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언 화자 분석을 위한 인구 관련 문헌 소개 -20세기 초 이전을 중심으로-

        이옥희 우리말학회 2017 우리말연구 Vol.5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riefly introduce the population related documen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luidity and hometown of the speakers of the late modern Korean language and to suggest ways of using these data. If the temporal variation and transitive changes can not be explained intonationally, they can be approached by extrinsic factors, such as the fluidity of the speaker. The remnant and extinction of the dialects in the modern Korean language period can be estimated through the numerical increase or decrease of the corresponding speaker, which is an important clue to understand the flow of language change. In order to analyze a dialect speaker, a speaker, in other words, a population-related document is needed. We have been having <HanseongbuHogudanja>, <GwangmuHojeok>, <Hogu Danja>, <ChosunMoongwabangmok>, <DaehanjeagukGwanwoniryekseo> etc since 14th century. These materials are population - related materials that can be directly or indirectly found in the information of the speaker as documents or documents published in the government or the government from 14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through Joseon Dynasty. It is significant that the modern method of census can help analyze the speaker from the nineteenth century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these materials and suggest ways and limits of their use. 이 글은 후기 근대국어 시기 방언 화자의 유동성과 출신지를 파악 하는데 필요한 관련 문헌을 소개하고 이들 자료의 활용 방안을 간략히 모 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 언어공동체 내에서 혼재하는 다양한 지역 방언 화자들은 지역 내의 언어 상황이나 변화에 영향을 주게 된다. 방언 의 공시적 변이나 통시적 변화를 언어내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경우, 언 어외적인 요인, 이를테면 화자의 유동성으로 접근할 수 있다. 근대국어 시기의 방언형들의 잔존과 소멸은 해당 방언 화자의 수적 증감을 통해 추 정할 수 있으며, 이는 언어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방언 화자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화자와 관련 있는 문헌, 다시 말 해 인구 관련 문헌이 필요하다. 20세기 초 이전 시기의 인구 관련 문헌으 로는 <호구총수>, <한성부호구단자>, <광무호적>, <조선문과방목>, <대한제국관원이력서> 등이 있다. 이 자료들은 14세기부터 20세기 초 사이에 관청에서 간행된 문서들로서 화자의 정보를 직 ‧간접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인구 관련 자료들이다. 이 자료들은 현대적 방식의 인구 조사가 시행되지 않았던 근대시기의 방언 화자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글에서는 이 자료들을 소개하고 활용 방안과 한계를 제시하도록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