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교육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도덕교육방법 연구

        정탁준(JUNG TAK-JO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도덕과 교육의 방법측면은 교사가 다른 도덕적 지식을 가진 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문성을 인정받는 분야이며, 실제 도덕교육이 학교에서 이루어질 때 매우 긴요하게 요구되는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의 도덕과 교육의 방법은 도덕과의 성격이나 목표 그리고 내용에 비해 소홀히 다루어진 바가 적지 않다. 그 이유로는 크게, 도덕교육의 목표에 대한 수많은 도덕교육학자들의 주장들에 대한 구분을 짓는 노력이 부족했고, 도덕교육의 목표를 직접적으로 추구하는 도덕교육의 방법과, 도덕교육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지원을 하는 일반적 교육 및 수업전략들이 혼재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두 가지 측면에서, 그리고 차기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도덕과 교육의 교육목표와 내용에 비추어, 도덕교육의 방법을 체계화 하는데 그 주안점을 두었다. 따라서 차기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도덕과 교육의 목표에 따라 도덕과 교육방법도 덕목중심의 교육방법과 판단력 중심의 도덕교육으로 체계화하고, 도덕교육에 영향을 주는 일반 교육학의 교수학습이론과 도덕과 교수방법, 그리고 그 상세한 수업운영기술을 반영하는 도덕과 교수전략으로 나누어 체계화 하려 한다. Even though one of the core domains of moral education studies is the methodology of moral instruction, the inquiry of moral educational methods has somewhat unobserved. Because of the ebb and flow of moral educational theories with the lapse of time, and of the confusion between general teaching methods and detailed instructional strategies, the study of moral educational methods has difficulty in developing an efficient system to help teachers of moral education to structure his/her class. This paper focuses on the systemization of moral educational methods according to next national curriculum in two points: first, the categorization of moral educational methods from general instructional methods and detailed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second, the establishment of a dyadic structure composed of virtue-centered moral educational method and decision-centered moral educational method.

      • KCI등재후보

        초등 도덕과 교수·학습의 일반적 과정·절차에 관한 연구

        유병열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0 한국초등교육 Vol.20 No.2

        Nowadays, we have to carry out the national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develop moral education textbook for children. But those tasks can be smoothly accomplished only when the basic frame of moral teaching- learning is constructed for elementary classes. So, it is our urgent task to develop the general process and steps of moral teaching- learning in elementary classes. So, I wanted develop the general frame of moral teaching- learning in elementary classes and tried to prove the theoretical rightness and the practical propriety of the frame. To accomplish the task, firstly I enquired the goal and characteristics of 2007 national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and the theory of virtue and character education that has been the main trend in the field of modern moral education. Secondly, based on the inquiry, I contrived the general frame, that is, the whole process and steps of moral teaching-learning for elementary classes. This frame is made up of three models: basic model, six sub-basic models and practical teaching-learning models. These models were tested out in elementary schools for six months and their theoretical foundation and practical appropriateness were verified with good results. The basic model is the general framework of teaching-learning in elementary moral classes. Only when we are based on this model, we can practice the mo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theory of virtue and character education. The six sub-models are derived from the basic model and we can use them to develop the moral competences and virtual traits of human character in elementary children. finally, the practical teaching-learning models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moral textbook for elementary children and they substantially contribute to the teacher`s moral teaching-learning in elementary classes. 2007년에 개정 고시된 도덕과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실질적으로 적용함에 있어 해결되어야 할 과제들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중요한 하나가 바로 초등 도덕과 교육의 일반적 과정·절차를 개발해 내는 일이다. 이 문제는 당장 초등 도덕 교과서를 만들어 내는 데 토대가 된다는 점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현장에서 도덕과 교육을 실행해 감에 있어 근간이 된다는 점에서도 매우 절실한 과제가 된다. 이 연구는 바로 이런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새 도덕과 교육과정 하에서의 초등 도덕과 수업의 일반적 과정·절차를 모색해 내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2007 도덕과 교육과정의 기본 정신과 중점 방향을 고려하고, 현대 도덕교육의 중심 동향이 되고 있는 인격․덕교육적 접근에 기초하여, 초등 도덕과의 일반적 과정·절차로서 도덕과 수업의 기본 모형과 여섯 가지 하위모형 및 차시별 수업모형을 구안해 내었다. 그리고 이를 새 도덕 교과서를 개발해 내는 데 적용하는 동시에 학교 현장의 적합성 실험에 투입하여 그 타당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새로이 개발된 초등 도덕과 수업의 일반적 과정·절차 모형은 이론과 실제 모두에서 타당하고 적절하다는 점이 밝혀졌으며, 이에 따라 앞으로 이를 새 도덕 교과서 개발은 물론 학교 현장의 도덕과 교육 실제에도 실질적으로 적용, 운영해 가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도덕과 개념 분석 수업모형의 효과적 적용을 위한 연구: J. 윌슨의 개념 분석법과 소크라테스적 방법을 중심으로

        이한진 한국도덕교육학회 2022 道德敎育硏究 Vol.34 No.3

        The moral subject should help students form correct moral concepts. The concept analysis learning model can lead teachers to in-depth exploration of moral concepts for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Wilson’s method of concept analysis and Socratic method in order to effectively apply the concept analysis learning model to the moral subject class. The techniques of concept analysis introduced by him, which can be said to be the foundation of the concept analysis learning model presented in the moral subject teacher’s guidebook, are useful in guiding students’ concept analysis work in terms of methods. And the Socratic method that can experience Eironeia, Elenchus and Aporia in dialogue is a kind of educational method for moral subject teachers who apply the concept analysis learning model. On the other hand, it provides teaching as an ethics in education. 도덕과는 학생들에게 올바른 도덕적 개념 형성이 이루어지도록 도와야 한다. 개념 분석 수업모형은 교사가 학생들에게 도덕적 개념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하도록 이끌 수 있다. 본 논문은 개념 분석 수업모형을 도덕과 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윌슨의 개념 분석 기술과 소크라테스적 방법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덕 교사용 지도서 총론에 제시된 개념 분석 수업모형의 토대라고 할 수 있는 윌슨의 개념 분석 기술들은 방법적 측면에서 학생의 개념 분석 작업을 지도하는 데 있어서 유용하다. 그리고 대화에서 아이러니(Eironeia), 엘렌쿠스(Elenchus), 아포리아(Aporia)를 경험할 수 있는 소크라테스적 방법(Socratic method)은 개념 분석 수업모형을 적용하는 도덕 교사에게 일종의 교육 방법으로서, 다른 한편으로는 교육 윤리로서 가르침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