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급인력의 인구이동패턴과 인적자원의 지역 불균형

        강은택(Kang, Eun-Taek),강정구(Kang, Jung-Ku),안아림(Ahn, Ah-Rim),마강래(Ma, Kang-Rae) 대한부동산학회 2016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4 No.2

        고급인력의 유입, 지원시설 및 상업시설 유치와 일자리 창출 등 대학은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학이 지역 경쟁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이 제대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졸업생들이 해당 지역에 머물며 생산 및 소비 등의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역 내에서 고용이 이루어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졸업생들이 해당 지역에서 머무르는 비중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는 대학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대학과 직장지 간의 이론적 ‘최소이동거리’와 ‘실제이동거리’를 비교함으로써, 대학과 산업의 일치도가 지역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실증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과통근(excess commuting) 분석 틀을 이용하여 최소이동거리와 실제이동거리를 계산하고 대학소재지와 직장지간의 불일치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비수도권에 비해 수도권에 취업기회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2004년에 비해 2009년 최소이동거리는 비슷한 반면 실제이동거리는 증가하였다. 이는 대학과 직장지의 불일치에 직장의 수가 아닌 다른 요인이 작용함을 시사한다. 셋째, 학력이 높을수록 대학과 산업의 일치성이 낮아지는 현상은 비수도권에서 특히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비수도권 지역의 인적자본 유출의 심각성과 지역 수준의 산・학・연 연계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It has generally been considered that accumulation of the highly educated has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economies. Over the past few decades, the Seoul Metropolitan Area(SMA) has enjoyed a relatively large brain gain while non-SMA regions has suffered brain dr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level of human capital retainment by measu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and the smallest possible migration distances of university graduates. The smallest possible average distances can be obtained by the linear programming that reassigns the locations of universities and jobs to minimize the total average migration costs to find the optimal migration flow. The main findings are that firstly, the amount of excess migration had increased between 2004 and 2009, indicating the growing mismatch between universities and work places. Secondly, higher excess migration rate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years of education among the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Lastly, the university graduates from the non-SMA region tend to have a higher excess migration rate than those from the SMA area.

      • KCI등재

        지방대학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예측요인과 경로 연구 : 경상권 취업자와 수도권 취업자간 비교

        김문수,이교일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18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1 No.4

        This research study examined the prediction factors and vocational path research that influence the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 first job for non-urban area university students,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for vocational path between students seeking a job from the Gyeongsang area and students seeking a job from Seoul metropolitan areas. To conduct this research, the GOMS(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survey provided by the KEIS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as referenced. The data for 1,205 graduates from the Gyeongsang area was utili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impressions of corporations and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ir first job for non-urban area university students, levels of satisfaction for regional society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impressions of corporations and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ir first job for non-urban area university students, level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Third, while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impressions of corporations and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ir first job for Gyeongsang area university students, both levels of satisfaction for regional society and also level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both these factors were confirmed not to have a mediating effect for students in Seoul metropolitan areas.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impressions of corporations, levels of satisfaction of their first job, levels of satisfaction for regional society, and level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for non-urban area university student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a method and system for developing human and intellectual resources for regional societies. This research also suggests the need for regional universities, the government and regional municipal organizations to develop programs that strengthen to ability for getting a job according to both the need to strengthen regional infrastructure an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본 연구는 지방대학생의 첫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예측요인과 경로를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경상권 취업자와 수도권 취업자간 경로를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을 위해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를 주된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권 대학 졸업자인 1,205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방대학생이 가진 기업이미지와 첫 일자리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지역사회만족도는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방대학생이 가진 기업이미지와 첫 일자리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학교만족도는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상권취업자는 기업이미지와 첫 일자리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만족도와 학교만족도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도권 취업자는 이들 변수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방대학생의 기업이미지, 첫 일자리 만족도, 지역사회 만족도, 학교만족도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지역사회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지역사회 대학이 지역사회 인프라의 구축의 필요성과 학교의 지역특성에 맞는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