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 무신집권기 ‘復政于王’ 명분의 등장과 都房의 변화

        홍민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4 No.-

        Dobang (都房) is a private group created by the military governor for their private escort and utilization. For the military regime, Dobang was their exclusive property, and this is one of the reasons why Dobang was able to survive throughout this period. Kim Jun (金俊), one of the figures who led Muojeongbyun (戊午政變), was in a position that he could be eliminated if he did not become the highest authority. Thus, he ousted YuKyeong (柳璥) and became a military governor. However, he was a person who grew up through the banner of “Bring political affairs back to the king (復政于王)”, and he was fully aware of it. Kim Jun, who is in a dilemma between military governor and the cause of "Bring political affairs back to the king (復政于王)", eventually failed to fully regain his authority related to the Dobang, leaving room for formal mobilization by the king. This aspect continued even when Im Yeon (林衍) took power. It was a formal crack that was inflicted on the firm system of the former military governor. In the end, the justification of "Bring political affairs back to the king (復政于王)," which appeared during the Muojeongbyun, continues to affect the military governor during the decline. Of course, it is not thought that the king at the time would have used Dobang freely, but at least formally, it was not entirely attributed to Kim Jun and Im Yeon and could be mobilized by the king. Eventually, a curve was created in the operation of the private system of the military governor. 도방은 무신 집정들이 자신들의 사적인 호위⋅활용을 위해 창설한 사병집단이다. 무신 집정에게 있어서 도방은 본인들의 전유물이었으며, 이는 도방이 무신집권기를 통틀어 존속할 수 있었던 이유의 하나이다. 무오정변을 주동한 인물 중 하나인 김준은 자신이 무신집정이 되지 않으면 도태될 우려가 있는 입장이었다. 그리하여 정변 직후 정권을 잡았던 유경을 축출하고 무신 집정이 되었다. 하지만 본인은 ‘復政于王’의 기치를 통해 성장한 인물이며, 그 스스로도 충분히 그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무신집정과 ‘復政于王’ 명분 사이의 딜레마에 놓인 김준은 결국 온전히 도방 관련 권한을 환수하지 못하고, 형식적으로는 국왕에 의해 동원될 수 있는 여지를 남겼다. 이러한 모습은 임연 집권기에도 이어졌다. 전대 최씨 무신 집정의 확고한 집권 체제에 가해졌던 형식적 균열이었다. 결국 무오정변 당시 등장했던 ‘復政于王’의 명분은 ‘쇠퇴기’의 무신 집정들에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셈이다. 물론 실제로 당시 국왕이 도방을 자유로이 활용했으리라고는 생각되지 않지만, 적어도 형식적으로는 온전하게 김준⋅임연에게 귀속되지 않았고 국왕에 의해 發命될 수 있었다. 결국 무신 집정의 사적 체제 운영에도 굴곡이 만들어졌던 것이다.

      • KCI등재

        『고려도경(高麗圖經)』의 방시(坊市)와 장랑(長廊)에 대한 기록 재고(再考)

        강병국 ( Kang Byeong-kuk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8 역사학연구 Vol.70 No.-

        『高麗圖經』은 원래 그림이 있고 글을 덧붙여서 설명을 도왔던 ‘圖經’인데, 그림은 일실된 채 글만 남아 있다 보니 그 내용을 명확히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고는 그 중에서 개경의 長廊 두 곳에 대한 관찰기록을 합리적으로 이해하고자 시도한 논문이다. 그 내용을 보면 장랑 두 곳 중에 최소한 한곳은 개경 大市의 市廛行廊인데, 서긍이 남긴 기록은 언뜻 그 장랑이 비어 있는 것으로 읽힐 여지가 있다. 이 기록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따라 개경의 도시사적 위상이 결정될 수 있기에 그 해석을 둘러싸고 그동안 다양한 견해가 제기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논란의 대상인 長廊 기록을 再考하되, 서긍의 관점과 서술 의도에 유의하면서 관련 사료를 재차 독해하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우선 奉先庫의 위치를 새로이 비정하여 개경의 공간배치도(<그림2>)에 표기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관련 사료에서 논란의 대상인 ‘至府及館’ 구절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기함으로써 제2장랑이 대시의 시전행랑인 제1장랑과는 별도의 상업시설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다음으로 관련 사료에서 ‘其中’의 의미를 “그 안에”가 아니라 “그 중간에”로 새기는 새로운 해석을 제기함으로써 논란 대상 사료에 대한 이해의 관점을 달리하였다. 이렇게 볼 경우 서긍이 남긴 해당 기록은 언덕[岡阜] 주변의 상황을 묘사한 것(<그림 3> 참조)일 뿐 장랑이 비어있는 것이 아니다. 종합적으로 서긍이 목격한 장랑은 개경의 간선도로변에 위치한 시장인 ‘街市’를 위한 상업시설이었으며 서긍의 방문 당시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었고, 그 결과 서긍이 개경의 街市에 사람이 빽빽하게 들어찬 광경을 목격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고려 개경의 장랑 건축과 街市 운영은 이후 조선의 사헌부에 의해 높이 평가되었고, 조선의 태종이 행랑을 京邑의 體로 인식하여 신도읍지 한양에 확대적용하기에 이르렀다. 이상으로 본 논문에서는 『고려도경』의 장랑에 대한 기록을 再考함으로써 언뜻 상호모순으로 보이는 서술에 대한 합리적인 이해를 시도했다. 그 결과 서긍이 상정한 독자층이 宋人임을 염두에 두고, 『고려도경』의 체계(<표 2>)를 바탕으로 관련 사료의 종합적인 서술 체계를 염두에 둘 경우 합리적 이해가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결국 『고려도경』의 사료 독해는 저자 서긍의 관점과 서술 의도가 어떠한지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재차 확인하였다. Koryeodogyeong is originally a ‘dogyeong(圖經)’ that had pictures with supplemental texts to help explanation. However, the pictures were lost with only supplemental texts remaining and, therefore, it is sometimes difficult to clearly understand the actual contents. This paper attempts to make a rational understanding of the observational records about two Chang-langs in Gaegyeong(開京). The records tell us that at least one Chang-lang of the two is Sijeon-Haeng-lang of Dae-si. However, such Chang-lang can be misunderstood as vacant according to a record left by Seogeung(徐兢). There have been various opinions as to how to interpret such record as it can ultimately determine the importance of Gaegyeong in the history.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reexamine the records about Chang-lang which has been the subject of controversy and to interpret the related records while keeping in mind the perspective and intention of Seogeung. As a result, first of all, the location of Bongseon-go(奉先庫) was newly determined and marked on the area layout map of Gaegyeong (as shown in Figure 2). Based on this, I propose the possibility that the second Chang-lang was a separate commercial facility from the first Chang-lang by suggesting a new interpretation of the paragraph ‘至府及館’ which is the subject of controversy in the related documents. Next, I provide a different perspective by suggesting a new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其中’ in the related documents as “in the left by Seogeung simply describes the surroundings of the hill[岡阜] (refer to Figure 3) and does not indicate Chang-lang is empty. All things considered, I think Chang-lang as observed by Seogeung was a commercial facility for Ga-si(街市), a market located along the main streets of Gaegyeong, and was in a proper operation during the visit by Seogeung, and as a result, Seogeung probably observed the scene of crowded Ga-si with a lot of people. This kind of Chang-lang built in Koryeo Gaegyeong and the operation of Ga-si became highly regarded by the government of Choseon(朝鮮) and, thereafter, the King Taejong(太宗) of Choseon recognized Haeng-lang(行廊) as ‘京邑之體’ and further expanded and applied it to the new capital, Hanyang(漢陽). In summary, this paper attempts to reevaluate and make rational sense of the seemingly contradictory statement about Chang-lang in Koryeodogyeong. As a result, I conclude that we can make a rational understanding if we keep in mind that the target readers of Seogeung were ‘宋人’ and, in addition, the overall narrative structure of the related records based on the structure of Koryeodogyeong (as shown in Table 2). Conclusively, it is reconfirmed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 and intention of the author, Seogeung, to correctly interpret the related records of Koryeodogyeong.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고려 최씨 정권기 私兵의 운영과 家奴

        이정민 역사학회 2022 역사학보 Vol.- No.256

        This study explores the management of private army(私兵) during the Choe military regime in Goryeo period and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its members. This study also intends to reveal the limitations of the regime’s running of private army. There are precedent studies that have analyzed the Choe regime’s management of private army, but they have not dealt with its members’ propensity. Therefore, the reason for the fundamental change in the attitudeofsoldiershasnotbeenproperly considered. The Choe military regime’s private army was largely composed of Dobang(都房) and House army(家兵). All members of Dobang were connected to the central bureaucracy, but the House army was not. Dobang had a bond with the Choe military regime in exchange for public offices, and could turn its back on the Choe military regime depending on the political situation. In preparation for such a situation, Choe military regime bestowed an office on domestic slaves(家奴), the conductor of the House army. However, these domestic slaves, newly involved with the bureaucracy, broke away from the Choe military regime and caused the fall of the regime. The limitation of the private army management was that Choe’s military regime used the centralized royal bureaucracy for its own benefit, but could not possess it. 본 연구는 고려 최씨 정권기 사병의 운영과 그 구성원의 성격 변화를 추적하여 최씨 정권의 사병 운영 한계점을 밝혔다. 기존 연구에서도 사병의 운영을 분석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기는 했지만, 구성원의 성격과 함께 분석되는 작업이 별로 행해지지 않아 그들의 행동 변화가 근본적으로 왜 일어났는지에 대한 고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최씨 정권의 사병은 크게 도방과 가병이 있었다. 도방의 구성원은 모두 중앙의 관료제와 관련되었으나, 가병은 그렇지 못했다. 도방은 관직을 반대급부로 하여 최씨 정권과 결합관계를 맺었는데, 정치적 상황에 따라 최씨 정권을 이탈할 수 있었다. 이를 대비하여 최씨 정권은 가병의 지휘자인 가노에게 관직을 주었는데, 새롭게 관료제와 연결된 가노가 최씨 정권을 이탈하면서 최씨 정권은 무너지게 되었다. 사병 운영 한계는 최씨 정권이 국왕 중심적 성격의 관료제를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활용했지만 소유할 수 없는 점에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고려 무신정권기 敎定都監에 대한 새로운 해석

        박재우(Park, Jae-Woo)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60

        교정도감은 최충헌 부자를 죽이려 하였던 청교역리 사건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충헌이 희종 5년 4월에 영은관에 설치한 관료기구였다. 교정도감의 구성으로는 장관인 교정별감과 수취를 담당한 교정수획원이 있었는데 이들은 국가나 국왕이 임명하는 관료였다. 특히 교정별감은 집권무신에게 임명하는 관직이어서 교정도감의 정치적 위상은 무신정권의 다른 지배기구보다 훨씬 높았다. 그리고 문서 행정을 담당한 문신도 있었다고 추정된다. 교정도감은 정치적 반대자나 모반자의 색출과 처벌, 정보 수집과 규찰, 그리고 죄인의 재산 몰수와 분배를 담당하였다. 또 관료기구라는 점을 이용하여 공문서를 보내 인재의 천거를 요구하거나 청탁을 받아 지방 수령에게 행정 조치를 요구하는 등 다양한 庶事를 관장하였고, 재정원을 과도하게 확보하고 교정수획원을 보내 수취와 수탈을 자행하였다. 이로써 교정도감은 무신정권의 政廳이 되었다. 다만 교정도감이 庶事를 담당한 것은 무신정권이 권력을 남용한 결과이며, 3성 6부의 관료제도를 제도적으로 통솔하면서 국정 전반을 장악한 것은 아니었다. 교정도감이 국정 전반을 장악하였다고 보기 어려운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집권무신의 권력행사의 통로가 다양하였기 때문이었다. 우선 집권무신의 권력의 출처는 그들이 보유한 군사력이고 정규 관직이나 교정별감이 아니었다. 그렇다고 해서 관료제도가 완전히 무력하였던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집권무신들은 재추, 이부와 병부, 어사대, 승선 그리고 상장군 등의 정규 관직을 얻어 정치적 지위와 권위를 높이고 국정운영의 중심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관료제도는 교정도감과 기능이 달라 서로 별개로 운영되었는데, 고려 국정운영의 최고 회의체로서 재추가 국가 중대사를 회의하던 재추회의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므로 교정도감이 국정 전반을 장악하였다고 하기 어렵다. 또한 정방, 도방, 정방 등도 교정도감과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었고 교정도감의 지휘를 받지 않았다. 교정도감은 무신정권이 자의적으로 庶事를 관장하는 政廳이었으나 3성 6부의 관료제도나 정방, 도방, 서방 등과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었고 이들을 관할하거나 통솔하지 않았다. 군사력을 바탕으로 권력을 잡은 집권무신은 기능과 역할이 서로 다른 교정도감, 정규 관직 그리고 정방, 도방, 서방 등의 다양한 기구를 각각 장악하고 권력을 행사하였다.

      • KCI등재

        6~7세기 고구려의 욕살과 군사 운용

        이정빈 고구려발해학회 2022 고구려발해연구 Vol.72 No.-

        고구려의 褥薩은 6~7세기의 관명으로 왕도 5부와 諸大城의 장관이었다. 본고에서는 각종 문헌과 묘지에보이는 욕살의 사례를 검토해 그의 군사적 성격을 확인하고 운용의 방식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왕도 5부의 욕살은 5부병의 지휘관이었다. 5부병은 상비군으로, 전시의 경우 예비군을 동원해 야전군을 편성하였는데, 5부욕살은 그 지휘관으로 선임되기도 하였다. 645년 주필산 전투에서 一軍의 장군으로 출전한 고연수ㆍ고혜진이그의 한 사례였다. 제대성의 욕살 역시 지방 상비군의 지휘관으로, 전시의 경우 일대 諸城ㆍ諸部落의 군사권을 부여받았다. 일정 지역의 軍政大權을 관장한 것이다. 욕살은 동시기 신라의 軍主ㆍ백제의 方領ㆍ당의 都督 ㆍ돌궐의 샤드 등과 비교된다. 특히 백제의 방령이 주목된다. 고구려의 왕도 5부와 제대성은 백제의 5부ㆍ5방과 상통하였다. 왕도의 5부병이 공통되었고, 제대성의 욕살과 5방의 방령이 유사하였는데, 욕살과 방령은 모두 최고위 귀족이 임명되었다. 제대성의 욕살과 5방의 방령은 왕도의 5부 장관과 동급으로, 비단 장관만 아니라 무관ㆍ군사조직이 동일한 체계였다. 군사 운용과 전시에 대비한 평시의 군제였고, 군제에 기초한 지방제도의 운용이었다. 이와 같은 군사체제ㆍ지방제도 운용의 중심에는 상비군이 있었는데, 상비군은 이를 유지하기 위한 부세제도ㆍ관료제도를 수반하였다. 중앙집권적 국가체제 정비와 궤를 같이 하였던 것이다. 6~7세기고구려의 욕살은 중앙집권적 국가체제 정비에 기능하였고, 그와 같은 추이를 반영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서남해 도서 연안 민간요법의 공유가치와 지식재산으로서 재발견

        박혜영 ( Park Hey-yeong ) 남도민속학회 2016 남도민속연구 Vol.33 No.-

        민간요법은 경험과학으로서 공동체 구성원 사이에 공유되어온 지식재산이자 공유자원이다. 민간요법은 서민들의 삶의 터전과 일상생활 속에서 자생해온 치료법으로, 질병의 발생에 대한 문화적 대응이자 치유방식이라고도 할 수 있다. 치병 경험과 약재의 판별, 약초의 채취 장소와 기술 및 제약 방법 등에 관한 지식은 교환가치를 지니는 일종의 지식재산(智識財産)으로서 전통과 내력을 갖고 있다. 이런 민간요법들은 한편으로 지극히 비전문적인 것, 위험한 것, 미신적인 것,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는 비합리적인 것으로 치부되기도 한다. 민간요법은 해방 이후 한국전쟁기를 지나면서 양의학의 성장세에 위축되어왔으며, 한의학에 대한 대체의학으로 자리 잡기에도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여겨지곤 했다. 이런 경향은 일제강점기에 특히 두드러졌는데, 조선의 의학은 유구한 전통에도 불구하고, 원시적인 의술로 치부되었으며, 귀신을 다루는 미신과 같은 것으로 여겨졌다. 또 식이요법을 비롯한 정신요법이나 장기요법과 같은 각종 치료법들이 합리적인 의술로 그 실제적 효력을 인정받기도 했다. 민간요법에 대한 이런 양가적 시선은 오늘날까지도 잔존해있다. 민간요법은 단순히 합리성이나 과학성의 척도로 그 성격을 규명하기 어렵다, `합리적`인 치료법으로 자리매김해온 각종 식이요법이나 물리적인 치료 방법에 대한 실증적 접근과 더불어, 질병에 대한 인식과 치료 행위 일체를 문화적 현상으로 이해하고 인식의 층위와 그 의미를 해석해내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민간요법에 대한 폄하된 시각을 바로잡고, 주술치료를 비롯한 각종 임상치료 과정에 대한 문화적 해석과 생물문화자원의 한의약적 이용에 대한 실증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고에서 민간요법의 전승의 핵심인 전통지식의 가치를 포착하고, 국제사회에서 유전자원의 접근과 이익공유에 대한 자원안보의 문제를 근거로 전통지식 보전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논하였다. 현대사회에서 전통지식은 지식재산이자 재화나 다름없는 물적 가치를 지닌다. 생물다양성 협약에 따른 `유전자원의 접근과 이익공유`에 대한 자원안보 인식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기틀을 마련하는 것은 도서 지역의 생물문화와 관련된 지역민의 지식재산권 확보에 달려있다. 여기에 도서연안 농어민들의 종자권 보호와 민간약재의 생산 및 채취권에 대한 규약을 강화하고 더불어 민간요법의 보유자에게도 나름의 권리와 혜택을 부여하여 지식재산권을 보장하려는 노력과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구전 및 행위로 세간에 전승되어온 민간요법의 경우 과학적으로 검증된 실질적인 임상효과와 더불어 예방의학적 차원의 건강유지와 생활개선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민간요법에 대한 학문적 검토 및 연구를 통해, 의료행위 기준을 마련하고, 세계 표준 선도 및 선점을 위한 범부처 차원의 표준화 대응 협의체 마련 및 전담기구를 설립과 지원이 요구된다. 민간요법에 실제적인 효능을 입증시키고, 단순히 치료목적 뿐만 아니라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대체의학(代替醫學)으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생물문화자원의 의약학적 이용에 대한 실증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Folk remedies are an intellectual property and a shared resource that have been shared among members of the community as experiential sciences. Folk remedies are a natural remedy for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and their daily lives, and a cultural countermeasure for the occurrence of diseases. The knowledge about the cure, the identification of herbs, the place and the technology of herb collection, and its processing method has a tradition and history as a kind of intellectual property having exchange value. These folk remedies, on the other hand, were regarded as extremely unprofessional, dangerous, superstitious, and scientifically unreasonable and irrational. After the Korean War, the folk remedies have been depressed by the growth of Western medicine, and they have been regarded as insufficient to be an alternative medicine for Oriental medicine. This tendency was particularly promin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which the medicine of Joseon was regarded as primitive medicine, despite the long tradition, and the superstition of dealing with ghosts. On the other hand, various therapies such as diet, psychotherapy and long-term therapy have been recognized as rational medicine and for their practical efficacy. This ambivalent view toward folk remedies remains to this day. An empirical and systematic approach to cultural interpretation of various clinical treatment processes, including magic therapy and herbal medicine use of biological and cultural resources, is necessary to correct the derogatory view of folk remedies. It is difficult to characterize folk remedies simply by the rationality or scientific criterion. Along with an empirical approach to various dietary and physical treatments that have been established as “reasonable” treatment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cognition of the disease and the treatment action as cultural phenomena. Also, this should be accompanied by a task of interpreting the layer of recognition and its meaning. This paper captures the value of traditional knowledge, which is the core of folk therapy tradition, and discusses the necessity and justification of conserv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based on the issue of resource security for the access and benefit sharing of genetic resource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In contemporary society, traditional knowledge has the same physical value as intellectual property and goods. Establishing a basis for the promotion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resources and security for the `access and benefit sharing of genetic resources` under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depends on secur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the local islanders related to the bioculture of the island area.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strengthen the provisions on the protection of the seed rights of coastal farmers and fishermen and on the production and harvesting rights of private medicines, as well as on secur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the folk medicine owners by granting their rights and benefits. In the case of folk remedies that have been handed down by word of mouth and acts, it is necessary to move forward to contribute to the health maintenance and life improvement in the preventive medicine level, as well as to the practical clinical effects that are scientifically proven. Through academic review and research on folk remedie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standards for medical practices, to establish and support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for global standardization and preemption. An empirical and systematic approach to the clinical use of biological and cultural resources is needed to demonstrate practical efficacy of folk remedy and to establish itself as an alternative medicine for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as well as for therapeutic purposes.

      • KCI등재
      • KCI등재

        고려 무신정권기(武臣政權期)의 경찰조직과 그 기능에 관한 연구

        김형중(Kim Hyeong Joong) 한국공안행정학회 2013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2 No.3

        고려 의종(毅宗) 24년(1170) 정중부 등에 의해 일어난 무신정변(武臣政變)이 우리 역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참으로 크다. 따라서 이 정변이 고려의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등 각 분야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 것도 사실이며, 경찰조직도 예외는 아니었다. 고려전기에는 경찰활동이 官制(행정기관의 설치ㆍ조직 및 직무범위 등에 관한 제도)와 兵制(군사상의 모든 제도) 상의 경찰관련업무와 관련된 기구들에 의해서 경찰권과 司法權 그리고 범죄예방과 통제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무신정변에 의해 무인전단(武人專斷)의 정치가 시작되면서 고려전기의 공식적인 官制나 兵制 등의 통치기구는 형식상 존재하였을 뿐, 실질적인 정치운영과 경찰권 행사는 公的인 기구인 중방(重房), 야별초(異說있음) 그리고 私的인 지배기구로서 도방(都房), 교정별감, 정방(政房), 마별초 등에 의해서 운영되었다. 중방은 무신정권이 성립되면서 군사(軍事)를 비롯하여 경찰, 형옥(刑獄), 인사 등에 있어서 王權을 능가하는 초월적인 권력을 행사하였다. 그 후 최충헌이 권력을 잡은 후에는 교정도감이 중방의 역할을 하였으며, 중방은 형식적인 제도로 고려말까지 존속하였으나 경찰관련기관으로서의 존재가치마저 상실하게 되었다. 무신정권기의 지배기구 가운데 가장 강력한 무기 중의 하나로 삼별초의 기원이 되는 야별초를 들 수 있다. 야별초는 원래 최우가 도둑을 막기 위하여 편성한 「私兵化된 公兵」으로서(異說있음), 후에 경찰 및 刑政에 있어서 포도금란(捕盜禁亂), 형옥, 죄수를 심문하는 일, 경호(친위대) 그리고 대몽항쟁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전투부대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경찰사적 측면에서 볼 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을 야별초가 갖는 역사적 의미이다. 첫째, 고려전기까지 경찰활동은 官制와 兵制를 축으로 하여 수도개성에 한정하여 범죄예방과 통제가 주로 운영되었다. 그러나 무신정권기인 최우 때에 야별초가 설치되면서 순찰과 도적예방 및 폭행단속 등의 경찰고유업무가 최초로 중앙에서 지방까지 확산되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 들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야별초는 전국적으로 경찰고유의 독자적인 조직으로 분화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경찰역사의 연속성 측면을 들 수 있다. 고려말 원종(元宗)11년에 야별초가 폐지되고 난 후 충렬왕때에 元의 제도의 영향을 받아 수도 개경을 중심으로 순찰, 포도(捕盜), 刑獄 등 관계의 일을 맡아하던 순마소(후에 순군만호부로 개칭)가 설치되고, 그 후 전국에 33개 순포(巡捕:오늘날의 자빙경찰청 단위)가 설치되어 전국 치안을 장악하려던 의도는 양적이나 질적인 면을 제외하고는 동일선상에서 논의되어지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점 등에서 경찰역사의 연속성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런 측면에서 무신정권기의 경찰조직과 기능을 연구하는 필요성 또한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 이외에도 몇 개의 역사적 의미는 본문에서 기술하였음을 밝혀둔다. The military coup led by Jung, Joongbu in 1170 has been very significant to Korean history. In accordance with this big historical event, it is true that the military coup has transformed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society, economy and culture in the Korean dynasty period. The police organization experienced the same transformation without exception. The police activities such as law enforcement and crime prevention and control were conducted by Kwonjae(an organization that is for about the installation, organization and the call of duty of administrative agencies) and Byungjae(the organizations in charge of military) that carried out police duties in the early Korean dynasty period. However, the official government organizations in the early Korean dynasty period such as Kwonbu and Byung had lost their power since the military regime governed the nation. At that time, all official government organizations without Choongbang and Yabeolcho nominally existed. As a matter of fact, Choongbang and Yabeolcho practically exerted political operation and police authorities. Dobang, Gyojungbeolgam, Jungbang and Mabeolcho played the same role in the private sectors. Yabeolcho is the origin of Sambeolcho which was one of the most powerful ruling authorities during the military regime period. Yabeolcho was originally formed by military the general Choi, Woo to prevent theft cases. There are several theories about Yabeolcho, most of which claim that it was merely privatized government military. It conducted criminal arrest, violence prevention, jail control, criminal interview, and VIP protection. It was also the essential combat troop against Mongolian military. Above all missions, Yabeolcho has a special meaning in terms of police history. For one thing, the police activities were limited to the capital city of the Korean dynasty by Gwanjae and Byungjae until the early Korea dynasty time. Its main duties were crime prevention and control. But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 is that the police activities for crime prevention and control were expanded to the local area, after Yabeolcho had been established by the military regime. In this context, it seems that Yabeolcho provided the motive making the police independent. Secondly, there is an example verifying the continuity of police history. Soonmaso influenced by the administration system of the Chinese government Won was established in King Choongyeol tenure and conducted area patrol, criminal arrest and jail control in the Gaegyung capital district, after Yabeolcho had been abolished by King Wonjong in the late Korea dynasty period. It is reasonable to discuss the fact that thirty three soonpos which are equivalent with current police regional agencies were established to control national public safety. In accordance with these point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ontinuity of police history.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police organization and function in military the regime period of Korean dynasty. In addition, the other points of historical significance are described in the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