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退翁 性徹의 頓悟頓修 思想

        都大玄 한국불교학회 2008 韓國佛敎學 Vol.50 No.-

        In the Seonmun-jeongro, Seong-cheol insists,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Korean Seon, that the basic purport of Seon school lies in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頓悟頓修). He defines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as becoming Buddha by achieving Ultimate Enlightenment. Enlightenment, for him, is always ultimate enlightenment. But most of Korean Buddhist scholars criticized his opinion seriously and Seong-cheol's standpoint has not been accepted in Korean Buddhist academic worl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leaved a big footmarks in the history of Chinese Seon school. It is based on the philosophy of sixth patriarch Hui-neong and the mindlessness of Patriarch Seon. Master Seong-cheol emphasizes mindlessness on the basis of the Middle path especially. Since Korean Seon has followe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of Master Bojo, it has not given serious consideration to mindlessness. From the viewpoint of Seong-cheol Seon,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 is incomplete theory of Enlightenment. Nevertheless, it has been regarded as a guiding principle of Seon practice for last over 8 hundred years of Korean Seon. It can be said that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 is an intellectual misunderstanding and makes us stop cultivation on the way to the ultimate enlightenment. Therefore Seong-cheol criticize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 strongly, and expounded the true meaning of ultimate Enlightenment which can be attained only through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As Seong-cheol insisted, if we change the term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 to Intellectual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there can be two different and compatible standpoint of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that is,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and Intellectual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in Korean Seon Buddhism. 性徹은 『禪門正路』를 통해 韓國禪宗史에서 처음으로 선종의 근본종취는 ‘頓悟頓修’에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돈오돈수란 ‘단박 깨침과 단박 닦아 마친다’는 뜻으로, 한번 깨치면 부처가 된다[見性成佛]는 것과 깨침이란 더 이상 닦을 것이 없는 완전한 究竟妙覺이라고 정의한다. 그러 나 한국불교계 많은 학자들은 그의 주장에 대해 강한 비판을 가하였고, 아직도 학계에서 정설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중국선종계에서는 큰 발자취를 남긴 ‘中道에 입각한 돈오돈수사상’은 六祖 慧能의 돈오돈수사상인 동시에 祖師禪의 無心思想이다. 性徹은 이 가운데 특히 중도를 근간으로 한 무심사상에 강조점을 두고 있다. 그 이유는 韓國禪에서는 普照 知訥의 頓悟漸修說로 인해 無心에 소홀해왔기 때문이다. 사실 ‘미완성 견성이론’이라 할 수 있는 돈오점수설이 지난 8백여 년간 수행지침으로 지켜져 온 것은 한국선불교의 큰 과오라고 볼 수 있다. 解悟를 究竟覺으로 착각하기 쉬운 돈오점수설은 見性의 과정인 중간단계에서 수행을 그만 둘 수 있는 이론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性徹은 ‘頓悟’의 정체를 분명히 하기 위한 과정에서, 돈오점수비판이 요구되었던 것이며, 古佛古祖의 經論과 語錄을 바탕으로 하여 잘못된 한국선불교의 見性觀을 바로잡으려는 것이 그 본질이다. 性徹의 주장처럼 만약 ‘頓悟漸修’라는 용어대신 ‘解悟漸修’로 고쳐 쓰기만 한다면 한국선불교사에서 깨달음을 보는 시각이 서로 다른 두 이론이 나란히 공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혜암의 선사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

        황금연 대각사상연구원 2020 大覺思想 Vol.34 No.-

        이 논문은 혜암성관(慧菴性觀, 1920∼2001)선사의 수행과 사상을 그의 불교관을 비롯하여 참선관․화두관․견성관의 순서로 엮어 살펴본 글이다. 기록을 통해보면, 선사는 첫째, 한 인간으로서 자기의 삶, 자기 관리에 무엇보다 철저했던 인물이다. 둘째, 출가 이후 그의 삶 전체는 붓다의 제자로서 한 치의 어긋남이 없는 수행자의 삶을 일관한 귀감이었다. 셋째, 그의 수행 전체는 오로지 화두참구를 통한 생사해탈에 금생 전체를 걸었던 간화선의 종장이었다. 선사의 수행 전반(全般)을 이루고 있는 기본기조는 참선을 위해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기 위한 하루 한 끼의 공양과 장좌불와, 육신의 원활한 운용을 위한 일(운력)의 세 가지다. 불구덩이같이 좋지 않은 이 세상에서 오직 할 일은 붓다와 같이 자기 마음을 깨쳐 고해에 빠진 중생을 제도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자기 마음을 깨치는 수행은 오직 참선이고, 그 가운데도 화두를 참구하는 간화선이란 것이 그의 불교와 수행을 보는 핵심이다. 그에게 있어서 불교는 인간에게 있어 최상의 혁명이며, 참선은 인간의 본래면목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깨달음의 길이다. 본래면목으로 돌아가기 위해 번뇌와 망상을 다 버리고 대무심(大無心)의 경지를 얻어야 하며, 이는 화두참구를 통해 돈오돈수 함으로써 구경각(究竟覺)에 이르는 것이다. 불교의 성불하는 방법 중 관법과 주력, 독경․묵조선 등 그 어떤 것도 화두참구를 통한 간화선에 미치지 못하며, 다른 종교나 무종교인을 포함한 인간 모두가 참선을 하여 자신의 주인공을 깨달아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에게 있어 참선은 자성에 합하여 청정심을 보양하고 밖으로 치달려 구하지 않는 자성공양이며, 자기와의 고독한 행군이고 치열한 전쟁이다. 또 믿음에서 바로 들어가 빼기를 하는 작업, 즉 곁가지를 제거하는 일이다. 그 전쟁을 위한 무기가 바로 화두다. 또 1700공안이라고 하는 전등록의 많은 화두는 그 가치가 동등하다. 따라서 수행자는 그 가운데 오직 하나만 가지고 깨달으면 견성성불하고, 그것은 숙면일여가 되기 전에는 풀 수 없다는 것이 근본적으로 서야한다고 하였다. 또한 무엇보다 화두의 생명은 설명하지 않는 데 있으며 설명될 수도 없고, 설명하면 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나 모두다 죽어버린다는 입장을 분명히 천명하였다. 또 화두참구가 잘되지 않을 때는 “조작으로라도 ‘이뭣고’를 해서 공부하고, 그렇게 하면 ‘이뭣고’가 참 의심뭉치 하나로 되며,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터진 것을 견성이라 한다.”는 점이 눈에 띈다. 또한 우리나라 전통 참선은 간화선이며, 묵조선은 사구(死句)에 해당하고, 염불이나 묵조선․수식관 등은 비교적 하기는 쉽지만, 정력(定力)이 쌓이기 어려운 단점이 있음을 분명히 하고, 우리의 정통 선맥은 다른 법을 하나도 설하지 않고 오직 이 돈오돈수법, 그냥 확철대오(廓徹大悟)하는 법을 설하는 것이며, 다른 것은 모두 외도법이라 하였다. 정리하면, 불교는 인간에게 최상의 혁명이며, 참선을 제외하고 불교는 없다. 생사해탈을 위해서는 반드시 구경각을 성취해야 하며, 구경각인 대무심의 경지를 성취하기 위한 최상의 방법은 참선이고, 참선 중 최고의 수행법은 간화선의 화두참구이다. 즉, 화두참구를 통한 돈오가 증오이며 해탈이고 구경각이라는 철저한 확신 아래 구경각을 성취하기 위한 최상의 수행법칙으로 하루 한 끼의 공양과 장좌불와, 거기에 육신의 원활한 운용과 동정일여(動靜一如)의 수행을 위한 운력의 세 가지를 수행 내내 실천해온 한국불교, 특히 대한불교조계종의 전통적이고 모범적 수행자이며, 간화선의 참구에 있어서도 전통에서 조금도 벗어남이 없는 간화선의 종장이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ractice and thought of Hyeam Seonggwan慧菴性觀(1920-2001), along with his Buddhistic ideas of meditation, Hwadu話頭, and Gyeonsung見性. According to records, his life is summed up in three ways. First, he was a thoroughgoing person in his life and management. Second, he was a man who practice Seon禪 thoroughly as a Buddha’s disciple. Third, he was the master of Ganhwaseon看話禪, who devoted his life to enlightenment through practice. The basis of his performance is to maintain the best condition for Cham-Seon參禪. The practice is three things: eating a meal once a day一種食, Jangjwa-Bulwa長坐不臥, and working to keep the body healthy. In this world as a fire pit, all he has to do is to achieve enlightenment like Buddha and to save humankind. The practice on that is Ganhwaseon referring to Hwadu and it is the core of his Buddhist thought and performance. As for him, Buddhism is the greatest revolution for man, and Seon is the way of enlightenment to return to human nature. In order to return to human nature, a performer must abandon his anguish and delusions and gain Daemushim大無心, which leads to the enlightenment of Subitism頓悟頓修 through Hwadu. In Buddhism, there are methods to be Buddha such as meditation, dharani, reading sutra, Mukjoseon黙照禪, but Ganhwaseon is the best way. He insisted that all human beings, including other religions and atheists, should realize their Juingong主人公 through Chamseon. As for me, Chamseon is an effort to cultivate a clean mind in combination with nature, a solitary march, and a fierce struggle. Hwadu is the weapon for a struggle. It is also to get out of the mind and remove the side branches. The 1,700 public records in Transmission of the Lamp are equal value as Hwadu. Only one of these public records can lead to realization and become Buddha, above all, the vitality of Hwadu is not explained and cannot be explained. He made it clear that if someone explained or heard the topic, everyone would die. He advised a performer to do the following when referring to Hwadu when it is not going well. “If you manipulate ‘What is this?’ and study it, the lump of doubt becomes one, and if you go one step further from it, you'll attain enlightenment.” He also said, “The Korean traditional chamseon is not Mukjoseon included in Sagu 死句 but Ganhwaseon. Yeombul念佛, Mukjoseon, and susikgwan數息觀 are easy to practice, but it is difficult to build power of samadhi. The Korean authentic Seon explains the method of Subitism, that is, Hwakcheoldaeo廓徹大悟 without preaching other dharma, and other dharmas are not orthodox.” In other words, Buddhism is the greatest revolution for humans, and there is no Buddhism except for Chamseon. In order to escape from life and death, a performer must achieve ultimate enlightenment究竟覺, and the way to achieve Daemushim of ultimate enlightenment is meditation, and the best performance of meditation is Ganhwaseon that refers to a Hwadu. In other words, sudden Enlightenment頓悟 acquired through referring to a Hwadu is abhisaṃbuddha-bodhi證悟, nirvana, and ultimate enlightenment. Like this, he performed eating a meal once a day, Jangjwa-Bulwa長坐不臥, and working to keep the body moving smoothly as a performance to achieve enlightenment with broad faith. This is the performance of Dongjeong Ilyeo動靜一如. He din’t deviate from the tradition of reffering to a Hwadu, and was the master of the most exemplary Ganhwaseon.

      • KCI등재

        無住淸華의 先悟後修와 頓漸論에 관한 연구

        황금연(Hwang, Geum-Ye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9 佛敎學報 Vol.0 No.88

        본 논문은 무주청화[無住淸華, 1923-2003]선사의 수행관의 핵심과 그 원류는 어디서 온 것이며, 또 선사가 표방한 수행의 관점 가운데 대표적인 ‘선오후수(先悟後修)’라는 명백한 주장의 내용은 무엇인지를 밝힌 데 있다. 아울러 지금까지 많은 논쟁이 있어왔던 ‘돈오(頓悟)’와 ‘점수(漸修)’를 보는 선사의 관점을 육조혜능[六祖慧能, 638-713]과 비교하여 중점적으로 천착하는 데 그 중심을 두었다. 법어집 전체를 관통하고 있는 선사의 사상과 수행관은 무엇보다 부처님을 종주로 하는 일원주의와 선과 교의 회통주의적 입장에 서있다. 또 그가 주장하는 ‘선오’란 우리가 다만 업장에 가려 모를 뿐 내 본바탕, 천지우주의 바탕은 실상묘유(實相妙有)요, 진공묘유(眞空妙有)임을 확실히 깨닫는 것이며, 설사 명백히 깨닫지 못하더라도 우선 개념적으로라도 명심하고 신해(信解)하라는 것이 그 핵심이다. 또 이런 깨달음이 선 뒤에 후수, 즉 닦음이라는 과정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후수의 내용은 사가행(四加行)을 비롯해 간화선과 묵조선, 염불선 등 모든 수행에 고루 개방적 입장을 지녔다. 후수의 필요성을 역설한 그의 관점은 무엇보다 현대의 수행자들은 대체로 돈오점수의 근기에 속하므로 깨달음을 얻었다고 할지라도 다생의 습기를 녹여 제거하기 위한 과정이 반드시 있어야한다는 데 있다. 따라서 그가 생각하는 점수는 해오(解悟) 이후이든, 증오(證悟) 이후이든 동일하게 요구되는 필수적 수행과정이다. 다만 그가 생각하는 이 깨달음 이후의 점수는 그 성격이 ‘무념(無念)의 수(修)’, 즉 ‘무염오(無染汚)의 닦음’으로서 구경각, 즉 불지(佛地)에 이르기 위한 성자의 위치에서 닦는 수행이며, ‘무념의 수’라는 점에서 돈오돈수(頓悟頓修)와의 문제에 있어서도 하등 문제가 될 것이 없다는 것이 그의 뚜렷한 입장이다. 그러므로 전체적으로는 돈오점수의 입장에 서있지만, 그것조차도 상대가 어떤 사람인가에 따라 그 집착을 부수기 위해 지혜롭게 설해야 하는 것으로서 수행인의 집착의 성향에 따라 점수에 치우치는 자에게는 돈오돈수를, 본래 부처인데 닦을 것이 있겠는가라고 하는 자에게는 돈오점수를 역설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명백한 주장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oncepts and performance of the venerable Muzu Cheongwha (無住淸華, 1923-2003). It also attempts to reveal his characteristic concept of “realizing Buddha’s teachings and then practicing them later (先悟後修)” among the aspects of performance he pursued. In addition, this paper focuses on his controversial view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ing (頓悟漸修)” compared to the ideas of Master Dajian Huineng (慧能大師; 638-71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armonize Buddhist monotheism, Seon, Buddhist teachings with Muzu Cheongwha’s thoughts and practices. Hisconceptof“realizing the Buddhas teachings” implies that we do not know the truth because we are covered by karma . The foundation of one’s self and the universe is to realize the “true emptiness and marvelous being.” The key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first, even if we do not obviously realize it. After this realization, he argues that there must be a process called performance (修). The content of “practicing it later” includes all performances, including the Four Kuśalamūlas (四加行), such as Ganhwa Seon (看話禪), Silent-Penetrative Seon (默照禪), and Amitabha Recitation Seon (念佛禪). He emphasizes “to practice it later” even if they have been enlightened, modern performers generally have the character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ing,” so they must undergo a process of removing their habits. His idea of “gradual practicing” (漸修) involves performing without thinking after this realization. Thatistosay, a performer becomes a Buddha through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ing (頓悟頓修).” Overall,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ing” must be explained wisely according to a persons temperament. Muzu Cheongwha claims clearly that performers who correspond to “gradual practicing” should learn about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ing,” while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ing” should be explained to those who think that they have nothing to perform because we are originally Buddha.

      • KCI등재후보

        성철선사의 돈오돈수 연구

        김용환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8 No.-

        성철선사의 돈오돈수는 유식의 전식득지와 중도실상에 근거하여 전개되고 있다. 전식득지의 관점에서, 제8 아뢰야식은 대원경지로 전환되며, 전5식은 성소작지로 바뀐다. 대원경지와 성소작지는 불과(佛果)에서만 가능하기에 새롭게 훈습되는 종자 없이 오직 본유자체로서 점수(漸修)가 없다. 반면에 제6 의식은 아(我)와 법(法)에 대한 분별이 그치면, 보살 7지 무상정(몽중일여)에 들어 묘관찰지(妙觀察智)로 바뀐다. 제 7말나식은 초지에서 평등성지(平等性智)를 이루지만 제8 부동지의 멸진정(寤寐一如)에서 사중득활(死中得活)하여야 내외명철(內外明徹), 돈오돈수를 이룬다. 제6 의식과 제7 말나식이 각각 묘관찰지와 평등성지로 전환되는 것은 해오(解悟)로서 점수(漸修)가 가능하지만, 제8 아뢰야식과 전 5식이 각각 대원경지와 성소작지로 전환되는 것은 증오(證悟)로서 점수(漸修)가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의타기성의 긍정에서 출발하여 변계소집성의 부정을 거쳐 다시 원성실성의 진여일미(眞如一味)로서 중도실상(中道實相)을 드러낸다. 따라서 돈오는 중도실상의 진여일미 돈수와 바로 계합하여 점수(漸修)는 무용지물이다. 그러므로 돈오돈수는 생명의 중도실상을 깨치기 위해서, 성철선사가 수행과정에서 스스로 자각 정도를 점검하고자 수행 삼 단계와 화엄 십지를 심의식(心意識)의 소멸과정으로 대대(待對)시켜 정립시킨 수행의 방편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는 생명실상을 바로 봄을 뜻하며, 현대적 가치에서는 존재론적 의미치료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Master Seong-cheol explains the stages of Zen enlightenment by means of Middle Way. According to him, because our mind’s eye has been covered with ālaya-vijñāa, the basic consciousness, we don’t know the Middle Way, real realm of truth(dharma-dhāu). The eighth consciousness, ālaya-vijñāa, has three alternate design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stages of Zen practice. They are store-consciousness, consciousness as retribution and maintaining consciousness. He insists we must eliminate ālaya-vijñāa, to see True self-nature. For seeing True self-nature, Master Seong-cheol stressed on the doctrine of sudden enlightenment without passing through the gradations of practice. According to the former, the sixth consciousness is changed to the wisdom of wondrous perception in the stage of the suchness of throughout dreaming, and the seventh consciousness as manas is converted to the wisdom of equality in the stage of the suchness of deep sleeping. The eighth ālaya-vijñāa becomes the great, perfect mirror-wisdom when one sees True self-nature. The First five consciousness, the consciousness of eyes, ears, nose, tongue, and body is changed to the wisdom of achieving the task. The change of the sixth consciousness to the wisdom of wondrous perception and that of the seventh consciousness to the wisdom of equality refer to ‘intellectual awakening’. On the other hand, the conversion of the eighth ālaya-vijñāa to the great, perfect mirror-wisdom and that of the first five consciousness to the wisdom of achieving the task mean‘ complete awakening’. When we realize complete awakening, the defilement seeds in ālaya-vijñāa, are purified completely, and therefore this state can be called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Cultivation.

      • KCI등재

        중국불교에 나타난 업(業)과 윤회(輪廻)의 두 가지 양상

        이병욱 불교학연구회 2011 불교학연구 Vol.29 No.-

        In this paper, I will study how the conception and role of Karma and Samsāra in Chinese Buddhism has changed. The conception Karma and Samsāra in Chinese Buddhism was adopted by Seng-zao(僧肇) and Lu-shan Hui-yuan(廬山慧遠) in the time of wei-jin na-bei chao(魏晋南北朝). In ‘Wu bu-qien lun’ (物不遷論) Seng-zao explains the cause and effect of the action. And in “San-bao lun” (三報論) Hui-yuan says that there is no subject to receive retribution, and to receive retribution is inthe mind, and this mind does not have a fixed type. This opinion in “San-bao lun” (三報論) exactly describes Buddhist self effacement. This conception of Karma and Samsāra in Chinese Buddhism is differentiated two ways in the time of Sui-Tang(隋唐). One is that the role of karma and samsāra is reduced in Chinese Buddhist sects (Tian-tai, Hua-yan, Chan). Chinese Buddhist sects espouse the practice theory that a beginner attains right enlightenment or practice theory of du-wu du-xiu(頓悟頓修). This opinion does not admit the importance of jian-xiu(漸修). In this opinion the role of karma and samsāra are naturally reduced. The other differentiation is that Chinese writing scripture emphasizes the concepts of karma and samsāra. This is different from Chinese Buddhist sects. “Leng-yan ching” (楞嚴經) says Chinese transformation of karma and samsāra, “Fu-mu en-chong ching” (父母恩重經), emphasizes xiao(孝) in Karma and Samsāra. “Shi-wang ching” (十王經) and “Yu-lan pen ching” (盂蘭盆經) espouses Chinese transformation of fu-tian(福田) thought. 이 논문은 중국불교에서 업과 윤회의 개념과 역할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기 위한 글이다. 위진남북조시대에 승조와 여산혜원에 의해 중국불교에서는 업과 윤회의 개념이 수용되었다. 승조는 「물불천론」에서 행위의 인과를 설명하고자 하였고, 여산혜원은 『삼보론』에서 과보를 받는 주체가 없고 과보를 받는 것은 마음인데 이 마음에도 정해진 것이 없다고 하였다. 『삼보론』의 이러한 주장은 불교의 무아사상을 정확히 이해한 것으로 평가된다.이렇게 성립된 중국불교의 업과 윤회의 개념은 수당시대를 거치면서 두 가지 양상으로 분화된다. 하나는 중국의 종파불교(천태, 화엄, 선)에서 업과 윤회의 역할이 축소되는 것이다. 중국의 종파불교에서는 처음 수행을 시작한 사람이 바른 깨달음을 얻는다는 수행론이나 돈오돈수의 수행론을 주장하는데, 이러한 주장은 점수의 중요성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이 주장 속에서는 자연스럽게 업과 윤회의 역할은 축소된다.다른 하나는 중국찬술경전에서는 중국종파불교와는 다르게 업과 윤회의 개념이 강조된다는 것이다. 『능엄경』에서는 업과 윤회의 중국적 변형을 찾아볼 수 있고, 『부모은중경』에서는 업과 윤회에서 효를 강조하고 있으며, 『불설예수시왕생칠경』과 『우란분경』에서는 복전사상의 중국적 변형을 읽을 수 있다.

      • KCI등재

        퇴옹성철의 선문헌 번역사업의 배경과 의의

        박인석 한국선학회 2017 한국선학 Vol.48 No.-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publication background and history, meaning of Sŏllimgogyŏngch'ongsŏ(禪林古鏡叢書) (the collected works of the old mirror of the meditating forest) which was made by T’oeong Sŏngch’ŏl(退翁性徹 , 1912~1993), one of the representative buddhist monks of modern Korean Buddhism. The Sŏllimgogyŏngch’ongsŏ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in the first collection, total 37 books of the Sŏn literature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fully published, and the second collection was published in 2015 since 1993 when two different kinds of the Sŏn literature started to be translated. In the modern Korean buddhist history, it is rare to find the cases of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nly on the Sŏn literature, and in here it reflects deeply inside the critical mind of T’oeong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Sŏn school(禪宗). In the period when he was, the true dharma of the Sŏn school already disappeared, so he felt right thought of old Buddhas and patriarches in danger and tried to cope with it in various aspects. For example, the dharma talk based on the Sŏn literature which started from 1967 led to One hundred days dharma talk in 1967, the Linjì lù dharma talk, and the publication of Sŏnmunjŏngno in 1981. T’oeong’s dharma talk based on the Sŏn literature focused on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cultivation(頓悟頓修) as the basis of Xiūzhèng Lùn(修證論) of the Sŏn school, and especially emphasized on right interpretation of three cases of Linjì in the Linjì lù dharma talk. And it was more widely popularized by publishing Sŏllimgogyŏngch’ongsŏ.The publication of this collection made T'oeong have the objective sources on the true dharma of the Sŏn school which he stood for and became an opportunity to let Korean society know the Sŏn literatures. 이 논문은 현대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승려 중 한 사람인 퇴옹성철(退翁性徹, 1912~1993)에의해 추진된 선림고경총서의 간행 배경과 내용, 그리고 의의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선림고경총서는 크게 1집과 2집으로 나뉘는데, 1집은 1988년부터 1993년까지 총37권의 선문헌을 한글로 번역해서 완간하였고, 2집은 1993년부터 두 종류의 선문헌을 번역하면서 시작된 이후 2015년에 1권을 출판하는 성과를 거뒀다. 현대한국불교사에서 선문헌만을 집중적으로 번역·출판한 사례는 극히 드문데, 여기에는 선종의정체성에 대한 퇴옹의 문제의식이 깊이 자리 잡고 있다. 퇴옹은 그가 활동하던 시기에 이미 선종의 정법이 감추어지고, 고불고조(古佛古祖)의 바른 뜻이 매몰되었음에 깊은 위기감을 느끼고 이에 대처하기 위해 여러 측면에서 강한 비판정신을 발휘했다. 그 중 1966년에 시작된 선문헌 법문은 1967년의 백일법문, 1974년의 『임제록』 법문, 그리고 1981년의 『선문정로』의 출판을 통해 지속된다. 퇴옹의 선문헌 법문은 선종 수증론의 근본이 돈오돈수(頓悟頓修)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고, 특히『임제록』 법문에서는 임제의 삼구(三句)에 대한 올바른 해석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선문헌 법문에 대한 성과를 보다 대중적으로 확산시킨 것이 바로 선림고경총서의 간행이다. 이 총서의 간행은 퇴옹 자신에게 있어서는 그가 견지했던 선문(禪門)의정법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근거를 마련한 계기였고, 대중적으로는 선문헌을 한국사회에 보다 널리 알리는 기회가 되었다.

      • KCI등재

        性徹禪師的“頓悟頓修”与中國禪學韓國化

        위도유 한국선학회 2018 한국선학 Vol.0 No.51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Chan doctrines of Sungchul (性徹) , written in his Seonmunjeongro (禪門正路) . Sungchul gave the most importance to sudden enlightenment (頓悟) , and denied intellectual enlightenment (解悟) . He completely confronted the meditative and doctrinal , but this was not mainstream in Chinese Chan thoughts . In this paper , I considered Sungchul ’ s Chan thoughts as the inculturation of Chinese Chan thoughts in Korea . Also I think that his Chan thoughts can provide an examp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Chinese Buddhism . 본문은 『선문정로 (禪門正路) 』에서 논술되는 성철선사의 돈오돈수 학설을 분석하는 것이다. 성철선사는 견성 (見性) 의 모든 내용을 돈오 (頓悟) 에 부여하고, 돈오를 선문의 유일한수행 목적으로 삼아, 해오 (解悟) 의 경계, 가치, 그리고 작용을 철저히 부정했다. 그래서 교문과 선문을 완전히 대립시켰다. 이는 중국 선종사에서는 주류적인 사조가 아니었다. 이 논문에서는 성철 선사의 선사상을 선학의 한국화라고 보았다. 그의 선학은해오의 편향된 경향을 바로잡는 데 매우 강조점을 두고 있다. 성철 선사의 선사상은현대 중국 선사상의 발전에 본보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祖師禪에서의 本來面目의 의미와 수행

        윤영해 한국선학회 2006 한국선학 Vol.15 No.-

        조사선이 확립한 본래면목의 사상은 인간 본성에 대한 있는 그대로의 무한한 신뢰와 긍정을 담고 있다. 조사선에 의해서 파악된 현존의 인간은 고통에 허우적대는 부정적 존재일지는 모르나 본래의 인간은 부처로서의 성품(佛性)을 온전하고 완전하게 갖추고 있는 전적으로 긍정적인 존재인 것이다. 조사선이 파악한 중생들의 타고난 본래의 진실한 모습은 선험적으로 순수한 본성을 지닌 존재이다. 즉, 본래면목은 인간 안에 선험적으로 완성되어 있는 본성인 것이다. 또한 인간 본연의 이러한 본래면목을 삶과 인격으로 구현하는 조사선의 수행은 ‘즉각적으로’ ‘단박에’ 자신의 본래면목을 자각하여 깨닫고 마는 頓悟見性이며, 단박에 깨달아 단박에 닦는 頓悟頓修이며, 결국 닦음과 깨달음의 차별 없음을 아는 定慧不二로 그 성격이 요약된다. 즉, 조사선의 수행은 망상이나 분별심으로 덮인 구름을 하나하나 없애고 마음의 밝은 거울(明鐘)인 본래면목을 회복하는 것이 아니라, 청정한 자신의 본래면목을 단지 아는 것이다. 본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아는 것, 그것은 ‘선도 생각하지 않고 악도 생각하지 않는(不思善不思惡)’ 것이며, 표명되는 모든 인위적이고 상대적인 개념들을 투철하게 초월하는 것이다. 다만 그렇게 함으로써 인간의 본성, 자성, 본심, 불심, 불성, 즉 본래면목은 자연스럽게 그 참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그러므로 사실 조사선의 수행이란 ‘수행이 없는 수행’이다. 조사선에서의 道란 修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다만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것이다. 만일 일부러 수행하거나 목적의식을 가지고 수행한다면, 이것은 모두 인간성에 대한 잘못된 이해해서 비롯된 어리석음이다. 만약 道를 바로 알고자 한다면 평범한 일상의 마음[평상심]이 道라고 할 것이다. 무엇을 평상심이라고 하는가? 조작이 없고 시비가 없고 取捨가 없고 斷見과 常見이 없고 凡도 없고 聖도 없는 있는 그대로의 본래면목의 긍정인 것이다. 조사선이 보여주는 인간 본성에 대한 이러한 무한 신뢰와 긍정은 일견 이처럼 아름답기만 하다. 그러나 한편, 이러한 선포는 인간의 本覺, 즉 인간의 가능성을 강조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즉 본래면목의 강조는 인간의 본성은 부처될 잠재적 가능태(佛性)라는 사실을 적시한 것일 뿐, 그것이 현재적 완전성을 가리키는 것은 아님이 분명하다. In definition of ZyShi-Cham in China after 8th century, human beings isn't a forsaken existence for the crime or a tainted being with vice. Ideology of original-face established by ZyShi-Chan comprehends not only intact and boundless confidence but also positive affirmation of human-being's original nature. Existing human-beings who are seized by ZyShi-Chan may be a unclean existence roving in suffering, but original nature of human has totally positive and perfect immanent Buddha-hood. Human-beings' transcendental and sincere nature is genuine and pure. So to speak, original-face is a already accomplished nature of human-beings. Likewise, self-discipline of ZyShi-Cham embodies such inborn original-face in life and personality. This ascetic exercise could be summarized in three characters. sudden enlightenment of one's own nature(頓悟見性) and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e(頓悟頓修), finally percept non-discrimination between practice and enlightenment(定慧 272 韓國禪學 第15號不二) for one's original-face(本來面目). In other words, self-discipline of ZyShi-Chan isn't a process of recovering original-face which is pure as clear mirror or eliminating vagrant delusion, but a process of just enlightening one's original-face which was essentially pure. Perceiving one's original character, that is 'to return to former times be non-think virtue, non-think evil[不思善不思惡]', thoroughly transcendent of all artificial and relative concepts. By means of doing that, human-beings' original nature, svabhava and buddha-hood, exactly, original-face naturally exhibit it's true face. Therefore, self-discipline of ZyShi-Cham is 'non-disciplinary discipline(無修而修)'. Truth in ZyShi-Chan doesn't needs practice, just not to be tainted with filthiness. If someone makes practice with a sense of purpose, this is a foolish act all dated from misconception about human nature. If someone ask what is truth, truth could be referred as ordinary common mind. What is common mind? No fabrication, no right and wrong, no selection, no cease view, no constant view, no ordinary and no holy, just the way of original-face's affirmation. At the first glance, boundless confidence and positive affirmation provided by ZyShi-Chan are beautiful. But, meanwhile, such proclamation is just emphasis of ultimate perception of human, namely, human-beings' potentialities. That is to say, emphasis of original-face is merely points latency of possibilities, it doesn't mean present perfectness. By any chance, Buddhism emphasizes no more than ultimate enlightenment, it won't avoid eternal sinking to inner side without future-directive potentialities. In accordance with that, Chinese zen-buddhism's emphasis of original-face should be defined as original perfectness and future-directive potentialities, not as present perfectness. Only if one does that, it could be used as a lever for reality, not for sinking to inner side, non-historical deviation or discarding.

      • KCI등재

        性徹禅师的禪思想对近现代大韩佛教曹溪宗的影响

        곽뢰 한국선학회 2019 한국선학 Vol.0 No.54

        한중 양국은 예로부터 교류가 빈번하였다. 불교문화는 양국을 연결하는 중요한 유대이다. 근현대 시기의 한국 불교는 특수한 일본 식민지를 거쳐 굴곡이 심한 시기에 근대화를 거쳤다. 혁파 과정에서 불교 통합 종단의 명칭이 변경되었다. 결국 1962년에 ‘대한불교조계종’이 공식적으로 출범했다. 조계종은 현재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제일 큰 종단이다. 조계종의 종정(宗正)은 바로 현대 한국 불교의 발전을 이끈 핵심 인물이다. 1935년, 성철선사가 <신심명>, <증도가>를 읽고 감명을 받아 거사로서 수행하였다. 1936년에 출가하여, 동산 혜일(1890-1965)의 법맥에 올라, 용성 진종의 법손이 되었다. 성철스님은 조계종 6, 7대 종정이다. 그는 해인 총림의 첫 방장으로 재임하는 동안 해인 총림의 돈오돈수 선풍을 확립했다. 종정 10여 년 동안 대중을 선문정로로 인도하는데 전념하여 남종선의 본래 모습을 드러내었다. 성철스님의 불교관과 수행론은 현대 한국 불교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성철스님의 ‘돈오점수’ 비판과 ‘돈오돈수’ 주장은 한국 불교계는 물론 학계에서도 돈점수행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촉진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선의 본질과 특징에 대한 재인식은 전통수행법의 현대적 변천을 촉진하고 한국 선문을 남종선 수행 전통으로 회귀하는 길로 이끌면서 일대 승가의 수행관에 영향을 미쳤다. While Korea and China have had frequent exchanges since ancient times, Buddhist culture is an important bond linking the two countries. After a special Japanese colony of Korean Buddhism in the modern era, it was modernized at a time of severe flexion. The name of the Buddhist unity sect was changed during the revolution. Eventually, the "Korea Buddhist Order" was officially launched in 1962. The Jogye Order is currently the first major sect representing Korean Buddhism. The Jogye Order's species is the key figure who led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Buddhism. In 1935, Seongcheol was impressed by Yeong-ga's 'The Goddess of Truth' and performed it as a lyric. In 1936, He became a monk. Seongcheol is the 6th and 7th Jongjeong of the Jogye Order. During his tenure as the first chief of the Heain Chongnim, he established the absurdity of Don Oh Don Soo, the Heain Chongnim. During the last ten years or so, he devoted himself to guiding the public to the "Seonmun-jeongno" revealing Nam Jong-sun's original appearance. Seongcheol's view of Buddhism and the theory of performance were important influences on modern Korean Buddhism. Seongcheol's criticism of the "don-o-jeom-su" and his claim of "don-o-don-su" are facilitating in-depth discussions on money-scoring practices not only in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but also in academia. And the re-recognition of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ships influenced the performance of a great victory, promoting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performance law and leading Korean texts to the path of returning to the tradition of carrying out Namjong-seon.

      • KCI등재

        歐羅巴의 看話禪 修行 - 現況과 前望 : 歐羅巴의 看話禪 修行

        서명원(Bernard Senecal sj) 보조사상연구원 2006 보조사상 Vol.25 No.-

        본고는 구라파의 간화선 수행에 대한 현황과 전망을 밝힌 논문이다. 구라파의 간화선은 中國, 韓國, 일본, 베트남 등으로부터 유래하였다. 이렇게 전래된 간화선은 서구의 문화적 배경 속에서 흡수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서양의 문화전통 속에서 어떻게 간화선이 전개되어 왔는지에 대한 논의를 자세히 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다음과 같은 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韓國看話禪은 歐羅巴에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영역이기에 더 희망을 가질 수 있다. 둘째, 韓國佛敎 역사상 知訥의 입장은 아주 독창적이다. 셋째, 性徹 스님의 頓悟頓修 사상이 큰 논쟁을 일으켰던 만큼 韓國佛敎를 더욱 풍요롭게 만들었다고 볼 수 있으므로, 더욱 더 매력적이자 흥미 있게 느낄 수 있다. 넷째, 佛敎와 그리스도교가 공존해야 하는 오늘의 한반도 현실은 세계에 유일한 것으로서, 그리스도인들을 위한 看話禪을 이루는데 상당히 유리한 입장이 된다.(두 宗敎의 신자가 각각 인구의 1/4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다섯째, 韓國에 韓國禪道會 같은 在家修行者들을 위한 단체들이 있기 때문에, 이는 西洋에 알려질 만한 가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