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9세기 미국 신학에 대한 철학적 영향

        김상엽 ( Kim Sang-yeup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8 기독교철학 Vol.25 No.-

        신학과 철학은 밀접한 관계에 있다. 우리는 기독교 신학의 역사를 잠시만 훑어봐도 철학적 이해를 가지고 신학을 수행한 대표적인 신학자들을 만나게 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신학은 신플라톤주의로부터,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은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슐라이어마허의 신학은 스피노자로부터, 리츨의 신학은 칸트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신학은 철학으로부터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상호작용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이러한 관계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그래서 철학과 신학의 관계가 기독교 교리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두 가지 사례를 연구할 것이다. 하나는 독일 계몽주의 철학이 19세기 미국 개혁신학에 미친 영향이다. 19세기 미국 개혁신학은 기독론과 구원론을 구성함에 있어서 독일 계몽주의와 독일 신학의 요소들을 환영하거나 부정했다. 다른 하나는 스코틀랜드 상식철학이 19세기 프린스턴 신학에 미친 영향이다. 상식철학은 19세기 미국 프린스턴 신학이 성경론을 구성함에 있어서 실질적인 내용은 아니지만 방법론과 철학적 토대를 제공했다. 이 목적을 위해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첫째, 독일 계몽주의와 19세기 미국 개혁신학 사이의 관계를 다룬다. 여기에서 연구자는 독일계몽주의의 시작과 그 특성을 다루면서, 독일 계몽주의가 독일의 신학을 어떻게 재해석하고 재구성했는지 보일 것이다. 그리고 19세기 미국 개혁신학에 어떻게 영향을 주게 되었는지 살펴볼 것이다. 둘째, 스코틀랜드 상식철학과 19세기 프린스턴 신학 사이의 관계를 다룬다. 상식철학이 어떤 철학적 배경에서 시작되었는지 살피면서 상식철학이 프린스턴과 미국 대학들에 전해진 과정을 살필 것이다. 그리고 상식철학과 프린스턴 대학 사이의 의존관계에 대한 논의들을 소개할 것이다. 연구자는 신학과 철학 사이의 이러한 상관관계가 우리에게 분명한 교훈을 제시한다고 생각한다. 기독교 철학이 나아갈 길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기독교 철학은 신학과의 상관관계라는 책임감을 인식하고 철학적 작업을 해야 한다. 기독교 철학은 신학이 그 시대의 개념과 용어로 기독교의 성경적 교리를 재구성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해야만 한다. Theology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philosophy. A brief glance into the history of Christian theology brings us to meet the representative theologians who carried out the theology with philosophical understanding. Augustine’s theology was influenced by Neo-platonism, Aquinas’s theology by Aristotle, Schleiermacher’s theology by Spinoza, and Ritschl’s theology by Kant. We can see that theology,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is subject to interaction with philosophy. I want to elaborate on this relationship in this paper. To figure out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and theology affects the formation of Christian doctrines, two specific examples will be analyzed. One is the influence of German enlightenment on 19th century American Reformed theology. This philosophy influenced Christology and Soteriology of 19th century American Reformed theology. The other is the influence of Scottish common sense philosophy on Princeton theology in the 19th century. Common sense philosophy influenced the doctrine of the Bible of Princeton theology in the 19th century.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proceeds as the following. First, it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rman Enlightenment and the 19th century American Reformed theology. Here, the researcher will show how the German Enlightenment reinterpreted and rebuilt German theology, addressing the beginning and nature of the German enlightenment. That how it influenced 19th century American Reformed theology will be shown. Second, it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Scottish common sense philosophy and Princeton theology in the 19th century. By looking at from what philosophical backgrounds common sense philosophy started, we will look at the process of it spreading to Princeton and American universities. And I will introduce some discussions about the dependency between common sense philosophy and Princeton University. The researcher thinks that this correlation between theology and philosophy gives us a clear lesson. It shows which direction the Christian philosophy should go. Therefore, Christian philosophy must recognize and work on the relationship with theology. Christian philosophy should provide the basis for theology to reconstruct Christian biblical doctrines with concepts and terms of its time.

      • [특별 기고] 엘리자베스 몰트만-벤델(Elisabeth Moltmann-Wendel)의 페미니스트 생명 신학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 ) 혜암신학연구소 2023 신학과교회 Vol.19 No.-

        이 글은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이 한평생 인생의 동반자이자 신학자 동료였던 엘리자베스 몰트만-벤델(Elisabeth Moltmann- Wendel)과 함께 살아왔던 삶의 궤적과 마지막 임종을 회고하면서 그녀가 심혈을 기울여 전개했던 페미니스트 신학에 대한 소회를 밝힌 글이다. 그는 아내의 사례를 통해 페미니스트 신학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그리고 페미니스트 신학자들이 어떻게 생명 신학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지 기술한다. 그러면서 몰트만은 페미니스트 신학에 대한 자신의 설명이 결코 가부장적이지 않기를 희망한다. 몰트만이 회상하는 엘리자베스의 페미니스트 신학의 시작은 1972년 8월 어느 날 일어난 전환의 경험이었다. 즉, 여성에게 동등한 가치, 동등한 존엄성, 동등한 권리가 부여되었다는 자각을 통해 여성들이 자신들의 삶을 스스로 결정하고, 스스로 규정하는 경험이었다. 이러한 경험을 기반으로 엘리자베스는 예수 주변의 여성들(막달라 마리아, 베다니의 마리아와 마르다, 마태복음과 그 어머니들, 마가복음의 여성 그룹, 누가복음의 여인 요안나 등)을 연구함으로써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성서를 연구하도록 이끌었다. 몰트만이 엘리자베스가 페미니스트 신학을 전개하는 것을 곁에서 지켜보면서 주목한 점은 아내가 자신의 정체성을 “선하고 온전하고 아름답다”고 긍정하면서 행복해하는 모습이었다. 아울러 그는 대다수 그리스도인 여성들이 자신을 부정적으로 보는 것에 익숙해져 있기에 자신이 하나님께 받아들여졌다는 것을 아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절감했다고 토로한다. 마침내 엘리자베스의 내면에 새겨진 “선하고 온전하고 아름답다”라는 칭의의 환호는 독일 여성 운동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몰트만은 엘리자베스와 결코 한 목소리만을 낸 적이 없고, 항상 두 목소리로 말했음을 밝힌다. 몰트만의 희망의 신학 및 십자가 신학과 엘리자베스의 페미니스트 신학은 많은 차이점이 있음을 인정한다. 그는 아내와 함께 끊임없이 토론하고 논쟁하며 때로는 절망하면서 서로 다른 두 목소리로 하나님과 그리스도에 관해 공동으로 발언하고 강연하며, 성서 연구를 했고, 책을 출간하였다. 그들은 자신의 것을 포기하지 않는 가운데 서로에게서 배웠고, 서로를 존중하였다. 그들의 단합은 항상 긍정되고 향유된 다양성, 곧 사랑과 존중의 단합이자 삶을 위한 깊고 지속적인 우정이었다. In diesem Artikel erinnert sich Jürgen Moltmann an seinen Lebensweg mit Elisabeth Moltmann-Wendel, seiner lebenslangen Lebensgefährtin und theologischen Kollegin. Er präsentiert dann seine Ansichten zur feministischen Theologie, die Elizabeth sorgfältig entwickelt hatte. Am Fall seiner Frau beschreibt er, wie die feministische Theologie begann und welche Beiträge von feministischen Theologinnen zur Lebenstheologie erwartet werden. Dabei hofft Moltmann, dass seine Darstellung der feministischen Theologie niemals patriarchalisch sein wird. Die Anfänge der feministischen Theologie Elisabeths, an die sich Moltmann erinnert, war ein Bekehrungserlebnis, das sich eines Tages im August 1972 ereignete. Es war eine Erfahrung für Frauen, ihr Leben selbst zu bestimmen und zu definieren, indem sie sich bewusst waren, dass Frauen gleiche Werte, gleiche Würde und gleiche Rechte hatten. Auf der Grundlage dieser Erfahrungen studierte Elisabeth die Bibel aus einer feministischen Perspektive, indem sie die Frauen um Jesus (Maria Magdalena, Maria und Martha von Bethanien, Matthäus und ihre Mütter, die Frauengruppe des Markus, die Frau des Lukas Johanna usw.) untersuchte. Was Moltmann bemerkte, als er Elisabeth bei der Entwicklung der feministischen Theologie zusah, war die glückliche Erscheinung seiner Frau, die ihre Identität als „gut, vollkommen und schön“ bezeichnete. Moltmann sagt dabei, dass die Mehrheit der christlichen Frauen sich daran gewöhnt habe, sich negativ zu sehen, wie schwierig es sei, zu wissen, dass sie von Gott angenommen seien. Schließlich hatte die starke Überzeugung, die sich in Elisabeths Inneren bildete, nämlich der Jubel über die Rechtfertigung als „gut, vollkommen und schön“, großen Einfluss auf die deutsche Frauenbewegung. Moltmann gesteht, dass er nie mit Elisabeth mit einer Stimme gesprochen hat und immer mit zwei Stimmen gesprochen hat. Er erkennt an, dass es viele Unterschiede zwischen Moltmans Theologie der Hoffnung bzw. der Kreuzestheologie und Elisabeths feministischer Theologie gibt. In ständiger Diskussion, Auseinander- setzung und manchmal Verzweiflung mit seiner Frau sprach Moltmann gemeinsam über Gott und Christus mit zwei verschiedenen Stimmen, hielt Vorträge, studierte die Bibel und veröffentlichte Bücher. Sie lernten voneinander und respektierten einander, während sie ihre eigenen nicht aufgeben. Daher kommt es zu dem Schluss, dass ihre Einheit immer bekräftigt wurde und sich der Vielfalt erfreute: eine Einheit der Liebe und des Respekts, eine tiefe und dauerhafte Freundschaft zum Leben.

      • KCI등재

        미학적 예배와 신학적 사고를 자극하는 설교 - 헬무트 쉬비어 중심으로 -

        윤성민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2

        본고에서는 독일 실천신학자인 헬무트 쉬비어(Helmut Schwier)의 미학적 예배와 신학적 사고를 자극하는 설교 방법론을 소개하고 있다. 한국교회가 열린 예배를 신학적 검토와 비판 없이 교회에 받아들이면서 예전적 예배가 많이 약화하였다.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가 던진 질문 ‘오늘날을 위한 예수 그리스도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조직신학뿐만 아니라 실천실학에서도 중요한 신학적 주제이다. 예배와 설교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현대인에게 누구인지를 분명히 나타나야 한다. 그리고 감정만을 자극하는 방식이 아닌 미학적 접근방식으로 예배를 구상할 줄 알아야 하고, 회중이 진리를 자연스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수용미학적으로 회중이 예배 안에서 성서와 예수 그리스도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현대인의 인식에 맞추어서 예전의 갱신이 일어나야 하고, 회중의 신학적 사고를 자극할 수 있는 설교 방법론을 개발해야 한다. 설교자는 ‘아멘’을 강조하는 방식이 아닌 평신도의 신학적 사고를 자극해야 한다. 이 설교 방법론에서 중요한 것은 ‘질문’이다. 설교자는 설교하면서 짧게나마 답변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주어야 하고, 설교자는 왜 그렇게 믿고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답변을 말하면서 사고의 길에서 평신도와 동행해야 한다. 헬무트 쉬비어는 예배와 설교는 하나임을 강조한다. 수용미학적 관점에서 예배를 갱신하되, 강대상을 극장식으로 바꾸는 예배 갱신이 아닌 예전 갱신이 일어나야 한다. 회중은 예수 그리스도가 오늘날 우리에게 누구인지를 인식하면서 설교를 통해서 그들의 신학적 사고를 발전시켜야 한다. 한국교회의 평신도가 주체적으로 신학적 사고를 할 때 비로소 풍성한 신학적 사고관을 가지고 세상 안에서 기독교인답게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troduces German Practical Theologian Helmut Schwier’s preaching methodology that stimulates aesthetic worship and theological thought. As Korean churches adopted ‘The Seeker Service’ without theological review or criticism, ceremonial worship has weakened a lot. ‘Who Jesus Christ is today’ thrown by Dietrich Bonhoeffer is an important theological subject in practical theology as well as in systematic theology. Who Jesus Christ is to modern people should appear clearly in both worship and preaching. And now, it is necessary to conceive worship from aesthetic approach rather than from emotion-stimulating one. The congregation should be made to recognize the truth in a natural way. It is time to study how the congregation recognize the Bible and Jesus Christ within the worship from the reception aesthetics point of view. And the ceremonial worship should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modern people. And the preaching methodology that can stimulate the theological thought of congregation should be developed. Now, ordinary believers should be able to think theologically in an independent way rather than emphasizing ‘amen’ at preaching hours. What is important in this preaching methodology is asking questions. Preachers should give time to think about an answer to people briefly. Also, preachers should go with the ordinary believers on the way to thought about why they believe and behave so. Worship and preaching are the same thing. Worship should be improved from the reception aesthetics point of view, but the ceremonial improvement should be pursued rather than trying to change pulpit into a theater-style. The congregation should develop their theological thought through preaching, recognizing what Jesus Christ means to us today. Only when the congregation think in a theological way by themselves, they will be able to live as Christians within this world with rich theological thinking.

      • KCI등재

        사회통합의 중심으로서의 독일개신교회(EKD)의 공공신학연구

        이상은 ( Lee Sangeun ) 한국조직신학회 2021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3 No.-

        본고는 2010년대 이후 불평등과 다원주의의 도전 속에서 사회통합의 과제를 수행해 온 독일 개신교회의 공공신학 연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다양성 속의 일치를 추구했던 볼프강 후버와 시민사회에서 기독교 신학의 응답을 모색했던 베드포드-슈트롬이 지도력을 행사해왔던 EKD의 공공신학적, 교회론적 대응을 살펴보고 있다. 이를 통해 첫째로 시대적, 사회적 도전 속에서 교회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 방향을 얻고자 하며, 둘째로 신학의 이론적 작업이 실제 세계에서 어떠한 역할로 이어질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궁극적으로 한국적 공공신학을 수립하기 위해 어떤 방향적 지침을 얻을 수 있을지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주제를 본고는 특히 후버와 베드포드-슈트롬의 신학적 작업을 비롯, 최근 EKD 내에서 활동 중인 공공정책 담당자들의 연구서들을 통해 살펴보고, 동시에 이 시기 발간된 정책서(Handschrift)들과 일련의 문서 등을 참조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앞으로 한국 신학의 현장에서도 공공신학을 추구하는 교회는 포용과 다양성의 존중, 차이의 존중과 분배의 정의라고 하는 사회윤리적 개념을 추구해 나갈 것이 요청되며, 교회는 이러한 공공성의 담론에 기여하고 길을 모색할 때, 스스로의 생존을 넘어서 세상에 필요한 교회로 자리매김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public theology of the German Protestant Church(EKD), which has been carrying out the task of social integration amid the challenges of inequality and pluralism since 2009, centering on the leadership of Huber and Bedford-Strohm. As leaders of the public church, Huber has been seeking answers for the church in the pluralistic society, and Bedford-Strohm for the direction of Christianity in civil society. With this study, this paper at first attempts to find a direction for the role the church should play in the face of social challenges. Second, it examines what practical influence the theology can have in the public sphere. Third, ultimately, it explores to find guidance in establishing Korean public theology. This paper intends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se topics by referring to the research of the theologians in the EKD and policy documents recently submitted in the German Church (EKD) in relation to this field. Churches pursuing public theology in a complex modern society are required to pursue inclusiveness, respect differences and diversity, and be concerned about the issue of fair distribution of wealth. When the church itself contributes to the discourse of public spheres and try to seek a solution, it will be able to establish itself as a necessary member of society, leaving behind the struggle for its own survival.

      • KCI등재

        초기 안병무가 바라본 서구신학의 빛과 그림자

        전철(Chun Chul)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1 신학사상 Vol.0 No.152

        이 연구는 심원 안병무(心園 安炳皮, 1922. 6. 23~1996. 10. 19)의 민중신학 형성의 사상적 동기와 발생과정의 해명을 구체적인 목표로 한다. 특히 이 연구는 안병무의 전 시기에서 1952년부터 1965년까지의 시기를 그의 사상의 초기 시기로 규정하고, 이 시기에 있어서 그의 사상적 변화를 추적한다. 안병무의 민중신학은 반신학의 성격을 지닌다. 그 성격의 뿌리에는 서구신학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를 통한 한계와 비판이 매복되어 있다. 이 연구는 안병무의 초기 사상의 시기에 그 자신이 서구신학과 교화를 어떻게 이해하였고 비판하였는지를 분석한다. 안병무가 지적한 서구신학과 서구교회의 그림자는 다음의 두 가지이다: 1) 국가 권력과 결탁된 기독교 교회 2) 그레꼬로만 사유로 변질된 기독교 신학이다. 이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그가 바라보았던 서구신학에 대한 4가지 문제점을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안병무가 1956년 독일로 떠났을 때 가졌던 분명한 목적, 즉 예수를 학문적으로 밝히는 과제와 구라파 교회의 실력을 가늠하는 과제가 어떻게 수행되었는지를 발생사적으로 해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안병무의 민중신학의 사유 형성과 발전에 초기 안병무(1951-1965)의 서구신학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기여되는지를 선명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Ahn Byung-Mus (23.6.1922-19.10.1996) Minjung-Theologie kann als Anti-Theologie bezeichnet werden. Er studierte von 1956 bis 1965 Theologie in Heidelberg und promovierte zum Thema Das Verständnis der Liebe bei Kung-tse und bei Jesus. Obwohl er in Europa Theologie studierte, ist Ahn sehr skeptisch gegenüber westliche Theologie, weshalb Ahn Byung Mus Minjung-Theologie als Kritik an der westlichen Theologie gesehen werden kann. Nach Ahn Byung Mus Ansicht liegt die große Differenz zwischen westlicher Theologie und Minjung-Theologie in ihrem unterschiedlichen Verständnis von der Aufgabe der Theologie. Seine Kritik an westlicher Theologie zielt daher auf die wahre Suche nach Bedeutung und Ursprung der Theologie. Für Ahn Byung-Mu liegt eine Aufgabe der Theologie in der kritischen Rekonstruktion der Wirklichkeit im Hinblick auf die biblisch-christliche Uberlieferung. Er sieht eine Schwäche der westlichen Theologie darin, dass sie durch griechisch-römisches Denken verschlechtert wurde. Aus diesem Verständnis heraus erwächst als ein zentrales Anliegen in Ahn Byung-Mus früher Minjung-Theologie der Wunsch, eine Anti-Theologie zu entwickeln. Der vorliegende Aufsatz hat zum Ziel, Licht und Schatten der west1ichen Theologie in der Wahrnehmug des frühen Ahn ByungMu im Hinblick auf seine Erfahrungen mit der Theologie in Europa zu untersuchen. Dadurch so11 diese Untersuchung Klarheit darüber schaffen, wie Ahn Byung Mus gedankliche Entwicklung der Minjung-Theologie bereits-in seiner frühen Zeit (1951-1965) grundgelegt war.

      • KCI등재

        마틴 루터와 『독일 신학』

        정원래 한국개혁신학회 2017 한국개혁신학 Vol.56 No.-

        마틴 루터의 신학은 중세의 다양한 신학적 전통에 빚지고 있다. 그에게 영향을 끼쳤던 중세의 사상중의 하나가 독일 후기 신비주의이다. 이 독일후기 신비주의 중에서도 특별히 루터에게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독일신학>을 들 수 있다. 이 독일신학은 14세기에 등장한 저서로, 하나님의 친우회와 동일한 신학적 내용을 지니고 있다. 이 저서의 핵심적인 개념이 ‘신화’이다. 또한 ‘신화’의 핵심적 근거가 되는 것이 그리스도의 성육신이다. 성육신을 통해서 영원하시고, 불변이시며, 이성적으로 파악불가능하신 하나님이 인간의 삶에 현재한다. 따라서 신자의 삶이란 바로 하나님의 현재를 경험하는 그리스도와 연합된 삶으로 제시된다. 이러한 그리스도 중심적인 신자의 삶에 대한 이해는 루터에게서도 드러난다. 루터에게서도 ‘신화’(theosis)의 개념은 등장한다. 그러나 동방적이고 에크하르트적인 의미에서의 ‘신화’의 명사적 파악인 성격, 자질 그리고 의미에 대한 설명보다는, ‘신화’에서 ‘어떻게 이를 것인지’를 주목한다. 이로 인해 루터 역시 신화에 이르는 것은 방법으로 그리스도를 주장하게 된다. 결국 신자의 살이란 그리스도와 연합이라는 점에서 중세 후반의 독일신학의 사고와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루터의 신화에 대한 이해는 독일신학의 답습으로서가 아니라, 칭의와 구원이라는 속성이 강화됨으로 발전과 변화를 드러내고 있다. Martin Luther's theology owed much to the various theological traditions of the Middle Ages. One of the medieval ideas that influenced on him was the German mysticism in 14 century. The Book, Theologia Deutsch, among the German mysticism was especially influenced on Luther. Which appeared in the 14th century, has the same theological content as the Friends of God. The core concept of this book is ‘theosis’. That is based on the incarnation of Christ. Through the incarnation, eternal, immutable, and rationally inaccessible God is present in human life. Therefore, the believer's life is ascribed as a life which associates with Christ who presents God's Existence. This understanding on the life of believers as a Christ-centered life is also revealed by Luther. Luther also introduces the concept of 'theosis'. However, rather than explaining character, qualities, and meaning of 'theosis' in the Oriental and Echhartic sense, he paid attention to 'how to do it'. This led Luther to claim Christ as the way of theosis. In the end, the life of the believer by Luther is connected with the thought of the Theologia Deutsch in the late Middle Ages in that both insisted that it is united with Christ. However, the understanding of Luther's theosis was not a follow-up to the Theologia Deutsch, but shows the developments and changes by strengthening the property of justification and salvation.

      • KCI등재

        독일문학과 성서: 문학과 신학의 대화

        송희영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9 문학과종교 Vol.24 No.3

        After the Reformation and the translation of the Bible by Luther in 1517, German literature has produced great religious literature through the ages, an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German literature was born on the basis of the Bible. After the Enlightenment in Germany, Goethe’s Faust, the romantic works in the 19th century, Rilke’s poems in the 20th century, Joseph and his brothers by Thomas Mann are the works created from the motives of the Bible. The discussion of ‘religion and literature’ in Germany has been active as late as in the 1980s, which results from the distinct character restricts of German history. Based on the symposium in Tübingen, studies on ‘literature and religion’ have actively progressed since the late 1980s. In addition, beyond Germany active research was expanded to Austria in the 2000s. 1517년 루터의 종교개혁과 성서번역 이후 독일문학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마다 위대한 종교문학을 탄생시켰으며, 독일문학은 성서의 기반위에서 탄생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독일 계몽주의 이후 18세기 클롭슈톡의 『메시아』를 비롯해 괴테의 『파우스트』, 횔덜린의 시, 19세기의 낭만주의 작품들을 걸쳐 20세기 릴케의 시, 토마스 만의 『요셉과 그의 형제들』은 성서적 모티브를 통해 새롭게 탄생된 작품들이다. 전후 서독의 하인리히 뵐의 『아담아, 너는 어디에 있느냐?』와 동독의 슈테판 하임의 『다윗 왕』, 페터 학스의 『아담과 이브』 역시 성서적 소재를 통해 히틀러의 파시즘과 동독의 전체주의에 항거하고 있다. ‘종교와 문학’에 대한 독일의 논의는 1980년대에야 비로소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1984년 튀빙엔대학에서의 ‘신학과 문학. 20세기의 대화가능성과 한계들’이라는 주제로 문학인과 신학자들의 시대에 대한 진단과 반성, 책임을 토대로 문학과 신학의 상호협력이 필요하다는데 공감을 보였다. 튀빙엔에서의 심포지엄을 토대로 1980년대 후반부터 ‘문학과 종교’와 관련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척되었다. 또한 연구의 활성화는 독일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독일어권 문화에 해당하는 오스트리아에서도 확대되어 나갔다.

      • KCI등재후보

        개신교의 디아코니아실천과 신학화과정에 관한 연구-독일 개신교 디아코니아의 신학화과정을 중심으로-

        홍주민 한국실천신학회 2009 신학과 실천 Vol.0 No.18

        개신교는 16세기 종교개혁의 산물이다. 종교개혁이후 개신교는 공공복지를 유럽에 확산하는 기여를 했다. 이 글은 이러한 실천을 가능케 한 종교개혁의 영향사에 대한 서술이다. 특히 요한 힌리히 비헤른은 독일 디아코니아실천에 있어 결정적인 방향타로 강조되어진다. 때문에 그의 신학사상에 관한 수용에 대한 신학적 재구성은 중요하다. 비헤른의 사상은 다음의 세 가지 중요한 문서에서 드러나 있다 - 1849년 내적선교 백서, 1856년 디아코니아와 섬김직에 관한 평가서, 1871년 교회회의에서 행한 사회문제에 대한 교회의 과제라는 강연. 여기에 카이저 시대에 테오도아 로만에 의해 진행된 사회윤리적 단초, 사회적 디아코니아라는 단초를 제시한 하인츠 디트리히 벤드란트 그리고 “화해의 디아코니아”를 제시한 테오도아 슈트롬을 범례로 들을 수 있다. 종교개혁사상이 비헤른에게 이어지고, 그의 사상이 그때그때 수용과정을 거쳤듯이, 현대의 디아코니아 개념은 각각의 삶의 자리에서 인간들의 곤경과 사회의 고난을 그때 그때 구체화하고 상황화할 수 있는 기본적인 신학을 필요로 한다. Das Protestantismus ist eine Folge der Reformation im 16. Jahrhundert. Nach der Reformation wird es in Richtung auf gemeine Wohlfahrt in Europa erweitert. Meines Erachtens lässt sich eine Rezeptionslinie Reformatischer Gedanken andeuten bzw. rekonstruieren. Die Beurteilungen Wicherns und seines Werkes unterliegen einer grossen Vielschichtigkeit. Von denen einen wird Wichern immer wieder als der entscheidende Orientierungspunkt hervorgehoben. Hierbei lässt sich eine bestimmte Rezeptionslinie rekonstruieren. Einige Grundlinie der Gedankenführung Wicherns in seinen drei programmatischen Schriften - der Denkschrift für die Innere Mission von 1849, dem Gutachten zur Diakonie und zum Diakonat von 1856 und seinem Vortrag auf der Kirchlichen Oktoberversammlung von 1871 von Aufgabe der Kirche gegenüber der sozialen Frage - sollen skizziert werden. Hierbei wurden sie exemplarisch beleuchtet in der Epoche des Kaiserreichs durch den sozialethischen Ansatz der Innere Mission bei Lohmann, den universalen Ansatz bei Wendland mit seiner gesellschaftlichen Diakonie und den Ansatz einer "Diakonie der Versöhnung" bei Theodor Strohm. Ein modernes Diakoniekonzept braucht eine elementare Theologie, die in der Lage ist, sich jeweils an einem bestimmten Ort bei den Bedürfnissen der Menschen und Nöten der Gesellschaft zu kontextualisieren und zu konkretisieren.

      • KCI등재

        하인리히 수소의 신비주의 사상 연구

        김요섭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0 ACTS 신학저널 Vol.44 No.-

        Heinrich Suso(c.1295-1366), a representative of the medieval mysticism, presented a well-balanced mystical ideas which was distinct from the speculative medieval scholasticism but avoided falling into the typical errors of mysticism. As Christian mysticism, he illustrated the importance of the inner dimension of Christian faith and suggested some concrete methods to achieve spiritual progress in Christian life. However, different from his mentor Meister Eckhart’s mysticism, Suso did not forget to point out the inevitable dependency of human beings as creatures in contrast with the absoluteness of God’s existence. He also underlined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Christ’s passion, and Christ’s role as the model of the spiritual life. Whenever he explains the nature of spiritual realities and teaches the way of spiritual exercises, Suso consistently stressed the mysterious aspects of spiritual truth and perfect happiness beyond any physical-intellectual dimension. Suso’s use of vernacular German in explaining spiritual progress and its application in daily life enabled his mysticism to influence a wide range of audience in his times. Futhermore, his idea can be considered as a link between the late mysticism and devotio moderna, one of the key renaissance movements. The relatively orthodox theological position and the popular style of Suso’s mysticism were two main reasons for the popularity of his mystical teachings throughout Europe afterwards. However, it is certain that Suso’s mysticism is different from the sixteenth-century protestant theology in soteriological, Christological, and practical points. Most of all, the late medieval german mysticism took spiritual experiences as the foundation of Christian faith, while protestant theologians maintained the word of God as the sole ground of Christian faith and theology. 하인리히 수소(Heinrich Suso, 1295-1366)는 중세 후기 독일의 신비주의를 대표하는 사상가로서 자신의 설교와 저술을 통해 신비주의의 신학적 이탈을 경계하면서도 스콜라 신학의 이성적이며 사변적 접근과는 구별되는 내면적 영성 계발의 필요성과 그 구체적 방법을 제시했다. 무엇보다 수소는 스승 에크하르트와 달리 하나님의 절대성과 차별되는 인간의 불가변적 피조성을 분명히 지적했으며 그리스도의 수난의 실천적 의의와 금욕적 삶의 모범으로서의 그리스도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자신의 저술에서 영적 실체적 대해 진술하고 그 실천에 대해 교훈할 때 항상 물리적이며 이성적인 차원을 넘는 선 영적 진리와 지복의 신비적 측면을 강조하기도 했다. 수소의 사상은 중세 후기 신비주의뿐 아니라 이후 나타난 근대적 경건(devotio moderna)과 중요한 이해들을 공유한다. 그는 자신이 생각한 영적 진보의 개념과 그 실천적 적용 방안들을 제시할 때 이해하기 쉬운 독일어로써 그 사유를 쉽게 표현했고 이해가 용이한 문장들을 사용해 대중들의 이해를 높였다. 이와 같은 표현의 용이성은 수소의 신비주의가 중세 후기 독일을 넘어 유럽 전역에 큰 영향력을 가질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요인들 가운데 하나였다. 그러나 수소의신비주의 사상은 구원론과 기독론, 그리고 신앙의 기초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는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 신학과 명백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

      • KCI등재

        Lutherische Missionen im Spannungsfeld von Kirche und Staat-Beobachtungen zur Situation in Deutschland und Europa vom 19. Jahrhundert bis zur Gegenwart

        Henning Wrogemann,한국일(번역자)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09 선교와 신학 Vol.23 No.-

        본 논문은 16세기 이후에 전개된 개신교 선교 역사와 실천의 중요한 시기에 대한 개관이다. 종교개혁 이후 약 200년간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 해외 선교를 수행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19세기에 창설된 선교회의 시작은 교회에 대하여 자유로운 기관으로 독자적인 선교 활동을 진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선교회의 선교는 주교회와 긴밀한 관계에서 진행되었다. 식민지 시대(1883년 이후) 선교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원주민과 유럽 국가의 식민지 관청 사이에 충성에 대한 갈등을 겪었다. 이런 복잡한 관계 구조는 아프리카 토고에서 활동한 북부 독일 교회의 선교 과정에서 살펴볼 수 있다. 20세기의 큰 변화는 지금까지 독자적으로 운영하던 선교가 주교회 안으로 통합을 실현한 것이다. 선교회에서 주교회 선교부로의 전환이다. 선교 활동의 성격이 변화되었는데 그 이유는 선교부가 독일 주교회와 아프리카, 아시아의 협력 교회(일부분 독일 선교 활동을 통해 설립된) 사이에 중재적 역할자로 주업무를 간주하기 때문이다. 선 교와 교회의 통합은 1960년대 이후에 실현되었다. 그 이후 선교부는 해외 지역에서 많은 일에 지속적인 참여를 해 왔으나 독일에서 기독교인의 감소 현상으로 독일 안에서 새로운 선교적 참여가 긴급한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국가와 주교회의 관계는 두 개의 독립적 실체의 연합 활동이라는 의미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것은 독일 대학교의 신학부에서 목회자 양성 교육을 위한 재정 지원이나 기독교 종교 교사에게(다른 종교에게도 통일한 방식으로 적용된다.) 국가가 월급을 지급하는 일, 주교회에 대한 세금 혜택을 주는 일 등 여러 가지 면에서 아직도 국가와 교회는 긴밀한 관계 하에서 협력하고 있다. 이러한 협력 관계는 물론 꼼꼼하게 생각해야 할 점도 있지만 주 교회에게 새로운 선교 참여를 위해 많은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현재 기독교 선교의 새로운 신학적 근거와 다른 종교를 갖거나 세계관을 가진 사람들을 끌어당기는 영향을 미치는 기독교적 삶의 방식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