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댄스 필름에서 안무 과정의 확장성 탐색 -국제 댄스 필름 페스티벌 관계자 인터뷰를 중심으로-

        김연재,최예진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21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7 No.2

        The exploration of new ways of art expression methods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convergence of various genres and media. In this context, dance film also has grow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ly through the medium convergence of dance and film. This research explores the expanding possibilities in the field of dance film by interviewing judges from international dance film festival and dance film directo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oreographic expansion in the field of dance film can happen through dance film creative process and composition of the location. First, the choreography should consider for the camera and dance film can expand the choreographic methods/expression through shooting and post-production. Second, dance film is emphasized on the expansion of space by selecting the contextual space which can visually show the message of the film. In addition, the dance film creates new images and meanings according to the camera’s perspective on the movement in the contextual location. Therefore, it is helpful to emphasis on the choreographer’s artistic intention and bring audience attention through the camera angl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discussing the expansion of the choreographic process by interviewing the judges and dance film director of the international dance film festival. Currently, there is a lack of an academic and educational system for the process of dance film. Dance is not irrelevant to the current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cademic systems and research related to dance film. It is meaningful to study the dance film production process and how to use dance film in the dance education as follow-up research. 현재 다양한 장르와 매체가 융합되면서 새로운 표현 방식들에 대한 탐구가 높아지는 현실에서 댄스필름은 양적, 질적으로 많은 성장을 이뤄왔다. 본 연구는 국제 댄스필름 페스티벌의 심사위원과 댄스필름 감독 인터뷰를 통해 기존 무대 공연을 위한 안무과정과는 다르게 댄스 필름에서의 안무 과정 확장성에 대해 탐색해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났으며, 창작 과정에서의 확장과 장소 구성의 확장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첫째, 창작 과정에서의 확장은 카메라를 고려한 안무가 구성되어야 하며, 촬영과 후반 작업을 통해 안무 표현 방식을 확장 시킬 수 있다. 둘째, 장소 구성에서의 확장은 작품의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잘 담아낼 수 있는 맥락적인 장소 선택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또한 댄스 필름에서 장소는 움직임을 바라보는 카메라의 시각에 따라 새로운 이미지와 메시지를 만들어낸다. 그렇기에 카메라를 통해 안무가가 의도한 의미를 부각하고, 관객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것에 유용하다. 본 연구는 국제 댄스 필름 페스티벌의 심사위원과 댄스 필름 감독들을 통해 안무 과정의 확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현재 댄스 필름의 과정에 대한 학문적, 교육적 체계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향후 댄스 필름에 대한 제작 과정에 대한 연구와 무용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해 볼 수 있겠다.

      • 카메라에 담긴 춤의 시공간 확장 탐구 : 댄스필름 'Amellia' 를 중심으로

        홍세희,오광석 한국연기예술학회 2019 한국연기예술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10

        본 연구는 영화 속의 춤을 논하는데 있어 춤이 카메라를 통해 시공간의 한계를 어 떻게 뛰어넘고 있는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춤과 카메라의 만남은 1894년 영화카메라가 개발되었던 당시부터 시작되었다. 춤이 가진 역동성은 영화기술을 증명하는데 가장 좋은 피사체였다. 춤과 카메라의 작업은 뮤지컬 영화와 춤을 소재로 한 영화 등 수많은 작품들을 창조하였다. 극장공연 자체 를 영화로 기록하는 작업들도 많아졌다. 1945년 마야 데런(Maya Deren)이 발표한‘카 메라를 위한 안무습작(A Study in Choreography for Camera)’을 계기로 춤을 영화기 법으로 재창조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댄스필름이었다. 이 영화는 극장에서 담아낼 수 없는 춤 움직임의 원칙을 탐구한 첫 번째 시도였다. 극장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춤을 카메라와 편집기술을 통해 시공간을 초월한 춤으로 안무하는 방식 이 댄스필름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댄스필름은 카메라가 가진 변형의 가능 성에 매료를 느낀 현대무용가들에 의해 발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댄스필름 의 특징과 흐름을 살펴보고 캐나다 랄랄라 휴먼스텝스의 안무가 Eduard Lock이 안 무·감독한 댄스필름‘Amelia’를 중심으로 카메라를 통해 확장되는 춤의 시공간을 탐구하고자 한다.

      • 카메라에 담긴 춤의 시공간 확장 탐구 : 댄스필름 'Amellia' 를 중심으로

        홍세희,오광석 한국엔터테인먼트협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협회 학술대회 Vol.2019 No.10

        본 연구는 영화 속의 춤을 논하는데 있어 춤이 카메라를 통해 시공간의 한계를 어 떻게 뛰어넘고 있는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춤과 카메라의 만남은 1894년 영화카메라가 개발되었던 당시부터 시작되었다. 춤이 가진 역동성은 영화기술을 증명하는데 가장 좋은 피사체였다. 춤과 카메라의 작업은 뮤지컬 영화와 춤을 소재로 한 영화 등 수많은 작품들을 창조하였다. 극장공연 자체 를 영화로 기록하는 작업들도 많아졌다. 1945년 마야 데런(Maya Deren)이 발표한‘카 메라를 위한 안무습작(A Study in Choreography for Camera)’을 계기로 춤을 영화기 법으로 재창조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댄스필름이었다. 이 영화는 극장에서 담아낼 수 없는 춤 움직임의 원칙을 탐구한 첫 번째 시도였다. 극장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춤을 카메라와 편집기술을 통해 시공간을 초월한 춤으로 안무하는 방식 이 댄스필름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댄스필름은 카메라가 가진 변형의 가능 성에 매료를 느낀 현대무용가들에 의해 발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댄스필름 의 특징과 흐름을 살펴보고 캐나다 랄랄라 휴먼스텝스의 안무가 Eduard Lock이 안 무·감독한 댄스필름‘Amelia’를 중심으로 카메라를 통해 확장되는 춤의 시공간을 탐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

        비디오 댄스 용어의 혼재 현상을 둘러싼 담론 고찰

        정옥희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5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1 No.3

        비디오 댄스 용어의 혼재 현상을 둘러싼 담론을 분석한 본 연구는 비디오 댄스의 분야가 형성된 맥락과 여러 용어들의 등장 배경, 그리고 주요 용어에 대한 학자들의 논증을 분석함으로써 댄스 미디어의 담론을 넓히고자 했다. 춤과 영상 매체의 예술적 결합을 지칭하는 대표적인 용어로는 film-dance, choreocinema, video dance, screendance, moving-picture dance를 선택했으며, 마야 데런, 존 마틴, 셰릴 도즈, 더글라스 로젠버그, 노엘 캐롤 등의 이론가들의 논의를 통해 각 용어의 의미와 지시 대상, 그리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용어들은 각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춤 지시어’와 ‘영상 매체 지시어’의 결합과 변용으로 소급될 수 있으며, 그 결합 순서와 단어 선택에 따라 다양한 지시 대상과 함의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용어의 혼재 및 정체 현상은 비디오 댄스를 오늘날의 다채로운 댄스/미디어/퍼포먼스/테크놀로지 결합물에 대한 과도기적 형태로 치부되고 있음을 드러낸다. 그러나 비디오 댄스는 지속적으로 창작되고 공유되는 문화적 산물이며, 나아가 유효한 예술 형식으로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nomenclature of what is usually called ‘video dance’. The hybrid form of dance and media is called in many terms, including film-dance, choreocinema, video dance, screendance, and moving-picture dance. Witnessing that the terminology referring to video dance practice has diverged, rather than converged, into diverse terms, I contextualized and analyzed notable terms presented or coined by dance theorists including Maya Deren, John Martin, Sherril Dodds, Douglas Rosenberg, and Noël Carroll. As a result, all the terms can be structured into the format of ‘dance term + media term’, and its variations create diverse meanings and implications for the theorists. The significance of discussing ‘video dance’ in the era of digital tech nology and interactive media lies in that video dance is not a simple precursor of these new technologies, but a cultural practice that still operates in the artworld and shapes the discourse of dance media.

      • KCI등재

        마츠 에크의 「스모크 Smoke」(1995)를 통해 본 댄스 필름의 가능성

        이지원 ( Ji Won Lee ) 한국무용예술학회 2013 무용예술학연구 Vol.42 No.3

        유럽에서 활동하는 마츠 에크는 독특한 움직임과 문학적 테마 그리고 현대사회의 관계성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를 극적으로 전달하는 세계적인 안무가이다. 그는 1995년 프랑스에서 TV방송용으로 「스모크」를 제작하였는데 당시 많은 대중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았다. 이후 TV방송용의 필름댄스 뿐 아니라 많은 무용 공연을 필름으로 제작하며 춤의 다양한 채널을 통해 관객과 만날 수 있는 장을 만들었다. 마치 이전 그의 어머니인 브리지트 쿨베리가 블루박스 방식으로의 실험을 한 것 같이 대중들에게 쉽게 다가가고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는 춤의 대중적 수용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그의 작품 「스모크」에서 살필 수 있는 댄스 필름의 가능성과 긍정적인 전망을 살피면 다음과 같이 추출할 수 있다. 첫 번째로는 영상이라는 형태로 전통적 시간과 공간 개념을 파괴하며 이미지의 조합을 통해 관객에게 환타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무대 위의 향연이 아니더라도 안무자의 화면의 배치와 움직임을 통해 화면 속에서 장관을 이룰 수 있다. 두 번째로는 필름의 조작과 카메라 기술의 편집을 통해 상상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는 작가의 정신적 산물인 상상력을 제약받지 않고 새로운 기술을 통해 표현을 증대시킬 수 있다. 수정과 보완을 통해 완벽한 연출을 이루어낼 수 있다. 세 번째로는 극장이 아닌 디지털의 세계에서 관객을 만나고 시뮬라르크의 원본의 의미로 재생과 평가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필립 드쿠플레가 ‘무대 위의 움직임을 통한 순간적 아름다움을 넘어서 춤 영상은 편집되어 완벽해질 수 있고 장면마다 공간을 구성할 수 있는 카메라의 줌의 활용’을 언급한 것처럼 디지털 시대에 댄스필름이 가지는 춤으로써의 가능성은 앞으로 주목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댄스필름이 보다 다양한 시장으로 확대 제작된다면 많은 무용층 관객을 확보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제 댄스필름은 대중을 확보하기 위한 생존전략이자 문화산업이라 할 수 있다. 이제 춤은 단순히 기록으로 남기는 차원에서의 영상작업이 아니라 하나의 시장성을 목표로 보다 전문적인 노력과 홍보가 필요할 것이다. 물론 현장성의 매력을 기술력으로 극복하기에는 엄연히 한계가 있다 하더라도 무대 전체에서 펼쳐지는 미장센의 아름다움을 또 다른 가상 공간에서 경험할 수 있다는 매력이 있다. 21세기의 춤을 주도할 유망한 독립분과이자 대중에게 보다 근접할 수 있는 댄스필름의 향방을 예견해본다.

      • KCI등재

        댄스 다큐멘터리 영화 「댄싱 베토벤 Dancing Beethoven 」(2016)의 내러티브 분석을 통한 댄스필름 논의

        한지영,김말복 한국무용예술학회 2018 무용예술학연구 Vol.7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rratives of dance documentary film Dancing Beethoven (2016) and to see what aesthetic discourse can be elicited by using “documentary film” expressions. To achieve it, I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documentary films within the context of dance film theoretically and the narratives in analytical methods. Specifically Dancing Beethoven is analyzed in three aspects: “objective subject”, “composition method” and “photography and editorial methods.” The three analytical axes span the historical and expressive aspects of documentaries and cinematic arts, while penetrating the layers of images and stories in the dance. The find this study, The film is not just to simply recording dancing, the film was re-contextualizing dance with cinematic techniques. In addition, various shorts and angles were used to capture the dynamics and spectacles of the dance, and it is observed that the dance text is expanded through editing process using image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tage.

      • KCI등재

        무용 교육에서 댄스 필름의 활용 가치 탐색

        김연재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23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9 No.3

        This study explored the educational value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the artistic context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value of using dance films in dance education.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discourse was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n the result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dance film work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it appears centered on the discourse of gender/race and environment. Gender can be discussed from a political, historical, and cultural perspective in relation to the power (gender, race, class, capital, etc.) given by the body. This provides us with new senses and perspectives by expressing movements and images with the ‘unidentified body’ in the dance film. Next, through ecological discourse, the environment is discussed with expressions such as recognizing nature as a relationship of coexistence and coexistence with us, or containing warning messages about problems. This is the meaning of ‘the body of the earth’ in dance film, and we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daily life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ing a new movement by forming a relationship with the body using daily movements, sounds, and space. Finally, the contents system of the educational program proposed by the dance film in dance education is divided into four areas: concept understanding, creation, production, and presentation. In the area of concept understanding and creation, we propose a discussion on the socio-cultural discourse in dance films. Through discussions on socio-cultural discourse, the process of creation can be specified, and new ways of expression can be discussed through video. This study proposes a new method of creation and choreography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proposes practical research such as program development by applying it to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캐트린 홀(Katrin Hall)의「파열 Burst」에 나타난 춤과 영상 테크놀로지 연구

        이지원 한국무용예술학회 2009 무용예술학연구 Vol.28 No.-

        The combination of art and technology combined has shown expeditious development as was predicted by Paik Nam June - “In the 21th century, painting will take the form of electronic machines coloring across a canvas”. Technology is to art, the source for imagination and an efficient tool for expression, signaling challenge within arts’ history. Art, based on technology, transformed into various media and continued together with it through time. In dance, the combination to technology is exemplified in Loie Fuller’s integration within theater art, Ted Shawn’s imagery of dance, and in mid 20th century, New Technology dance as emphasized by Alwin Nikolais’ ‘Total art’, and Merce Cunningham’s dance and video imaging as an independent medium. In fact, many dancers have combined dance with present technology and have joined in the experimentation of dance identity. In the late 20th century, we see an active use of objet d’art. Thus, dance, in a new field of computers and digits, endowed with traits of mass media greets an era of visual dance. Now, dance newly embodies the image of the moving body in a virtual time and space, of which Marshall Mcluhan referred to as ‘a global village’. In Katrin Hall’s 「Burst」(2003), a traditional sense of time and space was broken by a form of digital image. Moreover, through the so-called mixing of images, it established an artificially combined sensual reality where two-way communication in which the constructed audiences can also participate is attained. So it ascended from a purity of bodily movements to a new imaged domain with the use of video media. A mutual understanding of multilateral communication and interactive form was also made possible. Furthermore, we have parted from an era where the identity of dance was one of momentary and instantaneous documentary arts and created a spectacle on screen of dance having eternity which can be viewed upon the audience’s freedom and choice. Hereafter, dance will greet its audience with a globalism of an artificial digital form, alternative to the previous conventional system which emphasized the visual/sensorial structure of dance. The imaging project, an outcome which headed the transition of ideas along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 is just another genre of dance which reflects the spirit of the time mentioned by Sparshott. Now the imaging project of dance has come into the spotlight as a promising cultural enterprise that will lead dance of the 21th century, forecasting future dance on account of an original, passionate form.

      • KCI등재

        무용의 공감각적 기억과 잔상을 보존하는 대안으로서 영상매체

        심정민 고려대학교 응용문화연구소 2010 에피스테메 Vol.- No.4

        무용은 공연예술의 한 분야로 빠르게 발전해왔다. 무용의 가장 큰 특수성이라고 한다면 한계성을 들 수 있다. 극장이라는 한정된 장소에서 정해진 일정한 시간 내(內)에 공연되는 무용은 필연적으로 찰나에 사라지는 한계성을 지닐 수밖에 없다. 특히, 보편적으로 상용화되는 무용보(무용기록법)의 부재는 무용의 공감각적 형상에 대한 기억과 잔상을 그 어느 분야의 예술보다 중요하게 만들고 있다. 20세기 들어 영상매체의 진보는 무용의 공감각적 형상에 대한 기억과 잔상을 영속시키는 데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연예술로서 무용의 특수성을 바탕으로 무용의 공감각적 기억과 잔상을 보존하는 대안으로서 영상매체의 중요성을 이해하면서 그 다양한 활용을 논의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활용되어온 무용영상의 형태를 조망하자면 대략 네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겠다. 첫 번째, 무대 위에서 펼쳐지는 공연실황을 그대로 녹화(recording)한 무용영상이 있다. 두 번째, 무용가의 창작활동이나 공연제작과정에 대한 다큐멘터리가 있다. 세 번째, 극장무대 위에서 공연된 작품을 근거로 하되 그것을 그대로 녹화한 것이 아니라 영상기법을 통해서 재(再)연출한 무용영상이 있다. 네 번째, 무용을 담아내는 것으로부터 시작했던 무용영상은 그 자체로 주체성을 갖춘 분야를 탄생시켰다. 바로 ‘영상을 위한 무용'으로 dance film, dance for camera, dance on screen, video dance 등 많은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영상은 무용의 공감각적 형상의 기억과 잔상을 보존하는 효과적인 매체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영상은 무용을 기록하는 다른 매체들 이를테면 기보, 안무노트, 프로그램, 평론, 일러스트레이션, 자서전, 감상문 등과 함께 쓰일 경우 원전의 복원에서 강력한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무용예술과 관련된 분야 중에서 영상이 가장 빠른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와 같이, 영상은 무용의 공감각적 형상의 기억과 잔상을 보존하는 매체로서 그 활용가능성을 다각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리고 21세기 전환기에 무용의 영상매체화는 더욱 창조적인 모색을 가속화하고 있는 추세다. Dance is a field of performing arts. Dance art has some limits or weakness of time and place. Dance as a theatrical arts performs in the time and at the place. If you miss the performance, you may not see it again. In 20th century the development of films effects on the preservation of theatrical images of dance art. Four forms of dance on camera are following. First, recording films of dance as a performing arts. Secondly, documentary films for dance production. Thirdly, directing and editing films for new dance images. Fourthly, video dance, that is, dance films as it is. Dance on camera is very helpful to preserve theatrical images of dance art.

      • KCI등재

        로이드 뉴슨의 댄스필름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의 의미 :「삶의 대가」를 중심으로

        김현남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3 스포츠사이언스 Vol.41 No.2

        Based on Michel Foucault(1926-1984)'s concept of Heterotopia, this study examined Lloyd Newson(1957~)'s dance film work, The Cost of Living (2004). Newson expands the boundaries of dance through a medium called film, a visual artist, and boldly expresses the problem of human relations, a major topic of the present era. Accordingly, based on the meaning of ‘Heterotopia, a space beyond the arrangement of constructed reality’,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artistic concepts that appear in Newson's dance film and propose an aesthetic perspective to interpret contemporary dance.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The Cost of Living within the meaning of heterotopia as a utopia and anti-space existing in reality,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dance art beyond the limits of reality and fantasy were examined and the meaning of the subject who proactively confronts life was discussed. Therefore, the power of self-transformation that constantly moves to create a new self beyond the limit was found on the dance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