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미동맹의 동맹 딜레마와 향후 한국의 한미동맹 전략

        전재성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6 국가안보와 전략 Vol.16 No.2

        This article explores various aspects of alliance dilemma of the ROK-US alliance from the perspective of security threats from North Korea, the rise of China, restraint game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Japan-the United States trilateral cooperation. The alliance goes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security threats, and experiences changes in the degree of threats. Alliance tends to maintain itself by overcoming these dilemmas with differing degrees of coherence. Dilemmas are to be managed, but not to be fundamentally solved. States try to cope with security threats with military powers combined, but also intends to restrain the ally to maximize one’s strategical aims. The ROK-US alliance thought out long history has faced with many dilemmas. South Korea has experienced many difficulties to coordinate security policies with Washington and to go well with American rebalancing. Strategic dialogue between the two regarding the rise of China is crucial as well. South Korea needs to maintain close strategic dialogue with Washington, at the same time wisely coping with the U.S. restrains policy. Also strategic cooperation with China should not viewed as contradictory with South Korea’s alliance partnership with the United States. This article examines the outcome of different dilemmas on the past and future trajectory of the ROK-US alliance. Also it studies how South Korea’s strategy toward North Korea and China will affect the ROK-US alliance, how the United States conduct the restraint policy toward South Korea, and how the trilateral cooperation among Seoul, Tokyo, and Washington affects the alliance. 본 논문은 한미동맹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동맹 딜레마를 북한의 위협, 중국의 부상, 한미 간의 동맹 제지 게임, 그리고 한미일 삼각 협력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동맹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안보위협의 대상이 달라지기도 하고, 위협의 강도가 달라지기도 한다. 이에 따라 동맹의 목적이 재정립되기도 하고, 동맹의 응집성이 변화하기도 한다. 동맹은 다양한 딜레마를 겪으면서 유지된다. 딜레마는 용어의 의미대로 해결할 수 없는 본래적 갈등이 내재된 문제이기 때문에 해결되기보다는 관리될 수밖에 없다. 동맹은 공동의 위협에 대한 대처라는 합의에 기반한 것이지만, 때로는 동맹 상대국을 자신의 의사대로 묶어두고 관리하기 위한 결박과 제지의 수단이기도 하다.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한미 동맹 역시 21세기 들어 많은 딜레마에 직면하고 있다. 한국은 대북 강경, 혹은 관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국과의 의견 차이를 불식시키면서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전략에 대처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의 부상에 대한 한미 간의 전략 소통도 중요하다. 중국의 부상에 따르는 위협 혹은 기회에 대해 한미 간 전략 대화를 추구하면서 미국의 제지 전략에 대처해야 한다. 동시에 중국과의 전략 협력을 강화하면서 대중 협력이 한미동맹 강화와 반드시 배치되지 않는다는 점을 미국에 설득해야 하는 어려움도 있다. 이 글은 동맹을 둘러싼 다양한 딜레마들이 현재 한미동맹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고, 향후 한미 동맹은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해갈지를 연구해본다. 우선 한국이 북한, 중국과의 관계를 설정하는 방식에 따라 한미동맹이 어떻게 바뀌는지를 알아보고, 한미 간의 동맹 제지의 양상을 살펴본 후, 한미일 삼각 안보 협력 관계 속에서 한미동맹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 KCI등재

        한국의 안보딜레마와 한미동맹의 가치

        정천구(Chun-Koo Jeong) 한국통일전략학회 2012 통일전략 Vol.12 No.3

        무정부적 국제체제에서 국가는 자국의 안보를 추구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것은 상대측의 대응을 불러와 결과적으로 자국의 안보를 더위험스럽게 만들 수도 있다. 그래서 모든 국가들은 어떤 수준으로 안보를 추구해야 할지 안보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1972년 남북대화가 시작된 이래 한국정부는 안보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 때 자주노선과균형자 역할 등을 시도해 보았으나 어느 것도 한미동맹의 대안이 될 수없었다. 전체주의 독제체제세습체제를 유지하고 한반도의 현상을 타파하려는 목적으로 핵을 개발하고 있는 북한은 안보딜레마가 아니라 억지전략과 유인정책으로 대응해야 할 안보문제를 제기할 뿐이다. 한중관계는 경제적으로 중요하나 포괄적 한미동맹의 대안이 될 수 없으며 한미동맹의 틀 속에서 병행 발전시켜야 한다. 한미동맹과 주한미군의 존재는 한국의 안보는 물론 국가신인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한미동맹은 한국이 세계 10위권의 경제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국의 수출주도형 발전을 뒷받침해 왔던 것이다. 주한미군이 한국에게 주는 경제적가치만 계산해도 매년 백 수십조 원을 넘는다. 이제 국내외적 여건의변화로 한미동맹도 21기형 동맹으로 변화하고 있다. 2008년과 2009 년 한미 양국은 한미동맹을 전략적 동맹으로 격상하고 가치동맹, 신뢰동맹, 평화구축동맹으로 발전시킨다는 21세기 한미동맹의 비전에 합의하였다. 21세기 한국의 대외전략은 네트워크형 외교와 연대를 모색해야 한다. 미국은 한국과 가치를 공유할 뿐 아니라 국제질서를 움직이는네트워크의 중심 국가이다. 미국과의 가치동맹은 한국이 안보딜레마를해결하고 미국이 이끄는 상층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세계로 뻗어나가는데 초석이 될 것이다. The concept of security dilemma is generally used to denote the self-defeating aspect of the quest for security in an anarchic system. In the system, each party's power increments are matched by the others, and all wind up with no more security than when the vicious cycle began, To solve the security dilemma posed by its the relations with North Korea and with China, the ROK’s governments since 1993 for a while tried to pursue a self-reliance police and a “Northeast Asia Balancer Policy.” But none of them could be an alternative to the ROK-USA alliance. North Korea has developed its own nuclear forces to maintain its hereditary dictatorship and to force South Korea to accept its own terms. So what North Korea has raised is no more a security dilemma but only a security problem that can be dealt with deterrence policy. The Korea-China relation is economically important but cannot compare with the ROK-US inclusive strategic security alliance and cannot be an alternative. With maintaining the strong ROK-US alliance, Seoul should try to seek diplomatic balance between US and China. For over almost 60 years, the ROK-US alliance and presence of US military forces in Korea has played a critical role as peace keeper on the Korean Peninsular. It has also helped South Korea to become the world number 10th prosperous economic power by providing the secure situation and reducing the country risk. A survey estimated the economic value of the USFK, its security cost saving effect and economic contribution effect more than 171 billion dollars. Due to the changes in the global and domestic situations, ROK and the United State have agreed to upgrade the alliance to a strategic alliance for the 21st century. They also have agreed to transform the alliance into value alliance, trust alliance and peace-settlement alliance. Korea’s foreign and diplomatic strategy should be networked diplomacy and seek networked solidarity. The United States has not only common security interests but also common democratic values with Korea and she is the center of the network which leads the world. I am sure that the ROK-US strategic alliance will be the corner stone for South Korean foreign strategy in solving its security dilemma/problem and expanding its global network.

      • KCI등재후보

        한국의 안보딜레마와 한미동맹의 가치

        정천구 한국통일전략학회 2012 통일전략 Vol.12 No.3

        무정부적 국제체제에서 국가는 자국의 안보를 추구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것은 상대측의 대응을 불러와 결과적으로 자국의 안보를 더 위험스럽게 만들 수도 있다. 그래서 모든 국가들은 어떤 수준으로 안보를 추구해야 할지 안보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1972년 남북대화가 시작된 이래 한국정부는 안보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 때 자주노선과 균형자 역할 등을 시도해 보았으나 어느 것도 한미동맹의 대안이 될 수 없었다. 전체주의 독제체제세습체제를 유지하고 한반도의 현상을 타파하려는 목적으로 핵을 개발하고 있는 북한은 안보딜레마가 아니라 억지전략과 유인정책으로 대응해야 할 안보문제를 제기할 뿐이다. 한중관계는 경제적으로 중요하나 포괄적 한미동맹의 대안이 될 수 없으며 한미동맹의 틀 속에서 병행 발전시켜야 한다. 한미동맹과 주한미군의 존재는 한국의 안보는 물론 국가신인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한미동맹은 한국이 세계 10위권의 경제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국의 수출주도형 발전을 뒷받침해 왔던 것이다. 주한미군이 한국에게 주는 경제적 가치만 계산해도 매년 백 수십조 원을 넘는다. 이제 국내외적 여건의 변화로 한미동맹도 21기형 동맹으로 변화하고 있다. 2008년과 2009년 한미 양국은 한미동맹을 전략적 동맹으로 격상하고 가치동맹, 신뢰동맹, 평화구축동맹으로 발전시킨다는 21세기 한미동맹의 비전에 합의하였다. 21세기 한국의 대외전략은 네트워크형 외교와 연대를 모색해야 한다. 미국은 한국과 가치를 공유할 뿐 아니라 국제질서를 움직이는 네트워크의 중심 국가이다. 미국과의 가치동맹은 한국이 안보딜레마를 해결하고 미국이 이끄는 상층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세계로 뻗어나가는데 초석이 될 것이다. The concept of security dilemma is generally used to denote the self-defeating aspect of the quest for security in an anarchic system. In the system, each party's power increments are matched by the others, and all wind up with no more security than when the vicious cycle began, To solve the security dilemma posed by its the relations with North Korea and with China, the ROK’s governments since 1993 for a while tried to pursue a self-reliance police and a “Northeast Asia Balancer Policy.” But none of them could be an alternative to the ROK-USA alliance. North Korea has developed its own nuclear forces to maintain its hereditary dictatorship and to force South Korea to accept its own terms. So what North Korea has raised is no more a security dilemma but only a security problem that can be dealt with deterrence policy. The Korea-China relation is economically important but cannot compare with the ROK-US inclusive strategic security alliance and cannot be an alternative. With maintaining the strong ROK-US alliance, Seoul should try to seek diplomatic balance between US and China. For over almost 60 years, the ROK-US alliance and presence of US military forces in Korea has played a critical role as peace keeper on the Korean Peninsular. It has also helped South Korea to become the world number 10th prosperous economic power by providing the secure situation and reducing the country risk. A survey estimated the economic value of the USFK, its security cost saving effect and economic contribution effect more than 171 billion dollars. Due to the changes in the global and domestic situations, ROK and the United State have agreed to upgrade the alliance to a strategic alliance for the 21st century. They also have agreed to transform the alliance into value alliance, trust alliance and peace-settlement alliance. Korea’s foreign and diplomatic strategy should be networked diplomacy and seek networked solidarity. The United States has not only common security interests but also common democratic values with Korea and she is the center of the network which leads the world. I am sure that the ROK-US strategic alliance will be the corner stone for South Korean foreign strategy in solving its security dilemma/problem and expanding its global network.

      • KCI등재

        얽힘 이론과 동맹의 안보 딜레마 : 한미동맹 사례

        이수형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7 국가안보와 전략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core contents of entanglement theory in terms of comparison with Glenn Snyder's alliance security dilemma and to criticize main logic of entanglement theor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theory of entanglement is problematic in the following points: the minimization of entrapment concept, member states' asymmetric positions against entrapment, and Lippmann Gap arising from the extension of national interests. In the context of the ROK-U.S. alliance, ROK has periodically experienced the alliance's security dilemma of abandonment and entrapment in accordance with United States' alliance policy and changing security circumstances. In some cases, regardless of the nation's unique security benefits, ROK has been involved in a situation of entrapment due to strength ROK-U.S. alliance. The typical case is the Korea's second dispatch troops to Iraq under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This case is the situation of entrapment, not entanglement in the context of alliance security dilemma. Therefore, ROK should be made for alliance management strategy to avoid another situation of entrapment and to make more desirable ROK-U.S. alliance. 동맹의 안보 딜레마와 관련하여 군사적 연루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얽힘에도 불구하고 연루가 발생하기 힘들다는 얽힘 이론은 포기와 연루로 상징되는동맹 딜레마 모델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 그럼에도 얽힘 이론은 비대칭동맹의 안보-자율성 교환모델에 얽힘의 논리를 그대로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있다고 판단된다. 왜냐하면 앞에서 분석했듯이, 얽힘 이론은 연루 개념의 극소화, 연루에 대해 회원국이 마련하는 대비책의 비대칭성, 그리고 국가이익의 확장성문제를 제대로 분석해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안보-자율성 교환모델의 비대칭 한미동맹에서 한국은 안보 상황에 따라 포기와연루의 동맹 딜레마에 주기적으로 노출되어 왔고, 상황에 따라서는 한국의 고유한안보이익과는 별개로 한미동맹 강화를 위해서라도 미국의 정책 입장에 동조하여연루의 상황에 빠져 들어가는 정책을 취해 왔다. 노무현 정부에서 있었던 제2차이라크 파병이 그 전형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노무현 정부가 제2차 이라크 파병에나서게 된 궁극적 배경도 다름 아닌 동맹 강화의 논리가 강하게 작용했기 때문이었다. 모든 비대칭동맹에서 동맹 회원국가들 간에는 구조적으로 갈등이 내재되어있고 또한 주기적으로 갈등이 표출되어 왔다. 동맹국가들 간에 나타나는 동맹갈등은 동맹 결속력을 약화시키는 부정적 요인이라기보다는 회원국 고유의 차별적안보이익이 상호작용하는 불가피한 현상이자 자연스러운 과정인 것이다. 지난냉전시대 유럽의 안정과 안보, 그리고 지속적인 번영의 주춧돌이 되어 왔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발자취는 한마디로 동맹 갈등의 역사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대서양조약기구는 오늘날까지 그 어느 동맹보다도 성공적인 다자동맹으로남아 있다. 그 주된 이유는 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 국가들은 동맹 강화의 논리가아니라 미국과 유럽의 안보가 연계되어 있다는 안보적 유대감에 따라 동맹을유지⋅관리해 나가야겠다는 동맹관리전략이 더 중시되었기 때문이었다. 현재 및 향후 한반도와 동북아 안보상황을 전망했을 경우, 한미동맹의 존재와역할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특히, 한미동맹이 미래 보다 튼튼하고건강한 동맹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자율성 부분이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제부터라도 우리는 동맹 강화보다는 우리의 자율성 부분을 점진적으로 높여나갈 수 있는 방향으로 동맹을 유지⋅관리해 나갈 수 있는 체계적이고종합적인 동맹관리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우리가 처해있는 상황이 아무리 엄중하더라도 우리의 습관과 관성에 따라 동맹 강화의 논리만을 강조한다면, 동맹에대한 우리의 안보적 의존 심리는 더욱 강화되어 우리 스스로 동맹 딜레마를관리해나갈 수 없는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사동맹’ 속의 동맹 딜레마: ‘상대적 방기’ 불안과 한일 갈등

        김근희,정한범 한국국방연구원 2023 국방정책연구 Vol.38 No.4

        South Korea and Japan joined the trilateral cooperation system based on trust in the ROK-U.S. alliance and the U.S.-Japan alliance, and the U.S. has managed to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However, the conflict between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and the Abe administration was more hostile than in the past and threatened the U.S.-ROK-Japan trilateral cooperation. Countries in a quasi-alliance relationship, such as South Korea and Japan, compete for stronger alliance with their common ally, and they have the relative abandonment fear that the common ally is more likely to abandon them than their counterparts. When the fear increases, the country rejects the administration of the common ally since it sees the other as a threat rather than a cooperative partner. It engages in antagonistic behavior toward its rivals and even puts the collaboration of the triangle network at risk. In 2018, Japan's growing relative fear of abandonment stimulated the perception of competition against South Korea. To keep the triangular cooperation system steady, it is necessary to alleviate South Korea and Japan's perception of competition. 한국과 일본은 역사적 적대감에도 불구하고 한미동맹과 미일 동맹에 대한 신뢰를 토대로 한미일 삼각 협력 체제에 합류하였으며 공통 동맹국인 미국은 양국의 갈등이 일정 수준 이상을 넘지 않도록 관리해왔다. 하지만 문재인 정권과 아베 정권하에서 한일 갈등은 과거 반복된 역사 갈등보다 더 적대적 양상을 보였으며 한미일 안보 협력까지 위협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한일 갈등을 정치 지도자의 개인적 차원 또는 국내 정치적 차원에서만 접근할 경우 갈등의 발발은 설명할 수 있으나 갈등의 극단성까지 설명하는 데 한계를 가진다. 이에 이 논문은 직접 동맹을 맺지 않았지만 공통의 동맹국을 공유하는 ‘유사동맹’ 모델을 통해 삼각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상대적’ 방기 불안에 주목하였다. 유사동맹 관계의 국가들은 공통 동맹국과의 더 강력한 동맹을 두고 경쟁하며 이는 공통 동맹국이 상대국보다 자국을 방기할 가능성이 더 크다는 ‘상대적’ 방기 불안을 유발하게 된다. 상대적 방기 두려움 증가로 인해 공통 동맹국이 상대국에 더 우호적이라는 불신이 고조될 경우 상대국과의 협력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을 강화하며 공통 동맹국의 갈등 관리를 거부하고 삼각 네트워크의 균열을 감수하면서까지 상대국에 대한 강력한 적대 행위를 취할 수 있다. 2018년 남북미 대화 국면에서 미일 동맹의 역할은 한미동맹에 비해 대폭 축소됐으며, 아베 정권의 상대적 방기 불안 증대는 한국에 대한 경쟁과 위협 인식을 자극하는 요인으로 작동하였다. 따라서 한국의 대북 또는 대중 전략에 대한 한미일 협력 체제의 안정적 지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대미동맹에 대한 일본의 경쟁 인식을 완화하려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동맹정치의 변화와 동맹관계 -한미,미일동맹을 중심으로-

        이기완 ( Ki Wan Lee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0 국방연구 Vol.53 No.1

        본 논문은 냉전기 남방 3각 동맹체제를 이루며 동북아 안보질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하던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이 1990년부터 2006년에 이르는 시기에 동맹의 성격과 내용에 있어 상당한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문제를 한일 양국의 국내정치 동학과 동맹의 딜레마라는 동맹정치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이 1990년대 이후 그 응집력에 있어 정반대의 방향으로 전개되었던 것은 국제체제의 대립구도 내지 동북아 안보환경의 변화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정권교체에 따른 집권세력의 성격변화, 동맹정치에 대한 인식, 그리고 동맹의 딜레마 등이 중첩하는 과정에서 최고 정책결정자 및 집권세력의 정치적 결정에 의해 발생하였던 것이다. 향후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의 동향은 한일 양국이 처한 안보환경과 미국의 국익이라는 외적요인 속에서 국가주권과 안보를 최적화시키기 위해 합목적적으로 행위하는 한일 양국의 최고 정책결정자 및 집권세력의 동맹인식과 동맹의 딜레마에 대한 대응방식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the alliance politics from 1990 to 2006, focusing on the alliance relation of the Korea-U.S. and U.S.-Japan. Historically, the alliance had a key role in stabilizing the security circumstance in the northeast Asia after the Cold War. Analyzing the cause of the situation, this study specifically deals with the changes in the domestic political dynamics and alliance politics between Korea and Japan trapped in the alliance`s security dilemm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can understand that alliance relations have faced the rapid change of moving out of the diplomatic cohesion since the 1990s. The reason for the change is that a top policy maker or power-holding force exerted their political influence in the course of blending the changed standpoint of power-seizing force, perception of alliance politics and the dilemma of alliance. To the contrary, the security environment`s change in the northeast Asia or the conflicting situation of the international system didn`t make a big effect on the change of the alliance relation. It`s difficult to predict the future of both alliances at present. Nonetheless, the analysis of this paper shows that three regimes` response to alliance`s dilemma depends on how each of them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alliance. Especially, Korea and Japan will decide how to respond to demands from their common ally based on considering each nation`s sovereignty and security matters.

      • KCI등재

        미ㆍ중관계와 한미동맹: 연루상황하 약소국의 전략적 선택

        손한별(SOHN Han Byeol)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3 신아세아 Vol.20 No.2

        2013년 60년을 맞는 한미동맹은 탈냉전기 국제체계의 구조적 전환 속에서, 숨겨져 있던 "동맹정치(alliance politics)"의 활발한 움직임을 목도하고 있다. 동맹정치는 정상적인 동맹행위이며, 비대칭동맹이 태생적으로 가지고 있는 동학이다. 탈냉전기 한국과 미국이 인식하는 위협은 전혀 다르며, 한미동맹의 틀 속에서 한국은 방기될 수도, 연루될 수도 있다. 방기를 우려하여 동맹을 강화하면 할수록 연루의 가능성은 높아진다. 타이완, 센카쿠, 북핵 문제는 비구조적인 위협이 미국과 중국의 구조적인 갈등으로 비화될 수 있는 주요한 사례들이며, 한국은 미ㆍ중갈등에 연루되고 선택을 강요받는다. 미ㆍ중 간의 전략적 사고 속에서 한미동맹이 어떻게 작동할 것인가의 문제는 더더욱 민감해지고 있다. 방기의 우려도, 연루의 우려도 동시에 존재한다. 이 논문은 비대칭적 동맹의 약소국으로서, 미ㆍ중 간의 갈등 상황 하에서 어떻게 연루상황을 평가하고 대처할 것인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이 처할 수 있는 연루의 갈등구조 속에서 한국의 선택지에는 편승, 균형, 대기가 있으며, 전략적 선택의 기준으로 승리가능성과 이익배분을 제시하였다. 논문은 한미동맹의 연루를 강요하는 타이완, 센카쿠, 북핵문제라는 세 가지 시나리오의 갈등구조를 분석하고. 한국의 전략적 선택을 전망한다. 나아가서 국가이익에 대한 전략적 판단에 기초하여, 한미동맹 속에서의 한국의 선택으로 호혜적 관계형성, 필요 이익의 제공, 자주국방을 주장한다. The ROK-U.S. Alliance has lasted to this day as a key component of sustaining peace and secur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Asia-Pacific region. But in the Post-Cold war era. the ROK-U.S. Alliance have experienced 'alliance politics.' and various ups and downs in their relationship. When ROK tries to diminish a risk of 'abandonment.' it is reluctant to take a risk of 'entrapment.' especially amid U.S-China military conflicts.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criteria of Korea's strategic choices in the conflicts between U.S. and China. Korea has at least three options. It can align with U.S. or China by balancing and bandwagoning, or try to avoid taking part in the conflict by waiting. When deciding how to enter the conflict, Korea should calculate with the probability of prevailing and payoff through the bargaining. And three entrapment scenarios as critical cases for ROK-U.S. Alliance seem plausible: declaring the independence of Taiwan, territorial dispute over the Senkakus, and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program.

      • KCI등재

        1990년 이후 한국의 정치동학과 한미동맹

        이기완(Ki-Wan Lee)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1 국제관계연구 Vol.16 No.1

        본 논문은 냉전기 안정적으로 유지되던 한미동맹이 1990년 이후 균열현상을 보인 원인을 한국의 국내정치 동학과 동맹의 딜레마, 그리고 동맹정치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의 신현실주의적 시각과는 달리 한미동맹의 균열은 한반도 안보환경의 변화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민주화 세력의 정권 장악에 의한 권력관계 및 대미인식의 변화와 북핵문제를 둘러싸고 초래된 동맹의 딜레마 등이 중첩하는 과정에서 자주 외교와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주창하는 ‘전술적 친미론자’들의 정치적 결정에 의해 발생했던 것이다. 즉 한반도 안보환경 내지 북핵문제라는 구조적 제약성이 김대중 · 노무현 정부의 안보정책의 선택범위를 제한하는 요인이 되었지만, 그것이 미국과의 동맹 강화로 연결되기보다는 오히려 핵심 쟁점을 둘러싼 이견 차이와 맞물리면서 한미동맹의 균열을 초래했던 것이다.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potential causes behind the crack in the Korea-US alliance that was stable during the Cold War era before it began heading south in the 1990s, by focusing on the dynamics of Korean politics, the alliance’s security dilemma, and the alliance’s politics. Analysis shows that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neo-realist perspective, the chasm in the Korea-US alliance relations evolved not from changes in the global security landscape around the Korean Peninsula, but rather from the politically-inspired decisions of the ‘tactical pro- Americanists’ who advocated self-reliance in diplomacy and peaceful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s the pro-democracy camp came to power, which overlapped with changes in the perspectives toward the US and the dilemma with the US in relation to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o be more specific, structural constraints of the national security landscap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restricted the scope of choices available to the national security policy makers of DaeJung Kim and Moo-Hyeon Roh administrations, which overlapped with differences of opinion over key issues with the US and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a crack in the Korea-US alliance relations rather than the further strengthening of the alliance.

      • KCI등재

        60년 한미동맹의 지속과 변화

        정항석(Haang-Sok Jung)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2013 평화연구 Vol.21 No.2

        지난 60년 동안 한미동맹은 한반도 전쟁억지, 동북아 세력 균형에 이바지하였고, 한국경제의 도약을 위한 안정적 환경의 조성 등에 기여해왔다. 이는 그 동안 한국이 비대칭적 동맹구조를 감내하면서 한반도와 그 주변국과의 평화적 관계를 지속적으로 이루기 위한 노력과 괘를 같아 한다고 볼 수 있다. 미래에도 한미동맹의 성격은 한반도에서 평화적 체제가 이루어지고 잠재적 위협요소에 효과적으로 대처 혹은 제거할 수 있는 곳에 있어야 하며 동맹 60년 이후에도 다음과 같은 경우는 우선시되어야 한다. 첫째, 한미동맹의 역할과 범위를 범세계적으로 확장하는 것은 매우 신중해야 한다. 특히, 포기-연루(abandonment-entrapment)의 동맹 딜레마를 극복할 수 있는 영리한 외교행위의 구축이 요구된다. 둘째, 동북아역내 상호이해와 협력을 도모할 수 있는 동맹전략의 구사가 요구된다. 대륙세력과 해양세력 사이의 지정학적 조건에서 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주변국과의 협력관계를 다변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미래 한미동맹은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의 미래에 긍정적이고 건설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공공재로의 역할에서 찾아야 한다. 결론적으로 동맹형성의 동인이었던 북한이 국제사회로의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교각의 역할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한반도와 역내 국가간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다자안보기구의 설립을 제도화하는 방향으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평화적이고 안정적인 다자안보협력의 상설화를 통해서 군사적 한미동맹관계의 성격을 완화하고 역내 국가와의 협력적 관계를 강화하는 유연한 동맹정치가 요구된다. For 60 years, the alliance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has been firm and strong while South Korea has borne untold dilemma of the asymmetrical aspects of the alliance so as to achieve the perpetual peaceful relationship between two Koreas. It reflects shared security interests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cope with extension of communist on the peninsula. Today it appears to be on a path toward the reregulation of the ROK-US alliance each other, leading many to reconsider positively about the future of the alliance. It needs to improve a redefinition of the ROK-US alliance and establish a more reasonable alliance strategy for the future. The key question today, as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enter their own way, is not whether that relationship can be sustained, but whether what it works for, with friends and supporters of the alliance in both countries. In advance, beyond the current US-dominated alliance,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establish a sound alliance strategy for the future based on the expanded definition as follows; i) the alliance must basically works for the best interests of the counter-North Korean. It must stay on the function of the alliance against Pyongyang. ⅱ) The current US-dominated alliance would change to one with significant security of Seoul and a peninsula orientation. ⅲ) Korea needs a strong and forward-looking US-ROK alliance to coordinate conflicts in the Northeast Asia as well as on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the two countries needs focus on strengthening security and economic cooperation, and try to find ways to work out the regional political issues.

      • KCI등재

        한국 진보-보수 진영의 한미동맹에 대한 태도에 관한 국제정치학적 분석

        김석준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3 국제정치연구 Vol.26 No.4

        Do South Korea's alliance behaviors vary? This study, based on Glenn Snyder's alliance theory, presents a political ideology-based model. This paper argues that South Korea's decision-makers' political ideology—the ideology of the government and the governing party—influences South Korea's North Korea policy and alliance policy systematically. This systematic influence, in turn, affects the alliance's security dilemma. This study also posits that South Korea's political leaders, positioned on the left-right spectrum in terms of their ideologies, make different strategic choices based on their distinct assessments of North Korea's intentions and the prospects of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Left-wing leaders tend to prioritize reducing the risk of entrapment while accepting the risk of abandonment. In contrast, right-wing leaders tend to favor reducing the risk of abandonment by the United States while taking on the risk of entrapment. I anticipat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alliance security dilemma theory, which has been relatively stagnant for a while. 한국의 동맹 행동은 어떻게 변하는가? 본 연구는 글렌 스나이더 (Glenn Snyder)의 동맹 안보 딜레마 (alliance security dilemma) 이론을 토대로 정치이념 기반 모델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한국의 집권세력, 즉 정부 및 집권여당의 정치이념이 한국의 대북정책과 한미동맹정책에체계적으로 영향을 주고, 이러한 영향이 결국 동맹안보 딜레마에도 영향을 준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이념적으로 좌-우 스펙트럼에 있는 한국 정치 지도자들이 동맹에 관한 전략적 선택에서 정치이념에 따라 다른 선택을 하게 되는데, 이것은 북한의 의도에 대한 평가와 북한과협력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이익에 대한 전망에 대한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좌파 지도자들은 미국 주도의 전쟁에 연루될 위험을 줄이는 것을 선호하고, 미국에 의해 동맹이 약화될 위험을 감수하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우파 지도자들은 한미동맹이 약화될 위험을 줄이는것을 선호하며 반면 전쟁에 연루될 위험을 감수하는 경향이 있다. 동 논문은 그간 비교적 정체되어왔던 동맹안보 딜레마 이론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