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합 조건에 따른 임플란트 주변 골밀도 변화에 대한 프랙탈 구조 분석

        김주희,이재인,Kim, Ju-Hee,Lee, Jae-I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4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와 대합되는 부분의 상태에 따라서 임플란트 주위 골조직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원광대학교 대전치과병원에서 임플란트 식립을 받은 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총 51개의 임플란트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임플란트는 성별, 나이, 악골 위치, 환자의 대합되는 부위에 따라서 분류되었고 대합되는 부위는 자연치, 임플란트, 가공치, 무치악의 네 집단으로 나뉘었다. 프랙탈 분석을 위해 임플란트 식립 직후의 치근단 사진과 보철 수복 이후 10주 이상이 지난 치근단 사진이 사용되었다. 분석은 Image J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시행하였고 Tukey multiple comparison test로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임플란트의 보철수복 전후 프랙탈 값 차이의 평균은 자연치가 대합되는 경우 $0.009{\pm}0.048$이었으며 임플란트의 경우 $0.026{\pm}0.080$, 가공치의 경우에 $-0.025{\pm}0.068$이었으며 무치악은 $-0.093{\pm}0.171$으로 나타났다. 대합되는 부위가 무치악일 때와 임플란트일 때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나이와 성별, 악골 위치에 따른 프랙탈 수치 변화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임플란트 식립 후 대합되는 부위가 무치악일 때를 제외한 세 집단간 프랙탈 수치 변화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합되는 부위가 무치악일 때와 임플란트일 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환자의 나이와 성별, 악골의 위치에 따른 프랙탈 수치 변화 차이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know whether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of peri-implant bone density according to the state of antagonist region. Materials and methods: 51 patients who had implant operation in Daejeon Dental Hospital of Wonkwang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otal of 51 implants were analyzed. Implants were classified depending on opposing antagonist region, gender, age and location of jaw. The opposing antagonist region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natural tooth, implant, pontic and edentulous region. Fract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wo periapical radiographs; one after implant placement and the other after 10 weeks following prosthetic restoration. The analysis was done by Image J. The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Tukey multiple comparison test. Results: The mean value of fractal difference was $0.009{\pm}0.048$ with opposing natural tooth, $0.026{\pm}0.080$ with opposing implant, $0.025{\pm}0.068$ with opposing pontic and $0.093{\pm}0.171$ with opposing edentulous area.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ractal value between opposing implant and opposing edentulous state.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gender and location of jaw. Conclus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3 groups except opposing edentulous region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pposing implant and edentulous region.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gender and location of j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