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공간디자인 분야 공모전 현황 및 특성 연구

        류혜지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실무를 하고 있는 공간디자이너들과 학교에서 공간디자인을 공부하고 있는 학생들 모두에게는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요구되는 공간디자인 주제를 창의적으로 선정하는 디자인 방법은 매우 어려운 부분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디자인 사례들과 특히 공모전 수상작들의 디자인 주제들을 연구해봄으로써 다양한 디자인방법론을 조사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간디자인 관련 공모전의 현황과 특성을 조사하고, 공모전 수상작을 대상으로 작품의 특성과 디자인 주제에 대해서 분석하여 다양한 디자인방법론을 조사해 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조사와 사례조사로 진행되었다. 문헌조사를 통하여 공간디자인 관련 공모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한 후, 온라인상에서‘공간디자인 공모전’을 검색어로 하여 국내 공간디자인 관련 공모전 중에서 인지도가 높고 홈페이지에서 개최 요강과 수상작을 확인할 수 있는대한민국 실내건축대전, 공간디자인대전, 한국 인테리어디자인대전, 주제공모전 4개를 선정하여 사례조사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공모전마다 주제, 세부 공모 분야, 공모 자격, 출품 인원, 시상 규모, 마감일, 출품 규격 등이 서로 달랐으며, 공모전별로 개최 요강을 잘 확인하고 매년 주제와 일정에 맞게 정확하게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파악되었다. 둘째, 2012년부터 2021 년까지 10년 동안의 대한민국 실내건축대전 수상작 77개를 분석한 결과, 주요 대상 공간은 복합문화공간, 상업공간, 특수공간, 주거공간, 업무공간 순으로 많이 나타났으며, 복합문화공간이 71.4%로 가장 높게 차지하고 있었다. 셋째, 주요 타겟 집단은 대중, 특수 대상, 직장인, 청소년·어린이 순으로 많이 나타났으며, 대중이 80.5%로 가장 높게 차지하고 있었다. 넷째, 디자인 주제는 지속가능성·자연 친화, 전통, 여가 문화, 소통, 힐링, 사회적 배려, 감성·디지털, 기타(팬더믹 이후)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디자인 주제로 지속가능성과 자연 친화가 각각 23.4%로 가장 높게 차지하고 있었으며, 지구온난화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앞으로도 중요하게 사용될 디자인 주제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공모전 디자인 주제는 그 시대상과 사회 분위기를 잘 반영하고있는 특징이 발견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중요 공간디자인 분야 공모전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여 공모전을 준비하는 학생, 일반인, 전문 디자이너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공간디자인 관련 교육자와 학생들에게 현재와 미래의 공간디자인 트렌드와 디자인 주제에 대해 디자인방법론적 측면에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국내 가구디자인 공모전의 방향성 모색에 관한 연구 - 일본 ‘아사히카와 국제 가구디자인 공모전’을 중심으로 -

        윤여항 ( Yoon Yeoh-ha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오늘날 디자인 공모전은 기업의 수요와 맞물려 우수한 디자인을 발굴하여 궁극적으로 수익창출에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기업경쟁력을 높이는데 그 목적을 두고 개최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의 국내 가구디자인 공모전의 상황 진단을 통한 분석으로 지속 가능한 가구공모전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대표적인 사례로 2개의 국내 가구디자인 공모전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하고, 이어 해외의 선행(先行) 사례로 이웃 일본의 성공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우리의 가구산업을 개선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국내 정서와 여건에 맞는 가구디자인 공모전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2000년 이후 국내에서 10년 이상 개최된 대표적 가구디자인 공모전인 ‘경기가구 우수디자인 공모전’과 ‘GaGu 디자인 공모전’을 구체적인 사례로 들었다. 또한 해외 사례로 일본 북해도의 아사히카와(旭川) 시에서 매3년마다 개최되고 있는 ‘아사히카와 국제 가구디자인 공모전(IFDA)’을 분석하였다. IFDA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4회에 걸쳐 논자가 직접심사에 참여해서 구체적으로 경험했던 내용으로 실증적인 사례 연구가 되었다. 이를 통해서 공모전의 수상작이 향후 가구업체와 연결되어 제품화가 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지속 가능한 국내 가구디자인 공모전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Today, the design competitions are held for the purpose of creating the corporate profits and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by discovering the excellent designs. This study sought for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competitions by diagnosing the current conditions of domestic furniture design competitions. As the representative cas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wo domestic furniture design competitions were researched, and then a successful case of Japan was analyzed as the foreign preceding ca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easures of furniture design competition suitable for the domestic sentiment and conditions. Especially, 'GaGu Design Competition' and 'Gyeonggi Furniture Design Contest' held for more than ten years in Korea since 2000 were used as the cases. As a foreign case, 'The International Furniture Design Fair Asahikawa(IFDA)' held in Asahikawa of Hokkaido, Japan was analyzed. The writer participated in the screening of IFDA four times, and the empirical cas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experiential contents.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sought for the methods to commercialize the prize-winning works of competitions in the connection with furniture companies in the future, and also suggested the measures for the sustainable furniture design competitions of Korea.

      • KCI등재

        국제 디자인 공모전 제품디자인분야 대학생 수상작품 분석 -2019년 세계 3대 디자인 공모전을 중심으로-

        김병수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4

        Recently, Germany's Red Dot and iF competition and the U.S. IDEA competition have been called one of the world's top three design competition, raising its authority and reputation in the in the field of design. Many design works are being submitted through companies seeking to maximize profits through winning contests and students seeking employment and improving specifications. However, it is difficult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preparing to participate in the competition to obtain objective data that can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etition or research data that compares and analyzes the competition, other than basic information on existing award-winning works through the website. Therefor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basic data of the three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and the 2019 student-winning works in the product design field (a total of 65 works), the research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objective data that can help prepare for the design competition. The entire award-winning work was reviewed using a total of five main themes related to "new technology, low-tech, the weak and elderly, social problems, and environment-friendly" and an analysis table divided into auxiliary topics for "life, medical care, education, communication, work, transportation, safety, physical education and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more than 35 percent of the award-winning works focused on solving problems in the living and medical sectors using new technologies, and among them, the iF contest was the most severe. In addition, the Red Dot competition was confirmed as the highest evaluation score for 'environment-friendly' and iF and IDEA competition was 'innovative'. Through this, it was meaningful that the differences in the propens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winning works were slightly confirmed in each competition. In the future, it is believed that in order to secure long-term data over the years, follow-up research will be needed to compare and analyze data on the winning works of each competition every year, not just in 2019. 최근 들어 디자인 분야에서 독일의Red Dot, iF 공모전과 미국의 IDEA 공모전은 세계 3대 디자인 공모전이라고 불릴 만큼 그 권위와 명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공모전 수상을 통해서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기업이나 취업과 스펙 향상을 위한 학생들을 통해서 많은 디자인 작품의 출품이 이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하지만 공모전 출품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에게는 홈페이지를 통한 기존 수상작품에 대한기초정보 이외 각 공모전들이 가진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나 공모전을 비교 분석한 연구 자료를 확보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3개 국제 디자인 공모전의 기초자료와 2019년 제품디자인분야 학생 수상작품(총 65개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디자인 공모전 준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객관적인 자료의 토대를 만들고자 했다. 전체 수상작품은 ‘신기술, 로우테크, 노약자, 사회문제, 환경친화’와 연관된 총 5개의 메인 주제와 ‘생활, 의료, 교육, 소통, 작업, 운송, 안전, 체육, 환경’의 보조주제로 구분된 분석표를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수상작품의 35%이상이 신기술을 이용한 생활과 의료분야의 문제점 해결에 집중한 디자인 작품이었으며 그 중에서도 iF 공모전이 제일 심한 것을 확인했다. 또한 Red Dot 공모전이 ‘친환경’, iF와 IDEA 공모전은 ‘혁신적’이란 심사기준이 가장 높은 평가점수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각 공모전마다 수상작품의 성향이나 특징에 대한 차이에 대해서 미약하게나마 확인할 수 있었던 의미가 있었다. 추후에는 연도를 거듭한 장기적 데이터 확보를 위해서 2019년 한해에 국한하지 않고 매년 각 공모전별의 수상작품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디자인 대학과 공모전 연계 교육 관련 연구 -국내외 주요 공모전 관련 연구를 통한 대학 교육-

        조은환 ( Eun Haun Cho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7 No.-

        21세기의 디자인대학 교육에 거는 기대는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사회적, 시대적 요구에 맞는 교육을 위한 대학의 노력은 절실하다. 디자인 대학은 디자인 관련 전문지식과 융합, 변화하는 사회가 인간에게 행복을 줄 수 있는 가치를 중심으로 다양한 자구책을 마련하고 실천하고 있다. 이와 함께 취업을 위한 현장실습과 디자인 능력 극대화와 중간과정 평가를 위한 수단으로서 국내외 공모전은 디자인대학에 필요하다. 국내외 공모전은 학생들의 실질적인 관심과 성취도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기업과 단체에서 공모전을 통한 공유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요소와 대학의 기초적인 교육 내용과 만남의 긍정적 확대라는 측면이 절실하다. 가치융합디자인비지지니스 교육 과정의 4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그 동안 참가하여 성과를 올렸던 주요 국제공모전의 공통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시사성. 구성. 완성도. 스타일. 파급효과 5가지 요소의 공통점 돌출을 통하여 가치융합디자인Biz와 공모전 연계를 통한 교육을 할 수 있는 과정과 체계를 필요로 한다. 기존 연구와 학문적 보완 그리고 교육 과정을 통하여 새로이 정립한 가치 디자인의 방법론의 14단계를 가치인식, 가치표현, 가치융합비즈(Biz), 가치 모델, 가치표현디자인, 가치 확대 요소 6가지와 세부 요소 28 단계 단계로 나누어서, 시사성. 구성. 완성도. 스타일. 파급효과 5가지 요소와의 연계를 명확하게 하였다. 아직 대학과 기업. 단체 사이에 공모전에 대한 연구가 없음으로, 이번 연구가 대학의 가치융합디자인Biz과 공모전 연계 교육을 위한 연계교육표를 중심으로 학습 과정(Process)과 체계(System)를 통한 디자인 방법론 모델(Model) 제시를 통한 학생들의 실질적인 관심과 성취도 향상에 도움 되기를 바란다. There are soh diverse expectations directed to 21st century design universities education. The efforts by universities on the education suitable to these social, periodic demands are pressing. Design universities have prepared and practiced various self-plan focusing on the value whereby design related special knowledge, fusion and ever changing society could provide happiness to the humans. Concurrently,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ests ar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on-the job training for job search and design capacity maximization as well as intermediate course assessment. Design universities’ education and contests meaningful from the aspects of practice and intermediate process assessment. Especially, it is true that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ests are affecting student’ practical interest and achievement level. It is desperately necessary to positively expand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design factors to be shared through contests by corporate and groups, and universities basic educational contents of universities. This study reviews design suggestiveness, composition, perfection level, style, ripple effect oriented design methodology and related educational contents, b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ests focusing on basic education and fusion, temporary perception and expansion, business mind. As studies on contests are scarce yet between universities, corporate and group, this study would contribute suggestive education at universities, guidance to students, and students under preparatory stage.

      • KCI등재

        공공디자인 진흥종합계획에 따른 공공디자인 공모사업 시상 방향에 대한 연구 -유관 공모사업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이종희(Lee, Jong Hee),최성호(Choi, Sung H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진흥에 관한 법률의 제정과 시행 이후 우리나라 공공디자인의 지속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공공디자인 진흥종합계획에 기반한 공공디자인의 사업과 정책방향을 구체화할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국가 공모사업인 각종 공모전들의 시상내역을 살펴봄으로써 공공디자인 진흥종합계획에서 명시하고 있는 바대로 공공성에 기반을 둔 공공디자인의 취지에 맞는 작품에 시상되고 있는지 그 실상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공모전이 공공디자인의 지속적인 진흥기반을 바람직하게 구축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다각적으로 모색하여 유의미한 시사점을 얻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공공디자인 관련 유관 공모전은 각 공모전 고유의 특성에 따라 시상의 방향은 각각 달랐지만 공공디자인 진흥종합계획이 표방하는 바를 비교적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었다. 2) 미래의 공공디자인은 실사용자 참여 프로세스를 통한 국민의 의견반영과 공공의 유익을 우선으로 해결하는 디자인 행정전담 공무원, 그리고 전문가 등 협업이 그 성패를 좌우함을 제시하였다. 3) 국가 및 각 지역 고유의 문화 정체성을 역사, 음식, 자연경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찾아야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공디자인의 지속적인 진흥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공공디자인 진흥종합계획에 기반한 공공디자인의 개념과 목적에 부합한 작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시상하는 방향으로의 접근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need to materialize public design business and policy direction based on the Public Design Promotion Comprehensive Plan in order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ontinuous development of public design in Korea after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the Public Design Promotion Law. To this end, by reviewing the awards of various competitions, which are representative national competition projects, identify the reality of whether the awards are being made for works that meet the purpose of public design based on publicity, as specified in the Public Design Promotion Plan. In order to construct the foundation for the continuous promotion of public design, it is intended to seek meaningful suggestions by diversifying ways in which direction to proceed,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n relation to public design-related competitions, the direction of awards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etition, but the public design promotion comprehensive plan reflected relatively faithfully. 2) For future public design, it was suggested that collaboration with public officials and experts in charge of design administration to resolve public interests and public interests through the real user participation process first and foremost. 3) It wa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actively seek cultural identities unique to the country and each reg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history, food, and natural scenery. 4) Lastly, in order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continuous promotion of public design, it was emphasized that it is important to approach works in the direction of actively discovering and awarding works that meet the concept and purpose of public design based on the Public Design Promotion Comprehensive Plan.

      • KCI등재

        디자인공모전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주)미래엔이 주최한 교과서 표지디자인 공모전을 중심으로 -

        박현욱 ( Park Hyeon Wook ),이종호 ( Lee Jong Ho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기업이 변화하는 환경에서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시행하는 기업 활동 중 공모전이라는 이벤트는 실제 많은 사람들의 주목과 관심을 받는 활동이지만, 그에 대한 효과는 크게 연구되지 않았다. 따라서 공모전에 대한 대학생의 높은 관심을 기업들은 참신한 아이디어 발굴 및 기업의 홍보 활동으로 연결시키려는 시도로 이어져 대다수의 기업들이 자체 이름을 건 공모전을 시행하고 있으며, 민간기업뿐 아니라 정부부처, 공공기관에서도 시행하고 있다. 공모전은 미래의 고객인 고등학생, 대학생층을 고객으로 삼고, 기업 이미지를 좋게 하려는 의도가 있는 홍보의 한 수단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이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시행한 공모전에 출품한 학생들과 공모전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생들, 지도 교사들을 대상으로 기업 이미지와 인지도, 행동의도의 조사 분석을 통해 기업이미지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연구하였다. 연구문제를 제시하고 조사 분석결과, 공모전 실행 후 기업의 이미지와 인지도는 높게 나타났다. 공모전은 기업의 인지도와 기업이미지 제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공모전에 참여했던 응답자는 공모전을 개최하는 과정 속에서 기업정보의 습득, 참여로 발생하는 높은 관심, 기업구성원들과 친밀도 증가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과정 속에서 기업의 이미지에 호감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모전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공모전의 포스터를 보고 기업에 대한 이미지와 인지도가 더욱 호의적으로 변한 변화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많은 기업들이 공모전을 통해 기업이미지나 기업에 대한 행동의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특성에 맞는 공모전 개최와 기업이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얻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차별화된 공모전 개최가 필요하다. The competition is a 'process of public recruitment of works and ideas' and corporations are using them as a place to secure innovative ideas and talent through competition. As the competition is used as a career opportunity for employment and recruitment, both students and corporations are interested in hosting the competition. As a company, it is being used as a place to find novel ideas, enhance corporate image, and secure talent. Therefore, university students' interest in the contest leads to attempts to connect novel ideas and public relations activities of companies. Most companies are conducting competition for their own names, and they are also being implemented not only by private companies but also by government depart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corporate image through the competition for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ompetition, the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the competition, and the guidance teach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problem, the professional image and awareness of the company were high after the competition. Competition has been proven to influence corporate recognition and corporate image enhancement. In particular, respon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ontest seem to have been influenced by acquiring corporate information, high interest in participating in the competition, and increasing familiarity with company members. In the process, it seems to have had a favorable and positive impact on the corporate image. Although I did not participate in the competition, I saw the posters of the competition, and the recognition of the company and the image of the company are more favorable.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corporate image and corporate intention through the competition, many companies are required to hold a different competition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an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company through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 공공디자인공모전을 통한 공공디자인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충남 공공디자인 공모전을 중심으로 -

        류혜지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2014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논문집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hungnam public designcompetition' and to seek public design revitaliz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using theliterature review on aspects of public design and case study on chungnam public designcompeti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ungnam public design competition' is the earlystages and it is reflected a lot of characteristics of the Chungnam area. Second, the parts of thewinning entry were the bus stop and public spaces were also steadily increasing. Third, theconcepts of the winning entry were characteristics of the host region and the natural elements. Fourth,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Seoul and Daejeon public design competition, it was foundvery important that citizens can directly use winning work at public space. 본 연구의 목적은 충남공공디자인공모전의 특성을 분석하고, 공공디자인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관련문헌을 통해 공공디자인 공모전 사례와 충남 공공디자인 공모전의 특성을 내용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남 공공디자인 공모전은 6회가 되는 초기 단계의 공모전인데, 매년 충청남도의 시와 군을 돌아가면서 개최되기 때문에 지역의 특성이 많이 반영되는 특징이있다. 둘째, 입상작의 분야는 버스정류장이 가장 많았고, 공공공간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셋째, 입상작의 컨셉은 개최지역의 특성과 자연적인 요소가 가장 많았다. 넷째, 서울시와 대전시 공공디자인공모전과 비교한 결과, 수상작을 실제로 제작하여 시민이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 KCI등재

        국제 공모전 제품디자인 분야 대학생 수상작품 분석-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의 레드닷(Red Dot) 디자인 공모전 수상작품을 중심으로-

        김병수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4

        The design competition is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design students to have their career and design ability evaluated by objective standards. So groups and companies holding contests are annually choosing entries after setting their sought-for directivity for review criteria. This study began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these criteria reflect some trend or periodic character year by y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data that can evaluate the fairness and concept direction of the design contest, and based on this, secure objective data for topic selection an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basic data for nurturing prospective designers. On the subject of 145 prizewinning works at the widely-known Red Dot Design Awards for past five years, this study made a review through 5 main themes related to new technology, low technology, the old and the weak, social problems and eco-friendliness and 9 assistive themes including life, health care, education, communication, work, transportation, safety, physical education and environmen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for the past 5 years, college students’ entries have steadily decreased in number with a larger fall. Second, the country winning the largest number of prizes for the past 5 years was China taking away 78 prizes, whopping 54% of the total. Third, for the past 5 years, main themes of 145 college prizewinners were new technology (35%) and low technology (35%), these two combined accounting for 70%. Fourth, as to small theme, problem solving in everyday life corresponds to the largest 54 prizes (37%), followed by 19 prizes of health care (14%), transport and environment for 14 prizes (9.6%), in the order. Based on these results of study, data analysis on the world’s three greatest design awards will be made in the future to establish an objective indicator for design development. 디자인 공모전은 디자인전공 학생들에게 있어 자신의 경력과 디자인 능력에 대하여 객관적 기준에 의해 판단 받을 수 있는 중요한 기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매년 공모전을 개최하는 단체나 기업에서는 자신들이 추구하는 디자인 방향성을 심사기준으로 정하고 출품작품들을 선별하고 있고, 이러한 기준이 매해 연도별 어떠한 경향 혹은 시대성을 반영하고 있으리라 가설을 바탕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공모전의 공정성과 콘셉트 방향성을 가늠해볼 수 있는 자료의 확보이며 이를 근거로 주제선정의 객관적인 데이터 확보와 예비 디자이너의 양성을 위한 기초자료의 토대를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도가 가장 높은 레드닷 공모전에서 5년간 수상한 총 145개 학생작품에 대하여, ‘신기술, 로우테크, 노약자, 사회문제, 환경친화’와 연관된 총 5개의 메인 주제와 ‘생활, 의료, 교육, 소통, 작업, 운송, 안전, 체육, 환경’의 9개 보조주제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첫 번째는 지난 5년간 해를 거듭할수록 대학생 수상작품의 개수가 점차 하락폭이 커지고 있음을확인할 수 있었으며, 두 번째는 수상작품이 가장 많은 국가로는 중국이 5년간 78개의 작품을 차지함으로써 전체 수상작품 대비 총 54%를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이란 점이다. 세 번째는 지난 5년간 총145개 대학생 수상작품의 주된 주제가 ‘신기술’과 ‘로우테크(Low tech)’의 비중이 각각 35%씩 차지하여 이러한 2개의 주제가 전체의 70%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네 번째, ‘생활 속의 문제해결’을위한 소주제의 빈도가 총 54개(37%)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의료 19개(14%), 운송과 환경이각각 14개(9.6%)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세계 3대 디자인 공모전 전체의 자료 분석을 실시하여 디자인 발전의 객관적인 지표를 확립하고자 한다.

      • KCI등재

        디자인 공모전 수상광고의 수사법 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 수상작을 중심으로-

        조각현(주저자) ( Kak Hyun Ch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1 No.-

        본 연구는 디자인공모전에서 수상된 광고작품의 시각적 수사법의 적용 특성과 경향성을 파악하는 연구로, 한국디자인진흥원(KIDP)에서 2005년부터 2014년까지 개최한‘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의 시각디자인부문 수상작품 중 총 1,799점의 광고포스터를 대상으로 시각적 수사법 적용사례를 분석한 연구이다. 시각적수사법의 사례분석을 위해 수사법의 가장일반적 분류법인 비유법, 변화법, 강조법 등의 3분법에의해 광고포스터 작품 중 대표적인 적용사례를 분석. 제시하였다. 분석방법은 기호적 관점에서 적용된 수사법의 기표와 지시의미, 의미작용 등을 추출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공모전수상작의 시각적수사법의 적용빈도는 비유법이 전체의 88.4%로 압도적으로 많이 적용되는 시각적수사법으로 나타났고, 변화법과 강조법은 언어적 수사법에 비해 활용성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공모전 수상작의 시각적수사법의 적용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비유법으로, 비유법 중 은유법의 활용성이 압도적인 결과(79.6%)를 나타냈다. 이는 디자인공모전에서 시각적수사법의 활용은 시각적아이디어발상에 효과적인 디자인방법론임을 입증하는것으로, 수사학의 사고과정과 표현기법 등이 광고디자인에 응용되어 보다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할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application traits and tendency of the visual rhetoric of the advertisements awarded in the design contests; targeting a total of 1,799 ad-posters of the award-winning works in the visual design sector of The Korea Design Exhibitions held by the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from 2005 to 2014, it analyzed cases applied by the visual rhetoric. For the case analysis of the visual rhetoric, in this chapter the representative application cases of the ad-posters were analyzed and presented by the trichotomy such as analogy, variation and emphasis methods, the most general classifications of the rhetoric. As for the analysis method, signifier, referential meaning and signification of the rhetoric applied from the symbolic point of view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requency of applying the visual rhetoric for the award-winning works was found that the analogy was the most overwhelmingly applied visual rhetoric with 88.4%, while the utilization of the variation and emphasis was small, compared to the linguistic rhetoric. To conclude, analogy took the highest frequency in applying the visual rhetoric for the contest award-winning works, and the utilization of metaphor in the analogy showed an overwhelming result (79.6%). This proves the utilization of the visual rhetoric in the design contest is an effective design methodology for the visual idea; and through this, a possibility of the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could be found with the thinking process and expression technique of rhetoric applied to the advertising design.

      • KCI등재

        산업공예의 디자인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민국 디자인전람회를 중심으로-

        윤여항,이영춘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기초조형학연구 Vol.10 No.5

        The design industry in 21st century has been acknowledg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fields in the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as it uplifts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creates high value-added profits. For this reason, numerous countries nowadays are more than willing to invest their efforts and assets in various aspects in order to uplift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by cultivating the design industry. Especially, various approaches have been undertaken by many countries as part of their attempts of refining the design industry. Such attemp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development of a new design through a design competition, cultivation of prominent designers, and search for ways of connecting designers and actual business. Like other foreign advanced countries, Korea also attempts to vitalize the design industry through the promotion of dynamic design competitions. In relation to this, the ‘Korea Design Exhibition (Hereinafter called KDE)’ is regarded as the attempt that best represents the efforts exerted by Korea. Welcoming its 44th event in 2009, KDE is organized in various fieldsof design such as product, environment & indoor, package, textile & fashion, visual arts, multimedia & contents, and industrial crafts & jewelry. KDE ha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by becoming the venue for discovering numerous new designers and leading a new direction in the field of design in Korea. However, many issues have been raised due to the trite management of the competition, repeated design oriented by award winning, lack of novelty, emphasis on a certain style, and so on. Particularly, the field of industrial crafts has shown low participation rate as compared to that of other artistic fields. The industrial crafts field suffered this setback despite the fact that this field has existed from the very early stage of the competition. Also, the contents of the award-winning artworks as well as the issues raised above on KDE are also embedded in the field. In view of this situ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design styles, characteristics of each material, and designs for the artworks awarded for the field of industrial crafts in the design competition. The annual design change is then acquire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Meanwhile, discussions are being conducted in order to review the correlation with other artistic fields as well as the measures and potential for improvement. 21세기 국제사회에서 디자인 산업은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고 고부가가치의 수익 창출을 위한 대표적 지식기반 서비스 산업군의 한 분야로 인정을 받고 있다. 때문에 디자인 산업 육성을 통한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많은 나라들이 다양한 노력과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특히 디자인 공모전을 통한 새로운 디자인의 개발, 유망 디자이너 육성, 디자이너와 실무의 연계 방안 모색 등은 모든 국가들이 중점적으로 관심을 갖고 진행하고 있는 사업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도 해외 선진국들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종류의 디자인 공모전을 통해 디자인 활성화를 꾀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대한민국 디자인 전람회(이하 디자인전)라 할 수 있다. 2009년 현재 44회를 맞이한 디자인전은 제품, 환경˙실내, 포장, 텍스타일˙패션, 시각, 멀티미디어˙콘텐츠, 산업공예˙주얼리 디자인 분야로 나뉘어 진행되고 있는데 그동안 많은 신진 디자이너를 발굴하고, 대한민국 디자인 분야의 새로운 방향을 선도했다는 점에서 큰 공헌을 하였지만 기존의 구태의연한 공모전, 입상 위주의 디자인 반복, 참신성 부족, 특정 스타일로의 편중 등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특히 산업공예 분야는 초창기부터 지속적으로 공모가 되었던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분야에 비해 참여도가 저조하고 입상작의 내용 또한 위에서 언급한 디자인전의 문제점을 고스란히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전의 산업공예 분야 입상작을 중심으로 하여 작품 성향, 재료별 특징, 디자인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연대별 디자인 변화를 가늠하고자 하였으며 타 분야와의 상호 연관관계, 개선 방안 및 발전 가능성에 대하여 타진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