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문화도시로서 부여의 도시이미지 형성방안 연구

        박철희(Park, Cheol-Hee),이정수(Lee, Jeong-So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문화도시로서 부여의 바람직한 도시이미지 형성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도시이미지의 개념과 전략사업 유형을 조사하고 역사문화도시 이미지 형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형성요소를 바탕으로 부여에 대해 현황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형성요소별 이미지 평가에서 부여는 역사부문은 긍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으나, 문화예술, 도시경관, 산업ㆍ경제, 주민의식부문에서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역사문화도시로서 긍정적인 도시이미지 형성을 위해서 긍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는 역사부문은 단순히 역사문화자원의 보존이 아닌 역사자원의 홍보와 브랜드화를 통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부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는 문화예술, 도시경관, 경제, 문화공동체 의식부문은 부문별 체계적인 종합육성을 통해 긍정적 이미지 형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역사문화도시 이미지 형성 요소 및 접근방법을 바탕으로, 추후 형성요소에 대한 중요도 분석을 통하여 더욱 합리적인 도시이미지 형성 방안이 도출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how to make the image of Bu-Yeo as a historic & cultural city. For this purpose, first, the concept of city image and types of strategic business are drawn through theoretical and precedent study, and then, survey and analysis about the elements of city image are conducted with a focus of Bu-Yeo. A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n the image elements of Bu-Yeo, we found that the image of historical sector is formed affirmatively, while the image of culture and art, urban landscape, industrial economy and resident awareness sector are formed negatively. To create a positive image of Bu-Yeo as a historic & cultural city, historical sector needs to make a brand and marketturastrategyhis to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not just to preserve. The sector of culture and art, urban landscape, industrial economy and resident awareness nee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system and promote strategic business about each sector. Based on the elements of city image, the proposals for image-making are suggested in this study. In the future we would like to propose a more reasonable scheme for image-making of city through the critical and weighted analysis on the image-making elements of historic & cultural city.

      • KCI등재

        세계적인 컨벤션 행사 유치를 위한 컨벤션 목적지 브랜드 경험의 만족과 도시 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 외래 컨벤션 방문객을 중심으로

        박영제 대한관광경영학회 2018 觀光硏究 Vol.33 No.1

        본 연구는 외래 컨벤션 참가자를 대상으로 컨벤션 목적지 브랜드 경험의 만족과 도시 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컨벤션 목적지를 방문해서 느끼는 감성적, 감각적, 행동적 그리고 지적 경험들이 컨벤션 목적지에 대한 만족과 도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에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과 설문문항을 토대로 하여 구성하였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컨벤션센터인 COEX, BEXCO, ICCJEJU 의 컨벤션에 참가하는 외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257부를 회수하여 유효한 표본 243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브랜드 경험의 4가지 요소인 감성적, 감각적, 행동적, 지적 경험을 독립변수로 하여 만족과 도시 이미지 형성을 분석한 결과 만족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도시 이미지에 대한 분석에서는 감성적, 지적 경험을 제외한 감각적, 행동적 경험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선행연구와 조금 다른 결과로 나타났지만 외래 참가자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충분하게 증명되지 못한 점과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부족 그리고 처음 방문 장소에 대한 생소한 환경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국내 컨벤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외래 컨벤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는 점에 대해 많은 의의를 두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among foreign visitor’s brand experience of convention destination, satisfaction, and city image. This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e on-site survey at Coex, Bexco, and ICCJeju. This study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e development of research study and measurement scales was possible. A total of 243 useful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e on-site survey at Seoul, Busan, and Jeju Convention Cent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of brand experience were accepted affective experience, sensory experience, behavioral experience and intellectual experience of satisfaction. However, factors of brand experience were rejected sensory experience and behavioral experience of city image. The significant result of this study may enable to Korean convention destination to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