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칸트 덕론에서 덕의무의 성격과 의의

        노영란(Roh, Young R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0

        칸트의 『도덕형이상학』의 덕론에 대한 논의는 의무윤리 체계 내에서 전개되는 칸트의 덕론 자체에 대한 탐구에서부터 상반되는 경쟁이론으로 여겨지는 덕윤리와의 비교에 이르기까지 여러 맥락에서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칸트의 덕론이 가진 기본 성격을 파악하고 이러한 성격이 칸트윤리학 내에서 그리고 덕윤리적 논의에서 어떤 의의를 갖는지 고찰한다. 이를 위해 먼저 칸트 덕론의 핵심 개념인 덕의무(a duty of virtue)의 의미와 성격을 살펴보고 칸트가 이 개념을 생각하는 이유가 동기화에 있으며 유덕한 사람에게 의무로부터의 행위는 도덕적 목적을 위한 행위가 된다는 것을 밝힌다. 그리고 덕의무를 통한 칸트의 동기화방식이 우리가 어떻게 의무로부터 행동하게 되는지 그리고 의무로부터 행동한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해명해줌으로써 의무로부터의 행위라는 도덕적 동기의 요구가 직면하는 비판들에 대응할 방안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나아가서 덕의무를 통해 규범적 정당화에 근거한 동기화를 추구하는 칸트의 방식은 아리스토텔레스적인 덕윤리의 동기화방식이 직면하는 규범적 정당화의 문제를 피해갈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덕윤리적 시사점을 가진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가능성을 덕의무를 수행하여 수립되는 목적의 준칙과 덕윤리의 덕규칙을 비교하면서 살펴본다. The discussions on Kant’s doctrine of virtue in Metaphysics of Morals have taken place in a variety of contexts, ranging from the inquiry of Kant’s doctrine of virtue itself to its comparison with virtue ethics considered as conflicting. This study attempt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Kant’s doctrine of virtue and to examine its significance on his ethics of duty and also virtue ethics. For this I shall first look into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a duty of virtue, the core concept of Kant’s doctrine of virtue and then insist that Kant introduces the concept to elucidate the motivation for an act from duty. The concept of a duty of virtue reveals that for a virtuous person an act from duty becomes an act for moral ends. Second, I shall claim that Kant’s way of elucidating the motivation through a duty of virtue has an significance of responding to the criticisms on an act from duty in that it shows how one comes to do an act from duty and what an act from duty is like. The third thing of my examination is to argue that Kant’s way of pursuing the motivation based on the normative justification through a duty of virtue has a possibility of resolving the problems of the Aristotelian way of the motivation. The possibility in question is investigated by the comparison of the maxim of ends in Kant’s doctrine of virtue with the virtue rule in virtue ethics.

      • KCI등재

        칸트의 『덕론』은 타율의 윤리인가? - “덕의무” 개념에 관한 발전사적 연구를 중심으로 -

        김수배 ( Kim Soo-bae ) 한국칸트학회 2016 칸트연구 Vol.38 No.-

        『도덕형이상학―덕론의 형이상학적 기초원리』(=『덕론』)은 칸트 윤리학의 마지막 저서이므로 출판 시기만 놓고 본다면 의무론적 윤리 이론의 정점에 해당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칸트가 『도덕형이상학의 정초』(=『정초』)나 『실천이성비판』에서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것에 불과하다고 여겨 도덕성에 관한 논의 대상에서 배제했던 행위 목적이나 결과를 『덕론』에서 중심 개념으로 다루었다는 등의 이유로, 이 저서는 그 자신이 타율의 윤리라고 비판하여 물리쳐버렸던 볼프학파의 견해로 후퇴한 것이 아니냐 하는 논란과 더불어 해석상의 어려움을 제기한다. 이 논문은 『덕론』이 도덕적 행위의 목적 또는 실질로서 “덕의무”를 고려하는 배경을 발전사적인 관점에서 재구성한다. 특히 칸트가 『정초』나 『실천이성비판』의 관점에서 성립하기 어려운 것처럼 보이는, 자유로운 자의의 대상으로서 의지의 실질(목적)이자 동시에 의무라는 “덕의무” 개념을 『덕론』에서 상론하며 도입하는 과정에서 “덕”개념에 부여한 의미에 주목한다. 그리고 『도덕형이상학』의 성립에 직접적인 소재를 제공한 『도덕철학 강의(비길란티우스)』와 그 강의의 교재였던 바움가르텐의 『철학적 윤리학』과 『제일 실천철학의 기초원리』), 그리고 『덕론 초고』 등의 관련 내용과 특징을 분석한다. 이 같은 작업은 『덕론』을 전통 윤리와의 대결을 통해 형식주의 비판에 대응하려는 시도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줄 뿐 아니라, 원리 중심의 윤리이론과 맥락 중심의 윤리이론, 또는 동기주의와 결과주의 사이의 양자택일을 강요하는 것처럼 보이는 윤리학적 딜레마에 대한 한 대안 가능성을 시사해줄 것이다. Kant behandelt in seiner letzten ethischen Schrift Metaphysik der Sitten (Tugendlehre) den Begriff “Zweck”(Objekt, Materie) moralischer Handlungen, gleichsam als den notwendigen Bestimmungsgrund der Moralitat. Den Begriff hielt er noch in der 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 und in der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fur bloss empirisch und subjektiv, daher schloss er ihn aus dem Begrundungzusammenhang der reinen Moralitat aus. In dieser Hinsicht ist nicht selten die Frage gestellt worden, ob Kant in der Tugendlehre moglicherweise wieder in dieselbe moralphilosophische Ansicht der Wolffschen Schule zuruckgefallen sei. Diese Studie versucht, den Hintergrund der Kantischen Behandlung des Begriffs der “Tugendpflicht” entwicklungsgeschichtlich zu rekonstruieren. Dabei wird der Hauptaugenmerk auf die Veranderung gelegt, die der Begriff “Tugend” in Kantischen moralphilosopischen Uberlegungen erlebt hat. Es wird auch analysiert wie die betreffenden Stellen sowohl in der Vorlesungsnachschrift Metaphysik der Sitten Vigilantius oder in den Vorarbeiten zur Tugendlehre als auch in den beiden Kompendien fur die Vorlesung, namlich Ethica philosophica und Initia philosophiae practicae primae von Baumgarten, zur Entstehung der Tugendlehre beigetragen haben. Es wird sich klaren, dass die Tugendlehre nicht nur als ein Verteidigungsversuch gegen die sogenannte Formalismuskritik, sondern auch als Versohnugsmoglichkeit zwischen der am Motiv orientierten Gesetzesethik und der eudamonistischen Tugendethik angesehen werden kann.

      • KCI등재

        칸트 철학에서 본 정의와 용서

        정성관(Jeong Seong-Kwan)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8 철학논집 Vol.54 No.-

        이 논문은 칸트의 용서개념이 그의 도덕철학에서 독자적 위치를 확보하지 못하는 이유를 밝히고, 그의 정의개념과 충돌할 수밖에 없는 태생적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칸트는 관용, 화해, 용서 등을 덕의무라고 규정하면서, 용서의 개념을 덕과 연결시킨다. 그리하여 용서개념이 덕의 강함이라는 도덕적 용기와 자연스럽게 결합되고, 칸트는 용서개념에도 ‘도덕적 용기’라는 개념처럼 ‘정당성을 자각하는 정신’이 내포하고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칸트의 용서개념은 정의의 요구에서 영원히 벗어나지 못하는 태생적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칸트가 관용, 화해, 용서를 분명히 덕의무로 규정했음에도 이와 같은 개념들을 윤리학의 주제로 다루지 않았던 이유는, 구체적 상황이나 피해자의 의지가 용서의 문제에 결정적이어서 용서의 보편적 기준을 제시할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의 용서개념이 정의의 요구에서 영원히 벗어나지 못하는 태생적 딜레마를 안고 있다는 점이 보다 결정적 이유였던 것처럼 보인다. This paper explains why Kant s concept of forgiveness fails to secure his own position in his moral philosophy and points out the inherent problems that are bound to conflict with his concept of justice. Kant connects the concept of forgiveness with virtue, while he defines tolerance,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as a duty of virtue. Thus, the concept of forgiveness is naturally coupled with the moral courage as strength of virtue, and Kant can not help but point out that the concept of forgiveness also implies ‘a spirit of awareness of justification’ like the concept of ‘moral courage’. As a result, Kant s concept of forgiveness falls into an inherent dilemma that can not be forever removed from the demands of justice. The reason why Kant hasn’t treated such concepts as the subject of ethics, even though he has explicitly defined tolerance,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as a duty of virtue, is that concrete circumstances or the will of the victim are crucial to the question of forgiveness and can not provide a universal standard of forgiveness. But it seems more crucial that Kant’s concept of forgiveness has an inherent dilemma which can not escape the demands of justice forever.

      • KCI등재

        칸트의 도덕 감정 인식과 교육

        박장호 ( Park Jang Ho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1

        덕 기반의 윤리교육이 도덕교육의 주류적 접근으로 부상하면서 도덕법칙과 의무개념을 주축으로 하는 칸트의 윤리이론에 근거한 도덕교육 접근법들은 상대적으로 위축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고전적인 덕이론이나 칸트의 윤리이론에 대해 이분법적으로 해석하고 적용하려는 시각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본 연구는 칸트의 주요 저서들을 통해서 칸트가 ‘비판기’에 있어서 그리고 기본적으로 이성중심의 도덕관을 유지하면서도 후기로 가면서 점차 소극적이긴 하나 도덕성 형성에 있어서 감정의 역할을 시인하며, 윤리체계에 있어서 감정이 도덕적 행위의 실천과 수행에 있어서 판단력 못지않게 중요한 것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추적하고자 한다. 칸트는 고전적인 덕론에 대해 비판적인 자세를 취해왔고, 칸트의 비판시기 저술들에서는 선험적 인식의 결과 도덕원칙을 욕구나 감정, 경험 등과 무관한 형식에서 찾는다. 이에 따라 윤리이론은 이성의 동기적 측면을 부각시키며 욕구나 감정의 동기적 측면을 배제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비판기에 참된 도덕적 가치를 인정하지 않았던 명예나 동정심은 점차 도덕성 함양을 위한 도구적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도덕 형이상학』에서 칸트는 행위의 형식에 목적을 동시에 구비한 ‘덕의무’를 제안하고, ‘덕에의 책무’를 강조한 덕론과 도덕 실천을 고양시키는 ‘도덕 감정’ 개념을 정립한다. 명예나 동정심은 계발해야 될 도덕적 소질로서 간접적 의무의 대상이 되며, 도덕적 수행에 있어서 쾌의 긍정적 역할이 강조된다. 본 연구는 칸트의 후기 저서에서 나타난 덕과 도덕 감정을 분석함으로써 칸트가 도덕 감정의 인지적 요소와 동기화 기능을 시인하고 있음을 논증하며, 나아가 실제적으로는 도덕 감정교육이 요구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As Virtue-based education becomes a main current of moral education, approaches based on Kant's rational, autonomous morality have relatively been weakened. However, even though Kant had been known as a critic against classical virtue theories, Kant sought to make use of motivational force of virtue or emotion so that practical reason or moral will could work better. In his earlier books Kant argued that act on natural sympathy had not any moral values. But in his later book Moral Metaphysics, Kant suggested his virtue ethics composed of 'virtue duty' and categorized sympathy as 'moral emotion' that should be developed and should be a indirect duty. This paper aims to focus on why those changes happened and what those changes means to Kant's ethical theory. I propose that those changes were caused by weak points of Kant's theory such as formalistic, intellectualistic, and anti-emotional orientation etc. However, by virtue of those changes Kant's ethical theory has more promising vision to comprehensive moral education that both judgement and sympathy play a role, than his earlier times.

      • KCI등재

        덕과 도덕적 완전성의 의무

        노영란(Roh, Young-Ran) 새한철학회 2021 哲學論叢 Vol.105 No.3

        칸트의 덕론에서 도덕적 완전성은 덕의 심정을 계발하여 도덕적 목적들을 완전하게 달성하는 것이며 도덕적 완전성의 의무를 따르는 사람은 유덕한 사람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덕적 완전성의 의무에 대한 칸트의 설명들을 검토하면서 칸트의 덕개념이 가진 성격과 이러한 성격이 덕윤리적 논의에서 갖는 의의를 고찰한다. 먼저 도덕적 완전성은 덕에 대한 의무지움에 이르고 이에 따라 덕의무들을 완전하게 준수하는 것이라는 점과 이 의무가 완전하지만 불완전한 의무와 자기개선의 의무라는 두 성격을 가진다는 점을 살펴본다. 그러고 나서 도덕적 완전성의 의무가 완전하지만 불완전한 의무로서 갖는 성격을 통해 하나뿐이지만 다수가 존재한다는 칸트의 덕개념의 의미를 파악한다. 또한 이러한 덕개념이 덕의 고귀한 가치와 현실적합성을 모두 확보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덕들의 통일성 논쟁에서 의의를 갖지만 형식적 덕이 어떤 덕인지 그 실체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안고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자기개선의 의무로서 도덕적 완전성의 의무는 칸트의 덕개념이 이상적 덕개념에 속함을 뜻하지만 하나의 완전함에서 다른 완전함으로의 지속적인 전진이라는 자기개선의 과정은 칸트의 덕개념이 도달 불가능한 이상과 도달 가능한 것으로서의 성격을 이중적으로 담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칸트의 덕개념이 전형적인 이상적 덕개념의 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반면 도달 불가능한 이상으로서의 도덕적 완전성에서 완전성이 어떤 성격의 것인지 불분명하다는 점에서 이러한 완전성에 대응하는, 객관적으로 고려된 덕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에 직면함을 살펴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ant"s concept of virtue and its significances in the discussions of virtue ethics by reviewing his claims on the duty of moral perfection. First, moral perfection is to fully conform to all the duties of virtue through the obligation of virtue and the duty of moral perfection is the perfect but imperfect duty and also the duty of self-improvement. Kant’s claims on the duty of moral perfection as the perfect but imperfect duty help us to figure out his concept of virtue which means that there is only one virtue but there are many heterogeneous virtues. In addition, his concept of virtue has significances in the debates on the unity of virtues in that it seeks to secure both the noble value of virtue and its practicality. It, however, has difficulty in clearly grasping what kind of virtue a formal virtue is. Next, the duty of moral perfection as the duty of self-improvement reveals that Kant"s concept of virtue belongs to the ideal concept of virtue, but the process of self-improvement of a continuous progress from one perfection to another implies that it involves both the characters of virtue as an unattainable ideal and the attainable. While Kant’s concept of virtue has the advantage of solving some difficulties of the typical ideal concept of virtue, it has a task of identifying the substances of moral perfection as an unattainable ideal and then virtue corresponding to this perfection.

      • KCI등재

        판단력과 덕 그리고 활동여지

        김덕수(Kim, Duk-soo)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2 No.-

        칸트의 덕 이론은 인간 행위의 한계를 규정하는 도덕법칙과 함께 개별적 상황에서 행위자가 도덕적으로 행위 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행위자가 어떤 행위의 준칙을 정식화하는 단계에서 일종의 활동의 여지가 마련되는데, 그 안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프로네시스와 같은 도덕적 판단의 역할은 중요하다. 그가 덕론 에서 ‘자기 자신의 완전함’, ‘다른 사람에 대한 행복’이라는 두 종류의 덕 의무를 제시하고, 각각의 사항에 대해 결의론적인 물음들을 제기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도덕법칙의 적용에 의한 인간의 도덕적 삶을 위한 연습과 훈련이었다. 더욱이 칸트는 윤리학은 행위를 위한 법칙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행위의 준칙을 위해서만 법칙을 제공한다고 보았으며, 나아가 결의론적 물음을 통해 진리를 추구하는 적절한 방식 속에서 실천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그는 결의론은 단편적인 방식에서만 윤리학과 관계될 뿐이고 또한 그 체계에 대한 주석으로서만 윤리학에 부가된다고 지적한다. 칸트에게 덕과 판단력은 도덕형이상학정초에서 확립한 최고의 도덕법칙을 경험적이고 현실적인 세계에 적용하기 위해, 달리 말하면 본성적 경향성에 따라 행위할 가능성 높은 인간으로 하여금 이성의 명령에 따라 도덕적인 삶을 살아가도록 하기 위해 불가피한 것이다. 이에 그는 광의의 의무를 협의의 의무로 가져가기 위해서 인간에게 의지의 강한 힘인 덕의연마와 판단력의 훈련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더욱이 법의무(협의의 의무)와 덕의무(광의의 의무)의 구분은 결국 그 의무들의 적용에 있어서 활동의 여지가 있는지임을 감안한다면, 행위자의 준칙의 채택과 관련하여 활동여지 속에서의 판단력의 훈련과 덕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상세히 말하자면, 의무가 더 광범위해짐에 따라, 그래서 행위에 대한 인간의 책무는 더 불완전해지지만, 그러나 의지에 관한 그의 태도에서 그가 이런 의무를 준수할 준칙을 협의의 의무(법)으로 더 가까이 가져가면 갈수록 그의 덕스러운 행위는 그 만큼 더욱 더 완전해진다. 이는 결국 비판기 시기에 칸트가 확립했던 최고의 도덕법칙, 즉 정언명령을 현실세계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려는 노력이었다. Kant's doctrine of virtue shows how an actor should behave morally in an individual situation with moral law defines the limits of human action. There is latitude for action in the course of formulating the maxims of action by an actor. And moral judgement, as Aristotle’s Pronesis, is very important in the latitude for action. In the doctrine of virtue, Kant suggests two kinds of duty of virtue: one’s own perfeciton as an obligatory end, and the happiness to others as an obligatory end-and raises the question of casuistics for each. However, this was the practice and training for the human moral life by application of the moral law. In particular, Kant saw that ethics does not give laws for action, but only give laws for the maxims of action, and further intended to realize the practice in a proper way of seeking truth through casuistical questions. Thus, Kant points out that the casuistic is related only to ethics in a fragmentary way and is added to ethics only as a comment on the system. According to Kant, virtue and judgment are inevitable to apply categorical imperative in the empirical and realistic world. In other words, virtue and judgment are necessary to enable people who are likely to act in accordance to inclination to live a moral life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of reason. Thus Kant saw that in order to take wide duty into narrow one’s, human beings must not only have to cultivate virtues as a strong power of will, but also to exercise judgment. In addition, the distinction between duty of law(narrow obligation) and duty of virtue(wide obligation) is dependent on whether there is a latitude for action in the application of both duties. So the role of virtue and training of judgement is very important in the latitude for action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formalizing actor s maxims. In detail, as the duty is wider, so man’s obligation to action is more imperfect, but the closer to narrow duty(Law) he brings the maxim of observing this duty(in his attitude of will), so much the more perfect is his virtuous action. Thus, it was an effort to show how Kant’s best moral principles, that is categorical imperative could be applied to the real world at the time of criticism. Of course, even if it is difficult to assess Kant‘s efforts as successful, criticizing ‘Kant’s ethics as ‘formal’, ‘abstract’, or ‘monologous’ is not persuasive because of critics did not understand his ethics as a whole.

      • KCI등재

        칸트의 자율성과 덕

        김덕수(Kim, Duk-Soo)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6 No.2

        칸트는 도덕의 무력화와 상대적주의적 속성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보편필연적인 도덕법칙을 세움으로써 진정한 도덕성을 정초하고자 했다. 칸트는 이성의 토대위에 도덕성을 정초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그의 도덕법칙은 형식적 속성으로부터 출발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칸트는 이성적 존재자가 행위의 주관적 원리인 준칙을 실천적 법칙으로 간주해야 한다면, 이성적 존재는 이 준칙을 실질에서가 아니라 형식에 있어서만 의지의 규정근거를 포함할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그는 옳은 행위의 도덕적 가치는 결과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의욕의 형식적 원리, 즉 자율적 의지로서 선의지에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칸트의 이러한 도덕적 견해에 대해 ‘형식적이고 공허하다거나 주관적이고 독백적’이라는 비판이 늘 제기되곤 한다. 물론 칸트의 도덕법칙이 형식적 측면을 가지는 것은 어느 정도 인정되지만, 형식주의적인 속성만이 칸트 윤리학의 모든 속성이라고 평가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왜냐하면 칸트는 『도덕형이상학』의 「덕론」에서 도덕법칙의 내용으로서 목적을 다루면서 ‘덕의무’를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칸트는 덕의무인 ‘다른 사람의 행복’과 관련하여 감정의 도야를 주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덕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결국 칸트 윤리학의 근본개념인 자율성이 개인적 차원에만 머물러 있지 않고, 사회적 차원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뜻한다. 따라서 칸트의 윤리학이 고립되거나 단절된 자율성을 토대로 전개되고 있다는 비판은 정당하지 못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칸트 윤리학에 대한 비판이 그의 실천철학 전체를 제대로 포착해내지 못한 결과임을 드러내고자 한다. Escape from the relative property of moral, Kant tried to underline the authentic morality by building universal moral laws. For trying to underline the morality on base of the reason, his moral laws should start from formal properties. According to him, if a rational being is to regard his maxims which are subjective principles as practical universal laws, he should contain the determining ground of the will not in its matter but its form. And Kant said that moral values of the right action lied in not the results of action but the formal principle of will, that is, the good will as autonomous. So, the criticisms that his moral philosophy are formal, subjective always would be raised. Of course, the formal aspects of Kant"s moral law can be recognized to some extent, but the assessment that Kant’s ethics only has formal properties should be reconsidered again. Because Kant suggests the duty of virtue, dealing with the ends as contents of moral laws in Doctrine of Virtue, Metaphysics of Morals. In fact, Kant insisted the cultivation of emotions in relation with the happiness of others as duty of virtue, and even underscored that the key role of it was virtue. Eventually, this means that the autonomy which is the basic concept of Kant’s ethics does not remain in individual dimension, but rather relates with social dimension. Therefore, the criticisms that Kant’s ethics is developed on the ground of isolated or severed autonomy cannot be justified. On the ground of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will try to show the results that are brought about because the criticisms of Kant’s ethics misunderstood his entire practical philosophy.

      • KCI등재

        칸트 윤리학의 근본적 균열과 그 연결고리(Ⅰ)

        문성학(Moon Sung hak) 대한철학회 2015 哲學硏究 Vol.134 No.-

        필자는 이 논문에서 세 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다. 첫째로, 칸트가 비판기의 윤리학의 영역에서 형식주의적 전략을 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밝힌다. 둘째로, 형식주의를 표방하고 있는 칸트가 비판후기 윤리학적 저술에서는 윤리적 실질을 도입할 수 밖에 없는 이유를 밝힌다. 이는 칸트 윤리학 체계에는 근원적 균열이 있다는 것이 될 것이다. 셋째로, 칸트는 도덕형이상학정초에서 '보편법칙의 법식'(Formula of Universal Law)과 '목적 자체의 법식'(Formula of End in itself)이 본질적으로 동일한 법식이라고 주장하는데, 이 동일성 주장이 양시기의 칸트의 윤리학적 저술 간에 가로놓인 균열의 연결고리가 되고 있음을 입증한다. I have three aims in this paper. The first is to elucidate why Kant cannot help taking a strategy of formalism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The second is to explain why Kant cannot help introducing ethical material in the Metaphysics of Morals. Through these we come to know that there is a fundamental crevice in Kant's ethical system. The third is to detect the hidden link which connects the ethical formalism of the Critique of Pure Reason and the ethical materialism of the Metaphysics of Morals. In the Groundwork of Metaphysics of Morals, Kant maintains that the 'Formula of Universal Law' and 'Formula of End in Itself' are essentially same. I prove that Kant's this sameness thesis is the link which we try to find out.

      • KCI등재

        칸트의 덕과 덕-감정

        맹주만 ( Joo Man Maeng ) 한국칸트학회 2011 칸트연구 Vol.28 No.-

        This paper aims to focus on the problems of emotion which make great play in Aristotle`s ethics, and is emphasized the better in contemporary virtue ethics. The emotion is known as one of the problems sharply conflicting between Kant`s deontological ethics and virtue ethics. I will clarify a concept of the virtue of Kant and Aristotle in order to understand better this problem of emotion. The relation of virtue and emotion in Kant ethics is different completely, and each other is separate in moral valuation of our action. Kant says that virtue signifies a moral strength of will, and virtue is the moral strength of a human being`s will independent of his emotion in fulfilling his duty. But Aristotle argues that virtues are all dispositions not only to act, but to feel emotion, as reactions as well as impluses to action. I will call emotion in the Aristotelian virtue ethics ``virtue-emotion``, in contrast to Kant`s ``virtue will``. In this paper I think my work will contribute something to proper understanding of Kant`s ethics that has been very severely criticized from contemporary virtue ethics.

      • KCI등재

        칸트 윤리학에서 보편적 법칙의 법식과 목적 자체의 법식은 동일한가?

        문성학 ( Sung Hak Moon ) 한국칸트학회 2016 칸트연구 Vol.37 No.-

        필자는 이 논문에서 세 가지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첫째로, 칸트가 보편적 법칙의 법식과 목적 자체의 법식의 동일성을 밝히는 논리 혹은 두 법식의 동일성을 주장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밝힌다. 둘째로, 두 법식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는 칸트의 주장이 성립할 수 없음을 밝힌다. 셋째로, 목적 자체로서의 인간을 예지적 인격체로 해석하여 두 법식의 동일성을 확보하려는 해결책도 실패할 수 밖에 없음을 밝힌다. 이 세 가지를 입증하면서 필자는 칸트 윤리학뿐만 아니라 칸트의 인식이론이 빠져있는 칸트 철학의 딜레마를 보여준다. 그것은 ‘형식과 내용의 이분법을 인정하지 않고서는 칸트 체계 속으로 들어갈 수가 없고, 그것을 인정하고서는 칸트 체계속에 머물 수가 없다’는 것이다. Kant identifies the formula of universal law with the formula of end in itself in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e the following three interpretational facts. The first is to elucidate the Kant’s logic of such identification. The second is to prove the impossibility of that identification. The third is to prove the necessary failure of the interpretational effort which aims to show the identification of two formulas by interpreting man as end in itself as a noumenal man. By establishing these three points, I will disclose the dilemma into which Kant’s ethics cannot help falling. Without admitting the dichotomy of form and material, we cannot go into Kant’s ethics. And without rejecting the dichotomy, we cannot stay at Kant’s et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