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천광역시 도시물류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방향

        정태원(Taewon Chong),이충효(Choonghyo Lee) 한국항만경제학회 2011 한국항만경제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물류정책기본법에서 제시된 변화특성들을 먼저 세부적으로 검토하였으며, 또한 기존 도시물류기본계획의 사례를 통해 한계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인천과 같은 임항형 도시이며 수도권지역에 위치한 도쿄시의 사례를 통해 인천시 도시물류기본계획의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도시물류기본계획에서의 물류조사는 계획적이고도 중·장기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소기업 내지는 3자물류 기업을 활용한 물류계획을 통해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부가가치를 창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도시물류기본계획상에서 최소한 중복투자가 우려되는 물류계획분야에서 만큼은 인천, 경기, 서울간에 서로 상호간의 협의를 통해 공동조사 및 계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추진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인천시에서도 기업의 환경친화적인 물류활동에 대한 직접적인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시물류기본계획 수립시 인천지역 현실과 상황에 맞는 목표의 설정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추진계획, 그리고 이 추진계획들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지표를 설정하여, 개선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피드백 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a policy implication of urban logistics in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To attain the aim, it reviews new characteristics that Logistics Policy Fundamental Law(LPFL) published by government 2009 suggests and studies the previous papers like Logistic Fundamental Plan(LFP) of other metropolitan cities. After that it proposes a policy implication through benchmarking of urban logistics plan at Tokyo city not only located at a capital area at Japan but also including port and airpor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field survey studies of the “LFP” every five years will need to keep pace with “Urban Fundamental Plan”(UFP) having designed to all cities legally every ten years. Secondly, Inchcon will be required to create value-added logistics, making best use of third-party logistic companies to small-medium sized businesses along with the age of green. Thirdly, LFP needs to be performed through a mutual cooperation and adjustment among Incheon, Gyeonggi-do and Seoul and in this regions eco-friendly companies performing related logistic activities have to be followed executive and financial supports. Lastly, it will be obliged to develop a evaluation management index to understand the advancement level through a feedback system.

      • KCI등재

        도시계획시설의 물류시설 활용방향 연구

        최재성(Jaesung Choi) 한국물류학회 2025 물류학회지 Vol.35 No.2

        유휴 도시공간을 물류시설로 활용하는 단기 방안은 급증하는 도심 내 물류 수요를 신속하게 대응하고, 기존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물류운송의 최적화는 직간접적으로 교통혼잡 비용, 환경비용 등의 사회적비용을 절감하여 도심 내 물류운송의 효율성을 증진한다. 반면, 기존 도심 내 신규 부지 확보의 어려움, 계획 도시 내 도시계획(설계)를 바탕으로 물류시설의 체계적 배치·연계는 지속가능한 물류인프라를 구축해 주민, 기업, 공공의 이해관계자 간 님비를 넘어협업·유기적 개발·관리를 수행 할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유휴부지의 카카오맵 공간분석, 이해관계자 인터뷰 등을 포함한 접근방식을 통해 도시계획시설의 물류시설로의 활용방향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로 유휴부지 성격의 국공유지(예: 고속도로IC/JCT, 교량 하부 공간 등)의 용도를 변경하면 단기적으로 수많은 Drop-point 성격의 라스트마일 성격의 물류시설을 확보할 수있으며, 지구단위계획, 도시계획, 중장기적 마스터플랜 수립/설계 등을 통해 도로/철도, 공영차고지, 여객터미널 하부공간 등의 지하화 사업을 통해 상부공간을 ‘다층적복합물류센터’ 또는 지하 물류망을 개발해 포화된 도심에 필요한 대규모 물류 서비스를 확보하는 것이 실현가능한 장기적 해결안으로 보인다. 이러한 개선방향을 통해 우리는 도심 내 기존/신규 물류시설의 비용 대비 경제적 효율성을 증진하고, 만성적으로 체감하는 도시 혼잡과 배출가스 등의 환경 문제를 감소시켜 시민, 기업, 정부 등 이해관계자의니즈를 증진하는 기대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Short-term strategies for utilizing idle urban spaces as logistics facilities enable a rapid response to the surging demand for urban logistics and promote efficient use of existing infrastructure, thereby reducing logistics costs. These measures help optimize logistics flows within cities, alleviate traffic congestion, and facilitate prompt delivery services. In contrast, mid-term strategies that integrate large-scale logistics facilities into urban planning are vital for establishing a sustainable logistics network and achieving a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logistics hubs and residential or commercial zones. In the long term, it is imperative to systematically interconnect dispersed logistics bases and apply smart logistics technologies to advance automat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logistics systems. This study employed a mixed-method approach, including spatial analysis of available land using Kakao Map and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to explore how logistics functions can be incorporated into urban planning facilities. The findings suggest that repurposing underutilized public land—such as highway interchanges or spaces beneath overpasses—can support the development of numerous last-mile delivery points in the short term. In the long term, constructing “logistics skyscrapers” or integrating underground delivery systems with commercial and residential developments appears to be a feasible approach for ensuring high-capacity logistics infrastructure in urban centers. These strategies are expected to enhance the economic efficiency of logistics operations, reduce urban traffic and emissions, and improve overall logistics services for citizens.

      • KCI등재

        국내 도시물류정책의 추세 분석과 발전 방향: 물류기본계획의 변화를 중심으로

        최창호 한국ITS학회 2022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1 No.4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 policy direction that could preemptively respond to urban development by analyzing past trends and predicting future changes in urban logistics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the scope of the study was centered on changes in the national and regional logistics master plans presented in a framework that acted on logistics policy. So, the study examined the policy changes related to urban logistic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based on the national logistics master plan and identified a national policy base to respond to the expected changes in the logistics environment in the future. Moreover, by combining this base with the contents of the urban logistics master plan of Seoul, we proposed a logistics policy that should be continued or newly added to the urban logistics master plan. Policy proposals were also presented by dividing the future logistics environment changes into policy, social, and technological changes. In particular, the policies were proposed in urban planning (10 policies), transportation planning and ITS (8 policies), logistics technology and ITS (6 policies), and laws and systems (8 policies). Regarding policy continuity, 15 policies needed to be continued, and 17 policies were to be introduced lat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물류를 대상으로 과거 추세를 분석하고 미래 변화를 전망하여 도시발전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 범위는 물류정책기본법에서 제시하는 국가물류기본계획과 지역물류기본계획의 변화를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 진행은 국가물류기본계획을 근간으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도시물류와 관련된 정책 변화를 살펴봄과 더불어 장래 예상되는 물류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국가의 정책기조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서울시 도시물류기본계획의 내용과 접목시켜 앞으로 도시물류기본계획에서계속 추진하거나 새롭게 추가해야 할 물류정책을 제안하였다. 정책 제안은 장래 물류환경을 정책적, 사회적, 기술적 변화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분야별로는 도시계획(10개 정책), 교통계획·ITS(8개 정책), 물류기술·ITS(6개 정책) 및 법·제도(8개 정책) 등이다. 정책의 지속성으로 구분하면 현재 추진 중인 정책이 계속되어야 할 것은 15개, 앞으로 새롭게 도입해야 할 정책은 17개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생활물류서비스발전법의 주요 내용과 과제에 관한 연구

        최석범(Choi, Seok-Beom),임병하(Lim, Byung-Ha) 한국물류학회 2021 물류학회지 Vol.31 No.6

        생활물류의 역할은 여러 가지 차원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첫째, 라스트마일 딜리버리의 역할을 수행한다. 라스트마일 딜리버리는 물류업체가 상품을 소비자에게 직접 전달하기 위한 배송 마지막구간을 의미하는데 수익성에 한계를 느낀 물류기업들이 새로운 돌파구로서 관심을 돌리고 있는 분야이다. 둘째, 도시물류의 문제점의 해결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셋째, 공동주방형 일반 음식점 도입 등 공유경제를 가속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2021년 1월 26일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이 제정되었고, 시행규칙과 시행령이 마련되어 7월 27일부로 시행되고 있다. 동법에서는 택배 등을 생활물류서비스사업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업과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각종지원제도를 마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물류서비스종사자의 보호를 주요 내용으로 규정하고 있다. 동법은 제20대 국회에서도 제정 시도가 있었으나 제21대 국회에서 관련 법률안은 화물업계 등 이해관계당사자, 전문가그룹과의 논의가 있었고, 법안심사과정에서 수정ㆍ보완의견이 반영되어 입법화되었다. 본 논문은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의 주요내용을 살펴보고 그 과제를 탐색함으로써 생활물류서비스산업발전법이 제대로 정착되어 생활물류가 활성화되고 생활물류 스타트업의 창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생활물류의 정확한 정의와 함께 관련 산업 종사자와 그 범위, 시설, 운송수단 등의 규정이 미흡하여 이의 보완이 필요하다. The role of consumer logistics can be viewed from several dimensions. First, it plays the role of last mile delivery. Last mile delivery refers to the last section of delivery for logistics companies to deliver products directly to consumers. Second, it will play a role as a solver of urban logistics problems. Third, it will play a role in accelerating the sharing economy, such as introducing a common kitchen type restaurant. On January 26, 2021, the Consumer Logistics Service Industry Development Act was enacted, and the enforcement rules and ordinances were prepared and implemented as of July 27. The Act defines parcel delivery services as a daily logistics service business, and provides various support systems to systematically foster these businesses and industries, as well as stipulates protection of daily logistics service workers as the main content. Attempts were made to enact the same law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but in the 21st National Assembly, the related bills were discussed with stakeholders such as the cargo industry and expert groups, and amendments and supplementary opinions were reflected in the legislative process. By examining the main contents of the Consumer Logistics Service Industry Development Act and exploring its tasks, this thesis aim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umer Logistics Service Industry Development Act to revitalize the consumer logistics and to create a consumer logistics start-up.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ecise definition of consumer logistics, along with the regulations on related industry workers and their scope, facilities, and means of transportation are insufficient, so it needs to be supplemented.

      • KCI등재

        글로벌 복합물류허브도시 경쟁력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노경준(KyoungJoon Roh),송상화(SangHwa Song ) 한국국제상학회 2016 國際商學 Vol.31 No.1

        본 연구는 항만과 공항이 인접한 도시로 항만도시나 공항도시로만 역할 하는 것이 아니 라, 항만물류와 공항물류가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복합물류도시의 경쟁력 우선순위를 알아보기 위해 Fuzzy AHP를 이용하여 전문가와의 심층면접을 통해 가중치와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우선순위는 공항경쟁력, 도시경쟁력, 항만경쟁력순으로 나타났으며, 공항경쟁력 중 공항인프라가, 도시경쟁력 중에는 경제적 역량이, 항만경쟁력 중에는 항만인프라의 가중 치가 제일 높게 나타났다. 이는 그동안 전통적으로 항만경쟁력을 중요하게 여겨왔기 때문에 오늘날 항만경쟁력은 당연히 갖추어야 할 경쟁력으로 중요한 위치에 도달하였으나, 현실적인 글로벌 복합물류허브 도시가 되기 위한 조건으로 공항경쟁력과 도시경쟁력 또한 균형적인 발전이 이뤄져야 실질적인 글로벌 복합물류허브도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mpetitiveness Priorities of Global Complex Logisitcs Park City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paper excuted to investigate Competitiveness Priorities of Complex Logisitcs Park City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Indepth-Interview with experts making use of Fuzzy AHP Results : According to this study to be Global Complex Logisitcs Park City we should have airport competitiveness and urban competitiveness as well as port Competitiveness Conclusions : In conclusion, we should have airport competitiveness and urbancompetitiveness to be Global Complex Logisitcs Park City

      • KCI등재후보

        중국 물류거점도시의 경쟁력 분석

        이명헌(Myung-Hun Lee),이준엽(Jun-Yeop Lee) 한국항만경제학회 2006 한국항만경제학회지 Vol.22 No.4

        본 논문은 중국의 주요 물류거점도시들의 경쟁력을 공급측면의 기술적 효율성과 교통인프라의 암묵가격, 수요측면에서는 지역총생산 또는 수출입총액을 각각 가중치로 사용하여 비교분석한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공급측면에서는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대형 도시이며 시장지향적인 도시들이 기술적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며 반면에 교통인프라 투자의 기회비용은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청도, 영파는 기존의 물류도시임에도 불구하고 물류인프라의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경제학적 비용으로 추가적인 물류 인프라 건설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향후의 발전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된다. 수요요인까지 동시에 고려하여 수요요인에 대한 가중치별 종합경쟁력을 측정한 결과 상해, 심천, 광주 등의 도시가 물류거점도시로서의 종합적인 경쟁력에 있어서 상당히 우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In this paper, we analyse the comparative competitiveness of the 10 major logistic hub cities in China. First, using the input distance function, we calculated the technical efficiencies and the opportunity costs of the transport infra structure investments. Then, based on not only these supply side factors but also demand side, the overall comparative competitiveness by cities are analyzed.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early developed, larger cities such as Shanghai, Guangzhou, Shenzhen are technically efficient but their opportunity costs of the additional transport investments are higher than the other cities. We also found that overall competitiveness of these larger and leading logistic hub cities are dominant over the small and newly developed logistic cities.

      • KCI등재

        지속가능한 라스트마일의 스마트물류기술 적용 방안

        박홍균 한국해운물류학회 2023 해운물류연구 Vol.39 No.3

        도시물류는 수요자 요구의 다양성과 공간적 및 시간적 특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체 공급망에 혁신적인 방안이 적용되어야 한다. 물류 단계별 비용구성은 분류 4%, 집화 6%, 터미널 간 운송 37%, 라스트마일 배송 53%로 가장 높은 비율이다. 따라서물류기업간 라스트마일분야에서 경쟁이 치열하므로 기술적인 질의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라스트마일의 환경, 경제 및 사회, 기술 차원에서 스마트 물류기술적용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분석결과는 제2계층 구조에서 물류가시성확보, 물류 연계성, 그리고 종합평가분석은 자율주행 물류 로봇, 디지털 트윈이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갈 것이다. 이를 위하여 효율적이고 유연성 있는 공급망 솔루션개발과 지속가능한 라스트마일 선택을 구분하는 심층 정량 분석과 실무적 연구가 요구된다. Urban logistics must develop innovative supply chain solutions to address the diversity and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consumer needs. Cost composition by logistics stage is the highest at sorting 4%, pick-up 6%, inter-terminal transport 37%, and last mile delivery 53%. Therefore, as competition in the last mile between logistics companies is fierce, service focusing on technical capabilities is being conducted as a means of logistics innovation. This study presents a plan to apply smart logistics technology in the environmental, economic, social, and technological levels for sustainable last-mile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d analysis show that securing logistics visibility, logistics connectivity,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analysis in the second-tier structure will be widely applied to technological innovation in autonomous logistics robots and digital twin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icient and flexible supply chain solution. In the future, in-depth quantitative analysis and practical research to classify sustainable last mile options are required.

      • KCI등재

        산림-도시 인접지역의 산불로 인한 물류시설의 화재확산방지 방안 연구

        민정기 한국재난정보학회 2024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20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급격히 증가하는 산불로 인한 산림에 인접한 물류시설의 화재 피해를 저감하기 위 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외 산림-도 시 인접지역의 화재안전기준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 적용 가능한 대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국외에서는 산림-도시 인접지역(WUI)의 개념을 도입하여 산림과 건축물이 인접한 지역의 화재위험성에 대한 평가방법 및 Tool을 구축하고 있으며, 건축물의 구조적인 성능(방화성, 내화성, 비 손상성)뿐만 아니라 건축물 주변부의 기상상황 및 대지 조건, 건축물 주변부의 가연물 배치형태 등 6가 지 조건에 맞추어 위험도를 평가하고 대책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 국내에서는 물류시설에 대해 산림- 도시 인접기준의 정립이 필요하며,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준 이상의 건축재료의 적용이 필요하고 정 보의 수집과 함께 화재확산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산림-도시 인접지역에 위치한 물류시설 의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measures to reduce fire damage to logistics facilities adjacent to forests caused by rapidly increasing forest fires.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we investigated fire safety standards in areas adjacent to forests overseas and based on this, proposed countermeasures that can be applied domestically. Result: Overseas, the concept of Wildland Urban Interface (WUI) has been introduced to establish evaluation methods and tools for fire risk in areas where forests and buildings are combined, and not only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building (fire protection, fire resistance, and damage resistance), but also the weather conditions around the building. The risk is assessed and countermeasures are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six conditions, including site conditions and the type of combustibles placed around the building.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forest adjacency standards for logistics facilities, and it is necessary to apply building materials that exceed the standards stipulated in the law in Korea. Logistics facilities located in areas adjacent to forests are required to collect information and minimize damage from fire spread.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ool that can quantitatively determine the level of ris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