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녀의 결혼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자원 효과: 동질혼, 하향혼, 상향혼을 중심으로

        오지혜,김솔 한국가족학회 2022 가족과 문화 Vol.34 No.4

        This study discusses the effect of attributive resources on the polarization of the marriage market by examining the effects of parental socioeconomic resources that affect assortative marriage (homogamy, hypogamy, hypergamy).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ents’ economic power and educational attainment on assortative marriage, data from the 1st year (1998) to the 20th year (2017) of the KLIPS were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ioeconomic resources of parents have effect on assortative marriage, and in particular, have a greater effect on marriages for men than for women. Among the three types of marriage: homogamy, hypogamy, hypergamy, the parental effect on homogamy was relatively small,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 level of parental educational attai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homogamy of men. In addition, parents’ high economic leve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hypogamy of men, and the parents’ high educational backgroun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hypogamy of women as well as men. On the other hand, the parental effect on hypergamy only appeared in me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 socioeconomic resources of par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hypergamy of men. This result showed that how stratified the transition of marriage for men in Korea. Above al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goes beyond the previous discussion that the socioeconomic status of par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men’s marriage, and reveals that the positive effect is actually in assortative marriage of men. 본 연구는 결혼 유형(동질혼, 하향혼, 상향혼)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자원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귀속 자원이 결혼시장 양극화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는부모의 경제력과 학력 수준이 자녀의 결혼 유형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노동패널 1차년도(1998년)부터 20차년도(2017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부모의 사회경제적 자원은 자녀의 결혼 유형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여성보다는 남성의 결혼에 더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향혼, 동질혼, 상향혼 세 가지 결혼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효과는 상대적으로 동질혼일 경우 적으나, 부모의 높은학력 수준은 남성의 동질혼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부모의 높은 경제력은 남성의 하향혼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고, 부모의 높은 학력은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의 하향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상향혼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효과는 남성에게서만 나타나, 부모의 높은 사회경제적 자원이 남성의 상향혼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결과는 한국 사회 남성들의 결혼 계층화 현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무엇보다 본 연구는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남성의 결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논의에서 더 나아가, 그 긍정적인 영향이 실제로는 다양한 결혼 유형의 선택지 제공에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는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부모의 교육적 동질혼에 따른 자녀 돌봄시간의 불평등

        노혜진 ( Hye Jin Noh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4 사회복지정책 Vol.4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동질혼이 자녀를 돌보는 시간의 양적 측면에서 차이를 유발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부모가 소유한 자원이 시간적 측면에서 자녀돌봄의 불평등을 야기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자녀 돌봄시간의 불평등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서 동질혼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하여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통해 60세 이하 유자녀 부부의 돌봄시간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고학력 동질혼 부부가 저학력 동질혼 부부보다 하루 평균 100분 정도 긴 시간동안 자녀를 돌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고학력 동질혼은 자녀에 대한 돌봄시간을 증가시키는 요인인 반면, 저학력 동질혼은 취학연령의 자녀를 대상으로 한 돌봄시간을 감소시키는 요인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격차는 전체 돌봄시간보다 자녀의 발달과 관련된 시간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저소득층 중심의 돌봄시간 보장정책, 부부 의사소통 및 부모교육의 활성화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resources owned by the parent result inequality in the caring time focusing homogamy. To this ends, this study analyzes caring time of a couple of less than 60 years olds with children through Korean Time Use Survey 2009.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uple with high educated homogamy takes care of their children than low educated homogamy 100 minutes a day more. Second, high educated homogamy is the cause of increasing the caring time. Conversely low educated homogamy reduces the caring time. And this inequality of caring time is more pronounced in the tim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hil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time maintenance policy such as care time guarantee policy, the activation of the program such as couples communication and parent education.

      • KCI등재

        A Study on Educational Assortative Marriage

        성문주,Seong, Moonju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2014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2000년 국민주택총조사 자료(2% 샘플)를 사용하여 기혼 응답자 중 본인과 배우자의 학력 결합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21-70세 응답자를 10년 단위로 5개 연령대별 결혼유형을 분석한 결과는 전체 결혼에서 동일한 학력을 가진 배우자와 결혼하는 동질혼이 65%, 자신보다 고학력인 남성과 결혼하는 여성 상승혼이 30%로 이 두 유형이 전체 결혼유형의 9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동질혼 경향은 모든 연령대에서 강하게 나타났으며, 교육 수준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이상(전문대 포함)으로 구분하여 동질혼을 비교했을 때, 초등학교와 대학 이상 그룹에서 동질혼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이러한 동질혼 경향은 젊은 세대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그러나 여성의 상승혼은 젊은 연령대로 갈수록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marriage in South Korea, based on a 2 percent data of the 2000 census. The result found strong educational homogamy and wife-hypergamy over the five age cohort, 21-30, 31-40, 41-50, 51-60, and 61-70. For the primary, junior secondary, upper secondary and tertiary educational levels, the chance of marrying within the same educational level was stronger for primary and tertiary education. In terms of trends, the educational homogamy increased across the four cohorts. We note that while upward marriage was stronger for women (hypergamy), it decreased over time.

      • KCI등재

        한국 사회의 교육적 동질혼: 시계열 추세 및 그 함의

        박현준,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11 교육사회학연구 Vol.21 No.3

        Drawing on marriage registration data, this study examines temporal trends from 1993 to 2007 in educational homogamy in South Korea. Most previous studies of educational homogamy in South Korea did not compare cohorts based upon years of first marriage but only birth-year cohorts, which is a significant limitation in exploring temporal trends. The current study overcomes this limitation by investigating trends in educational homogamy on the basis of first-marriage coupl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marriage years. More importantly, this research covers the period (1993-2007) of rapid changes in Korean society, providing most updated analysis of educational homogamy. Applying log-linear and log-multiplicative models, the study finds a rapid decline during the 1990s followed by a much slow decline during the 2000s in the strength of association between spouses' educational attainment, which is in part likely attributable to modernization, the increased opportunity of higher education for women due to educational expansion, and the decrease in economic return to professional jobs. The continued decline in educational homogamy is in sharpe contrast to the expectation that increased economic inequality and other social changes during the period should have strengthened the degree of educational homogamy, requiring further systematic research.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decline in educational homogamy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 growing openness of Korean society because declining educational homogamy might have occurred simultaneously with the growing impact of family background on marriage. 본 연구에서는 1993년부터 2009년까지 접수된 혼인 신고서를 이용하여, 1990년대 초반 이래 한국사회에서 교육적 동질혼 경향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살펴보았다. 그간 한국에서 수행되었던 대부분의 관련 연구들은 초혼에 기반을 둔 결혼 코호트를 구성하지 못함으로써 시계열 추세를 분석하는 데 일정한 한계를 가졌다. 그런데 본 연구는 초혼/재혼을 구별하고 출생 연도가 아닌 결혼 연도를 이용해 결혼 코호트를 구성함으로써 선행연구들의 제한점을 극복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활용 가능한 최신 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역동적인 한국 사회에서 교육적 동질혼이 최근에 어떤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시의성 있게 보여주고 있다. 분석 결과, 1993년부터 2007년 사이에 부부 간 학력의 연관성이 지속적으로 완화되어 왔음이 밝혀졌다. 교육적 동질혼의 약화 추세는 1990년대에 보다 뚜렷하고,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다소 완화된다. 이처럼 예상과 달리 근자에 교육적 동질혼 경향이 약화되고 있는 현상의 배경은 후속 연구를 통해 좀 더 엄밀하게 구명될 필요가 있지만, 다양한 근대화의 과정, 교육팽창에 따른 여성 교육기회의 신장, 학력 가치의 하락 등이 일정 정도 기여를 했으리라 짐작된다.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교육적 동질혼의 약화는 귀속적 지위를 중심으로 한 동질혼의 강화를 수반하고 있을 개연성이 크기 때문에 사회 전반의 개방성 증대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 KCI등재

        Educational Homogamy: Is It a Source of More Equality in a Spousal Relationship?

        이규선 ( Kyusun Lee ),이한비 ( Lee Hanbee ),조인영 ( Inyoung Cho ) 한국여성경제학회 2024 여성경제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한국에서 교육동질혼이 결혼의 질과 경제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제7차 한국여성가족패널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동질혼 부부는 상향혼 부부에 비해 정제적 수준이 낮고 배우자 관계의 평등 역시 낮았으며, 특히 낮은 교육 수준과 중간 교육 수준의 그룹에서 그러한 경향이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높은 교육 수준의 동질혼 부부는 경제적으로는 더 나은 상황이지만 여전히 성별에 따른 노동 분업 문제에 직면해 있었다. 이 연구는 한국에서는 여전히 교육동질혼이 더 평등한 배우자 관계로 이어지지는 않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educational homogamy on marital quality and economic status in South Korea. Using data from the 7th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the findings reveal that homogamous couples experience lower economic well-being and less equitable spousal relationships compared to hypergamous couples, particularly among low- and medium-educated groups. Although highly educated homogamous couples fare better economically, they still face gendered labor division issues. The study concludes that educational homogamy does not promote greater equality in spousal relationships.

      • KCI등재

        동질혼이 가구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교육적 동질혼 및 직업적 동질혼을 중심으로

        석재은 ( Jae Eun Seok ),노혜진 ( Hye Jin Noh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3 사회보장연구 Vol.29 No.2

        This study focused on the assortative mating as a contextual factor explaining the phenomenon of intensifying income inequality and polarization in Korea. Especially as pointed out by Kalmijn(1991), the assortative mating was paid attention on moving from ascriptive assortative mating centered on social economic position of parent to accomplished assortative marriage centered on education and occupation of oneself and spouse, and the study was focused on the accomplished assortative mating. Hence,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individual accomplished assortative marriage such as education, occupation, etc on the household income as targeting double income at economic activity ages. As considering different education level and economic activity level, the effect of the assortative mating on household income at each cohort. Also,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assortative mating on income inequality, the marginal effects of the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assortative marriage was analysed through the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 KCI등재

        배우자 선택시 고려하는 종교의 의미

        우원규,김수연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3

        한국사회에서 동질혼 연구는 지역, 교육수준, 사회적 지위, 종교 등이 고려되는 경향이 있지만 종교적 동질혼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2004년 조사 결과 한국의 부부간 종교 일치도는 불교 74.4%, 개신교 67.4%, 천주교 70.9%에 달해 종교가 동질혼의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접조사 방식을 활용하여 배우자 선택 시 종교를 고려하는 이유를 밝히고, 종교적 동질혼 추구라는 사회적 현상의 의미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종교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는 결혼적령기 미혼여성 총 24명(개신교 12명, 천주교 6명, 불교 6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조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천주교, 불교 참여자들과는 달리 개신교 참여자들은 결혼생활에서 종교 차이로 인한 갈등을 피하고자 배우자 선택 시 동질한 종교 요인을 중요시하였다. 선교, 헌금, 교회중심 생활행태, 제사에 대한 태도, 개신교 공동체 활동과 같은 개신교의 종교문화는 한국 사회의 문화와 충돌하여 가정 내 갈등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앙심의 정도나 여성의 연령에 따라 배 우자의 ‘종교’에 대한 의미는 일부 변화하기도 하였다. 한편, 천주교와 불교참여자들은 자신의 종교 활동을 반대하거나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지 않는 이상 배우자의 종교는 배우자 선택시 중요한 고려대상이 아니라고 밝혔다. This research examine the meaning of suitable marriage partner for protestant women who live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Statistical data and related research paper have shown that there is difference to choose their marriage partner between protestant women and others. 24 cases of in-depth interview was performed, seeking to implied meaning of ideal spouse. The result indicates that protestant women regards spouse's religion as most important. Protestant culture including missionary work, offertory, and participation in religious activities is possibly conflictive with not only other religion also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at is why protestant women set a strict boundary to choose their marriage parter. This phenomenon probably best interpreted as a ‘protestant community’ which has shared value system, culture and lifestyle could be distinct from existing ‘korean culture’. It would generate better insights into who want to defend this views in what circumstances in regard of marriage and how these views are related to patterns of solidarity of religious community

      • KCI등재

        세계화 시대 한국 춤 공연의 혼종성에 대한 문화상호주의 고찰

        윤지현 ( Ji Hyun Yoon ) 大韓舞踊學會 2012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0 No.2

        세계화(globalization) 시대 한국 춤 공연은 문화혼종화(cultural hybridization)의 산물이자 그 현장이다. 본 연구는 급속한 세계화 조류 속에서 문화의 지리적 경계는 물론 예술위계마저 모호해지는 동시대 예술현장을 목격하면서 한국 춤 공연에 나타난 혼종현상을 문화상호주의(interculturalism)의 논의를 빌려 설명하고자 했다. 문화상호주의는 1970, 1980년대 성행했던 공연예술 창작과 실험의 경향이자 논의이다. 초기 공연예술의 문화상호주의자들은 문화의 접점에서 일어나는 문화혼종을 창의적 예술의 기회로 생각했다. 이들은 의도적으로 타문화 요소를 섞는 문화상호주의 공연을 실험함으로써 새로운 무대언어를 창조하고 타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세계화가 가속화된 동시대 예술 환경은 문화상호주의의 이론적 위기로 비춰지고 있다. 더 이상 문화와 문화를 만나게 할 수 없을 정도로 세계화는 시간과 공간의 압축하고 있다. 또한 문화의 이동과 혼종의 출현 이면에 작용하는 권력관계를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곧 서구화와 근대화의 다른 이름처럼 작동하는 세계화의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문화상호주의 논의가 내보인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한국 춤 공연에 관찰되는 문화혼종화 현상의 이해에 문화상호주의 관점의 유용성을 고찰하고 논의의 확산을 제안하고자 했다. 이에 프랑스 공연예술학자인 파트리스 파비스(Patrice Pavis)의 문화상호주의 논의를 중심으로 문화상호주의를 소개하고 한국 춤의 혼종성 연구와의 관련성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한국 춤 공연에 나타난 문화혼종 현상의 설명을 위해 서구중심의 문화상호주의에 비판적 접근의 필요함을 언급한다. 동시대 한국 춤공연은 한국문화와 수입문화, 전통문화와 현대문화,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등 문화의 여러 접점에서 교류하고 변형을 일으키고 있다. 더욱이 전자매체와 네트워크의 보급으로 공연예술의 문화상호적 맥락과 접점은 더욱 다면화, 다층화하고 있다. 공연예술의 문화상호주의는 공연의 제작과 사회적 수용을 중심으로 문화이동의 과정과 맥락을 이해하는 관점과 분석도구를 제공해 준다. 특히 공연에 참여한 사람과 공연이 수용되는 사회문화적 맥락에 주목하게 함으로써 타문화전통이 자문화로 이동하는 과정을 구체화한다. 문화상호적 접점이 복잡해지는 세계화 시대 한국 춤 공연의 혼종성 이해에 문화상호주의는 여전히 유용한 관점을 제공한다. Korean concert dances are spaces where cultural hybridization is taking place in the global era. Globalization has blurred and mixed the territorial boundaries between cultures, and the hierarchical boundaries between art genres. This study tries to shed light on these phenomena of cultural hybridization in Korean concert dances by revising a debatable term interculturalism. Interculturalism was a continuous tendency in the field of Western performing arts in the 1970s and 1980s. The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this field had a belief that cultural hybridization could give human beings a way to reach an universal culture. They also regarded the hybridization as a chance for creating arts. They intended to mix exotic factors of other cultures with their own theatrical traditions when they created a piece of performing art. However, interculturalism has seemed to experience a theoretical crisis since the accelerating flows of globalization which means a compression of space and time. We realize that we cannot make cultures meet anymore. Interculturalism has been criticized in terms that it did not consider properly power relations operated behind the migration of cultures. Despite this limitation of interculturalism, this study suggests that analytic tools and views of interculturalism should be revised for understanding Korean concert dances in the globalized world. The study tries to scrutinize interculturalism of performing arts in relation to various and complex intersectional boundaries between cultures. The analysis of dances based on interculturalism provides a perspective focusing o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n which a dance work is accepted in Korean society. Interculturalism also helps us to take different people who participate in creating dance works from choreographer to audience, more seriously. In the global era which intercultural exchanges and cultural intersections are getting more and more complex, interculturalism is still an effective and useful perspective to understand cultural hybridization in Korean dance works.

      • KCI등재

        한국사회의 교육적 동질혼 분석: 1966~2010

        박현준,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12 교육사회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인구주택총조사 1% 마이크로 자료를 사용하여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사회에서 교육적 동질혼 경향이 어떻게 변화하였고, 그것이 같은 기간 동안에 전개된 사회변동과 어떤 연관성을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자료분석은 통혼표에 대수선형모형을 적용하여 가장자리분포를 통제한 후에 부부 교육수준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한국사회의 장기 교육적 동질혼 추세가 역U자형 곡선의 형태를 띠는 것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한국사회에서는 1970년대 중반 이래 교육적 동질혼 경향이 꾸준히 강화되어 1990년대 중반에 정점에 이른 후에 다시 약화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외환위기는 이 같은 시계열적 추세에 변곡점을 제공한 핵심 동인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1960년대에는 인접 교육수준 간 결혼 장벽이 초졸/중졸 간에 가장 높았지만, 이후에 이 장벽이 지속적으로 낮아져 2000년대에 들어서는 여러 교육수준 간 장벽 중에서 가장 낮아지게 되었다. 반면, 1970년대 이후로는 중졸/고졸 간에 가장 높은 결혼 장벽이 유지되고 있었다. 이러한 교육수준 간 결혼 장벽의 시계열적 추세는 급속한 산업화 및 교육팽창 과정에서 초래된 각 교육수준의 상대적 가치의 변화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Using Korean Census 1% microdata from 1966 to 2010, this study examines long-term trends over last half-century in educational homogamy between husbands and wives, taking into account social changes that might have affected the trends in educational homogamy. We apply log-linear models to marriage tables in order to detect the association between husbands' and wives' educational attainment after controlling for the marginal distributions of educational attainment. Our results display the inverted U-shaped trend over time in educational homogamy. Specifically, the tendency for people with the same level of education to marry each other increased from the mid-1970s until the mid-1990s and then declined. The ‘economic crisis’ that began from the late 1990s matches with the turing point of the trend in educational homogamy. The results of the crossing model, furthermore, show that barriers were strongest for marriage between people with primary education and people with middle school education during the 1960s but the barriers decreased since then to the extent that they are weakest in the 2000s. Since the 1970s, the most difficult barriers to cross are those to marriage between people with middle school education and people with high school education. The changes in barriers to intermarriage across educational levels are related to changing values of different educational levels associated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and educational expansion.

      • KCI등재

        동질혼이 가구의 소득, 소비, 자산에 미치는 영향: 부부의 성취적 특성 및 부모의 귀속적 특성을 중심으로

        석재은 ( Jae Eun Seok ),노혜진 ( Hye Jin Noh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3 사회복지연구 Vol.44 No.2

        As polarization and class reproduction between generations are considered to be serious problems in Korean society, increasing number of assortative mating, which means marrying between homogeneous family background, income class, and educational background, is on the spotlight socially. Some worry that the increase of assortative mating can reinforce closure of social mobility so it deepens inequality and limits class mobility between generations. This research analyzes the effects of accomplishment characteristics of husbands and wives and ascriptive characteristics of parents which consist the concept of assortative mating, on income, consumption, and assets those represent economic status of a fami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empirical understanding on the role of assortative mating that affect on inequality within generations and income mobility between generations in Korean society. In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assortative mating on income, consumption, and assets, high educational background was the factor that increase income and consumption level as accomplishment characteristics of assortative mating. As ascriptive characteristics of assortative mating, educational homogeneous of fathers was the factor that increased asset level. While accomplishment characteristics affect income and consumption, ascriptive characteristics of homogeneous had significant effect on assets. Thus, it was found that transfer between generations had effects around asset rather than income. In particular, ascriptive characteristics in young husbands and wives aged 20s or 30s had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ass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