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학생 듣기·말하기 능력 향상에 대한 연구

        배민지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0 한국어와 문화 Vol.8 No.-

        듣고 말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듣기와 말하기 영역은 통합되어 교육되어야 한다. 또한 현재까지의 읽기와 쓰기 중심의 국어과 교육은 듣기와 말하기 중심으로 변화하여야 한다. 현대는 잘 듣고 잘 말하는, 음성 언어 의사소통이 뛰어난 사람일수록 성공한 삶을 살 가능성이 높다. 이려한 사회적 변화 속에서 제 7차 교육과정부터 듣기 영역을 말하기 영역보다 먼저 제시하여 듣기·말하기 영역에 관한 연구와 관심이 증폭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6학년부터 10학년까지의 듣기 영역, 말하기 영역을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도 함께 하였다. 분석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하여 듣기 · 말하기 영역의 교수·학습과 평가 방법의 개선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듣기·말하기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여 듣기·말하기 교육은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밝힐 수 있었다. To enhance ability of listening and speaking, the sphere of listening and speaking needs to be integrated to be educated. Also, the education in the Korean studies with the center on reading and writing so far should be changed to the center on listening and speaking. In modern times, the more a person has excellent oral communication of well listening and well speaking, the higher the possibility is that will make successful life. Amid this social change, the listening sphere was proposed earlier than the speaking sphere from the 7th curriculum Thus, the research and interest in the listening·speaking sphere was increased. This study analyzed the listening sphere and the speaking sphere from the 6th grade to the 10th grade in the revised Korean curriculum for 2007. Even the analysis of textbook was carried out together. Based on the analyzed contents, it tried to p따sue an improvement plan for the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 in the listening·speaking sphere. This study aimed to enhance the listening·speaking abil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could clarify that the listening·speaking education needs to be integrated to be performed.

      • KCI등재

        듣기 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 연구

        박준홍 ( Park Junho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교사교육연구 Vol.56 No.3

        이 연구는 현직 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듣기 교육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듣기 교육에 관한 교육과정이 어떠한 양상을 지니든 결국 듣기 교육을 실행하는 교사의 인식에 따라 듣기교육은 다양한 방향으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설문 범주는 크게 네 가지로 듣기의 중요성, 듣기 교육의 효과, 듣기 교육의 전문성, 듣기 교육의 개선 방향으로 설정하였고, 주된 분석 방법으로는 다변량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의 중요성은 읽기와 말하기 다음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었다. 그러나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낮아졌으며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교사 간 인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듣기 교육이 듣기 능력을 신장하는 데에 효과가 있다는 점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이면서도 듣기 능력이 자연스럽게 습득된다는 점에 대해서도 상당한 동의를 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듣기 교육의 전문성이 다른 영역 교육의 전문성에 비해 현저히 낮다는 인식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듣기 교육의 전문성을 더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초등학교 교사와 고등학교교사 간의 인식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듣기 교육의 개선 방안에서 교사들은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교육 내용의 마련, 듣기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재고, 듣기 평가 방법의 정교화 및 체계화, 듣기 교육에 특화된 교수·학습 방법의 마련 순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교급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없었다. 듣기 교육에서 어떤 요인에 대한 강조가 필요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듣기 능력관여 요인에 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태도, 어휘력, 듣기전략, 배경지식, 문법의 순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교급 및 듣기 교육의 전문성 수준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는 모국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듣기 교육 연구 자체가 매우 미미한 상황에서 듣기 교육의 실현 양상을 결정하는 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듣기 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er’s attitudes toward teaching listen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in-service Koreanteacher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based on four categories: the importance of listening, the effectiveness of listening education, professionalism of listening education,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listening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ⅰ) The importance of listening decreased as level of schooling increased. The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was the most significant. (ⅱ) The effectiveness of listening education was highly evaluated and tendency of natural obtaining of listening ability was also evaluated more than the average. (ⅲ) Professionalism of listening education decreased as level of schooling increased. (ⅳ) Improvements to listening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improving the education contents followed by raising the teachers’ awarenes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main factors about listening ability, manners was valued the highest followed by vocabulary.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한국어 듣기 교육의 목표와 방법 일고(一考)

        조형일(Zo, Hyoung-il) 국어국문학회 2016 국어국문학 Vol.- No.174

        듣기가 모든 영역에 우선될 수 있는 이유는 사실 간단하다. 모국어로서의 언어 학습이 듣기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이다. 눈의 감각을 가외로 두면, 사물에 대한 인지와 함께 개념으로 환원되고 갈무리되는 모든 과정은 사실 듣기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듣기란 뇌의 인지 능력을 키워내는 자양분이자 질료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언어의 기능 영역 중 하나인 이러한 듣기의 중요성을 진단하고 듣기교육의 방향성을 찾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국어교육에서 듣기 학습 목표와 방법을 한국어교육에서 듣기 학습 목표와 방법과 비교해 보았다. 그리고 그간의 듣기 교육의 성과를 검토하여 이들 연구가 과연 그 학습 목표와 방법을 달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수렴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결론으로 듣기 교수 학습에 필요한 교육방법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논문에서는 이를 11개의 단계로 제시하였는데, 이들은 각각의 목표에 맞는 교육 방법의 원리를 포함하고 있다. We put listening first among the four language skills. The reason for that is, in fact, simple: Everyone starts to learn her mother language by listening. Aside from visual sensation, it is through listening that one captures things and processes them into concepts. Consequently, we can fairly state that listening is a nutrient and material which fosters the brain’s cognitive abilit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mportance of listening as one of the four language skills and find out a better educational goal of listening. To that end, I compare educational goals and methods of listening in Korean education to those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n, by examining the results of those listening methodologies in recent years, I discuss whether those approaches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as expected so that the teachers can attain the goals which the researchers presented. As a conclusion, I present eleven steps of teaching methods that are needed for listening teaching and learning. The eleven steps include eleven goals and mechanisms of each of the corresponding teaching methodologies.

      •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재 개발방안연구

        김선자 ( Jin-shanzi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13 No.2

        본고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극대화를 위하여 한국어 듣기 교재가 앞으로 추구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교재는 교사, 학습자와 함께 교육을 구성하는 3대 요소 중의 하나로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육 방법과 교육 평가 등이 집약된 매체로서 그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지금까지의 한국어 듣기 교재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다른 한국어 교육 분야의 연구 성과에 비해서 그 수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근래에 한국어 교재 개발이 점점 활성화 되고 듣기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한국어 듣기 교재 개발도 점차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지만 대부분 교재는 아직 통제된 상황의 듣기 활동을 다루었고 의사소통에 초점을 맞춘 실제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의 요구 조사와 실제 수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에게 선호도가 높고 학습자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는 영상 매체의 장점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듣기 능력 향상을 돕기 위한 듣기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과 필요성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재 개발 경향과 교재 개발 원리를 검토하기 위해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구체적인 연구 내용과 방법을 기술 할 것이다. 다음으로 듣기 교재에 활용할 시청각 자료의 특성과 시청각 자료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듣기 교재의 구성 원리 및 개발 방향을 제시할 것이며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듣기 교재의 구성 방안과 구체적인 실례를 제시하려고 한다. 끝으로 결론에서는 본 연구를 요약하고 의의와 한계를 밝히며 보다 발전적인 후속 연구를 위한 과제와 제언을 밝히려고 한다. 한국어 학습이 단순히 한국어를 배우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실제적인 사용을 목적으로 할 때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한국어듣기 교재는 실제 한국어의 노출이 많이 드러나는 학습 자료이다. 그러므로 학습자들에게 현재를 살아가는 한국어의 실제를 알 수 있게 하며, 또 실생활에서의 상황에 접했을 때 자연스럽고 적절하게 표현하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중국내 대학교 한국어 교육의 실제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듣기 교재 개발 방향을 제시한 연구로서 앞으로 한국어 듣기 교재의 개발 연구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면서 한국어 듣기 교재에 대한 연구가 보다 발전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At present, most of the listening materials in Korean courses are audio data. Because the audio data are largely dependent on auditory, and the varieties of audio data are not so abundent, so they can’t stimulate the interest and motivation of learners. And, in many cases, monotonous activities will be quite different from the communication in real life. Make full use of audio-visual listening teaching materials and take communication as center have many advantages, which can make the learners out of dull classroom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make them feel the Korean learning a more interesting, more daily, and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learners. In addition, because the audio-visual materials can give students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 at the same time, so it not only can meet the demand of learners who are familiar only with the visual or auditory, but also through the combination of visual and auditory, let the learner remember the content for a long time. In order to take the full advantage of audio-visual material in Korean listening teaching, this paper will discus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eaching effects of audio-visual materials, th standard of the selection of the audio-visual data, and the composing principle and scheme of the teaching materials concerning audio-visual materials.

      • 국민 공통 과정 국어 교과서 공감적 듣기 단원 분석 연구

        이숙현 국어교과교육학회 2016 국어교과교육연구 Vol.28 No.-

        본 연구의 목적은 화법교육에서 공감적 듣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감 적 듣기의 본질과 교육 원리에 비추어 국민 공통 과정인 중학교 ‘국어’와 고등학교 ‘국어Ⅰ’교과서의 공감적 듣기 단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논의 해보는 데 있다. ‘우리’보다 ‘나’를 중시하는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팽배해지는 오늘날 상 대를 배려하고 존중하면서 상대방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이해하려는 ‘공감’ 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공감력’을 바탕으로 상대의 관점에서 경청하며 상대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공감적 듣기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화법교육에서 강조하고자 하였다. 공감적 듣기 교육의 중요성에 비해 중등교과서에 실린 공감적 듣기 단원 은 공감적 듣기의 본질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공감적 듣 기의 본질에 비추어 교육 원리를 태도, 지식, 수행으로 설정하여 중등교과 서를 분석해보았다. 중등교과서에 공통적으로 드러난 문제점은 첫째, 공감적 듣기의 본질에 따른 지식이 학습 내용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거나 추상적인 형태로 간략 하게 제시되어 있다. 둘째, 공감적 듣기 단원 구성의 체계성과 연계성이 낮다. 학습 내용과 학 습 활동이 내용과 수행의 측면에서 학습자가 지식을 습득하고 그에 관한 수행을 할 수 있게끔 그 구성이 짜임새 있게 연계되어 있어야 함에도 불구 하고 적절한 단원 구성을 이루지 못하였다. 셋째, 화법교육은 삶에서 구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교육으로 학습자를 이끌어야 하는데 단원의 학습 활동이 학습자의 삶의 맥락을 충분히 반영하 지 못하고 기술적이고 경직된 차원의 활동으로 그쳤다. 넷째, 공감적 듣기는 지식의 습득과 수행에 앞서 태도가 함양되어야 함 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에는 태도와 관련된 학습 내용과 학습 활동이 제시되 어 있지 않았다. 다섯째, 공감적 화법을 다루는 단원에서 듣기보다 말하기 학습 활동이 주를 이루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는 이렇게 분석된 문제점을 바탕으 로 공감적 듣기의 교육 원리에 비추어 개선 방향을 제시해보았다. 본 연구는 화법교육에서 공감적 듣기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고찰하 고 공감적 듣기의 본질을 반영한 교육 원리를 설정하여 중등교과서를 분석 하고 그 문제점에 따른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im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ympathetic listening in the speech education, to analyze the sympathetic listening unites in the textbook of ‘Korean Language’ for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he textbook of ‘Korean Language I’ for high school curriculum, which were the Korean common subject in perspective of sympathetic listening’s nature and its educational principles and to discuss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 These days when the self-centered tendency valuing ‘me’ more than ‘us’ is overflowing, there is being magnified the importance of ‘sympathy’ caring, respecting and understanding the other with thinking from the other’s viewpoint. The speech education tried to emphasiz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 enabling one to listen to the other’s opinion from his/her perspective and to understand him/her. Unlike the importance of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 the unit of sympathetic listening in middle school textbook does not fully refect the nature of sympathetic listening. Therefore, this study set the sympathetic listening’s educational principles as the attitude, the knowledge and the performance with following the nature of sympathetic listening and analyzed the middle school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From the analysis of textbooks, it was found that the all five problems were commonly revealed in middle school textbooks. First, the knowledge of sympathetic listening following its nature was not fully contained in the learning content or was briefly suggested in some abstract shapes. Second, the systemicity and the connectedness in composing the sympathetic listening unit were low. Though the composition of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should have systematically been connected in order that learners could acquire the knowledge and could perform relevant tasks from the aspects of contents and performance, but middle school textbooks could not suitably compose the sympathetic listening unit. Third, though the speech education should lead learners as the education to be specifically used in life, but the learning activities in its unit did not fully reflect a learner’s life context and remained in the technical, stiff activity level. Fourth, for the sympathetic listening, its attitude should be developed prior to the acquisition and performance of its knowledge, but the textbooks did not contain any learning content and activity related to the attitude for sympathetic listening. Fifth, from the analysis of textbooks, it was identified that the units dealing sympathetic speech mainly dealt the speech learning activities rather than listening activities. Based on the problems analyzed so, this study proposed a direction to improve the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 reflecting from its educational principle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contemplated the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s importance and necessity in the speech education, and set its educational principles reflecting the nature of sympathetic listening and analyze the middle school textbooks and suggest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sympathetic listening concerning the problems found from the analysis.

      • KCI등재

        한국어 듣기교육 연구의 통시적 고찰

        정선화(Jeong, Sun-hwa)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8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듣기교육 연구물을 통시적으로 고찰해 보고 듣기교육 연구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재고(再考)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교육 선행연구사를 토대로 듣기교육의 과거와 현재의 위치를 살피고, 지금까지 연구 결과물들을 검토하였다. 듣기교육 연구는 다른 연구에 비해 빈약하지만 2005년 이후 급증하였고, 2010년부터는 학술지 논문보다 학위논문의 수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의 다양화로 듣기교육 연구 대상은 초기에는 주로 초급이 많았으나 2005년 이후 중급과 고급으로 변하였고, 학습목적별로는 일반목적, 학문목적, 이주여성으로 연구대상이 점차 바뀌었다. 주제별로 교수법과 교재론이 다수를 차지하지만 2000년대 후반부터 매체 활용이나 전략, 기능 연계와 같은 새로운 교수법의 시도도 보였다. 듣기 평가를 주제로 한 연구는 낮은 비율을 보였고, 주로 한국어능력시험 분석이 많았다. 한국어 듣기교육 연구는 독립된 듣기교육과정과 듣기교재의 부재 속에서 초기부터 기본적으로 동일한 논지의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장과 연구자와의 소통을 모색하고, 전공자와 교사, 그리고 외국인 연구자들의 연구를 권장하고 바람직한 연구 여건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search of Korean listening education diachronically and reconsiders the way researchers should pursue for balanced development of Korean listening education.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of Korean education, listening education’s past and present status quo were reviewed and investigated. Although the research of listening education is meager compared to other researches, it rapidly increased since 2005, and the number of thesis shows a preponderance of articles in journals since 2010. The object of the study of listening education were mostly beginners, but since 2005, with the increased number of students from diverse nationalities, who have different levels of Korea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became the object of the research. As to the goal of study, general and academic purpose was mainly investigated, but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ed studies focusing on women who marry Korean men. By topics, teaching methods and theory of textbooks were the main subjects of the research, but new teaching methods such as media, strategies, and functional linkage have been researched since the late 2000s. The rate of research of listening comprehension test was low, and analysis of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was a main subject of research. Due to the lack of listening textbooks and independent curriculum, recent listening research still focuses on the same old content as previous studies. To solve this problem,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teachers, text book writers, proficiency test makers, and researchers is needed. And not only research activities of specialists, foreign researchers and field teachers should be encouraged but also an adequate research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화법 교육과정의 문제와 개선 방안 : 특집 ; 초,중,고교 듣기와 말하기 : 제7차 듣기 교육과정의 개정에 관한 소론

        권순희 ( Soon Hee Kwon ) 한국화법학회 2005 화법연구 Vol.8 No.-

        학문을 하면서 궁극적으로는 인간을 이해하듯이 교육을 통해서도 인성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찬가지로 듣기나 듣기 교육을 통해서도 궁극적으로는 인간에 대한 이해로 방향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인성 교육이 국어교육의 본질을 바라보는 관점을 흐리게 할 수 있다는 우려와는 달리 인성 교육이 국어교육의 본질을 바라볼 수 있는 범위를 확장하고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창의적 언어 사용 능력의 신장``에서 ``언어 사용을 통한 인간의 이해``로 국어교육 목표 설정을 제안하였다. 인성 교육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듣기 교육과정을 개정해야 한다는 전제 아래, 정의적 영역인 태도 교육을 앞세우는 방향 설정을 제시하였고 반응적 듣기 교육을 상정하였다. 정의적 영역 교육을 지식 내용 영역의 교육보다 우선해야 한다는 주장은 뇌과학의 축적된 연구 결과에 근거한다. 반응적 듣기 교육은 기존의 듣기 과정 위주의 분석적인 연구의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기존의 연구가 듣기의 종류를 비판적 듣기, 분석적 듣기, 감상적 듣기 등의 논의로 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착안하였다. 본 논의를 바탕으로 듣기 교육과정 내용 구안틀을 정의적 영역, 기능적 영역, 지적인 영역, 개인 실행적 영역과 관계 실행적 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세 영역에 대한 하위 요소를 언어와 시각적 언어 요소, 인간 요소 (발화 대상 주체로서의 인간), 인간을 둘러싼 관계 및 문화 요소, 상황 요소로 제시하고, 실행적 영역에서는 정보를 전달하는 말 듣기, 설득 하는 말 듣기, 정서 표현의 말 듣기, 친교의 말 듣기로 제시하였다. The current ai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urriculum is "Improvement of creative language use ability". An alternative objec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proposed as "Understanding of human through language use". On the assumption that listening curriculum should be changed in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emotional attitude education and responsive listening education were proposed. The suggestion that emotional attitude education should precede knowledge education was based on the cumulative results of brain sciences. The responsive listening education was proposed as an alternative idea instead of previous listening education models, critical listening, analytical listening, and appreciational listening. Through this study, a listening curriculum was proposed as the four domains; emotional, functional, intellectual, practice domain(personal practice domain and relational practice domain). As the lower level elements, linguistic and visual element, human element, relational and cultural element, and situational element were proposed. As the practical domain, listening of information transfer, listening of persuasion, listening of emotional expression, and listening of friendly rel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듣기 교육에 관한 학생의 인식 연구

        박준홍 ( Park Jun-hong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8 청람어문교육 Vol.0 No.67

        본 연구는 학생들의 듣기 교육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듣기 교육의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설문 범주는 크게 두 가지 즉, 듣기의 중요성 및 듣기 교육의 효과성으로 설정하고, 이 중 듣기 교육의 효과성은 다시 세 가지의 하위범주인 듣기 수업의 효과, 듣기 교과서의 유용성, 듣기와 읽기 수업의 변별성으로 설정하였다. 주된 분석 방법으로는 다변량분석 및 일변량분석을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급에 따른 듣기의 중요성 인식은 중학교 때 가장 높았고 고등학교 때 가장 낮았다. 둘째, 학생들은 듣기 수업을 문법, 문학, 읽기, 쓰기, 말하기 수업 다음으로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어 6가지 영역의 수업 중 그 효과를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듣기 교과서의 유용성을 학교 급별로 살펴봤을 때 초등학생이 3.80, 중학생이 3.51, 고등학생이 3.07로 응답하여 학교 급이 올라갈수록 낮아지고 있었다. 넷째, 듣기와 읽기 수업의 변별성에 대한 인식 자체가 학교 급에 관계없이 전체적으로 낮았다. 본 연구는 듣기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듣기 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해 주어 그동안 미미했던 듣기 교육 연구가 좀 더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udents' perception about listening education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listening education. The categories of survey are classified as the importance of listening and the effectiveness of listening education which is classified as the effect of listening lessons, the usefulness of listening textbooks, and the distinctiveness of listening and reading lesson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listening according to school level was highest in middle school, lowest in high school. Second, students perceived that listening lessons were effective after grammar, literature, reading, writing, and speaking lessons. Third, the students' response to the usefulness of listening textbooks was as low as 3.48 on average and it was getting lower as school level went up. Fourth, students' response to the distinctiveness of listening and reading lessons was as low as 2.93 on average regardless of the school level.

      • KCI등재후보

        폐쇄형 SNS를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육방안 연구

        서영애(Seo Young a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7 한국어교육연구 Vol.- No.7

        2000년대 이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가파르게 상승하였다. 그 중에 상급학교 진학을 위한 한국어 듣기의 실제 수업 방법 또한 고려해 보지 않을 수 없다. 한국의 대학이나 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중·고급의 토픽 급수에 합격해야 해며 한국어교원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TOPIK 6급에 반드시 합격해야 한다. 전공 수업에 임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강의 내용을 제대로 알아\듣지 못하여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고 중도 탈락률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수치이다. 이 같은 현실적 상황을 고려해 본다면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문목적 한국어 수업은 물론 급수 취득의 어려움을 실생활 속에서 수시로 도움 받으면서 시험 대비도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 같은 문제를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은 스마트 폰을 생활 밀착형 듣기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매체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서 시도해 보았다. 학문목적 한국어를 공부하는 중·고급 수준의 외국인 학습자들이 스마트 폰의 폐쇄형 SNS를 활용한 뉴스듣기를 하여, 듣기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방안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스마트 폰의 폐쇄형 SNS를 활용한 뉴스 듣기는 한국어 듣기 교재와 연관된 내용을 선정하고 인지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이해의 폭을 넓히고 듣기 후 단계에서는 타 영역으로 확장하였다. Consider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foreign language which has risen sharply since the 2000s, this study investigated actual teaching methods of Korean listening education for further schooling. In order to enter a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in Korea, an intermediate and advanced topic qualification is required, and a TOPIK level 6 qualification is also required to obtain a certification of Korean education. However, in reality, understanding of major subjects of Korean learners is remarkably low. In addition, there are many Korean learners who have difficulty in participating in the class, and even the dropout rate of class is high. Given the situation presented above, there is a need for a practical method that is useful for Korean learners to participate in the major courses for academic purpose without difficulty and to acquire the necessary TOPIK level. This paper, therefore, focuses on smartphone that have become a necessity of life today. The generalized smartphone can be used as an effective education medium for improving the listening ability in everyday life. Through the case applied to the actual class, it was confirmed that listening to news using closed-type SNS(social network service) based on smartphone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listening ability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As a result, listening to news using smartphone-based SNS on the cognitive aspect improves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istening ability and contents of the listening material, and it will be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for expanding to other areas after listen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