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65세 이상의 여성에서 발생한 대퇴 경부 골절과 전자간부 골절 환자 간의 골밀도 및 골 구조 비교

        김성수 ( Sung Soo Kim ),이명진 ( Myung Jin Lee ),김현준 ( Hyeon Jun Kim ),강정모 ( Jung Mo Kang ) 대한고관절학회 2012 Hip and Pelvis Vol.24 No.2

        목적: 65세 이상의 여성에서 발생한 대퇴 경부 골절 및 전자간부 골절 환자 간의 골밀도 및 골 구조에 대하여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4월부터 2011년 3월까지 대퇴 경부 골절 및 전자간부 골절로 내원하여 골밀도 검사 및 전산화 단층 검사를 시행한 65세 이상 여성, 1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밀도는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 측정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골 구조는 전산화 단층 촬영을 통해 건측 고관절의 형태를 측정하였다. 결과: 대퇴 경부 골절군에서의 대퇴 경부 및 전자부 골밀도 평균치는 0.563 g/cm2와 0.753 g/cm2, 대퇴 전자간 골절군에서는 0.457 g/cm2와 0.656 g/cm2로 나타나 전자간 골절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측정되었다(P=0.029, 0.030). 대퇴 경부 골절군에서 피질골 지수의 평균치가 0.59, 대퇴 전자간 골절군에서는 0.51로 나타나 각각 대퇴 전자간 골절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측정되었다(P=0.001). 결론: 대퇴 전자간 골절군에서 경부 골절군에 비해 낮은 골밀도 소견을 보였고 대퇴골이 얇은 피질골소견을 보였다. 65세 이상 근위 대퇴 골절 여성에 있어서 골밀도 측정 및 전산화 단층 촬영은 유용한 검사라 생각한다. Purpose: To analyze, by radiograph, the difference i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the proximal femoral morphology of females who are over 65 years old and have had either an intertrochanteric fracture or a femoral neck fracture. Material and Methods: One hundred twenty-five females over 65 years of age with femoral neck fractures or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ere examined for bone mineral density using computed tomography from April 2008 to March 2011. The bone mineral density was measured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The morphology of the proximal femur was also measured by computed tomography in the unaffected hip. Results: In the femoral neck fracture group, the mean BMD value was 0.563 g/cm2 in the femoral neck region and 0.753 g/cm2 in the intertrochanteric region. In the intertrochanteric fracture group, the mean BMD value was 0.457 g/cm2 in the femoral neck region and 0.656 g/cm2 in the intertrochanteric region.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emoral neck fracture and intertrochanteric fracture groups (P=0.029, 0.030). The mean cortical index was 0.59 in the femoral neck fracture group and 0.51 in the intertrochanteric fracture group.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femoral neck fracture and intertrochanteric fracture groups (P=0.001). Conclusion: The BMD of the proximal femoral neck and intertrochanteric regions of the intertrochanteric fractur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femoral neck fracture group. The cortical index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in the intertrochanteric fracture group than the femoral neck fracture group. BMD and computed tomography seem useful to check in women older than 65 who have fractures of the proximal femur.

      • KCI등재

        근위 대퇴골 골절 분류의 신뢰성

        이상욱 ( Sang Wook Lee ),고상봉 ( Sang Bong Ko ),조명래 ( Myung Rae Cho ),이호형 ( Ho Hyoung Lee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1

        목적: 고관절 부위 대퇴 경부와 대퇴 전자부 골절의 분류 (Garden 분류와 Boyd와 Griffin 분류)를 비교, 분석하여 재현성과 정확성, 관찰자 간, 관찰자 내의 오차에 대하여 조사해서 그 신뢰성과 의의에 대하여 조사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5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대퇴 경부 골절 56예, 대퇴 전자부 골절 60예를 대상으로 고관절 전문의, 정형외과 전문의, 정형외과 전공의가 각각 3회에 걸쳐 각 질환을 분류하였는데, 대퇴 경부 골절은 현재 많이 이용되는 Garden 분류 방법에 따라 분류하였고 대퇴 전자부 골절은 골절 부위의 양상과 분쇄 정도에 따른 Boyd와 Griffin 방법으로 분류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tata 7.0을 이용하여 관찰자 내, 관찰자간의 kappa 값을 구하여 일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대퇴 경부 골절군의 Garden 분류법의 경우 관찰자 내 일치성은 적절한 일치성을, 관찰자간 일치성은 약간 낮은 일치성을 보였다. 대퇴 전자부 골절군의 Boyd와 Griffin 분류법의 경우 관찰자 내 일치성은 높은 일치성을, 관찰자간 일치성은 적절한 일치성을 보였다. 결론: 대퇴 전자간 골절의 Boyd와 Griffin 분류는 적절한 일치성 이상을 보였으나 대퇴 경부 골절의 Garden 분류는 낮은 일치성을 보여 그 분류는 낮은 일치성을 보여 그 분류 방법에 신뢰성과 이용에 문제점이 제기된다. Purpose: The Garden classification by which femur neck fracture is classified and the Boyd-Griffin classification by which trochanteric fracture is classified are studied on the reproducibility, repeatability, interobserver`s and intraobserver`s reliability and then reli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56 cases in femoral neck fracture and 60 cases in trochanteric fracture who were operated from May 1999 to December 2003 were classified by three observers who are hip surgeon, orthopaedic surgeon and senior residentship doctors three times. Femur neck fracture was classified by Garden`s method which used commonly and trochanteric fracture was classified by Boyd-Griffin method which is classified by the pattern of fracture and degree of comminution. We got the interobserver`s and intraobserver`s Kappa score using the Stata 7.0 statistically.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made by Stata 7.0. Results: Garden classification in femur neck fracture showed moderate agreement in intraobserver reliability and fair agreement in interobserver reliability. Boyd-Griffin classification in trochanteric fracture showed substantial agreement in intraobserver reliability and moderate agreement in interobserver reliability. Conclusion: Boyd-Griffin classification showed over moderate agreement but Garden classification showed fair agreement, so using Garden classification in femur neck fracture has some problem in reliability and application.

      • KCI등재

        금속 내고정술을 이용한 대퇴 경부 골절의 고정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분석

        임수재 ( Soo Jae Yim ),우승한 ( Seung Han Woo ),김민영 ( Min Young Kim ),박종석 ( Jong Seok Park ),김응하 ( Eung Ha Kim ),서유성 ( Yoo Sung Seo ),이병일 ( Byung Il Lee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3

        목적: 다발성 유관 나사를 이용한 금속 내고정술을 시행한 대퇴 경부 골절 환자에서 고정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2월부터 2002년 6월까지 본원에서 대퇴 경부 골절로 입원하여 다발성 유관 나사를 이용한 고정술을 시행 받은 대퇴 경부 골절 환자 96명 (남자 63예, 여자 33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8세 (17세∼90세) 였으며, 추시기간은 50개월(36개월∼6년)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C-형 영상 증폭 장치를 이용한 도수 정복 후 다발성 유관 나사로 내고정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3개월 후 대퇴 경부의 10 mm 이상의 내반 변형과 유관 나사못 사이의 각도가 5% 이상 변하는 경우, 20 mm 이상의 후방 전위, 골두 천공이 있을 때 고정 실패로 정의하였다. 연령 및 성별, 골절의 형태와 전위 유무 및 정복 형태, 유관 나사의 위치를 분석하여 고정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해 분석하였고 고정 실패가 불유합이나 대퇴 골두의 무혈성 괴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결과: 96명의 환자 중 24예에서 고정 실패가 발생하였고 이 중 10예 (41%)에서 불유합이 발생하였으며 8예 (33%)에서 대퇴 골두의 무혈성 괴사가 발생하였다. 특히 불유합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로서 대퇴 경부 후방 피질골의 분쇄 유무, 정복의 정확도, 내고정물의 적절한 위치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대퇴 경부 골절 환자에서 다발성 유관 나사를 이용한 내고정술 시행 시 대퇴 경부의 후방 분쇄정도와 정복 형태, 유관 나사의 위치가 대퇴 경부 골절 환자의 고정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 fixation failure after internal fixation using multiple cannulated screws in the patients with femoral neck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Ninty-six patients (male: 63, female: 33) who underwent closed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femoral neck fracture between Feb. 1994 and Jun. 2002 with use of multiple cannulated screws. The mean age was 68 years (17∼90) and mean follow-up period was average 50 months (36 months∼6 years). The fixation failure was defined by change in fracture position above 10 mm, change in each screws position above 5%, backing above 20 mm, or perforation of the head, respectively. They were evaluated with the age, gender, fracture type, accuracy of reduction, placement of screws, posterior comminution and also studied the risk factors which influenced nonunion and the development of avascular necrosis. Results: Twenty-four patients out of 96 patients had radiographic signs of fixation failure. The incidence of nonunion in the fixation failure group was 41% (10/24) and AVN was 33% (8/2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ixation failure and nonunion and that posterior comminution, poor reduction and improper placement of the screws were the major factors contributing to nonunion. Conclusion: In case of femoral neck fracture of internal fixation using multiple cannulated screws, posterior comminution, poor reduction and improper placement of the screws were the major factors contributing to nonunion and fixation failure.

      • KCI등재

        대퇴골 간부 및 경부 동시골절에 대한 역행성 골수정을 이용한 치료

        오창욱(Chang-Wug Oh),오종건(Jong-Keon Oh),김신윤(Shin-Yoon Kim),차기봉(Ki-Bong Cha),전인호(In-Ho Jeon),박병철(Byung-Chul Park),민우기(Woo-Kie Min),김태공(Tae-Gong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3

        목적: 동측 대퇴골의 간부 및 경부의 골절에 대하여 역행성골수정을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효용성과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년 이상 추시된 17예(16명)의 골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가 14명, 여자 2명이었고, 평균나이는 44세이었다. 대퇴 간부 골절은 Winquist-Hansen 분류상 Ⅱ형이 11예로 가장 많았고, 대퇴경부 골절은 AO-OTA 골절 분류상 B형 13예로 대부분이었으며, 그중 Garden 분류상 Ⅱ형이 6예가 가장 많았다. 역행성 골수정을 이용하여 먼저 대퇴골 간부골절을 고정하였으며, 이후 대퇴 경부 골절은 유관나사못 또는 압박 고나사로써 고정하였다. 결과: 대퇴골 간부 골절은 평균 27.3주(범위, 14-60주)에 유합되었으며, 5예의 불유합은 골이식 또는 다른 고정 법이 필요하였다. 대퇴 경부골절은 평균 11주(범위, 8-12주)에 유합되었으며, 그중 1예의 불유합은 Garden 분류상 Ⅳ형으로 무혈성 괴사를 동반하였다. Friedman-Wyman의 기능적 평가에서 16예에서 양호의 결과를 보였으며, 보통의 결과를 보인 1예는 대퇴 경부의 불유합으로 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환자였다. 결론: 비록 대퇴 간부 골절 유합률은 향상되어야겠으나, 역행성 골수정을 이용한 고정법은 대퇴 경부골절의 고정이 쉽고,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the operative method for ipsilateral femoral shaft and neck fractures using retrograde nailing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Seventeen fractures (sixteen patients), followed-up more than 1 yea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re were 14 men and 2 women, and the mean age was 44 years-old. According to the Winquist-Hansen classification, type Ⅱ was most common with 11 cases. In femoral neck fractures, type B was most common with 13 cases according to AO-OTA classification and 6 of them were type Ⅱ in Garden stage. After retrograde nailing of femoral shaft fractures, neck fractures were fixed by cannulated screw or dynamic hip screw. Results: The average time for union of shaft fractures was 27.3 (14-60) weeks. Nonunion occurred in five patients, who required bone grafts or changes of fixation. The average time for union of neck fractures was 11 (8-12) weeks. All united, except for one case of nonunion with avascuar necrosis, which was a Garden stage Ⅳ fracture. Functional results using Friedman-Wyman criteria were good in 16 cases, and fair in one. The only fair result was nonunion of the femoral neck, which had the joint arthroplasty. Conclusion: Although the union rate of femoral shaft must be improved, retrograde nailing can provide an easy fixation and a favorable result for ipsilateral femoral neck fractures.

      • KCI등재

        대퇴 경부 골절 환자의 치료에서 대퇴 경부 시스템 및 유관 압박 나사 간의 임상 결과 비교

        황재광,이기원,서동교,배주열,송명근,최한석 대한골절학회 2023 대한골절학회지 Vol.36 No.3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the femoral neck system (FNS) and cannulated compression screws (CCS) for the fixation of femoral neck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FNS or CCS internal fixation for femoral neck fractures between January 2016 and January 2022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hip joint function using the Harris hip score (HHS) was evaluated three months and one year after surgery. The operation time, fracture healing time, and associated surgical complications i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Seventy-nine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38 FNS and 41 CCS groups. The FNS group had a longer operation time and higher postoperative HHS at three months (p<0.01). Femoral neck shortening was lower in the FNS group (p=0.02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acture healing time and other complications. Conclus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ost clinical outcomes and complic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except for the three-month HHS and femoral neck shortening. This study suggests that FNS could be an alternative to CCS for treating femoral neck fractures. 목적: 본 연구에서는 CCS 및 FNS를 이용한 대퇴골 경부 골절의 내고정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1월부터 2022년 1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대퇴 경부 골절로 CCS 혹은 FNS를 이용한 내고정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수술 후 3개월, 1년 후 각각의 HHS를 비교하였다. 수술 시간, 수술 후 골절 유합에 걸린 시간 및 합병증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CCS군 41명과 FNS군 38명, 총 7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FNS군에서 수술에 소요된 시간이 더 길었으며, 수술 후 3개월에 시행한 HHS가 더 높게 평가되었다(p<0.01). 대퇴 경부 단축은 FNS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p=0.022). 골유합 기간 및 주요 합병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수술 후 3개월 HHS와 대퇴 경부 단축을 제외한 대부분의 임상 결과 및 합병증에서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대퇴 경부 골절 수술에서 FNS를 이용한 방법은 기존의 CCS를 이용한 수술 방법과 더불어 하나의 선택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대퇴 경부 골절에서 다발성 핀 내고정 후 발생한 무혈성 괴사와 불유합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성열보 ( Yerl Bo Sung ),신용운 ( Yong Woon Shin ),박찬근 ( Chan Keun Park ) 대한고관절학회 2009 Hip and Pelvis Vol.21 No.1

        목적: 다발성 핀 삽입술로 내고정을 시행한 대퇴 경부 골절 환자에서 발생한 무혈성 괴사와 불유합을 분석하여 그 위험 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6월부터 2006년 5월까지 본원에서 대퇴 경부 골절로 다발성 핀 삽입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최소 2년 이상 추시 가능한 102예를 대상으로 무혈성 괴사 및 불유합을 조사하였다. 인자로 나이, 성별, 좌 우측, 골절 편의 전위 정도, 수상 후 수술까지의 시간, 골절 각의 방향(Pauwels` angle), 정복의 정확도 및 후방 피질골 분쇄 유무에 대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무혈성 괴사와 불유합의 발생빈도는 각각 13.7%(14/102)와 10.7%(11/102)이었다. 불유합의 발생은 비전위 골절보다 전위 골절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수상 후 24시간 이내로 수술이 이루어진 경우와 Pauwels 각도가 60도 미만인 경우에 무혈성 괴사 및 불유합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s<0.05). 후방 피질골 분쇄 골절이 있을 경우 무혈성 괴사 및 불유합의 발생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s<0.05). 결론: 대퇴 경부 골절에서 다발성 핀 내고정 시행 후 발생한 무혈성 괴사 발생의 중요 위험 인자는 골절각의 방향으로 Pauwels 각도가 60도 이상인 경우이며, 불유합 발생의 중요 위험 인자는 수상 후 24시간이 지나 수술이 시행된 경우, 후방 피질골 분쇄 및 Pauwels 각도가 60도 이상인 경우로 판단된다. Purpose: We wanted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risk factors on avascular necrosis and nonunion after multiple pinning for a femoral neck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e cases of multiple pinning for a femoral neck fracture that were seen at our department from June 1995 to May 2006, we analyze 102 cases that had more than 2 years of follow-up. We evaluated the influence of such factors as the age, gender, injury on the right-or left-side, the degree of displacement, the time to operation, the angle of fracture, the accuracy of reduction and posterior cortex comminution on avascular necrosis and nonunion after multiple pinning for a femoral neck fracture. Results: The incidences of AVN and nonunion were 13.7% (14/102) and 10.7% (11/102), respectively. The degree of displacement was a significant factor that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nonunion (p<0.05). The time to operation and the angle of fracture were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d nonunion (p<0.05 & p<0.05) and avascular necrosis (p<0.05 & p<0.05). The posterior cortex comminu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that influenced nonunion (p<0.05) and avascular necrosis (p<0.05). Conclusion: The important risk factor for avascular necrosis was the angle of fracture over 60 degrees. The important risk factors for nonunion were the time to operation (over 24 hours), posterior cortex comminution and an angle of fracture over 60 degrees.

      • 다발성 핀 고정술로 치료한 관절내 대퇴 경부 골절에서 합병증과 영향인자

        김성중,김신윤,차기봉,오창욱,박일형,인주철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발성 핀 고정술로 치료한 관절내 대퇴 경부 골절 환자에서 발생한 합병증과 여러 가지 영향 인자들간의 관계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3년 3월부터 2000년 1월까지 관절내 대퇴 경부 골절에 대해 다발성 핀 고정술로 치료한 후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68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합의 실패, 대퇴 골두 골괴사 등의 합병증과 Garden stage, 정복 상태, 내고정물의 위치, 골절의 위치, 수상 후 수술까지의 시간 간격 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AS system을 이용한 Fisher exact test, chi-square 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법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으로 검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값이 0.05 이하일 때로 하였다. 결과 : 관절 내 대퇴 경부 골절의 치료 후 합병증의 발생에 있어서 한가지 인자를 기준으로 한 분석에서는 내고정물의 위치가 가장 중요한 영향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46), Garden stage, 정복 상태, 골절의 위치, 수상 후 수술까지의 시간간격 등과 합병증의 발생 간에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p>0.05). 여러 인자들의 상호 작용에 의한 합병증 발생에 대한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에서는 Garden stage (p=0.028) 및 내고정물의 위치 (p=0.027)가 다른 인자들과 함께 합병증 발생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관절내 대퇴 경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다발성 핀 삽입술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는 적절한 내고정물의 위치를 얻음으로써 합병증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여러 가지 인자들의 상호 작용에 의해 그 예후가 결정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lications of intracapsular femoral neck fractures treated by multiple pinning and several affecting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Sixty-eight patients with intracapsular femoral neck fractures were treated by multiple pinning from March 1993 to January 2000 and followed at more than one year.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lications such as failure of union, collapse of femoral head due to osteonecrosis of femoral head and several affecting factors including displacement of fracture according to Garden stage, state of reduction, position of screws, time interval from injury to operation, and fracture level were analyzed. The Fisher exact test, chai-square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find the relevant factors influencing incidence of complication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 < 0.05. Results: Position of screw was the most important single factor affecting the results of treatment of intracapsular femoral neck fracture (p=0.046). Moreover, the Garden stage and position of screw were revealed affecting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together with other factors (each p value was 0.028 and 0.027). Conclusion: We considered that satisfactory position of screw was important to reduce complications after multiple pinning for intracapsular femoral neck fracture. And the results of operation also seemed to closely relate with multiple factors including Garden stage and status of reduction.

      • KCI등재

        75세이상 대퇴골 경부 골절에서 시행한 무시멘트 대퇴스템을 이용한 양극성 골두 치환술

        최일용 ( Il Yong Choi ),서우영 ( Woo Young Seo ),김영호 ( Young Ho Kim ) 대한고관절학회 2008 Hip and Pelvis Vol.20 No.2

        목적: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 환자의 대퇴골 경부 골절에서 무시멘트 대퇴스템을 이용한 양극성 골두 치환술을 시행한 후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4년 7월까지 대퇴골 경부 골절로 Zweymuller (Plus Orthopedics AG, Rotkreuz, Switzerland)형 무시멘트 대퇴스템을 이용한 양극성 골두 치환술을 받은 75세 이상의 환자 중 추시 기간 동안 사망한 1명을 제외한 47명, 48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1명, 여자가 36명이었다. 수술 당시 평균 연령은 81세(75~94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42개월(24~58개월)이었다. 모든 례에서 골밀도를 측정하여 골다공증 여부를 확인하였고, 모든 례에서 골수강 확대율(canal flare index)를 측정하여 대퇴강 형태를 측정하였다. 결과: 골절환자의 평균 골밀도는 T 점수 -3.9(-2.9~-5.3)이었고 대퇴강 형태가 연통(stove pipe) 형인 경우가 33례( 69 %)이었다. 수술 후 최종 추시상 통증에 대한 평균Visual analogue scale(VAS) score는 2.7(1~6)점이었고 평균 Harris 고관절 점수는 85(75~93)점이었다. 13례(27%)에서 서혜부 통증을 호소하였으며 1례에서만 중등도의 통증, 나머지는 경도의 통증을 호소하였다. 방사선학적으로 모든 대퇴스템에서 골용해 및 해리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대퇴스템의 침강 없이 안정 골성 고정을 유지하였다. 결론: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의 대퇴골 경부 골절 환자에서 Zweymuller형 무시멘트 대퇴스템은 쐐기형 스템 형태에 의해 대퇴강내에서 조기 고정을 얻을수 있었고 grit-blasted 표면처리에 의해 이차적 안정성을 얻을수 있어 양호한 임상적 결과를 나타내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of un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for femoral neck fractures in elderly patients with osteoporosi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02 and July 2004, 48 un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procedures (Zweymuller, Plus Orthopedics AG, Rotkreuz, Switzerland) for femoral neck fractures were performed in 47 patients older than 75 years of age. Of the 48 patients, 1 patient di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re were 11 men and 36 women.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at the time of surgery was 81 years (range, 75 ~ 94 years), and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42 months(range, 24 ~ 58 months). The bone mineral density and canal flare index of the proximal femur were measured in all patients. Results: The mean bone mineral density (T score) was -3.9 points (range, -2.9 ~ -5.3) and the proximal femoral morphology showed stove pipe shapes in 33 hips. At the last follow up, the mean Harris hip scores and visual analogue scale score was 85 (range, 75~93) and 2.7 (range, 1 ~ 6)points, respectively. Inguinal pain was observed in thirteen hips, among which the degree of pain was moderate in 1 and mild in 12. Radiologically, none of the stems showed evidence of osteolysis and aseptic loosening, and remained well osseointegrated without subsidence. Conclusion: Un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using a Zweymuller stem in elderly patients associated with osteoporosis can provide favorabl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because the stem imparts good primary stability due to its rectangular tapered shape and long-term secondary stability due to excellent osseointegration on the gritblasted surface.

      • KCI등재

        동측 대퇴골 간부 및 경부 골절에 대한 역행성 또는 전향적 골수정을 이용한 치료비교

        오창욱 ( Chang Wug Oh ),오종건 ( Jong Keon Oh ),민우기 ( Woo Kie Min ),김신윤 ( Shin Yoon Kim ),백승훈 ( Seung Hoon Baek ),박병철 ( Byung Chul Park ),안형수 ( Hyung Soo Ahn ),김태공 ( Tae Gong Kim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2

        목 적: 동측 하지의 대퇴골 간부 및 경부의 동시골절을 역행성 및 전향적 골수정 고정 후 나사못고정으로 치료한 다음 그 결과를 후향적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2명(33예)에 대하여 후향적 조사를 하였으며, 환자의 평균 나이는 전향적 골수정군 (16예)이 38세, 역행성 골수정군 (17예)이 44세이었다. 골절의 유합 및 합병증에 대하여 두 치료 군을 비교하였고, 영향인자 등을 알아보았다. 결 과: 대퇴골 간부 골절은 전향적 군에서 10예(63%)에서 평균 28.2주, 역행성 군에서 12예 (71%)에서 평균 27.3주에 유합되었다. 불유합은 Winquist-Hansen III과 IV형에서 많이 발생하여 (전향적 군-5예, 역행성 군-3예), I과II형 (전향적 군-1예, 역행성 군 -2예)에 비하여 그 발생률이 높았다. 대퇴경부골절은 2예를 제외하고 모두 유합되었으며, 각 군에서 1예씩의 불유합이 있었으나 이는 모두 Garden분류상 IV형에서 발생하였고, Garden I, II형은 양 군 모두에서 합병증 없이 유합되었다. 결론: 동측 대퇴 간부 및 경부 골절치료에서 간부 골절은 치료방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경부골절은 전위가 작을 때는 두 군 모두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전위된 경부 골절은 역행성 골수정이 경부골절의 고정에 장점이 있을 것이다. Purpose: To com pare retrospectively the antegrade and retrograde nailing in the management of ipsilateral fem oral neck and shaft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patients (thirty-three injuri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Mean age of patients w as 38 years-old in the antegrade nailing group (16 injuries) and 44 years-old in the retrograde nailing group (17 injuries).We com pared the union of fractures and com plications between two groups, and investigated the influencing factors. Results: Fem oral shaft fracture was united in 10 cases (63% ) of antegrade group and 12 cases (71% ) of retrograde group, at 28.2 and 27.3 weeks respectively. Nonunion was more prevalent in Winquist-Hansen III and IV (5 in antegrade nailing, 3 in retrograde nailing) than I and II. Fem oral neck fracture was united with 1 case of nonunion in each group. Nonunion developed from Garden stage IV, but fractures of Garden stage I and II united regardless of methods. Conclusion: In ipsilateral fem oral neck and shaft fractures, the kinds of methods did not affect the results of shaft fractures. Minim ally displaced neck fractures also were not influenced by kinds of methods, but retrograde nailing may have a benefit in fixing the displaced neck fractures.

      • KCI등재

        고령의 대퇴 하경부 골절 환자에서 시행한 양극성 반치환술

        고덕환 ( Duk Hwan Kho ),김기환 ( Ki Hwan Kim ),김형준 ( Hyeung Jun Kim ),김동헌 ( Dong Heon Kim ) 대한골절학회 2009 대한골절학회지 Vol.22 No.4

        목적: 고령의 대퇴 하경부 골절 환자에 대한 양극성 반치환술 후 추시 관찰한 결과를 분석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3월부터 2005년 3월까지 75세 이상 대퇴 하경부 골절 환자 중, 대퇴거 대치형 주대를 사용하여 양극성 반치환술 시행 후 2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6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Modified Harris 고관절 점수, 보행능력, 일상 생활 활동력, 동반 질환과 관절증상, 골다공증, 수술 후 진단 등을 분석하여 임상적 평가와 방사선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Modified Harris 고관절 점수는 87.2 (74~92)점이었고, 55예 (91%)에서 수상 전 보행능력을 회복하였으며, 55예 (91%)에서 수상 전 일상 생활 활동력이 가능하였다. 최종 추시 시 대퇴 주대 고정상태는 압박고정 56예 (93%), 골성고정 57예 (95%)를 나타냈고, 응력 방패현상은 17예 (28%)에서 나타났다. 대퇴부 동통은 3예 (5%)에서 나타났고, 재치환술은 2예 (3%)에서 시행되었다. 결론: 고령의 대퇴 하경부 골절 환자에 대퇴거 대치형 주대를 사용한 양극성 반치환술은 추시 결과상 안정된 주대 및 견고한 골절부 고정으로, 조기보행을 가능하게 하여 낮은 합병증 및 사망률을 나타내므로, 숙련된 기술로 시행된다면, 골다공증과 분쇄 골절이 심한 고령의 환자에 유용한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the treatment of femoral basicervical fractures aged 75 years or older.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clinical records of 60 patients who were older than 75 years and who underwent bipolar hemiarthroplasty for femoral basicervical fractures using calcar replacement stem between March 1999 and November 2005. The minimum follow up period was 2 years. We analyzed the results by conducting radiological and clinical evaluations such as assessing the patient`s walking ability and modified Harris hip scor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associated medical conditions and arthritis, and postoperative disgnosis. Results: The mean Harris hip score were 87.2 (74~92). Walking ability was recovered in 91% (55 cases)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was achived in 91% (55 cases). Press-fit fixations were 56 cases and bony ingrowth fixations were 57 cases. Stress shields were 28% (17 cases). Thigh pains were 5% (3 cases) and revision rate was 3% (2/60 cases). Conclusion: We consider bipolar hemiarthroplasty using calcar replacement stem in femoral basicervical fractures in the Elderly with severe osteoporosis is the useful treatment in view of the stable and rigid fixation of femoral stem, early ambulation, and the low rate of complications and death, even if the operation is technically very diffic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