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널드 위니캇의 안아주기 환경 개념의 여성목회신학적 재고와 목회적 돌봄

        권진숙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5

        이 논문은 여성목회신학적인 관점에서 도널드 위니캇 (Donald W. Winnicott)의 안아주기 환경(holding environment) 개념을 성찰하면서, 새로운 상호적 목회 돌봄에 대한 가능성을 연구한 글이다. 연구 방법론은 캐리 도어링 (Carrie Dohering)의 여성주의 목회 신학적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이 논문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 방법론을 소개하고 전반적인 연구의 전개와 주제를 제시할 것이다. 2장에서는 도널드 위니캇의 안아주기 환경을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비평적으로 재고할 것이다. 첫째로 안아주기 환경 개념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전통적인 모성 이해에 대한 비평을 한다. 둘째로 안아주기 환경 개념의 지나친 영아 편향적인 성향과 초기 돌봄 제공자에 대한 돌봄 결여에 대한 문제를 지적할 것이다. 3장에서는 기독교 신앙을 가진 미아라는 여성의 모성 경험과 신앙생활을 분석함으로써 목회적 돌봄으로서의 상호적 안아주기 환경의 중요성을 제시할 것이다. 4장에서는 여성목회신학적 성찰과 목회적 돌봄에 대한 제언을 할 것이다. 기존의 모델은 영아와 엄마를 안아주기 환경의 두 구성요소로 보고 있는 것에 반해, 상호적 안아주기 환경은 유아와 초기 돌봄 제공자, 유아를 안아주는 환경으로서 초기 돌봄 제공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초기 돌봄 제공자의 안아주기 환경으로서 공동체의 돌봄이 강조될 것이다[영아+(초기 돌봄 제공자의 돌봄)↔초기 돌봄 제공자(+공동체의 돌봄)]. 육아의 문제는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니고, 여성목회신학적, 공공신학적 관점의 돌봄의 과제가 되어야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flect on Donald W. Winnicott's concept "Holding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a feminist pastoral theology. I will use Carrie Dohering's feminist theological method to rethink this thesis using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from a feminist pastoral theological perspective. I will critique Winnicott's presupposition of traditional motherhood which reinforces a patriarchal understanding of women's roles as full-time mothers who can exclusively focus on nurturing their infant(s). Also, Winnicott's idealization of the role of the mother as the ideal primary caregiver will be examined. Then, the diversity of motherhood and parenthood within Korean society will be reviewed and why the new holding environment needs to be investigated and rethought to suit the needs of 21st century Korean family structures. Thereafter an understanding of holding environment will be suggested which presupposed the mutually important tasks of caring for the infant(s) (+the care of the primary caregiver(s)) and the primary care giver(s) (+the community care for the primary caregiver(s)). Then, the case study of Mia Kim will be used to imagine how we can specifically envision the negative example of an unhealthy holding environment for both infants and mothers. Finally, new feminist theological and public theological suggestions for pastoral care will be offered that allow for creating mutual holding environments.

      • KCI등재

        영화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에 나타난 성장과 치유: 도널드 위니캇의 이론을 중심으로

        조성미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Growth and Healing in the Movie Attila Marcel:Based on the Theory of Donald Woods WinnicottSeongmi Ch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healing process and growth of Paul, the main character of the movie, in the movie Attila Marcel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To explain the process of Paul's inner changes, I used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analyzed the content of the movie based on the object-relations theory of Donald Woods Winnicott. First, I diagnosed the conditions of Paul and identified the causes of his problems focusing on Winnicott’s main concepts. After that, I analyzed his inner growth and healing process step by step. The movie is about “growth and healing” in which Paul overcomes his pain and loss through “transitional object”. Healing is not just a work of comfort, but a work of developing inner strength. Therefore, I found that healing and growth are deeply interrelated. Key Words: Donald Woods Winnicott, Transitional Object, Growth and Healing, True Self, Atilla Marcel 영화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에 나타난 성장과 치유:도널드 위니캇의 이론을 중심으로조 성 미*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영화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Attila Marcel)』에 나타난 주인공(Paul)의 치유과정과 성장의 의미를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함이다. 연구 방법: 폴의 내면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정신분석학자 도널드 위니캇(Donald Woods Winnicott)의 대상관계이론에 근거하여 영화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먼저 폴의 상태를 진단하고 문제점의 원인을 파악하였다. 그 후, 위니캇의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그의 내면의 성장 및 치유 과정을 단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이 영화는 폴이 ‘중간대상(transitional object)’을 통해 자신의 아픔과 상실을 극복해 나가는 ‘성장과 치유’의 이야기이다. 치유는 단순히 위안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내면의 힘을 길러주는 작업이다. 따라서, 치유와 성장은 깊은 상호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핵심어: 도널드 위니캇, 중간대상, 성장과 치유, 참자기,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 □ 접수일: 2022년 11월 9일, 수정일: 2022년 12월 4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강원대학교 교육인문협력학과 석사과정(Master’s Course, Kangwon National Univ., Email: jsm2582@naver.com)

      • KCI등재

        도널드 위니캇(Donald Winnicott)과 아동의 잠재적 공격성

        전혜선 ( Jeon Hyeseon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7 동화와 번역 Vol.34 No.-

        본 논문은 생애 초기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잠재적 공격성의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토니 모리슨(Toni Morrison)의 『가장 푸른 눈』(The Bluest Eye)에 등장하는 세남자 주인공의 성장과정에 주목한다. 엄연한 폭력임에도 불구하고 이들 가해자들은 그 사실을 인지조차 못한다. 이들의 인지 불능은 그것에 양분을 제공하는 근원들이 가정과 사회에 확고하게 자리하고 있음이다. 그 주된 요인들로서 정규교육의 폐단과 왜곡된 자녀교육, 부모와의 왜곡된 관계로 인한 보호와 억압의 문제, 그리고 무조건적 복종을 강요받은 아이들의 정체성 상실의 문제를 지목한다. 이와 관련하여 무엇보다 도널드 위니캇(Donald Winnicott)의 가장 큰 업적은 공격성을 부정적인 측면과 더불어 긍정적인 측면을 바라보았다는 점이다. 위니캇은 아이의 생애 초기의 관계의 실패와 극복에 대해 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고 공격성이 폭력으로 전환되는 지점에 대한 해법을 제시한다. 특히, 그는 사춘기는 생의 첫 단계가 재현되고 반복되는 시기라는 점에 주목하고, 광적인 공격성에 휩싸인 아이가 그 같은 감정으로부터 회복될 시간을 갖도록 기다려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그러한 시간을 부여하기에 앞서 무엇 때문에 그에 대한 미움의 감정이 생겼는지를 아동에게 말해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한다. 위니캇은 이와 같은 언급을 통해 공격적 성향을 가진 아동의 행동이 폭력유발행위로 진전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공격성이 건강하게 발현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process of growth in three male characters in Tony Morrison’s The Bluest Eye, to se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in the early years of life at the point of potential aggression. Even though their behaviors are obvious violent, they don’t even recognize how violent their ones are. Their incapacity of cognition on that is firmly based on certain factors in their family and society. By those factors, this novel points out the negative effect of formal education, distorted education for children, and protection and oppression matters caused by a distorted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 and the infant. Moreover, paying attention to Donald Winnicott’s most prominent achievement is looking into the positive aspects in aggression in addition to the negative aspects; this novel analyzes the relation with aggression through Object Relations Theory by Donald Winnicott. Winnicott has assigned way a lot of time on the failure and overcoming of the relations in the early years of life and suggests crucial solutions on the point in which aggression turns to violence. He especially notices adolescence is the time to represent and repeat the early years of life, and he emphasizes that it is essential for children to have enough time to be bounced back from their excessive aggression. Above all, it's also important to tell children what causes the hatred toward them ahead of giving them such that time. Winnicott suggests, through that remark toward them,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s can be represented not just without violence, but also with healthy aggression.

      • KCI등재

        도널드 위니캇의 놀이와 치료

        전혜선(Jeon, Hye-seon)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5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0 No.-

        본고는 말더듬이 증상을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의 답을 구하기 위해 2010년 개봉된 영화 <킹스 스피치>를 분석하며, 영국 국왕 조지 6세의 생애초기 제공된 부적절한 환경과 장애 그리고 치료과정을 다룬다. 어머니가 유아의 요구에 얼마나 잘 반응해주는가 하는 문제는 유아의 성장·발달과정에서 장애의 원인이자 해결책으로 제시되며, 놀이와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언어치료사 라이오넬 로그는 놀이 규칙과 방식을 적용하여 조지 6세의 과거 기억과 무의식에 접근한다. 도널드 위니캇에 따르면, 어머니와 유아의 관계는 창조적인 삶과 순응적인 삶을 결정하는 주요인이다. 그는 어머니와 유아 사이의 공간을 놀이를 위한 공간으로 가정하였고, 그의 놀이 이론은 조지 6세가 생애 초기 왜곡된 보살핌으로 인해 상실한 놀이를 분석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그는 먼저, ‘일차적 모성몰입"과 ‘존재의 연속성’ 에 주목하였으며, 그 이론들은 ‘충분히 좋은 엄마" 그리고 ‘자아 관계성"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지 6세의 자아탐색이 왜곡된 양육, 엄격한 아버지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그의 사명감과의 동일시로 인해 좌절되었음을 보여준다. 필자는 위니캇의 이론을 나열하기보다는 소아과 의사로서 그가 어린 아이들을 면담한 사례들을 강조하고 그 과정에서 치료자가 지켜보는 가운데 놀이에 몰입하는 아이들이 장애로부터 가벼워지거나 극복되는 현상을 추적한다. 아버지의 엄격한 규칙과는 달리, 놀이와 치료를 위한 로그의 규칙은 강압적이지 않지만 단호한, 유연하지만 일관된 특징을 지닌다. 이제, 그의 규칙은 조지 6세로 하여금 자신만의 놀이에 적극적이도록 이끌고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참자아로의 그의 점진적인 변화를 가능하게 만든다. This paper analyzes a movie The Kings Speech(2010) to answer the question of how to cure symptoms of a stammer, and deals with George VI"s improper environment provided by his mother or nurturer during the early years of life, his disability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and therapies through playing. How well mothers respond to their young children is causes and solutions of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and it is related to playing. Therefore, Lionel Logue, who is a language therapist, approaches closely to the memory and unconsciousness of young George VI. According to D.W. Winnicott, mother-child relationship is a crucial factor to decide creative and compliant living. He postulates the potential space between mother and baby for the place to playing, and the playing young George VI lost is traced by Winnicott"s object relations theory. First of all, his theories notice the ‘primary maternal preoccupation" and "continuity of being", and then they are linked to ‘good enough mother", and "ego-relatedness".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George VI"s search for self is frustrated by distorted nurture, excessive fear to father, and assimilation with his sense of duty. This paper especially focuses on illustrative cases of young children rather than theory itself and has noticed a surprising phenomenon which overcomes or relieves their disability through the preoccupation to playing itself. Unlike father"s strict rules, Logue"s rules for playing and therapy have unoppressive but decisive, and flexible but coherent features. Hereby, they make it possible for George VI to fall into his own playing, and as a result, they"ve led his gradual changes to ‘true self", expressing his own thinking.

      • KCI등재

        Winnicott과 Mahler 이론을 통해 본 유아의 독립과 어머니노릇에 대한 고찰

        조희연 미래유아교육학회 2019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dependence and individualization process of infant based on Winnicott’s and Mahler’s theory of object relations, and to examine the mothering to support healthy separation and independence of infant. Winnicott and Mahler did many studie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of infants to their mothers based on their long clinical experience as a pediatrician and child psychiatrist. Winnicott introduced infant growth processes from dependence to independence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lay and transitional area such as play space for infants, and Mahler elaborated on the process of separation individualization of infants through autism and symbiosis in the separation-individualization theory. Based on these two theories, we examined the mothering necessary for the desirable independence of infant, divided into the continuity and reliability, the failure of gradual adaptation, and the recognition of transitional phenomena and transitional objects. 본 연구는 Winnicott과 Mahler의 대상관계이론을 기초로 유아의 독립과 개별화 과정을 살펴보고, 유아의 건강한 분리와 독립을 지원하기 위한 어머니노릇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Winnicott과 Mahler 는 소아과 의사이자 아동정신분석가로서 오랜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유아가 어머니와 맺는 관계성에초점을 둔 많은 연구를 하였다. Winnicott은 유아가 의존에서 독립을 향해 가는 성장 과정을 소개하며 유아에게 있어 놀이공간과 같은 중간영역과 놀이의 중요성을 중요하게 다루었으며, Mahler는 분리개별화 이론에서 유아가 자폐와 공생을 거쳐 분리개별화 되는 과정을 세밀하게 설명했다. 두 이론에 기초하여 유아의 바람직한 독립을 위해 필요한 어머니노릇에 대해 연속성과 신뢰성, 점진적 적응의 실패, 중간현상과 중간대상의 인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 KCI등재

        이중 이미지의 의미 : ‘실재-가능(reel-virtuel)’의 상관성

        남인숙 ( Ihn-sook Na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20 美學·藝術學硏究 Vol.59 No.-

        본 논문은 라깡의 『세미나 1』을 중심으로 이미지의 구조와 그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목표이다. 라깡이 이해하는 이미지는 주체의 구성과 자아 형성에 결정적이고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이미지의 중요함에 비해, 라깡은 이미지가 실재와 어떤 방식으로 관련을 맺고 있는지에 대한 설명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 점은 라깡 이론의 한계로 이해되기도 하는 바, 충동의 발달단계와 오이디푸스기에 대한 논쟁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라깡 정신분석에서 이미지의 기능과 의미를 이해하려는 목적에 한정하여, 라깡이 염두에 둔 이미지는 구조가 어떠한지 살피고(가능과 실재의 상관관계 구조), 이 점을 전제로 하되 라깡의 한계로 인해 설명이 어려웠던 부분, 즉 오이디푸스 이전 시기의 이미지 기능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를 모색하고 이해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불명료한 채 연구의 한계로 지적된 라깡의 오이디푸스 이전 단계는 멜라니 클라인의 문제제기와 위니캇의 이행적 환경에 대한 설명을 통해 한계를 생산적으로 보충하여 이미지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특히 충동과 이미지의 관계를 드러내는 하나의 방법 중 하나라는 점이 중요하다. 멜라니 클라인은 딕(Dick)사례를 통해 라깡이 말하는 오이디푸스 시기 이전에 이미 사물과의 관계 형성을 통해 자아를 형성하고 있음을 입증하였고 이를 이어받아 위니캇은 이행적 환경과 이행적 대상이라는 의미있는 개념을 정비하여 자아-대상간의 리비도 역동에 대하여 구체적인 해석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라깡 정신분석에서 이야기되는 이미지를 보다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고 그 이해의 폭을 확장할 수 있다. 이 점은 라깡 전(全)시기의 정신분석의 심화된 해석으로 이끌 수 있으며, 예술에 대한 정신분석학적인 해석 방법을 심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는데 연구 의의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image and its meaning around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1. Lacan understands the image as having a decisive and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and the formation of the self.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images, Lacan shows limitations in explaining how images are related to the real. This point, also understood as the limit of Lacan's theory, includes the debate on the development stage of Trieb and the Oedipus period. This study, limited to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function and meaning of images in Lacanian psychoanalysis, aims to examine the structure (the virtual and real correlative structure), and how to understand the image function of pre-Oedipus, which was difficult to explain due to the limitations of Lacan. Obscure and pointed out as the limit of research, the pre-Oedipus phase of Lacan seeks to widen its understanding of image structure and function by enhancing Melanie Klein's problem and explaining D. Winnicott's transitional environment. It is especially important in that it is one of the way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rieb and images. Melanie Klein, in the case of Dick, demonstrated that before the Oedipus period, Lacan had already established self-organization through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things, thereby reframing Donald Winnicott's meaningful notion of a transitional environment and a transitional object to present a concrete interpretation of the self-contained libido reversal. This allows this study to more clearly reveal the images that are talked about in Lacanian psychoanalysis and to extend its understanding. This point can lead to an intensified interpretation of the psychoanalysis of the whole Lacan period, and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deepening the psychoanalytic interpretation of art.

      • KCI등재

        아프리카: 핸더슨의 성장을 위한 ‘중간영역’ —위니캇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수진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18 영어영문학연구 Vol.60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frica as a place for Henderson’s maturity by applying Donald Winnicott’s object relations theory in Saul Bellow’s Henderson the Rain King. Winnicott argued that infants can form a creative and healthy self through the environment provided by ‘maternal preoccupation’ that their mothers make to them. He also explains that good environment allows an infant to escape from dependence to develop into an independent self and to have a realistic perception. Therefore, he says that an ‘intermediate area’ is needed for stable change into an independent self for the infant. Henderson is confused as a toddler for maturity. He is not adjusting to the problem of his reality. So he tries to escape from the repeating inner voice, which is one of his problems. However, the attempt worsens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people. Henderson, the self-disjointed and alienated, chooses the journey to find the answer to the problem in his chaotic reality. The Africa he escaped to is a space of rest; namely, the ‘intermediate area.’ It is the place for his change and maturity proposed by Winnicott. Henderson experiences the reality through contact with various events and people here. And he finds a path for coexistence and matures himself as a noble life. Finally he awakens to his self and maturity through the experiences of transitional phenomena and transitional objects in Africa which is the ‘intermediate area.’

      • KCI등재

        Dolto와 Winnicott의 부모-유아 관계의 이해에 기초한 부모의 역할

        조희연 ( Cho Hee Ye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3

        This study aimed to consider theories of parents-infant relationship by Dolto and Winnicott, child psychoanalysts who aimed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rough broadcasting, lecture, and interview based on clinical experiences, and then to seek for the new direction of parents` role as environment that would promote the health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xchange through language and the tripartite relationship of father-mother-infant, Dolto explained parents` role in young children`s growth into independent beings through psychoanalytic principles. Winnicott provided the useful theoretical basis of parents` role as healthy environment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such as development process of young children, maternal care, and good enough mother.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ir theories, and also suggesting parents` role under the divided themes such as maternal care and transitional object, good enough parents, dependence and independence, and father and socialization, the new direction of child rearing was suggested.

      • 동성애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견해

        박종서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6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10

        목회는 목회일 뿐 상담목회는 없다. 다만 목회는 언제나 상담적이어야 한다. 예수가 하나님 나라를 전하시기 위해 가르치시고 전파하시고 치유하신 세 가지 사역처럼 한국교회는 동성애라는 커다란 파도를 맞아 지나치게 호전적인 면을 부각하는 이미지보다 한 쪽에서는 맞대응하고, 한쪽에서는 설득하고 치유하는 두 가지 측면을 같이 수용하고 이를 모든 교회들이 수용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사람은 감동받아야 변한다. 사람은 위협하고 혼내고 두렵게 한다 하여 변화하는 존재가 아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교회 내에 드러나지 않은 동성애적 성향을 가진 교우들이나 이미 동성애적인 교우들이 하나님을 만나 성령 충만해 질 적에 그들의 내면의 상처는 극복되고 그들에게 부여된 참된 성적 역할도 바로 갖게 될 것이라 믿는다. 다만 정신분석학은 그 사명이 객관적 입장이기는 하지만, 윌프레드 비온이 말한 것처럼 치료자가 환자를 대할 적에 가장 중요하게 여겨야 할 것은 문제 해결이나 치유가 아니라 그 사람자신이 자신의 진실을 직면하도록 돕는 일이라고 한 말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즉 동성애냐 아니냐의 문제도 크지만 동성애나 동성애자들이 추구하는 지향성의 궁극점에 무엇이 있느냐 그것이 그 사람의 진실과 얼마나 맞닿아 있느냐의 문제를 직면할 필요가 있다고 보며, 이런 주제는 도널드 위니캇이 주장한 참자기 거짓자기 이론처럼 자신의 참자기가 무엇인지 직면하는 자기 실존의 작업, 자기 분석의 엄밀한 작업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교회는 그런 실존의 물음으로 그들을 이끌어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