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미디어에 나타난 독자 대중의 욕망과 좌절 -조선일보 ‘독자사교실’을 중심으로-

        이기훈 연세사학연구회 2023 學林 Vol.52 No.-

        <독자사교실(讀者社交室)>은 1936년 조선일보가 운영한 실험적인 독자참여 지면이다. 이 무렵 흔한 독자 참여형태였던 독자 문예란이나 투고란과 달리, <독자사교실>은 독자들끼리 거래를 하거나 지식과 정보를 교환하며 소통하는 공간이었다. 신문사는 지면을 제공할 뿐 내용에 대해서는 별달리 개입하지 않았고, 독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 공간에 참여하고 활용했다. 이 지면은 특별한 의견이나 주장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요구를 제시하고 응답하는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그만큼 1930년대 지식인, 청년학생을 포함한 중산층 신문독자들 내면의 욕망과 좌절을 잘 보여주고 있다. 독자들은 단순한 수용자가 아니라 적극적인 참여자였다. 그들은 편집진의 의도에 구애받지 않고 이 지면을 능숙하게 활용했다. 어린 시절부터 소년잡지 등을 통해 근대 미디어의 독자참여제도에 익숙했던 이들은 이 지면을 통해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다. 일부 독자들은 민족운동이 활발하던 1920년대 매체에서 그랬던 것처럼 이 공간에서 윤리적 덕목이나 공동체 중심의 가치를 실현해 보려 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반면 미디어를 통해 기존 네트워크를 확장하거나 이익을 실현하는 시도들은 쉽게 뜻한 바를 이루었다. 일부 독자들은 사적인 이익을 위해 거짓 정보를 올리거나 자작극을 연출하기도 했다. <독자사교실>이 독자들의 열렬한 반응에도 불구하고 불과 1년만에 다른 형식으로 바뀐 것은 이 때문이었다. <독자사교실>은 조선 민족, 혹은 조선 사회 전체에 개방된 공간이 아니었다. 신문을읽고 이해할 수 있는 지식인 중산층만이 이 공간을 자유롭게 드나들며 활용할 수 있었다. 신문을 읽을 수 있는 사람들도 모두 동등한 ‘독자’는 아니었다. ‘독자’는 기본적으로 지식인-중산층-남성 주체들이었다. 여성들의 참여는 드문 일이었고, 노동자 농민 등 소외받는 계층의 의견도 반영되지 않았다. 1930년대 중반 식민지 조선은, 지면에 펼쳐진 독자들의 공간에서조차 평등한 공동체를 꿈꾸기 어려운 곳이 되었다. ‘Dokja Sagyoshiol (Readers’ Lounge)’ was an experimental space for reader participation launched by the Chosun Ilbo in 1936. It was a space for readers to do business, exchange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opposed to a readers’ contribution or opinion section. The newspaper provided the space but had little control over the content, and readers engaged with and used the space in a variety of ways. The space was used to present and respond to everyday needs rather than to present particular opinions or arguments, and as such it reveals the desires and frustrations of middle-class newspaper readers in the 1930s, including intellectuals, young adults and students. It is natural for ‘Dokja-Sagyosil’ to reflect the social changes of the time, but the it shows more. The readers who participated in ‘Dokja-Sagyosil’ were active participants, not passive recipients. They used the space for their own purposes, regardless of the intentions of the editors, and they used a variety of means to do so. Many of the participants were former readers of youth magazines. They were therefore familiar with the reader participation system of modern media. Some readers attempted to embody ethical virtues or community-oriented values, as they had in the 1920s media at the height of the national movement, without much success. On the other hand, attempts to use the media to expand existing networks and make profits were easily achieved. Some readers even published false information or staged their own dramas for personal gain. This was one of the main reasons why the ‘Dokja Sagyoshiol’ lasted only a year, despite the enthusiastic response from readers. ‘Dokja-Sagyosil’ was not open to the Korean people or to Korean society as a whole. Only the educated middle class, those who could read and understand newspapers, were free to come and go as they pleased. Even among those who could read newspapers, not all were equal ‘readers’. They were mainly intellectual, middle-class and male. The participation of women was rare, and the voices of marginalised groups such as workers and peasants were not heard. By the mid-1930s, colonial Korea had become a place where it was difficult to dream of an equal community, even in the space of readers.

      • KCI등재

        문학 경험의 형성 과정에 나타난 독자 경험의 연관 유형 연구 -초등학생의 동화 읽기를 중심으로-

        하근희 ( Geun Hee Ha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11 청람어문교육 Vol.44 No.-

        본고는 문학 경험의 형성 과정에서 독자의 경험이 어떻게 연관되는가를 살핌으로써, 문학 경험 교육의 기초를 다지고자 하였다. 먼저 문학 경험을 독자가 문학 텍스트를 읽는 과정에서 혹은 읽은 후에 실제 경험한 것만큼 생생하게 겪는 교육적 경험으로 정의하였다. 이때 독자 경험이 그 질료가 된다. 이후 초등학생 독자들이 읽고 쓴 감상문 분석을 통하여 문학 경험의 형성 과정에 나타난 독자 경험의 연관 유형을 살피고자 하였다. 먼저 텍스트의 어떠한 부분에 독자가 관심을 기울여 자신의 경험을 떠올리는가를 살펴보았다. 이 유형을 크게 표면적 소재 주의형, 유사 정서 환기형, 소재 의미 유추형, 주제-독자 경험 비교형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독자 경험의 연관 유형을 독자 경험의 부재(不在)형, 단형(單形) 경험 연관형, 복합 경험 연관형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경험을 연관짓지 못하는 독자보다 경험을 연관 짓는 독자가 질 높은 문학 경험을 할 가능성이 높기는 하나, 연관된 독자 경험이 텍스트 내용에 비추어 점검받지 못한다면, 그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문학 경험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present the patterns of related child-reader`s experience o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literary experience. Literary experience is educational experience that readers in the process of reading literary texts, or after reading as much as the actual experience. At this time, readers` experiences is the substance of literary experience. And analys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port. First, the reader pay attention to any part of the text itself by reminding of the experiences examined. The patterns of attention are composed up caution in the surface, aroused to similar emotions, inferring meaning in the subject matter, comparing subject and reader`s experiences. And the patterns of related child-reader`s experience are lack of experience, association with only one type of experience, association with complex of experiences. Literary experience can be more desirable based on readers experience supported by the text. supported by the text.

      • KCI등재

        독자와 비독자 이해하기 - 용어, 현황, 특성, 생성․전환을 중심으로

        이순영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6

        The study examined issues of non-reading and aliteracy, focusing on terms,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readers. First, this study reviewed various terms and concepts about readers/non-readers and suggested 3 types of specified non-readers. Second, reading facilitation/ disability factors were comprehensively summarized based on major studies. Certain factors, including reading comprehension and concentration competencies, worked in depth. Third,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readers and non-readers in Korea were re-analyzed based on reader development research. This confirmed that intermittent readers had a majority and that the reasons for reading/non-readings differed by reader types. In addition, the life-long reading graph identified the major generation time of non-readers(adolescents, early years of society) and non-reading trend of the 20s. Policy and further research were proposed to prevent future non-reader transitions. 본고는 우리 국민의 독서 능력과 태도가 악화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다양한 국내․외의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독자와 비독자 관련 용어, 현황,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독자․비독자 관련 용어를 정리하고, aliterate의 번역어 문제를 검토하였다. aliterate는 ‘비독자’로 명명하되, 자발성 여부를 밝히기 위해 ‘문맹 비독자’와 ‘비문맹 비독자’를 구분하고, 후자를 ‘자발적 비독자(내적 요인형)’와 ‘비자발적 비독자(외적 요인형)’로 구분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국내․외 주요 연구에서 밝힌 독서․비독서의 이유를 종합하였다. 독서의 이유는 독서 습관과 내재적 동기(즐거움, 지적 호기심 충족 등)가 주요 요인이었다. 비독서의 이유는 표층적으로는 시간 부족을, 심층적으로는 독서 흥미, 독해력, 집중력 부족 등이 확인되었다. 셋째, 독자 개발 연구에 근거하여 우리나라의 독자․비독자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간헐적 독자가 과반수이고 독자 유형별로 독서․비독서의 이유가 다른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애 독서 그래프를 통해 비독자의 생성기(청소년기, 사회 초년기)와 20대의 비독자화를 확인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향후 비독자 전환을 막기 위한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독자를 고려한 설득하는 글쓰기 지도

        양경희 ( Kyoung Hee Yang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7

        이 연구는 글쓰기 전략으로서의 독자에 주목하고, 쓰기에서 독자의 위상과 독자의 의미를 살핀 후 전략으로서의 독자 고려가 갖는 의미를 밝혀 이를 토대로 독자를 고려하여 설득하는 글을 쓰기 위해 지도할 요소들을 논의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독자의 위상과 의미를 살핀 후 독자를 고려한 설득하는 글쓰기 지도 요소를 독자 상정 관련 요소, 쓰기 내용 관련 요소, 쓰기 형식관련 요소로 범주화하였다. 독자 상정 관련 요소에는 독자 상정 방식과관련한 지도 요소를, 쓰기 내용 관련 요소에는 쓰기 내용 요소와 내용생성 전략에 대한 지도 요소를, 쓰기 형식 관련 요소에서는 글의 구조, 설득 전략, 표현 태도에 대한 지도 요소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논의는 필자가 글을 보다 쉽게 쓸 수 있는 전략으로서 독자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elements to write persuasive text considering audience. For this purpose, I paid attention to the audience as a writing strategy, and then watched phases and the meaning of the audience to reveal the meaning of considering audience as strategy. For this purpose, I studied the phase and meaning of audience. And then, teaching elements of persuasive writing on considering audience are categorized into presuming audience-related factors, writing content-related factors and writing format-related factors. I suggest that the way of presuming audience and teaching elements are related in presuming audience-related factors, writing contents and creating contents strategy in writing. And they are related the structure of text, persuasion strategies, expressed attitudes in write format-related factor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 study of teaching method for persuasive writing on considering audience.

      • KCI등재후보

        글쓰기에서 독자의 다층적 역동성

        이삼형 ( Sam Hyung Lee ),양경희 ( Kyoung Hee Yang ) 한국작문학회 2009 작문연구 Vol.0 No.9

        이 연구는 독자를 보다 입체적이고 역동적으로 인식하려는 차원에서 독자의 개념을 재검토하고 독자가 글쓰기에 관여하는 수행의 관점에서 독자를 다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독자의 개념과 관련된 논의는 쓰기 이론에 바탕을 둔 것과 독자를 바라보는 접근 방식에 따른 것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독자를 하나의 기준에 의해 바라보는 평면적인 접근법으로 글쓰기에 작용하는 독자를 제대로 조명하지 못했으나, 후자의 논의는 독자를 글쓰기 과정에서 다양한 범주를 넘나드는 역동적인 존재로 인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독자는 필자가 상정한 대상이며, 독자와 필자의 관계는 독자를 고려하는 하나의 방식이고, 필자와 독자는 글쓰기 과정에서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독자란 필자가 소통을 하고자 가정한 대상으로 글쓰는 과정 속에서 필자와 역동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의미 구성을 위하여 어떠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는 존재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독자를 인식하는 차원과 필자와 독자의 상호작용 차원으로 또 다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는데, 독자를 이해하는 두 차원은 서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호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독자 인식 차원은 대상으로서의 독자가 누구인지 살피고 필자와 독자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는 쓸 내용을 추가하거나 보완하고 표현방식을 결정할 때 영향을 미치는데, 이때 필자는 독자에게 평가자와 협력자의 역할을 부여한다. 평가자로서의 독자는 독자의 인식 내용이 적절한가를 판단하고 적절하지 못할 때에는 협력자로서의 독자가 되어 적절한 내용을 생성하고 추가하도록 돕는데 이것이 상호작용 차원에서 독자를 인식하는 것이며, 이때 독자의 역할은 끊임없이 변화한다. 이상의 논의는 독자가 그 속성을 분석하는 대상이 아니라 다층적 차원에서 글쓰기에 관여하는 존재이며 실제 글쓰기에서 어떻게 역동적으로 작용하는가를 밝히는 데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cept of readers in terms of more cubic and more dynamic recognition and to understand multi-layered readers in the light of the ones who are performing something involved in writing. Broadly speaking, the discussion about the concept of readers is divided into two ; one is based on the theory of writing and the other on the approach to watching them. The former is the linear approach that watches readers through one criterion alone, so it fails to focus on the ones involved in writing. The latter, however, shows the chance that readers could be looked upon as dynamic ones crossing different categories in process of writing. This discussion ensures that readers are objects supposed by the writer,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ers and the writer is a way to think of readers, and that they-both readers and the writer- interact with each other in process of writing. Based on this, readers can be defined as the ones who form dynamic relationship with the writer as objects meant to communicate with and as the ones who perform some roles and functions to construct meaning in process of writing. This, again, can be divided into two standpoints : the standpoint of recognition of readers and the standpoint of interaction between the writer and readers. These standpoints to figure out readers hav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m, instead of being made up separately. The standpoint of recognition of readers is to look into who readers are as objects and then to concretely set u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er and them. This has an effect on when the writer needs to add or modify contents and decides expressive approach. At the same time, readers are given the roles of valuers and cooperators by the writer. Readers as valuers determine whether contents of recognition of readers are proper. If not, they help to create and add appropriate contents as cooperators. This is the way readers are recognized in the standpoint of interaction. At this moment, readers` roles do change constantly. The discussion stated above offers meaningful implications in finding out that readers are the ones who are involved in writing in multi-layered standpoints, not the ones who are objects to analyse characteristics and how dynamic they play their roles in real writing.

      • KCI등재

        독자반응이론에서 본 문학 번역의 의미 구성 연구

        한위성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7 No.-

        문학 번역 영역에서 역자는 원작의 ‘제일독자’이자 작품의 재창작 주체인 ‘저자’이다. 역자의 이런 이중적인 신분은 원작을 읽고 이해하고 분석한 뒤, 매 하나의 단어, 구절, 심지어는작가의 창작 의도와 감정 세계에 이르기까지 반복적인 사고와 수정을 거쳐 역문을 완성하게된다. 그러나 사람마다 사유가 다르듯이 역자가 아무리 작가의 정신세계와 정서 변화를 분석하고 이해한다 할지라도, 역문의 효과는 원작이 독자들에게 주는 효과와 완벽하게 일치할 수없다. 역자는 ‘제일독자’로서 원작을 깐깐히 읽고 문맥 뒤에 숨겨진 은유적 의미까지 음미하며적절한 언어로 이들을 표현하지만, 역문 ‘저자’의 신분에서 역문의 문화적 환경과 독자의 수용을 염두에 두고 적절한 수사적 수법을 활용하게 되고, 작품과의 교류 및 소통을 진행하면서원작의 의미를 구체화하고 자신의 이해를 드러내 보인다. 그리고 이런 이해는 어떠한 경우에도 원작에 대한 충성을 기반으로 한, ‘제일독자’로서의 원작에 대한 역자의 역동적인 분석, 추측, 의미의 재구성을 수반하게 된다. 독자반응이론은 독자가 독서하고 수용하는 시각에서 문학 작품을 바라보는 문학 비평이론이다. 문학 작품의 역자는 곧 원작의 ‘제일독자’로서 그 자신의 생활체험, 인지능력, 원작에 대한 이해와 분석 등을 기반으로 번역의 의미 재구성에 능동적으로 참여한다. 그리고 주관적인사유에 따라 텍스트와 독자 사이에 존재하는 불확실한 의미의 공백을 메우게 된다. 따라서 독자반응이론을 빌어 문학 번역의 의미 재구성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충분히 일리가 있고, 역자가 ‘제일독자’와 ‘저자’란 이중적 신분으로 의미를 재구성하는 능동적 역할을 과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독자반응이론을 활용한 문학 번역의 의미 재구성에서 논자는 아래 몇 가지 점에 주목하여 본다. 첫째, 제일독자(역자)의 개인 생활 체험에서 비롯된 의미의 재구성; 둘째, 제일독자(역자)의 의미 확장에 대한 능동적인 참여; 셋째, 제일독자(역자)의 핵심 이미지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분석; 넷째, 제일독자(역자)의 모순된 의미에 대한 판단과 해석 등이 포함된다. 독자반응 패턴은 서로 다른 시각에서 독자들의 반응을 엿볼 수 있지만, 문학 번역 중에서역자가 ‘제일독자’의 신분으로 번역에 임할 때, 우리는 ‘독자’와 ‘저자’라는 이중적 신분을 지닌역자의 의미 재구성 참여 문제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사실 실제 번역 과정에서 역자는민감한 사유와 창조성을 충분히 발휘하고, 독자의 시각으로 의미의 재구성에 적절하게 참여해야 원작의 의미적 한계를 극복하고 역자의 ‘문풍’을 가미한 이상적인 번역을 선보일 수 있다. In literary translation, the translator is the “ first reader” of a source text and “author” doing the active re-creation as well. This dual role of the translator entails on the part of the translator careful readings of the source text, pondering over every word and every sentence, and even understanding the motive and emotional rendering of the author of the original literary text. Yet, as everyone has his own distinctive mode of thinking, however hard the translator tries to fully understand the author, the final version of the target text can hardly be identical to the source text. Therefore, the translator as the “first reader” should read carefully the source text, comprehend its connotations and implications and conceive appropriate wordings in the first place. Then he as the “author” should employ such rhetorical devices as simile or metaphor to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the source text, and present concretely and vividly what he understands as embodied in the source text. At all times the translator is involved in his subjective analysis, assumption and meaning reconstruction. Reader-response criticism is a school of literary theory that focuses on the reader and his experience of a literary work. And the translator is the “first reader”, who explores and interprets the meaning of the source text based on his life experience and level of cognition. So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the translator, as an active agent, reconstructs the meaning and bridges the gap between the text and readers through his subjective thinking. Therefore, in light of the theory of reader-response criticism, it is feasible to explore the meaning reconstruction of literary translation, which also demonstrates the active and dual role the translator plays as both the “first reader” and “author” in the reconstruction of meaning in literary translation. To be specific, the following issues are of concern in meaning reconstruction of literary translation based on reader-response criticism: I. Meaning reconstruction based on the first reader’s (translator’s) life experience II. Active involvement of the first reader (translator) in meaning extension III. The first reader’s (translator’s) understanding of core implications and addition of multiple interpretations IV. The first reader’s (translator’s) speculation on and analysis of meanings of controversial nature Reader-response model explores readers’ response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hen it comes to literary translation, in which the translator serves as “the first reader” before he works as a translator, we should be fully aware of the dual role of the translator as both reader and author in meaning reconstruction. In practice, the translator should be active in thinking and creative, and reconstruct meaning from a reader’s perspective. Only in this way can the translator produce with his distinctive style ideal work of translation that has overcome the limits of meaning in the source text.

      • KCI등재

        독자 연구의 동향과 방향 : 2001~2016년 시기를 중심으로

        천경록 ( Cheon Gyeongrok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3

        이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에서 제출된 독자 연구를 다룬 박사 학위 논문과 주요 학술지 중에서 45편을 선정하고, 내용을 분석하여 독자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았다. 분석 관점은 독자 유형, 독자 요인, 연구주제, 배경 이론, 연구 방법, 표집 수, 독서 맥락 등이었다. 분석 기간을 위와 같이 설정하였으나 독자 연구는 2006년 이후 10년 동안 중점적으로 이루어 졌으며, 주로 아동 독자와 청소년 독자를 중심으로 독자의 정의적 요인에 주목하고 있었다. 배경 이론의 패러다임은 구성주의, 태도이론, 발달이론, 비판이론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었고, 연구 방법은 조사 연구, 질적 연구, 개념 연구가 많이 채택되고 있었다. 인과 관계 증명보다는 실태 기술을 다룬 논문이 많이 산출되고 있었다. 독서 맥락과 관련하여 아동 독자와 청소년 독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공간 측면에서 학교 안과 학교 밖, 목적의 측면에서 학습독서와 자유독서로 구분되고 있으나 이러한 구분을 불명확하게 처리한 논문들도 다수 있었다. 독자 연구의 방향으로 평생 독자의 발달과 관련한 연구, 독자의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연구, 인과관계의 증거를 찾는 연구, 독서의 맥락을 분명히 하는 연구, 사회변혁적 독자 등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reviewed the recent reader researches,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45 articles and doctorate thesis were analyzed, which were presented from year 2001 to 2016. We focused on the reader types, reader factors, research theme, background theories, research methods, and context of reading. Most of articles were presented after 2006 year. Some tendency were appeared. Many researches studied children reader and adolescent reader, which were compared to adult reader and preschooler. Also, many researches studied affective and cognitive factors, but, paid no attention to sociocultural factor. Background theory paradigm were constructivism, social-constructivism, developmental stage theory, critical theory, and attitude theory. Survey, qualitative research and conceptional research were popularly used. About 36 % researches did not differentiate between content reading and leasure reading according to reading purpose, and 21 % researches did not differentiate school reading and out of school reading as reading context. Based on these trends, a few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Reader research needed to attend to the reader`s development as life long reader, reader`s sociocultural factor, finding evidence of causal relationship, distinguishing reading context clearly, and focusing on transformational reader.

      • KCI등재

        아동청소년문학 출판과 독자 구분

        김민령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9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ader distinction patterns of children’s literature that are currently being published. Today’s children’s literature distinguishes children’s readers across all areas, including writing and publishing, distribution, criticism and research. The purpose of the distinction is to provide practical readers with the convenience and assistance to select and read the appropriate books, and secondly to prepare standards and standards for evaluation within the critical discourse. In major institutions related to reading, it is common to divide the readers of children’s literature into school grades (e.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grades (either low, high or low, middle or high school). Also, by age classification, childhood fairy tales, low-grade fairy tales, and teen novels are clearly sub-genre. The reason why readers are asked to distinguish themselves is because the problem of identifying target readers focuses on how difficult it is to digest. The reader’s distinction has the limitation that individual readers’ literacy is not exactly consistent with age. Therefore, the current trend has been to expand the age range of target readers, or to classify books by difficulty level and subject so that individual readers can find and read according to their literacy. In the future, it will be a task of constant interest to figure out how the reader’s reading behavior and his or her classification are linked. 본 논문은 현재 출판되고 있는 아동문학의 독자 구분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 아동문학은 집필과 출판, 유통, 비평, 연구 등 전 분야에 걸쳐 아동 독자를 구분한다. 구분의 목적은 첫째, 실제 독자들에게 적절한 책을 선택하고 읽을 수 있도록 편의와 조력을 제공하기 위해서이며 둘째, 비평 담론 내에서 평가 기준, 준거를 마련하기 위해서이다. 독서 관련 주요 기관에서는 아동문학의 독자를 학교급별(초, 중, 고), 학년별(저학년, 고학년 또는 저학년, 중학년, 고학년)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연령 구분에 의해 유년동화, 저학년동화, 청소년소설은 분명한 하위 장르로 자리잡고 있다. 독자 구분 문제가 서사 장르에 집중되는 것은 대상 독자를 구분하는 문제가 독자가 얼마나 어려운 내용을 소화할 수 있는가에 초점이 맞추어지기 때문이다. 독자 구분은 개별 독자의 문해력이 연령에 정확히 일치되지 않는다는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최근에는 대상 독자의 연령 폭을 넓히거나 도서를 난이도와 주제별로 분류하여 개별 독자가 자신의 문해력에 따라 찾아 읽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앞으로도 실제 독자의 읽기 행위와 독자 구분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파악하는 것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과제일 것이다.

      • KCI등재

        기획 주제 : 평생 학습 시대의 독서 ; 문학 독서와 치유독자

        변학수 ( Hak Su Byun ) 한국독서학회 2010 독서연구 Vol.0 No.23

        한국에서의 독서에 대한 논의는 대체로 학습독서 또는 독서교육의 차원에서 이루어졌지 치유독자와 같은 생애독자의 차원에서 검토되지 않았다. 치유독자는 자발성을 전제로 하는 만큼 실용적인 목적이나 소유적 차원의 학교독자/학습독자와는 그 성격이 다르다. 독서치료의 중재과정에서 독서에 대한반응을 살펴보면 우리는 우선 몇 가지 고정관념이 극복되지 않는 한 즐거운 독서, 나아가 공감이 있는 독서치료/치유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내기 힘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문학 독서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면 그것은 가르칠 것이 아니라 아래에서 제시하는 전제들을 통해 보완되고 교정되는 방식으로 촉진되어야 할 일이다. 이 논문은 이런 원만하고 창의적인 독서를 방해하는 고정관념들을 살펴보고 그 극복방안들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치유독자는 자신의 소망대로 책을 읽을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학교독자에서 만들어진 평가에 대한 저항이 감소되어야 한다. 셋째, 독서가 삶에 미치는 영향 뿐 아니라 삶이 독서에 미치는 영향을 중시해 한다. 넷째, 독서에 대한 반응은 전통적 독자반응이론에서 말하는 반응과 다르게 다양하다. 그러므로 그것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눈이 필요하다. 다섯째, 치유독자의 독서 지향점은 단순한 인지적전환보다 정서적 카타르시스다. 여섯째, 치유독자의 궁극적 목적은 도덕과 교훈이겠으나 그러기 위해서는 반드시 유희적으로 반도덕적 위반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마지막으로, 치유독자의 독서는 책상과 의자가 아닌 다른 편안한 곳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Discussions about the act of reading and the reader in Korea have not (or have rarely) been conducted with a focus on the inner process of the reader, but rather have focused on educational or school reading. Because a person who reads for healing assumes spontaneity, their [his or her] concerns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who are looking at reading for educational purposes or the reading current in school systems. As we look closely into the responses readers in the field of reading for healing facilitation, we realize that it is truly difficult to lead the reader (or the participants) into the imagined world of the past without empathy and compassion. To evoke the experienced past, it is necessary for the reader to be facilitated in sympathetic participation. Thus literary reading, even if it is deemed necessary, should not be ‘taught,’ but rather should be mediated by a compassionate teacher or facilitator.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problem of fixed ideas and methods in the process of therapeutic reading, which readers and facilitators should attempt to overcome. I offer a new, practical system of seven recommendations against these fixed ideas which can hinder a well-integrated, spontaneous and mindful reading. 1) Above all, therapeutic readers have the right to respond to their reading, 2) so they must be free from evaluation, judgment or interpretation such as is common in school. 3) Next, we must place more emphasis on the influence which life exerts upon the reading rather than the influence which reading has upon life. That is because the responses in the inner process of reading are quite various ? infinite compared to those which the theory of reader-response expects. 4) Lastly, therapeutic readers should be oriented toward emotional catharsis rather than cognitive transition. 5) They can, for example, be provided with fictional depictions of violation with which they can identify. 6) Moral instructions should correspondingly be suspended. 7) The therapeutic reading would be held in various surroundings where the readers can feel mindful.

      • KCI등재

        중등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전략

        정혜승 ( Hye Seung Chung ),서수현 ( Soo Hyun Seo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10 청람어문교육 Vol.41 No.-

        이 연구는 중등학생 필자가 글을 쓸 때 독자를 어느 정도로, 어떤 방식으로 고려하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중등학생 필자는 독자를 어느 정도로 고려하는가? 2) 중등학생 필자가 독자를 고려하는 주된 방식은 무엇인가? 3) 중학생 필자와 고등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정도와 방식에 차이가 있는가? 4) 예상독자에 따라 중등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정도와 방식이 달라지는가? 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서울과 경기 지역의 3개 중·고등학생 265명을 대상으로 고쳐 쓰기 과제를 투입하고, 학생들의 글을 PAIR 전략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학생 필자들은 전반적으로 독자 고려 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였으며, 주로 끌어들이기 전략을 중심으로 독자를 고려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글은 대체로 정보 조절하기와 반응에 응답하기 전략에서 낮은 빈도를 나타났는데, 이는 독자의 배경 지식을 고려하거나 반응을 예상하는 능력의 부족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연구의 결과로 중등학생 필자들이 독자를 고려하는 데에 필요한 제반 자원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곤란하다. 중등학생 필자들이 갖고 있는 독자 인식 능력을 활용하여, 독자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쓰기 과제, 실제적이고 상호교섭적인 쓰기 과제를 제시하여 독자 고려 능력을 제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aspects on audience consideration of secondary school student writers.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are raised for this paper:(1) which degree students consider their audiences when writing? (2) what method they use to consider their audiences when writing? (3) are there differences aspects on students consideration their audiences by grade? and (4) are there differences aspects on students consideration their audiences by audiences? Four writing tasks were given to 265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middle and high schools. Students` texts were anlayzed in terms of PAIR strategies. The result showed that students were poor at considering their audiences and they used mainly attracting strategy when writing. Students` texts rarely show informing and replying strategies because students had not competences enough to control information for their audiences` prior knowledge and to respond appropriately to their audiences` expecting response. But it`s not appropriate to conclude that the student writers don`t have ability to consider their audiences. Rather students should be taught of specific methods on how to consider of their audiences and they also should be provided with many opportunities to actually write for various aud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