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주제: 중세의 동물에 대한 인식과 문학적 형상(2) : 한문소설에 나타난 주요 동물의 문학적 형상

        윤세순 ( Se-soon Yun ) 동방한문학회 2015 東方漢文學 Vol.0 No.62

        조선후기 사대부 소설작가들은 국문소설 가운데서 당시 유행하고 있었던 동물우화소설의 영향을 받아 동물 소재 한문소설을 지었다. 이들이 이처럼 쉽게 동물우화소설의 영향을 받아 한문으로 동물 소재 소설을 지을 수 있었던 이유는 한문학의 전통 속에 면면히 흐르고 있던 관물정신과 우언양식, 그리고 동물전과 동물설의 한문학 양식 등이 있었기 때문이다. 동물을 소재로 다룬 한문소설에는 「호질(虎叱)」·「서대주전(鼠大州傳)」·「서옥기(鼠獄記)」·「토공전(兎公傳」이 있는데 본고에서는 이들 작품에서 서사적 추동력이 있는 주요 동물만을 다루었다. 즉 「호질」의 호랑이, 「서대주전」의 늙은 쥐, 「토공전」의 토끼와 자라의 문학적 형상만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호질」에서는 호랑이를 동물의 제왕으로 인정하였고, 인간이 호랑이를 두려워한다는 점을 들어 호랑이가 인간의 우위를 차지하게 하였다. 또 동물의 입장에서 인간은 배고픔을 해소하는데 필요한 고기 덩어리에 불과하다고 여겨 인간을 동물 가운데 하나로 여기거나 동물의 먹잇감으로 취급함으로써 호랑이의 위상을 상대적으로 격상시켰다. 이로써 호랑이는 허위의식으로 가득찬 인간을 통렬히 비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게 되었다. 「서대주전」에서는 쥐의 생태를 잘 파악하여 이를 늙은 쥐 서대주의 모습으로 잘 형상화해 놓았다. 서대주의 만행과 뻔뻔스런 행태는 현실사회에 존재하는 파렴치한 인간을 비유한 것이다. 「토공전」에서는 토끼의 총명함보다는 어리석음에 대해 다루어 보았고, 자라의 달변가적 면모와 표리부동한 모습, 즉 표면적인 충성심과 이면의 욕망과 두려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해 보았다. In late Joseon dynasty, gentry intellectuals expressed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swarm of newly published Korean novels by insisting that the novels deserve to be burned as they brought about the phenomenon of social pathology. However, in the midst of this major commotion, gentry novelists wrote Sino-Korean novels after they were influenced by animal fable novels among Korean novels which were popular at the time. The novelists were able to easily write animal-based novels in Chinese characters which were inspired by animal fables because literary styles of Gwanmul spirit, fable style, animal-Jeon, and animal tale were deeply rooted in the Chinese literature. 「Hojil 虎叱」, 「Seojdaejujeon 鼠大州傳」, 「Seookki 鼠獄記」, and 「Togo ng-Jeon 兎公傳」 are some Sino-Korean novels which storylines are based on animals and this dissertation dealt with main animals which have narrative impetus. That is, the thesis set literary form of the tiger in 「Hojil」, the old mouse in 「Seodaejujeon」, and the rabbit and the turtle in 「Togong-Jeon 토끼전」 as the targets of discussion. Moreover, the paper tried to grasp how the animals were formed within the works by internal methodology. In 「Hojil」, the tiger is acknowledged as the king of animals and at a superior position than humans since the humans have fear toward it. In addition, the tiger is raised to a higher status by merely treating humans as preys or a type of animal. With this, the tiger is authorized to bitterly criticize humans who are full of falsity. In 「Seodaejujeon」, the old mouse Seodaeju has been well formed after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life of mice. Seodaeju``s barbarous acts and impudent behavior are a stark comparison to shameless humans. Generally, in the Korean version of 「Tokki-Jeon」, the rabbit``s wisdom and the turtle``s fidelity have been mentioned. However, in the 「Togong-Jeon」 which is a Chinese character version of 「Tokki- Jeon」, the discussion is centered on the rabbit``s foolishness and the turtle``s eloquence and treacherousness. The witty rabbit somehow manages to escape from the Dragon King``s Palace but displays a foolish act of heading back toward it after being deceived by the turtle``s eloquence. The turtle is an eloquent speaker who is equipped with strategies and practical ingenuity to accomplish his desire for success. Furthermore, outside he is a courageous loyalist but inside he``s full of desires and fears.

      • KCI등재

        嶺南 南人 散文 연구를 위한 試論적 접근-雜著 수록 散文을 중심으로-

        한의숭 택민국학연구원 2022 국학연구론총 Vol.- No.30

        This paper started with the intention of grasping the overall status and character of prose works contained in Yeong-nam Nam-in anthology. The prose included in the miscellaneous writings of Yeong-nam Nam-in anthology has a side that asks for reflection on what researchers have not paid attention to.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reviewed the rough status of the prose data in the Yeong-nam Nam-in anthology, and pointed out several points that the Yeong-nam Nam-in anthology is noted as an important character of prose. First, in the case of prose contained in Yeong-nam Nam-in anthology, it can be seen that a number of works borrowed from the mythical writing method are included. This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al reality of Yeong-nam Nam-in and the way they write,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lewd writing method was summoned in a way that could easily digest the literary outburst of Yeong-nam Nam-in's self-consciousness, worldview, and political and social reality of the time. Second, many animals and anthropomorphic objects have been found as the subject of writing. Prose works represented by ‘Dong-mul-seol’ show that they are being used in an important way to express their inner feelings in a roundabout way among various writings. Third, it is confirmed that many of the works appear in the prose of Han yu and Yoo Jong-won, which are typical of the Tang Song's Ancient Writing. This is understood to have been written for the exemplum virtutis sentence learning of Han Yu and Yoo Jong-won, and at the same time, it is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the intention to utilize the allegory of Tang Song's Ancient Writing. This paper has a poetic nature of seeking perspective and direction to clarify the overall nature of Yeong-nam Nam-in prose, which has not been spotlighted so far, through the organization and analysis of prose in Yeong-nam Nam-in anthology. Therefore, rather than focusing on in-depth interpretation of the data, there is an aspect of focusing on finding and organizing data that have not been discovered or introduced. This point will be continuously supplemented through more detailed research in the future based on several research directions presented in this paper. 본고는 영남 남인 문집 잡저에 수록된 산문 작품을 대상으로 전체적인 현황과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영남 남인 문집 잡저 항목에 수록된 산문은 그동안 연구자들이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것에 대해 반성을 요청하는 측면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우선 영남 남인 문집 잡저 수록 산문 자료를 정리하여 대략적인 현황을 검토하고, 영남 남인 문집 잡저 수록 산문의 중요한 성격으로 주목되는 점을 몇 가지 짚어보았다. 첫째, 영남 남인 문집 잡저에 수록된 산문의 경우 우언적 글쓰기 방식이 차용된 작품이 다수 수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점은 영남 남인의 정치적 현실과 글쓰기 방식의 연관을 보여주는 것으로, 영남 남인의 자의식과 세계관, 당대 정치사회현실에 대한 문학적 분출을 용이하게 소화할 수 있는 양식으로 우언적 글쓰기 방식이 소환된 것으로 이해된다. 둘째, 글쓰기의 소재로 동물과 의인화된 사물 등이 다수 발견되고 있다. 동물설로 대표되는 산문 작품은 다양한 글쓰기 가운데 우회적 방식으로 내면을 토로하는 데 중요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당송고문가의 전형인 한유와 유종원 산문을 의작한 것이 잡저 수록 산문에 다수 등장하는 게 확인된다. 이는 한유와 유종원이라는 당송고문가의 전범적 문장 학습을 위해 습작한 것으로 이해됨과 동시에 당송고문가의 문장이 가진 우언성을 활용하려는 의도가 복합적으로 작동한 결과로 해석된다. 본고는 영남 남인 문집 잡저 수록 산문에 대한 정리와 분석을 통해 그동안 조명받지 못했던 영남 남인 산문의 전체적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시각과 방향을 모색한 시론적 성격의 글이다. 때문에 자료에 대한 깊이있는 해석에 중점을 두기보다, 그동안 발굴, 소개되지 않았던 자료를 찾아서 정리하는데 집중한 측면이 있다. 이점에 대해서는 본고에서 제시된 몇 가지 연구 방향을 바탕으로 추후 보다 정밀한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보충하고자 한다.

      • KCI등재

        관계로서의 동물, 동물의 문학적 재현 - 조선후기 ‘동물전(動物傳)’을 중심으로 -

        김경미 이화어문학회 2020 이화어문논집 Vol.51 No.-

        이 글은 18세~19세기 조선사회에서 창작된 동물전(動物傳)을 중심으로 동물, 인간과 동물의 관계가 문학적으로 어떻게 재현되었는가를 살핀 것 이다. 18세기를 전후하여 이익을 비롯해서 김약련, 유언호, 이유홍, 최남복, 홍우건 등의 문인들은 개, 닭, 말 등을 주인공으로 삼아 「의구전」, 「충구 전」, 「할계전」, 「우계전」, 「의록전」 등 동물에 관한 전을 남겼다. 역사기록 의 일종으로 발전한 인물전의 전통을 생각할 때 인간 세계의 타자로 존재 했던 동물이 입전대상이 되었다는 것, 그리고 주로 18세기를 전후하여 이 기록들이 나왔다는 것은 동물에 대한 인식 상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음을 시사한다. 이는 우화소설이나 가전에서 동물을 재현한 것과는 차이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18세기를 전후하여 나온 동물에 관 한 기록들의 증가 현상을 검토하고, 동물전에 나타난 재현 양상을 인간에 게 충성과 의리를 지키는 존재, 스스로 열행과 의리를 수행하는 존재, 기예를 가진 존재, 애도의 대상이 된 존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시기에 동물전이 나오게 된 역사문화적 배경으로 인물성동이논쟁과 지식 의 재배치 경향을 언급하고, 동물전 가운데 동물과 인간의 관계를 다룬 전들이 주로 개와 과부, 여종, 시집간 여자 등과의 관계로 재현된다는 점 을 주목했다. 18세기 전후에 등장한 동물전의 동물 재현은 특이한 행동을 했거나 사 람과 특별한 관계를 맺은 동물에 대한 것이다. 작가들은 동물의 행위를 충, 효, 열이라는 유교적 윤리로 평가하는 한편 동물의 기예를 발견하고 애도의 대상으로 삼는다. 동물전은 인간중심적인 태도를 여전히 드러내지만 동물의 기예를 발견하거나 동물을 애도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 서 기존의 동물에 대한 인식에서 이탈하는 면모를 드러낸다. 이처럼 특정 동물을 주인공으로 삼아 경험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동물전은 동 물에 대한 인식이 다양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예이며, 타자화된 존재를 비유할 때 동원되곤 했던 동물을 그 자체로 재현했다는 점에서 새 로운 동물 인식을 볼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anima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were represented in literature of late Chosŏn society, focusing on the biography of animals created in that period. Around the 18th century, Yi Yik (李瀷), Kim Yak-ryeon (金若鍊), Yu Eon-ho (俞彦鎬), Yi Yoo-hong (李惟弘), Choi Nam-bok (崔南復), and Hong Woo-gun (洪祐健) wrote the biographies of dogs, hens, and horses, such as “Uigujeon” (義狗傳), “Chunggujeon” (忠狗傳), “Halgyejeon” (瞎鷄傳), “Ugyejeon” (友鷄傳) and “Euirokjeon” (義鹿傳). Considering the tradition of biography that was developed as a kind of historical record, the fact that animals became the subjects of biographies showed som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animals in late Chosŏn society. This article therefore examines the increasing phenomenon of records on animals from around the 18th century, and considers the patterns of reproduction that appeared in biographies of animals: as beings that keep loyalty to humans; beings that perform loyalty between them ; beings that have technics; and beings that became objects of mourning. In this paper a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e biography of animals of this period, I paid attention to the tendency to relocate knowledge and the debate on the natures of people and things(人物性同異論爭) and demonstrated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animals in the biography of animals were mainly represented in the form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ogs and persons such as widows, maidservants and married women. Animal representations in the biography of animals around the 18th century were about animals that had performed unusual behaviors or had a special relationship with humans. The writers mentioned animals’ noticeable technique and showed mourning toward them, while they showed the tendency to evaluate animals’ behavior through the eye of a Confucian ethic of loyalty, filial piety, and chastity. This reveals that their view points wer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erception of animals. Although the biography of animals still kept human-centered perspective, the fact that it selected specific animals as a main character and presented the concrete and vivid descriptions shows the valuable example of the diversification of perceptions of animals in that period. Animals which had been used to represent the others were significantly shown here as themselves, which proves the existence of expanded perception of animal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