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돈점 논쟁의 독법 구성

        박태원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69 No.3

        지눌의 돈오점수를 비판하는 성철의 돈오돈수 주장 이래 전개된 돈점 논쟁의 핵심 논점은, 내용상 상호 연관되어 있는 두 가지 질문으로 요약할 수 있다. ‘지눌이 설하는 해오(解悟)로서의 돈오를 분별 알음알이인 지해(知解)로 간주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하나이고, ‘지눌의 돈오를 화엄사상, 특히 성기사상에 의거한 원돈신해로써 파악하는 것은 충분한 가?’가 다른 하나이다. ‘지눌의 돈오는 화엄적 해오이다’라는 명제를 공유하고 있는 기존의 돈점 논쟁에는 논리적 혼란과 기술(記述)의 모호함이 내재하고 있다. 특히 지눌의 돈오점수를 수긍하여 옹호하려는 관점들에서 그러한 문제점이 부각된다.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설정하면서도 그 차이의 내용을 의미 없는 수사적 어법으로써 대체하는 모호함이 있고, 돈오/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하면서도 돈오/해오의 내용을, 지해의 해애(解碍)를 지닌 화엄의 원돈신해로 채우고 있는 논리적 모순을 안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돈점 논쟁에 내재한 혼란을 해소하고 돈점 논쟁을 새롭게 읽기 위한 독법의 구성이 요청된다. 필자는 그 새로운 독법의 구성조건으로서 ‘언어와 분별의 관계’ ‘분별의 통로’ ‘분별 극복의 방식’을 주목하였다. 선종 선문을 비롯한 모든 불교전통의 관심은 결국 ‘분별로부터의 해방’ 문제로 귀결되고 있다는 점, 돈점 논쟁의 주역인 선종 선문이 주창하는 돈오 견성의 관건도 결국에는 ‘분별’ 여부에 있고 성철의 지눌 비판 논거인 ‘지해(知解)/해애(解碍)’도 분별을 특징으로 하는 앎/이해라는 점, 그리고 분별과 지해는 결국 언어를 떠나 논할 수 없는 ‘언어의 문제’라는 점을 주목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구체적으로는 ‘언어와 분별문법의 형성’ ‘분별의 두 가지 통로 - 이해/관점에 의한 분별과 마음에 의한 분별’ ‘분별 극복의 두 가지 방식과 언어 - 혜학적 방식과 정학적 방식’의 문제를 불교적 사유로 다루어 보았다. 이렇게 해서 구성된 독법으로 돈점 논쟁을 읽으면, 지눌의 돈오가 혜학과 정학의 두 가지 맥락에서 펼쳐진다는 것, 그의 돈오는 두 지평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별하여 접근해야 한다는 관점을 수립할 수 있는 동시에, 돈점논쟁을 다루는 틀과 방식을 바꿀 수 있다. 아울러 지눌의 선사상, 그의 돈오점수와 성철의 돈오돈수, 돈점 논쟁의 의미, 간화선의 의미, 불교 수행론 등, 연관된 모든 주제들을 재검토/재음미할 수 있는 길도 열린다.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having the proposition that ‘Chi-nul(知訥)’s sudden enlightenment(頓悟) is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in common has som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Especially the supporters’ view of Chi-nul(知訥)’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頓悟漸修) show th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in that they argu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nd assert that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is the Wha-um’s WonDonSinHae(圓頓信解) which has the hindrance of intellect simultaneously. And their description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re vague and meaningless. In order to solve the confusion and to read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newly, a different way of reading is to be constructed. To form the new way of reading, I set forth ‘language and the formation of dividing grammar’ ‘the two way of dividing - dividing by understanding/view and dividing by mind’ ‘the two overcoming methods of dividing and language - the method of wisdom practice(慧學) and the method of concentration practice(定學)’ upon the Buddhist philosophy. This new way of reading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is to open a new way which can re-investigate and re-appreciate Chi-nul(知訥)’s Seon(禪) philosophy, hi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頓悟漸修) and Sung-chul(性徹)’s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e(頓悟頓修), the meaning of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the meaning of Gan-wha-seon(看話禪), and the practice theory of Buddhism.

      • KCI등재

        돈점 논쟁의 쟁점과 과제

        박태원(Park, Tae-won)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2 No.-

        지눌의 돈오점수를 비판하고 돈오돈수를 천명한 성철의 돈점론 이후 전개된 돈점 논쟁에서, 그 핵심 논점은 결국 상호 연관된 두 가지 질문으로 요약된다. ‘지눌이 설하는 해오(解悟)로서의 돈오를 지해(知解)로 간주할 수 있는가?’하는 것이 그 하나이고, ‘지눌의 돈오를 화엄사상, 특히 성기사상에 의거한 원돈신해(圖頓信解)로써 파악하는 것은 충분한가?’가 다른 하나이다. 해오를 지해라고 간주하여 돈오점수를 비판하는 성철은, 그 논거를 ‘지눌의 돈오는 해오이고 그 해오는 화엄의 원돈신해 관법을 그 내용으로 삼고 있다’는 데에서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을 사람들도, ‘지눌의 돈오는 화엄 원돈신해를 그 내용으로 삼고 있으며, 그의 돈오/해오는 화엄의 성기론적 이해를 담기 위한 것 혹은 그 결과’라는 관점을 널리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지눌의 돈오/해오를 화엄의 원돈신해와 등치시킨다는 점에서는, 성철은 물론 대다수 지눌 연구자들의 견해가 일치한다. 결국 ‘해오(解悟)/지해(知解)/해애(解碍)’를 동일시하는 성철의 견해에 대한 판단과 평가는, ‘화엄적 해오가 지해인가 아닌가?’에 어떻게 답하느냐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하는 견해들은 ‘화엄적 원돈신해가 단순한 지해와는 다르다.’고 할 것이고, 성철의 관점에서는 ‘아무리 차이를 부여해 보았자 본질적으로 지해 범주를 못 벗어난다.’고 공박할 것이다. 돈오점수에 대한 성철의 비판으로 전개된 돈점 논쟁에는 그 핵심 논점을 둘러싸고 혼란이 존재한다. ‘지눌의 돈오는 화엄적 해오이다’라는 명제를 공유하고 있는 기존의 돈점 논쟁에는 아직 해소되지 못한 논리적 혼란과 기술(記述)의 모호함이 내재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눌의 돈오점수를 수긍하여 옹호하려는 관점들에서 그러한 문제점이 부각된다.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설정하면서도 그 차이의 내용을 의미 없는 수사적 어법으로써 대체하는 모호함이 있고, 돈오/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하면서도 돈오/해오의 내용을, 지해의 해애(解碍)를 지닌 화엄의 원돈신해로써 채우고 있는 논리적 모순을 안고 있는 것이다. 이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서는 돈점 논쟁을 다루는 틀과 방식을 바꾼 새로운 독법이 요청된다. 돈점 논쟁의 핵심 논점을 둘러싼 모호함과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 새로운 독법의 구성은 기존의 논의 구조를 지탱하는 핵심 명제들을 재검토하는 데에서 출발해야 한다. 특히 ‘지눌의 돈오는 화엄의 원돈신해적 해오’라는 명제를 재검토해야 한다. 만약 이 전제에 갇히지 않을 수 있다면 논의의 틀 자체를 바꿀 수 있고, 그 결과 지눌의 선사상, 그의 돈오점수와 성철의 돈오돈수, 돈점 논쟁의 의미, 간화선의 의미, 불교 수행론 등, 연관된 모든 주제들을 재음미할 수 있는 길도 열리게 된다. The point of dispute on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is to be condensed in two questions; One is “Is it reasonable to regard the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s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nd the other is “Is it sufficient to see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 as Wha-um’s WonDonSinHae(圓頓信解)?”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having the proposition that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 is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in common has som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Especially the supporters’view of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頓悟漸修) show th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in that they argu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nd assert that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is Wha-um’s WonDonSinHae(圓頓信解) which has the hindrance of intellect simultaneously, And their descriptions of the difference between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re vague and meaningless. In order to solve the confusion and to read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newly, a different way of reading is to be constructed. To form the new way of reading, the proposition that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 is the Wha-um’s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must first be reconsidered.

      • KCI등재

        돈오(頓悟)의 두 유형과 반조(返照) 그리고 돈점 논쟁

        박태원 ( Tae Won Park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2 철학연구 Vol.0 No.46

        이 글은 동북아시아 불교, 특히 선종 남종선 사상과 수행의 정체성으로 간주되는 돈오사상을 두 유형으로 구분하여 파악하여야 한다는 ``돈오 유형구 분론``을 제안한다. ``차츰차츰/점차로/차례대로/단계적으로``의 점(漸)과 ``단박에/몰록/단번에/한꺼번에/갑자기``의 돈(頓)은 상반된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선택된 개념조합이다. 기존의 돈점 논쟁에서는 돈과 점의 개념 대비를 대부분 시간의 의미로 읽는다. 그러나 시간적 접근만으로는 돈점론의 본의에 접근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돈점에 관한 수많은 혼란과 오해, 불필요한 논쟁, 겉도는 논란의 원인이 되곤 한다. 돈점론적 통찰의 불교적 핵심은, 시간의 시선보다는 범주/지평/계열의 시선으로 포착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돈오는 두 유형으로 구분하여 파악해야 한다. ``이해/관점/견해 범주의 통째적 전의``인 혜학적 돈오가 한 유형이고, ``마음 범주의 통째적 전의``인 정학적 돈오가 또 하나의 유형이다. 이해/관점/견해의 무지와 환각을 이성/논리/지식 능력을 통해 통찰하고 교정해 가는 정견/혜학의 길은, 실체적 자아를 조건으로 구성된 존재론과 세계관의 범주/체계/계열 자 체에서 탈출하는 이지적 국면을 겨냥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단박에/몰록/단번에/한꺼번에/갑자기``의 돈(頓)이며, 이해/관점/견해 범주의 통째적전의(轉依)로서, 혜학(慧學)적 돈오라 할 수 있다. 또한 존재 환각을 조건으로 형성된 ``실재 왜곡의 마음``에 지배받지 않으려면, 그 마음의 범주와 계열에서 ``통째로 빠져나온`` 자리를 확보해야 한다. 이 통째적 국면전환과 자리바꿈은 실재를 왜곡/오염하는 마음의 전제인 존재 환각자체를 무효화시키는 것이므로, 마음의 비연속적 전환국면이고, 범주이탈적 자리바꿈이며, 마음 범주의 통째적 전의(轉依)로서, 정학(定學)적돈오라 부를 수 있다. 돈오에 관한 선종의 언어들, 특히 돈오와 반조(返照)의 관계에 대한 선문의 언어를 음미해 보면, 선종의 관심은 정학적 돈오에 집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돈오를 ``이해/관점/견해 범주의 통째적 전의``인 혜학적돈오와 ``마음 범주의 통째적 전의``인 정학적 돈오의 두 유형으로 구분해 보는 유형구분론, 그리고 선종이 돈오 견성의 방법으로 설하는 반조/회광반조의 의미에 대한 본고의 논의는, 돈점 논쟁의 새로운 독법을 구성하는 핵심 조건이 될 수 있다. 특히 화엄적 돈오가 왜 지적 이해의 한계와 장애(解碍)를 지니는 해오(解悟)인지를 설명할 수 있는 동시에, 지눌의 돈오를 ``화엄의 원돈 신해적 해오``에 국한시키지 않을 수 있는 길을 열어, 지눌의 돈오점수 사상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a view on the two types of Sudden-Enlightenment(頓悟). Sudden-Enlightenment(頓悟) is to be understood by two types. One type is the Sudden-Enlightenment of Wisdom Practice that is the entire escape from the category of understanding/a point of view/opinion, another type is the Sudden-Enlightenment of Concentration Practice that is the entire escape from the category of mind. The way of Right View/Wisdom Practice(正見/慧學) that penetrates and heals the ignorance and hallucination of understanding/a point of view/opinion by reason/logic/knowledge, aiming the intellectual aspect which escapes from the categorial system of the ontology and the view of the world made by the substantial ego, is the Suddenness of ``all at once/ all together/ at a time``, and can be named Sudden-Enlightenment of Wisdom Practice(慧學的頓悟) as the entire escape from the category of understanding/a point of view/opinion. And not to be governed by the reality-distorting mind that is composed based on the hallucination of existence, the entire escaping aspect from the mind`s category is to be secured. This entire escaping aspect, making the hallucination of existence which distorts and contaminates the Reality invalid, is to be called the Sudden-Enlightenment of Concentration Practice(定學的頓悟). Discriminating the Sudden-Enlightenment into two types as Sudden-Enlightenment of Wisdom Practice(慧學的頓悟) and Sudden-Enlightenment of Concentration Practice(定學的頓悟), and understanding the relation between Sudden-Enlightenment(頓悟) and Reverse-Reflection(返照) can open the new way to understand the Sudden-Gradual Argument(頓漸論爭) and catch the new meaning of it.

      • KCI등재
      • KCI등재

        비교종교학의 관점에서 본 한국불교의 頓漸論爭 - 頓悟頓修 없이는 그리스도교가 무너진다

        서명원(Seo Myeong-Won) 보조사상연구원 2005 보조사상 Vol.24 No.-

          The sudden-gradual debate (頓漸論爭) taking place in the country of the Morning Calm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has become a central feature of Korean Buddhism. It has been chiefly enacted by Master T"oeong So?ngch"o?l (退翁性徹), 1912-1993) from the Haein Monastery (海印寺), advocating a sudden-sudden approach of awakening and cultivation (頓悟頓修). So?ngch"o?l thus radically rejects the sudden-gradual paradigm (頓悟漸修) that has been the hallmark of Korean Buddhism since Master Chinul (知訥, 1158-1210), from the Songgwang Monastery (松廣寺).   For So?ngch"o?l, true sudden awakening definitely transforms someone into a Buddha. Such is the experience of the Buddha ?akiamuni and anything that falls short of that definition, i. e. that requires further practice to achieve buddhahood, should never be called ‘sudden awakening’. Moreover, in sharp contrast with Chinul promoting an amalgamation of So?n (禪) and Hwao?m (華嚴) doctrine, along the line of Guifeng Zongmi (圭峯宗密), So?ngch"o?l bases himself on a thorough reading of the Chan Canon (禪藏) to advocate a complete break with all scholastic teachings.   Though So?ngch"o?l has achieved during his lifetime the status of an outstanding national figure and of a great meditation master, his doctrinal views have been rejected as too dogmatic and fundamentalist by most Korean academics. They generally tend to be much more attracted by Chinul"s inductive thought and diachronic view of time. Indeed, a close study of So?ngch"o?l"s numerous works reveal a highly deductive mind and a predominantly synchronic conception of reality. However, despite those undeniable flaws, So?ngch"o?l"s teachings on sudden awakening, achieved almost exclusively through the practice of kanhwaso?n (看話禪) and along the line of Dahui Zonggao (大慧宗?), clearly seem to defend a point that deserves to be heard by anyone genuinely interested in Korean Buddhism.   In an attempt to bring new light on the debate, this paper examines whether or not structures of mystical experience resembling the divergent approaches of Chinul and So?ngch"o?l can be found at work in early Christianity. Indeed, though in somewhat different forms, the sudden-sudden and the sudden-gradual paradigms are clearly present in the New Testament: the former being the privilege of the founder of the tradition, and the latter that of the vast majority of his followers. It must be noticed, however, that the gradual paradigm cannot exist by itself; it has to be moving in the orbit of the sudden one. In other words, the gradual practice that follows an initial and sudden awakening - through which a disciple understands that he can become like his master - can only take sense if the founder himself has suddenly achieved the ideal of full realization toward which his disciples are progressively striving. Christ does not require at all from his disciples that they become as suddenly and definitely enlightened as he himself became when he was baptized, at the outset of his public life. Nevertheless, he does expect them to share his identity as completely an perfectly as possible in order to be able to take over the task of announcing his kingdom. During that growth process, if he generally displays a considerable amount of patience, he also scolds them, at times, because of their slowness to achiev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ruth. They are thus called to work more diligently at filling the gap between what he is and what they are. Ultimately, though, it is the death of their master that will allow them to achieve this goal. In other words, a full appropriation of their master"s teachings and way of being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a radical separation from him.     The above results can foster a better Buddhist-Christian encounter within the Korean peninsula. They show that the key para

      • KCI우수등재

        선사상에서 해오(解悟)의 함의

        마해륜 불교학연구회 2023 불교학연구 Vol.74 No.-

        성철에 의해 촉발된 돈점논쟁에서 해오의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 다양한 담론이이루어졌지만, 해오와 증오의 본질적 차이에 대한 의문은 제기되지 않았다. 선불교의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해오와 증오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이해와 분별(해오) 안에서 깨달음을 실현하려는 지향성을 갖는다. 해오/증오를 분별의 여부나 시간적 선후관계로 접근하는 대신, 깨달음의 체험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마음 변화의 두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증오는 구경에 도달하는 순간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반대로 ‘이미 완전하게 갖추어진 지각능력’의 확인이라는 점에서 전제이자 출발점이다. 증오가 즉각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면 그것이이미 우리 안에 완결된 상태로 갖추어졌기에 가능한 것이다. 이 경우 증오는 갖춤의완전성이라는 측면에서 시작이기도 하고, 해애(解碍)의 종식이라는 측면에서는 구경이라고 할 수 있어서 양가적이다. 증오는 해오의 세계 안에서 일어나는 체험이며둘은 완전하게 별개는 아니다. 증오는 먼 미래의 최종목표가 아니라 해오의 해체적과정이며, 해오를 범주화하지 않게 하는 메타포다. 해오는 이해에 의한 깨달음이 아니라 마음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지시한다. 의미체계 안에서 인식 전환의 체험이 해오의 함의다. 그러나 해오는 단지 특정한 의미에대한 언어적 깨달음”이 아니라 “어떠한 언어적 이해도 절대적이지 않다”는 메타적이해를 포함하는 깨달음이다. 한편 증오는 마음 변화의 해체적 측면을 지시한다. 이미 구성된 마음을 실재라고 여기지 않고 해체하는 순간이 증오이며 이 계기는 영원한 미래로 연기되지 않고 모든 현재의 순간에서 실현된다. 해오와 증오는 마음의 전환 과정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두 가지 측면의 변화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性徹스님 理解를 위한 考察 - 그 분의 面貌를 어떻게 西洋에 소개할 것인가?

        서명원(S? My?ng-W?n) 불교학연구회 2007 불교학연구 Vol.17 No.-

          S?ngch"?l ranks among the most outstanding monks of the 20th century. He served as meditation master of the famous Haein Monastery (1967-1993) for twenty-six years, including twelve years (1981-1993) as Patriarch of the Chogyejong, by far the largest Korean Buddhist order. But his place in Korean Buddhist history is not without controversy, particularly his utter rejection of the then well-established “sudden-gradual” doctrine of awakening and practice advocated by Master Chinul (1158-1210). The effort to replace it with his own “sudden-sudden” doctrine has so alienated the vast majority of Korean Buddhist scholars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balanced accounts of S?ngch"?l"s significance in histories of contemporary Korean Buddhism.<BR>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I use a dialectical approach, based on the Buddha"s doctrine of the middle path, to address seven of the most common misunderstandings regarding S?ngch"?l"s life and thought. My argument is that S?ngch"?l" must be seen not as an academic, but as a religious figure who dedicated his life to the practice of meditation.<BR>  The second part examines both the doctrinal and the socio-political background of S?ngch"?l"s rise. Here I argue that the roots of S?ngch"?l"s sudden-sudden teaching were more religious than academic. The teaching arose not from an objective re-interpretation of Chinul, but from the need to reform the Korean Buddhist tradition that was in a deep state of disarray after several centuries of decay. The teaching was something of a doctrinal coup d"?tat at the Haein monastery, dating from 1967.<BR>  The third part compares the two contending paradigms in the Korean “sudden-gradual” controversy, suggesting that the differences are more of emphasis than substance. Chinul devotes more attention to the process leading to awakening, while S?ngch"?l focuses more on the awakening itself. Nevertheless, since S?ngch"?l also includes the four stage process to full enlightenment, one cannot suggest the two paradigms are diametrically opposed.<BR>  Since S?ngch"?l"s thought can only be understood within its religious and socio-political context, the introduction of his thought to the West must include a careful review of that historical context. Authoritarian, doctrinal approaches of understanding have lost favor in Korea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over nearly two decades. Koreans and their counterparts in the West tend to prefer a more dialogical approach to the truth, rather than the absolute approach developed by S?ngch"?l. It has now been a long time since Thich Nhat Hanh and the Dalai Lama, the most successful Asian Buddhist in the West and in the world, have understood that fact and put it in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