글 맞춤법>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는 띄어쓰기 규정이 있긴 하지만, 사실상 현재의 띄어쓰기 규정을 일반적인 국어 사용자들이 제대로 이해하고 실제 글을 쓸 때 적용하기란 여간해서는 힘든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현행 띄어쓰기 규정에는 규정의 취지마저 파악하기가 힘들 정도로 각종 문제들이 산재해 있기 때문으로서, 현행 띄어쓰기 규정에 나타난 문제점은 대략 다음과 같이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전체적으로 조항마다 설명이 불충분하여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으며, 일부 조항에서는 설명이 중복되어 국어 사용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하고 있을 뿐 아니라, 47항과 48항의 경우는 다른 조항과는 판이한 방식으로 기술되어 있어 일관성을 상실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단어’별 띄어쓰기라는 기준 외에 ‘단음절’이나 ‘전문 용어’같은 또 다른 기준이 개입되어 문제를 가중시키고 있는 이외에도, 단어별 띄어쓰기에 치중하다 보니 구를 이루는 경우에 대한 설명 또한 부족한 실정이고 국어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외래어의 처리에 대한 조항도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국어 사용자들이 띄어쓰기를 하는 데 있어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기 위해서라도 현재의 띄어쓰기 규정은 최대한도의 개선이 불가피한 것으로 여겨지므로, 이 글에서는 국어 사용자들로 하여금 원만하게 띄어쓰기를 할 수 있게 하는 나름대로의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그러나 현재와 같이 띄어쓰기 조항들이 <한글 맞춤법>의 일부로 존재하는 한 띄어쓰기 규정은 양적인 면에서나 내용적인 면에서나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므로, 띄어쓰기 규정이 더 이상 <한글 맞춤법>의 일부가 아니라 독립된 규정으로 분리되기를 기대해 본다. It is considered extremely difficult for general Korean speakers to properly understand the spacing provisions of Chapter 5 of the Korean Spelling Act, which is currently applied to spacing in Korean. This is because various problems are scattered in the current spacing regulations. There are about six problems that have appeared in the current spacing regulations. First of all, the explanation for each clause is insufficient, which is not actually helpful. In addition, in some provisions, explanations are duplicated, causing confusion to Korean language user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aragraphs 47 and 48, it is described in a different way from other provisions, so it is losing consistency. Fourth, in addition to the criteria of spacing by word, other criteria such as ‘single syllables’ and ‘specialized terms’ are involved, adding to the problem. Fifth, as the focus is on spacing by word, the explanation of the case of forming a phrase is also insufficient. Finally, there is no provision for foreign languages that form part of the Korean language. Therefore, in this paper, we sought a methodology that allows Korean language users to smoothly spacing. Hopefully, spacing regulations will be separated into independent regulations.

      • KCI등재

        대학생 글쓰기의 띄어쓰기 오류 유형과 지도 방안

        박대아 우리어문학회 2010 우리어문연구 Vol.38 No.-

        The formal part as well as the process is important for the writing. But the college students make many formal errors in writ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attern out the frequent word spacing error, to come up with effective plans for guidance on the word spacing. The error pattern of word spacing i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rror pattern of non-spacing instead of word spacing and the error pattern of spacing instead of non-spacing. The former occurs more frequently than the latter. This is the reflection of the tendency to seek the non-spacing than the spacing as far as possible. The most frequent non-spacing error is the non-spacing 'noun+noun' pattern. In the second place, there is non-spacing 'preceding component +bound noun' pattern, and 'modifying component+noun' pattern. Meanwhile, spacing error pattern occurs in the spacing postposition and affix from preceding independent component. And Some students separate one word into two words. This paper also places emphasis on the consistency of word spacing in the same work, and points out inner and outer cause of word spacing error. The students must be taught the orthography including word spacing in the writing class. The teachers have to deliver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word spacing, to emphasize consistency of word spacing, to construct the guidance details according to the error pattern, and to guide students through the word spacing on ways of using the effective contents. 글쓰기에서는 과정뿐 아니라 띄어쓰기와 같은 형식적인 부분도 중요하다. 그러나 대학생들은 실제 글쓰기에서 많은 형식적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 연구는 빈번히 발생하는 띄어쓰기 오류를 유형화하고 적절한 띄어쓰기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대학생들의 띄어쓰기 오류 유형은 크게 ‘띄어 써야 할 것을 붙여 쓴 유형’과 ‘붙여 써야 할 것을 띄어 쓴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붙여 쓴 오류가 띄어 쓴 오류보다 월등히 많았는데, 이는 띄어서 쓰기보다는 가능한 한 붙여 쓰는 학생들의 띄어쓰기 경향을 반영한다. 학생들이 가장 빈번하게 범하는 띄어쓰기 오류는 띄어 써야 할 ‘명사+명사’ 결합을 붙여 쓰는 유형이다. 그 다음으로 의존명사를 앞 성분과 띄어 쓰지 않는 유형이며, 명사를 수식하는 성분과 수식을 받는 명사를 붙여 쓰는 오류도 많았다. 띄어 쓴 오류로는 종속적 성격을 지닌 조사와 접사를 독립적 성분으로부터 띄어 쓴 경우가 자주 발견되었으며, 한 단어를 두 단어로 잘못 분석하여 띄어 쓴 경우도 있었다. 또한 띄어쓰기의 일관성에 대한 문제도 지적되었다. 이 문제는 규정에서 인정한 예외들 때문에 발생하는데, 띄어쓰기 예외 규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한 가지 조건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한 편의 글에서는 일관된 원칙을 적용해야 하는 것이다. 학생들이 띄어쓰기 오류를 범하는 원인은 내부적 원인과 외부적 원인으로 규정할 수 있다. 내부적 원인은 띄어쓰기와 관련된 문법 지식의 부족을 가리키며, 외부적 원인은 띄어쓰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말한다. 띄어쓰기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학의 글쓰기 수업에서 띄어쓰기를 포함한 어문규정을 반드시 지도해야 하는데, 이때에는 띄어쓰기의 ‘기본 원칙’을 충실히 전달해야 하며 띄어쓰기의 일관성을 강조해야 한다. 또한 오류 유형에 따라 지도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콘텐츠를 활용하여 띄어쓰기를 지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KCI등재

        온라인 가나다 상담에 나타난 띄어쓰기 질문 유형 고찰

        서은아 영주어문학회 2024 영주어문 Vol.57 No.-

        이 연구는 국립국어원 온라인 가나다 상담에 나타난 띄어쓰기 질문 유형을 품사별로 분류하고 질문의 빈도별 특징을 살펴보는 한편 질문 유형과 띄어쓰기 조항의 상관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23년 1월부터 3월까지 국립국어원 온라인 가나다 상담 건수를 전수한 4,793건을 1차 조사 대상으로 삼고 이 가운데 띄어쓰기 질문 858건을 2차 조사 대상으로 삼아 띄어쓰기 질문 유형을 분석하였다. 온라인 가나다 상담 가운데 어문 규범이 차지하는 질문은 1,758건으로 전체 상담 건수 중 36.7%에 해당한다. 어문 규범 중에 띄어쓰기 질문은 48.8%로 높은 빈도를 차지한다. 이러한 결과는 어문 규범 중 띄어쓰기를 가장 어려워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가나다 상담 사례에 나타난 띄어쓰기 질문을 유형별로 분석함으로써 어떤 유형을 어려워하는지 어떤 근거로 띄어 써야 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띄어쓰기 질문 871건 온라인 가나다 상담 조사 기간을 통해 전수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하면 띄어쓰기 질문은 총 858건이지만 이는 상담자를 중심으로 하여 수집된 결과이고, 실제 한 명의 상담자가 여러 건의 질문을 올린 경우를 건수에 반영하여 총 871건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띄어쓰기 질문 건수를 871건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을 9품사로 분석한 결과, 용언 관련 질문이 48.9%(426건)로 빈도가 높았고, 다음으로 체언 관련 질문이 39.2%(341건), 수식언 관련 질문이 8.7%(76건)로 나타난다. 용언 관련 질문에서는 ‘본용언+보조용언’ 유형이 48.6%(207건)로 빈도가 높으며, 체언 관련 질문에서는 명사 유형이 75.1%(256건), 수식언 관련 질문에서는 관형사 유형이 60.5%(46건)로 각각 높게 나타난다. 띄어쓰기 질문 유형을 띄어쓰기 조항과 관련하여 살펴본 결과, 띄어쓰기 조항 중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는 한글맞춤법 총칙 제2항의 조항과 관련된 띄어쓰기 질문 유형이 62.3%(543건)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며, 다음으로 띄어쓰기 조항 중 보조용언 관련 조항인 47항과 관련된 띄어쓰기 질문 유형이 25.7%(224건)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띄어쓰기 교육 시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한 이해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첫째, 단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단어와 한 단어에 대한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관형사의 개념과 기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셋째, 접두사와 접미사의 개념과 기능을 이해해야 한다. 넷째, 의존명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다섯째, 보조용언의 개념과 기능에 대한 이해 교육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spacing questions that appear in the online Korean alphabet consultation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by part of speech,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s by frequency, and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question types and spacing clauses. From January to March 2023, 4,793 cases of online Korean alphabet consultations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were taken as the primary survey, and among them, 871 spacing questions were used as the secondary survey to analyze the types of spacing ques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871 spacing questions by part of speech, verb-related questions were the most frequent at 48.9% (426 cases) of the total, followed by noun-related questions at 39.2% (341 cases) and modifier-related questions at 8.7% (76 cases). ) appeared. In questions related to verbs, the ‘main verb + auxiliary verb’ type was the most frequent at 48.6% (207 cases). In questions related to verbs, the noun type was most frequent at 75.1% (256 cases), and in questions related to modifiers, the adjective type is 60.5% (46 cases). Each appears hig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ypes of spacing questions in relation to spacing provisions, among the spacing provisions, the type of spacing questions related to Article 2 of the General Rules of the Korean Orthography, which states that ‘each word in a sentence shall be written with a space in principle’ accounted for the most, accounting for 62.3% (543 cases). It appears with a high frequency, and the next type of spacing question related to Article 47, which is an auxiliary verb-related clause among spacing clauses, appears at 25.7% (224 cases).

      • KCI등재후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띄어쓰기 오류 양상 및 교육방안

        Wang Xiao lo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 No.9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글쓰기에서 어려워하는 점으로 띄어쓰기를 들 수 있다. 단어 사이를 띄어 써야 할지 말아야 할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방에들어가신다’라는 문장은 띄어쓰기에 따라 ‘아버지가 방에 들어가신다.’와 ‘아버지 가방에 들어가신다.’라는 두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처럼 띄어쓰기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독자는 문장의 의미를 잘못 해석하게 된다. 그러므로 한국어에서 띄어쓰기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1장에서 논문을 쓸 목적을 밝히고, 2장은 선행연구, 3장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띄어쓰기 테스트 오류 양상을 살펴보고, 4장은 조사의 띄어쓰기, 명사의 띄어쓰기(의존명사, 단위명사, 전문 용어), 관형어 띄어쓰기, 부사 띄어쓰기의 교육 방안 등을 필자가 배운 지식을 이용하고 탐색할 것이다.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regard it a very difficult part to master division writing in learning Korean because it is not as simple as imagined to distinguish when to divide and when to combine. For example, in the article of ‘아버지가방에들어가신다’, ‘아버지가 방에 들어가신다.’and ‘아버지 가방에 들어가신다’ may be interpreted into two completely different senses. As exemplified above, the examples adapt the technique of division rather than combination, and they can not convey the expected senses. It can be seen that the combination technique is very important in Korean writing system. The first section of this article introduce the writing objectives. The second section is the literature review. The third section analyzes the errors of combination in the writings of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e fourth section analyzes the teaching methods of the combination writings for auxiliary words, articles, adjectives and adverbs.

      • KCI등재

        북한의 띄어쓰기에 대한 고찰 - 어문 규범과 국어‧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송미영 어문연구학회 2019 어문연구 Vol.10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word spacing in the Linguistic norms and Korean and grammar textbooks.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after liberation, and 74 years passed.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language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s the word spacing. The principle of spacing in North Korea is to use words in space. However, words should be written between words, with the exception of spacing. The purpose of the North Korean spacing was to improve reading efficiency. In 1948 and 1954, spacing provisions were added. However, this rul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ad by spacing all the words in a sentence. In other words, if people are spacing word-by-word, they should read frequently. Therefore, not only will reading efficiency decrease, but also the reading speed will slow down. In 1966, the word spacing was included as a separate item in the Joseonmal Gyubeomjip, which continues to this day. Since then, the norm has been revised a number of times, except that incomplete nouns (including unit nouns), auxiliary predicates and noun continuum, except for spaces associated with numbers, must be added with the preceding words. Word spacing is related to the notation of a literal language and is related to the aspect of ‘Communicate and understand the exact meaning’. Such word spacing rule is a task that must be considered for exchange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이 연구는 어문 규범과 국어‧문법 교과서를 대상으로 북한 띄어쓰기의 변천과 그 특징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한반도의 광복은 분단으로 이어졌고, 74년이 흐른 지금 남북한의 언어적 차이 중, 하나가 띄어쓰기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은 단어 단위의 띄어쓰기를 원칙으로 삼고 있으나, 붙여쓰기에 초점을 두고 띄어 쓰는 경우를 예외 조항으로 두었다. 북한이 띄어쓰기 규정 제정 시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은 독서 능률의 향상이었다. 1948년과 1954년에 띄어쓰기 관련 규정이 추가된 후, 문장 안에 들어 있는 단어들을 너무 많이 띄어 씀으로써 오히려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발견하게 된다. 즉 단어 단위로 띄어쓰기를 하게 되면 글을 자주 끊어 읽어야 한다. 따라서 독서 능률을 높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실제 읽기 상황에서 여러 단위로 끊겨 발음되어 속도가 늦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를 보완하여 『조선말규범집』(1966)에 ‘띄어쓰기’가 별도의 항목으로 포함되었고 이것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서 띄어쓰기는 ‘하나의 대상으로 붙여지는 덩이’를 단위로 붙여 쓰는 방향으로, 불완전 명사는 앞의 단위에 붙여 쓰는 것으로 규정된다. 즉 단어를 좀 더 붙여 씀으로써 독서 능률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후 어문 규범이 여러 차례 개정되었으나, 수 관련 띄어쓰기를 제외하고 불완전 명사(단위 명사 포함), 보조 용언, 명사 연결체 등은 모두 앞말과 붙여 쓰도록 규정하고 있다. 띄어쓰기는 문자 언어상의 표기와 관련된 것으로 ‘명확한 의미 전달과 이해’라는 측면과 관련이 있다. 이와 같은 띄어쓰기 규정은 한반도의 교류와 통일을 위해서라도 숙고해 보아야 할 과제일 것이다.

      • KCI등재

        사용자의 입력 의도를 반영한 음절 N-gram 기반 한국어 띄어쓰기 및 붙여쓰기 오류 교정 시스템

        박서연(Seoyeon Park),옥철영(Cheolyoung Ock) 한국정보과학회 2021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7 No.3

        기존의 자동 띄어쓰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띄어쓰기 정보를 활용하지 않고 띄어쓰기를 모두 제거한 문장에 대해 공백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띄어쓰기 오류를 수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띄어쓰기 오류를 교정할 경우, 사용자가 올바르게 입력한 띄어쓰기를 수정하는 문제와 사용자의 의도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의도를 반영한 음절 N-gram 기반 한국어 띄어쓰기 및 붙여쓰기 오류 교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오류가 10% 포함된 문장에 대해서 음절 단위 정확률 99.05%, 어절 단위 F1 score 95.57%라는 높은 성능을 보였다. 이는 사용자의 띄어쓰기 정보를 활용하지 않은 기존 방식보다 음절 단위 정확률 1.85%, 어절 단위 F1 score 5.84% 향상된 결과이다. 또한, 딥러닝 방식이 아닌 음절 확률 통계정보만을 사용함으로써 초당 2691.69 문장의 빠른 교정 속도를 보였다. Previous researches on automatic spacing corrected errors by inserting spaces in sentences without utilizing the user’s spacing information. The present approach involves modifying the user’s input incorrectly and a problem that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user int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llable N-gram based Korean word segmentation system that reflects the user’s intent.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oposed model and the model using previous methods demonstrated an increase in the syllable accuracy from 97.20% to 99.05% and the word F1 score from 89.73% to 95.57% in the proposed model. Also, the proposed model was able to correct 2691.69 sentences per second.

      • KCI등재

        일반논문 : 정지용 시의 띄어쓰기와 리듬의 상관성 연구 -1920년대시를 중심으로

        권유성 ( Yu Seung Kwon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0 No.-

        이 글은 1920년대 정지용 시가 보여주는 독특한 띄어쓰기를 시적 리듬과 연관 지어 살펴보았다. 1920년대 정지용 시는 당대적 맥락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띄어쓰기 형태를 보여주고 있었다. 어미나 조사와 같은 허사를 띄어 쓰고 있었던 정지용 시의 띄어쓰기는 음수율을 기반으로 한 당대 정형적 시가의 띄어쓰기나 일정한 관습이 확립되어 있지 않았던 자유시의 띄어쓰기와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시에서 허사를 실사와 동일한 공간을 차지하도록 배치한 정지용의 띄어쓰기는 시의 리듬에 대한 고려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었다. 1920년대 동요와 민요풍의 시들, 즉 ‘요(謠)’에서 정지용은 당대의 음수율을 일정 부분 따르고 있었지만 그것을 변형해 그 나름의 독특한 리듬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그것이 어떤 의식 아래 이루어졌는가는 당대 신문에 나타난 동요 기사를 통해 유추해 볼 수 있었다. 그의 동요는 음수율을 기반으로 한 띄어쓰기가 아니라 실제 곡 아래 표기된 가사의 배치와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었다. 그것을 통해 그의 ‘요’가 시간성을 기준으로 등 장성과 규칙성을 갖춘 정형적 리듬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그의 ‘요’에 나타난 띄어쓰기는 ‘노래의 시각화’로 요약될수 있었다. 그리고 ‘요’의 띄어쓰기 형태가 자유시나 산문시에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그가 자유시나 산문시 창작 과정에서도 시간성을 고려한 리듬을 만들어내고자 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의 자유시와 산문시에서의 띄어쓰기가 ‘요’와 마찬가지로 ‘노래의 시각화’를 위한 장치였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그의 대표작 .향수.는 ‘요’의 리듬이 어떻게 변형되면서 자유시의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었던가를 보여주었다. 그 핵심은 시간적 등장성과 규칙성의 약화 혹은 소멸이었는데, 본고는 그것을 ‘요’와 달리 자유시나 산문시에서는 곡이 전제될 수 없었기 때문으로 보았다. 따라서 그의 자유시와 산문시에서의 띄어쓰기는 읽기 혹은 낭독의 과정에서 시간성을 고려한 시적 리듬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즉 ‘리듬의 시각화’ 장치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aims to make clear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pacing words and rhythm of Jeong Ji-yong`s poems in the 1920`s. His poems were composed of peculiar spacing words. It was also very particular thing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modern poetry in the 1920`s. This study must have inferred that spacing words related with poetic rhythm. It was the peculiarity of spacing words that focused in chapter two. His poems spaced between an substantive and an expletive. It was the result that gave consideration for poetic rhythm. The ‘Jo(謠)’ among his poems had a formal characteristic of the regular and repetitive in time. Therefore it could be given definition of ‘visualization of song’. On the other hand, his works of free verse or prose poems also have similar spacing words but they were not the regular and repetitive in time. So it could be given definition of ‘visualization of rhythm.’ This peculiar spacing words influenced to his later poems but more or less transformed. It is likely to be considered in contexts of the late 1930`s.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띄어쓰기 공백’ 인지 양상에 대한 분석 방법 시론(試論)

        강남욱(Kang Nam-wo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1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쓰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띄어쓰기 공백(spacing)’이 학습자가 갖고 있는 한국어에 대한 분석적이고 문법적인 언어 인식을 잘 드러내 줄 수 있는 일종의 ‘발현 증거’로 간주해 볼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 이를 실증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 어떤 계량 방식을 써볼 수 있는지 시론의 차원에서 제안해 보면서 관련한 연구문제들을 촉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한 전제 작업으로서 띄어쓰기의 학술적 개념을 살펴보고 구두법 안에서 띄어쓰기 공백이 갖는 위상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실제 띄어쓰기 공백의 사례를 들어 분석해 보았다. 분석 대상으로는 근대 초기에서부터 해방 전후의 한국어 교재 5종에 참고로 북한의 외국인 대상 한국어 교재 1종을, 또 초·중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 각 3인과 참고로 고급 학습자 1인을 설정하였다. 교재 사료와 학습자 자료를 살펴본 결과, 띄어쓰기 공백에 개입하는 다양한 ‘정서법 지식(Orthographic knowledge)’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이루어진 해석들을 바탕으로 띄어쓰기 공백의 연구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기존에 확보된 원자료들을 계량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regarding the punctuationspacing of Korean learners in the process of writing as a kind of “evidence of emergence,” revealing the learners’ cognitive and grammatical perceptions of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also suggests what measurement methods could be used to empirically study it and urges further studies. As a prerequisite, I examined the academic and operational concept of spacing and considered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pacing in punctuation. Subsequently, I analyzed the case of actual spaces and spaces. For analysis, I selected five Korean language textbooks from the early modern period before and after liberation, and one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foreigners in North Korea as a reference, and three Korean language learners at the elementary and intermediate level, as well as one advanced learner as a referenc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extbook materials and the learner’s data,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various “orthographic knowledge” that intervene in the spaces. Based on these interpretations, this study raises the need for additional research on spacing and proposes a methodology that could quantitatively analyze the existing original data.

      • KCI등재

        정지용의 비정형적 띄어쓰기 실험과 그 의미 : 이와노 호메이의 영향을 중심으로

        남혜경 이화어문학회 2021 이화어문논집 Vol.55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word spacing that apperars in Jeong Ji-yong's early poems, and attempts to examine the aspects of his acceptance and utilization of Japanese poetics. Jeong Ji-yong's early poems (1926-1930) featured a unique style of word spacing, using spaces between all the words, including postpositional particles. Such spacing was first attempted by Japanese poet Homei Iwano, and rarely appears in other poet's work. In addition, some of Jeong Ji-yong's poems attempted to construct the visual formability of the poem through spacing similar to that of Iwano's poetry. Jeong Ji-yong also composed poems in Japanese archaic language to learn the way Japanese new style poets were modernizing their traditions. Until now, Jeong Ji-yong's spacing method has been understood by scholars as original. However, by examining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Jeong Ji-yong and Homei, it became possible to examine the aspects of modern Korea-Japan cultural exchange and influence. From the perspective of using spaces, Jeong Ji-yong applied what he learned during his study in Japan to suit his style. He created his own rhyme based on his free imagination of spacing in his mid and late poems. In the poems of Japanese writers, there is no spacing between one word. However, Jeong Ji-yong strategically used spacing even within a single word. In addition, he effectively conveyed his affection through pause and margins by spacing twice in certain sections. 본고에서는 정지용의 초기 시에 나타나는 띄어쓰기에 초점을 맞추어서 그의 일본 시작법 수용과 활용의 양상을 살피려고 한다. 정지용의 초기 시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띄어쓰기는 조사를 포함한 모든 단어를 띄어쓰는 독특한 방식이었다. 이러한 띄어쓰기는 일본 시인인 이와노 호메이에게서 먼저 시도되었으며 다른 시인들에게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이외에도 정지용의 몇몇 시에서는 이와노의 시집에 나왔던 것과 유사한 띄어쓰기를 통해 시의 시각적 조형성을 확보하려는 시도가 보이기도 했다. 정지용은 일본어 고어로 시를 창작하기도 했다. 이는 자신들의 전통을 현대화하는 일본 신체시인들의 방식을 배우기 위해서였다. 띄어쓰기 활용의 관점에서, 정지용은 일본 유학 시기에 학습한 것을 자신의 문체에 맞게 응용했다. 그는 자신의 중기 및 후기 시에서 띄어쓰기에 대한 자유로운 상상력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운율을 만들어 나갔다. 일본 문인들의 시에서는 한 단어 사이에서의 띄어쓰기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정지용은 한 단어 사이에서 띄어쓰기를 전략적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또 그는 특정 대목에서 띄어쓰기를 두 번씩 함으로써 휴지와 여백을 통해 정감을 효과적으로 전달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