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의 만주퉁구스어․몽골어系 어휘와 그 지리적 분포

        곽충구 진단학회 2018 진단학보 Vol.- No.131

        Among the Korean vocabulary, we selected 10 terms which are supposed to be Manchu-Tungus or Mongolian and showed its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tried to interpret it. These are loanwords or cognate words. There are four types of geographical distribution. First, it is an example such as “가랖karapʰ an oak leaf". “가랖karapʰ" is analyzed as “갈kar oak+앞apʰ leaf". “앞apʰ" is the same as 女眞譯語(Jurchen Translation) “abuha", Nanai “abaha". “앞apʰ" is a word formed by /u/-deletion(syncope), -bh->/pʰ/(aspiration) and final vowel /a/-deletion(apocope) after the borrowing of “abuha". And “꼬지깨덩지koǰik’ɛtəŋči" is hybrid composed of Ma. “koika(short plants growing thickly together that resemble human hair)" and Kor. “təŋči(a lump)". “karapʰ " and “koǰik’ɛtəŋči " which are hybrids of the two ethnic languages, all of which are distributed in the Northeast dialect. Second, the range of distribution is limited to Northern dialects, such as “탄tʰan or 월귀탄wərkwitʰan earrings". This corresponds to the “tana"(pearl or pearl layer) of Mogolian or Manchu-Tungus, which Mogolian or Manchu-Tunguses used as round ornaments or buttons but as earrings in Korea. “허북이həpuki" corresponds to Jurchen "həfuli", Ma. "hefeli", Mo. "kebeli". The third type is such as the “부수막pusumak(or 부막pumak<puzumak<pusu+ mak) a kitchen [fireplace] range" related with Ma. “fushu", which was based on the nationwide distribution before. But in the later part, the new word “붓도막put’omak a kitchen [fireplace] range" appeared in the Central dialect, so that it is distributed on the southern and northern parts of Korean peninsula respectively. Kor. “pusu-" and Ma. fushu were separated from cognate word *pushu. I argued that the Late Middle Korean “브pɨzəp and 븟pɨs kitchen" or the dialect “부석pusək" and “부뚜막(<븟도막put’umak)" all originated in Ma. “fushu". In addition, there are “씀바귀s’ɨmbagwi a lettuce" and North-eastern dialect “사라구saraku"(Ma. šari+Kor. -agu(suff.)), Southern dialect “사랭이sarɛŋi"(Ma. šari+Kor. -aŋi(suff.)) which were also separated from cognate word *syari. The fourth type is distributed all over the country. “자갈čakar(Ma. jahari) pebbles" is cognate, and “아욱auk, 아북abuk(dialect) mallow" was borrowed from Mo. “abuga", and “감투kamtʰu, 감튀kamtʰwi(dialect) hat" was borrowed from Jurchen “kamtu". 동북방언을 포함한 국어 어휘 10여 항과 그에 대응하는 만주퉁구스어 및 몽골어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들 어휘의 지리적 분포에 대한 해석을 꾀하였다. 지리적 분포는 네 유형이 있다. 첫째, 동북방언에 분포하는 ‘가랖(갈잎)’, ‘꼬지깨덩지[草坯子]’로서 모두 차용어다. 이 두 단어는 두 언어가 결합한 混種語다. ‘가랖’은 ‘갈[樫]+앞[葉]’으로 분석된다. ‘앞’은 女眞譯語 abuha, 나나이어 abaha 등과 어원이 같다. ‘소앞’(솔가리)의 ‘앞’도 그와 같다. 둘째, 북부방언에 분포하는 ‘타내/타니/월귀탄[月環]’ 등으로 역시 차용어다. 첫째 유형보다 지리적으로 확산된 것으로, 이는 몽골어(또는 만주퉁구스어)의 ‘tana’(眞珠層, 眞珠)를 차용한 말로 몽골 및 만주퉁구스족은 그것을 둥근 장식품이나 단추로 사용하였지만 국내에서는 ‘귀고리’에 썼다. ‘지즑’은 ‘Ma. jijiri’가 異化 및 어말 모음 탈락을 겪고 또 ‘ㄱ’이 결합된 파생어다. ‘허북[腹, 肚]’는 『女眞譯語』 həfuli, Ma. hefeli, Mo. kebeli와 동원어다. ‘허벅지[股] ’(방언 ‘하북지’, ‘하불지’)도 여기서 파생된 것이다. 셋째, 중부를 제외한 북부∥남부에 분포하는 ‘부수막/부막(<부막)’(부뚜막, Ma. fushu)은 본디 전국에 걸쳐 분포하였던 것이나 후대에 ‘부뚜막’(<븟도막)이 출현하면서 각각 남부와 북부에 잔존하게 된 것이다. 중세국어의 ‘브’, ‘븟’ 또는 방언의 ‘부석’ 등도 모두 fushu와 관련된다. 이처럼 남∥북에 고립되어 분포하는 것으로 ‘사라구(<샤라구<샤리+-아구)/사랭이(<사랑이<샤리+-앙이)’(씀바귀, Ma. šari)가 있다. 이 역시 šari가 전국에 분포하였으나 중부방언권에서 ‘쓰-[苦]’계(씀바귀, 씬나물 등)이 출현하면서 남∥북에 잔존한 것이다. 이런 유형은 同源語일 개연성이 높다. 넷째, 전국에 걸쳐 분포하는 예로서 ‘감투’(Ma. kamtu)는 女眞語 차용어, ‘아욱/아북(Mo. abuga, Ma. abuha)’은 몽골어 차용어, ‘자갈(Ma. jahari)’은 同源語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 KCI등재

        어원론 연구에 관한 소고

        이문수(Lee, Mun-Suh)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4 동유럽발칸연구 Vol.12 No.2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Etymology of the Indo-European Languages, with reference to Romance Languages. We can see the first relatively detailed discussion of the etymological problems in the Dialog<Kratylos> of Platon in which he showed an interest in the origin of the names of human beings, of animals or of things. At that time Etymology was the science of researching <the true meaning>. This kind of tradition for the etymological study was succeeded by the Roman Grammarian Varro through the Grecian Scholars of late Stoa School, above all Chrysipos. In the Medieval epoch the ancient etymological concept was not basically changed . It is not going too far to say that the modern Etymology began with the appearance of the Historical Comparative Linguistics. From about 1900 onward Romance Linguistics became the field in which new methods were adopted under the dominant influence of Indo-European studies. For the etymologists of this generation Etymology means no more than the earliest form and meaning of a word, regardless of whether any statements is made about the original meaning of the word. Henceforth, it was governed by new principles. Firstly, the importance of word-blends is recognized with increased awareness. Secondly, Onomatopoeia is reinstated as a reputable source of linguistic creations. Thirdly, the appearance of linguistic geography, which is treated as a universal method for finding out the real truth of word-history, was influential in the research. The notion of Etymology becomes ambiguous: the old type, phonological, so-called <étymologieorigine> contrasts with the modern, semantic, <étymologie-histoire du mot>. In the light of these developments it is clear that today Etymology in the Indo-European Languages embraces two essentially different questions. One is the original form as well as the original meaning of the Indo-European Prototype. The other is its subsequent history down to a point indicated by the documentation of the cognate language concerned. Etymology in the modern sense is biography of the word; its origin would be nothing but a point of departure for further research. Therefore for ideal etymological research we need further examination not only of phonological, semantical but also of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form in consideration of both sides, namely internal and external facts of language. 성)라는 두 단어가 합쳐진 것으로 어원론의 원의는 ‘참된 어의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플 라톤은 일찍이 사물의 명칭과 그 의미의 개연성에 관하여 의문을 제기한 바 있으며, 그 후 어원연구에 관한 관 심은 크리시포스(Chrysippos) 등과 같은 고대 그리스의 후기 스토아학파를 거쳐 고대 로마제국의 학자들에 의 해 계승되어졌다. 고대 로마제국의 라틴어 문법학자였던 바로(Varro)는 어원론을 ‘단어들이 왜 그리고 어디서 온 것인지’를 연구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와 같이 서양에서는 이미 고대 그리스 및 로마시대에 낱말의 기원 에 관한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그 당시 학자들은 어원 분석이나 의미 변화에 있어서 그것을 정확히 규명 하지는 못했다. 중세의 어원론은 고대 그리스, 로마시대의 이론을 거의 그대로 계승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19세기에 접어들면서 어원연구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19세기 역사-비교언어학의 연구방법이 확 립되면서 어원연구도 규칙적인 음운변화에 관심을 집중시키게 된다. 19세기 말 의미론이 과학적 학문으로 발전 하기 시작하면서 어원론에도 낱말의 의미를 다시 중요시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언어지리학 연구에 의해서 크게 확산되었다. 또한 당시의 실증주의적인 학문연구 방법에 입각하여 문헌상의 충분한 증거자료를 제시하는 방법론적인 영향을 받아 어원연구에도 새로운 변화가 일어났다. 즉, 전통적 음운 변화 법칙에 입각해서 그 기원 을 찾고자하는 기원 어원론〉에서 의미 변화에 의해서 낱말의 변화 과정을 강조하는 〈낱말의 역사 어원론〉 으로 바뀐 것이다. 20세기 초에는 한 때 어원연구에 있어서 음성적인 면과 의미적인 면이 대립하였으나 1 차 세계 대전 이후 그러한 대립에 관한 무모한 논쟁이 사라졌으며 〈언어 내적〉 사실과 〈언어 외적〉 사실을 고려하여 음운론적, 의미론적 자료뿐만 아니라 형태 통사론적인 면도 엄밀히 검토해야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게 되었다.

      • KCI등재

        한국어와 몽골어 사이의 동원어(同源語)에 대한 기초적 연구

        고경재(Koh, KyeongJae) 한국어학회 2018 한국어학 Vol.79 No.-

        In this paper I have extracted some Korean words which correspond to Mongolian words within the framework of cognation, and identified some facts of historical phonology. In chpater 2, I have examined the methods of etymology. In 2.1., I have presented phonological·semantic criteria, and in 2.2., I have distinguished the cognate words with the loanwords. In chapter 3, I presented cognate words between Korean and Mongolian language, which are based on Ramstedt(1949) and Poppe(1950). Recently many scholars talking mainly about loanwords, but if the words which have been presented in <table 2> could correspond each other, Korean and Mongolian language could also be discussed from an etymological point of view.

      • KCI등재

        雙形語의 槪念과 分類

        김소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5 No.1

        This paper aims to clarify concept of doublet and classify it. Doublet is commonly used as a term in Korean linguistics, but it is not clear. In detail, etymological doublet and doublet in lexicon are not strictly classified. Both of them coexist in synchrony, the former is a term that describes synchrony in a diachronic way, while the latter is a term that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synonyms in a synchronical manner. I argue doublet has two distinct stratums-etymological doublet and doublet in lexicon. Etymological doublet is divided into two, one is etymological pairs with same meaning, and the other is etymological pairs with different meaning. Doublet in lexicon is also divided into two, one is doublet in lexeme stratum, and the other is doublet in underlying form stratum. 雙形語는 國語學界에서 일반적으로 通用되는 용어이나 그 개념이 분명하지 않은데, 구체적으로는 語源論的인 觀點에서의 쌍형어와 語彙部 內部의 項目으로서의 쌍형어가 엄격히 구분되어 있지 않다. 兩者는 共時態上의 共存形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나 前者는 어원론적인 관점을 가지고 共時態를 通時的으로 解釋하는 용어인 반면, 後者는 어휘부 내에 공존하며 형태적으로 부분적인 차이를 가지는 同義語들의 관계를 共時的으로 설정하는 용어이다. 본 논문에서는 쌍형어가 이와 같이 구분되는 層位를 가지는 용어임을 분명히 하고, 어원론적 쌍형어는 意味의 同一性 與否를 기준으로 하여 語源論的 同義 雙形語와 語源論的 異義 雙形語로, 어휘부 쌍형어는 쌍형 관계가 존재하는 층위에 따라 基底形 層位 雙形語와 語彙 層位 雙形語로 下位分類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