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두경부암에서 면역회피 기전과 면역항암제 치료

        장현(Hyun Chang)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7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33 No.1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은 전세계적으로 6번째로 흔하며 예후가 불량한 암종이다. 면역 감시는 두경부암의 발생과 진행을 억제하는 중요한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두경부암세포는 면역 감시를 T세포의 관용을 유도하거나 체크포인트를 통한 T세포 기능을 억제하는 등의 방법으로 회피할 수 있다. 한편 진행성 두경부암 임상연구에서 체크포인트 억제제는 명확한 항종양효과를 입증하였다. 이처럼 면역항암제가 중요한 암치료 방법으로 떠오르는 이때에 본 종설은 두경부암의 면회회피 기전 및 임상적용근거에 대한 최근 지식을 정리하였다.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is the sixth most common cancer globally with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Immune surveillance is well recognized as an important mechanism to prevent development or progression of HNSCC. HNSCC can escape the immune system through multiple mechanisms including development of tolerance in T cells and inhibition of T-cell-related pathways, generally referred to as checkpoint inhibitors. Recent clinical trials have demonstrated a clear advantage in advanced HNSCC patients treated with immune checkpoint blockade. Right at the front of the new era of immunotherapy, we will review current knowledge of immune escape mechanisms and clinical implication for HNSCC.

      • KCI등재
      • The Effect of Cancer Associated Fibroblasts(CAFs) and CD44 of CAFs on the Motility of Cancer Cells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Seon-Hui Shim(심선희),J. Hun Hah(하정훈),Soo Youn Cho(조수연),Tae-min Kim(김태민),Young-il Koh(고영일),Dong-Wan Kim(김동완),Choon-Taek Lee(이춘택),Dae Seog Heo(허대석),Myung-Whun Sung(성명훈)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4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30 No.2

        배경 및 목적 암-연관 섬유아세포(Cancer-associated fibroblasts, CAF)는 종양미세환경의 가장 중요한 요소의 하나다. 그래서 두경부편평세포암에 대해 CAF가 암세포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CAF에 과발현되는 CD44의 역할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두경부암환자의 종양조직에서 CAF를 분리하고, 비종양성 조직으로부터 정상 섬유아세포(NHF)를 분리하였다. 창상치유분석과 상하 챔버를 이용한 3차원 세포 이동 분석을 이용하여, CAF가 암세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CAF에서 과발현되는 CD44를 중화항체로 CAF를 차단했을 때 암세포 이동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 과 NHF에 비해 CAF에서 CD44가 과발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창상치유분석에서 CAF와 같이 배양된 암세포는 NHF 와 같이 배양된 암세포에 비해 더 빠른 이동을 보였다. CD44 중화 항체를 처리했을 때는 암세포의 이동성이 저해되었다. 결 론 CAF는 종양미세환경에서 암세포의 운동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인자의 하나일 것으로 사료된다. CD44는 CAF의 기능을 매개하는 중요한 표지자 중 하나로 생각된다.

      • KCI등재
      • The Utility of $^{18}F$-FDG PET/CT for Following Up Head and Neck Cancer

        정은재,백승국,우정수,권순영,정광윤,Chung, Eun-Jae,Baek, Seung-Kuk,Woo, Jeong-Soo,Kwon, Soon-Young,Jung, Kwang-Yoon The Korean Society for Head and Neck Oncology 2010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6 No.2

        서 론 : 두경부암의 예후에 가장 중요한 인자는 진단시 병기와 치료 후 재발의 유무이다. 따라서, 재발 병변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두경부암 환자의 추적 관찰에서 $^{18}F$-FDG PET/CT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4월부터 2008년 8월까지 고려대 안암병원에서 두경부암으로 치료를 완료한 후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88 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본원의 두경부암 추적관찰 양식에 따라 술 후 6, 12개월째 $^{18}F$-FDG PET/CT를 시행하였으며, 원발부위 및 경부 재발, 원격전이와 중복암의 진단에 있어 $^{18}F$-FDG PET/CT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음성예측율을 평가하였고, 기존의 추적관찰 방법과 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 원발부위 재발의 진단에 있어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음성예측율은 각각 95%, 97%, 90%, 98% 였다. 경부전이 재발의 진단에 있어서는 각각 94%, 98%, 83%, 99%였으며, 원격전이 및 이차암 진단에 있어서는 94%, 100%, 100%, 99%였다. 원발부위 재발은 고식적인 진단 방법, 원격전이와 이차암은 $^{18}F$-FDG PET/CT가 진단에 의미있게 유리하였다. 결 론 : $^{18}F$-FDG PET/CT는 두경부암의 추적관찰 과정에서 재발 여부를 판정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하며, 특히 원격전이 및 이차암의 발견에 있어 유용하다. 그러나, 위양성 및 위음성의 가능성으로 고식적인 진단 방법과 병행해야 진단의 효과를 높힐 것으로 생각된다.

      • The Utility of 18 F-FDG PET/CT for Following Up Head and Neck Cancer

        Eun-Jae Chung(정은재),Seung-Kuk Baek(백승국),Jeong-Soo Woo(우정수),Soon-Young Kwon(권순영),Kwang-Yoon Jung(정광윤)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0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6 No.2

        서 론 두경부암의 예후에 가장 중요한 인자는 진단시 병기와 치료 후 재발의 유무이다. 따라서, 재발 병변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두경부암 환자의 추적 관찰에서18F-FDG PET/CT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8년 8월까지 고려대 안암병원에서 두경부암으로 치료를 완료한 후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88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본원의 두경부암 추적관찰 양식에 따라 술 후 6, 12개월째 18F-FDG PET/ CT를 시행하였으며, 원발부위 및 경부 재발, 원격전이와 중복암의 진단에 있어 18F-FDG PET/CT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음성예측율을 평가하였고, 기존의 추적관찰 방법과 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원발부위 재발의 진단에 있어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음성예측율은 각각 95%, 97%, 90%, 98% 였다. 경부전이 재발의 진단에 있어서는 각각 94%, 98%, 83%, 99%였으며, 원격전이 및 이차암 진단에 있어서는 94%, 100%, 100%, 99%였다. 원발부위 재발은 고식적인 진단 방법, 원격전이와 이차암은 18F-FDG PET/CT가 진단에 의미있게 유리하였다. 결 론 18F-FDG PET/CT는 두경부암의 추적관찰 과정에서 재발 여부를 판정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하며, 특히 원격전이 및 이차암의 발견에 있어 유용하다. 그러나, 위양성 및 위음성의 가능성으로 고식적인 진단 방법과 병행해야 진단의 효과를 높힐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두경부 암의 표적 지향적 방사선 치료

        김귀언(Gwi E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2 No.2

        종양 발생 과정에 관여되고 있는 분자 생물학적 기전을 직접 공격해 보자고 하는 치료 방침은 암 치료에 있어서 아주 유망한 치료방법의 하나로 인정되고 있다.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수용체에 여러 ligands가 결합하게 되면 발암 단계에서부터 암의 진행 과정과 전이 과정 그리고 방사선에 대한 저항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중요한 신호전달체계를 활성화시킨다. 특히 진행된 두경부 암 환자들에서 EGFR이 과발현 된 경우에는 매우 불량 한 예후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signaling pathway의 selective targeting을 위한 많은 임상 시도가 이루어지 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표적치료 항암제로는 크게 EGFR에 대한 monoclonal antibody와 tyrosin kinase inhibitors로 대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약제들은 여러 xenograft에서 고무적인 실험 결과들이 입증되어 곧 바로 임상 현장에 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EGFR inhibitor 단독으로 치료한 초기 임상연구 결과들을 보면 극히 소수 의 환자에서만 미미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고, 방사선 치료와의 병용치료에서도 괄목할만한 항암 효과를 보여주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실험적 데이터로부터 여러 가지 생물학적 이점이 밝혀져 있고 또 미래 지향적 인 치료법의 하나로 각광을 받고 있기 때문에 현재 많은 연구자들은 어떤 환자 군에서 이러한 표적 치료가 도움이 될 것이며, 방사선 치료 또는 항암 치료와는 어떤 방식으로 조합할 것인지, 또 그 순서는 어떻게 할 것이며, 또 환 자 선정에 있어 reliable marker는 무엇인지, 어떻게 체내에서 신호 전달체계의 효과적인 차단을 확인할 수 있겠는 지, 또한 multiple targeted therapy가 필요하도록 하는 targeted agent에 대한 intrinsic 또는 acquired resistance의 기전은 무엇인지 등등, 현재 당면하고 있는 많은 문제점을 규명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EGFR-signaling pathway를 표적으로 하는 표적 지향적 방사선 치료를 위한 translation research의 적절한 모델이 되고 있는 두경부 암 환자에 서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임상 연구와 함께 well-integrated laboratory clinical research program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EGFR antagonist 외에도 angiogenic pathway나 cell-cycle pathway를 표적 으로 하는 새로운 약제들이 계속 개발되고 있고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따라서 이 고찰에서는 두 경부 암 환자에서 이러한 약제들을 방사선 치료와 병용하였을 때의 임상 연구 결과들을 재검토해 보고 부가적으로 EGFR blockade에 따르는 내성 문제 그리고 방사선 치료를 병용하면서 여러 표적을 동시에 차단시키는 multiple-targeted therapy의 개발 현황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provide an update on novel radiation treatments for head and neck cancer. Recent Findings: Despite the remarkable advances in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techniques, the management of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remains challenging.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is an appealing target for novel therapies in head and neck cancer because not only EGFR activation stimulates many important signaling pathways associated with cancer development and progression, and importantly, resistance to radiation. Furthermore, EGFR overexpression is known to be portended for a worse outcome in patients with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Two categories of compounds designed to abrogate EGFR signaling, such as monoclonal antibodies (Cetuximab) and tyrosine kinase inhibitors (ZD1839 and OSI-774) have been assessed and have been most extensively studied in preclinical models and clinical trials. Additional TKIs in clinical trials include a reversible agent, CI-1033, which blocks activation of all erbB receptors. Encouraging preclinical data for head and neck cancers resulted in rapid translation into the clinic. Results from initial clinical trials show rather surprisingly that only minority of patients benefited from EGFR inhibition as monotherapy or in combination with chemotherapy. In this review, we begin with a brief summary of erbBmediated signal transduction. Subsequently, we present data on prognostic-predictive value of erbB receptor expression in HNC followed by preclinical and clinical data on the role of EGFR antagonist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radiation in the treatment of HNC. Finally, we discuss the emerging thoughts on resistance to EGFR blockade and efforts in the development of multiple-targeted therapy for combination with chemotherapy or radiation. Current challenges for investigators are to determine (1) who will benefit from targeted agents and which agents are most appropriate to combine with radiation and/or chemotherapy, (2) how to sequence these agents with radiation and/or cytotoxic compounds, (3) reliable markers for patient selection and verification of effective blockade of signaling in vivo, and (4) mechanisms behind intrinsic or acquired resistance to targeted agents to facilitate rational development of multi-targeted therapy. Other molecular-targeted approaches in dead and neck cancer were briefly described, including angioenesis inhibitors, farnesyl transferase inhibitors, cell cycle regulators, and gene therapy Summary: Novel targeted therapies are highly appealing in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and the most promising strategy to use them is a matter of intense investigation.

      • Expression of VEGF, p53, Apaf-1 and Caspase-9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Sung Hak Lee(이성학),Yeo Ju Kang(강여주),Ui Ju Jo(조의주),Youn Soo Lee(이연수),Chang Suk Kang(강창석)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2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28 No.2

        배 경 편평상피암은 두경부의 악성종양 중 가장 흔하며, 임상적인 경과가 불량하다. 따라서 나쁜 예후를 가지는 환자군을 조기에 선별하여 더 적극적인 치료의 시행을 결정짓는 표지자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우리는 일련의 두경부 편평 세포암 검체에서 몇몇 분자 표지자의 예후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23예의 두경부 편평세포암 검체를 대상으로 VEGF, p53, Apaf-1, caspase-9의 발현과 몇몇 임상병리학적 지표들간의 연관성을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조사하였다. 결 과 환자군은 남성이 더 많았으며 평균연령은 63.7세였다. 1기가 5예, 2기가 2예, 3기가 8예, 4기가 8예였다. 평균생존기간은 37.3개월이었다. VEGF단백 발현은 종양의 크기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이와 더불어 VEGF 단백 발현은 병기, 그리고 림프관 침습과 연관적인 경향성을 보였다. 그러나 VEGF단백 발현과 생존기간과는 관련성이 없었다. 또한, Apaf-1과 caspase-9의 단백발현은 다른 임상지표, 환자의 생존기간과는 관련이 없었다. 결 론 VEGF단백 발현은 두경부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나쁜 임상경과를 예측할 수 있게 하는 표지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두경부 편평세포암에서 별로 연구되지 않은 Apaf-1과 caspase-9의 발현상태를 밝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두경부편평세포암에서의 T세포 면역치료

        최윤석(Yoon Seok Choi)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7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33 No.1

        Despite improved treatment outcomes of locally advanced disease over the last 2 decades,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recurrent and/or metastatic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remains dismal. There is a clear need for development of novel therapeutic strategies for recurrent and/or metastatic HNSCC. Recent advances in understanding tumor immunology have been directly and rapidly translated into clinical success of T cell-directed immunotherapeutic approach in the treatment of several types of solid cancers. Among them, impact of immune checkpoint inhibition using neutralizing antibodies is the most striking. A variety of immunotherapeutic strategies targeting T cells have been also studied in HNSCC, especially in recurrent and/or metastatic setting even with significant survival benefit. The present article reviews the basic concept of T cell-directed immunotherapy and the current status of such approaches in the treatment of HNSC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