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시 압박대의 압력에 따른 대퇴부 동통과 실혈량에 대한 영향

        서재성 ( Jae Seong Seo ),민학진 ( Hak Jin Min ),윤의성 ( Ui Seoung Yoon ),김진수 ( Jin Soo Kim ),조기현 ( Ki Hyun Jo ),김용훈 ( Yong Hoon Kim ),박철희 ( Cheol Hee Baak ) 대한슬관절학회 2008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0 No.2

        목적: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압박대의 압력에 따른 수술 후 대퇴부 동통 및 실혈량의 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7월부터 2005년 2월까지 본원에서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1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압박대의 압력을 300 mmHg로 사용한 군(I군)과 수축기 혈압보다 100 mmHg 높은 압력을 사용한 군(II군)으로 나누어 술 후의 대퇴부 동통의 발생빈도, 동통의 강도 및 실혈량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술 후 대퇴부 통증의 빈도는 술 후 12시간째 I군(72.5%), II군(70.7%), 24시간째 I군(77.4%), II군(50.1%), 72시간째 I군(58.1%), II군(34.7%)으로 II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측정되었으며, 통증의 강도도 술 후 6시간(p=0.04)과 72시간(p=0.02)에서 II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I군과 II군에서 수술 후 실혈량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시 수축기 혈압보다 100 mmHg 높은 압력의 압박대를 사용함으로써 술후 지혈대에 의한 대퇴부 동통을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300 mmHg의 압력을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 시술후 실혈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Purpose: We wan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ourniquet pressure on the postoperative thigh pain and blood loss of patients who undergo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This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focused on one-hundred sixty-one un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ies that were done with using a tourniquet. The tourniquet pressures were 300 mmHg in group I (seventy-four cases) and 100 mmHg higher than the systolic blood pressure in group II (eighty-seven cases). We analyzed the postoperative thigh pain with using a visual analog scale (VAS), and we assessed the hemoglobin levels and the hematocrits. Results: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thigh pain in group II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of group I. The intensity of the postoperative thigh pain of group II was lower than that of group I at both 6 hours and 72 hours after surgery.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blood loss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Using a tourniquet pressure of 100 mmHg above the systolic blood pressure during total knee arthroplasty can reduce the postoperative thigh pain. When comparing the above technique with a TKA using 300 mmHg of tourniquet pressu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postoperative blood loss.

      • KCI등재

        VerSys fiber metal tapered대퇴 주대를 사용한 고관절 전치환술의 중기 추시 결과

        강준순 ( Joon Soon Kang ),문경호 ( Kyoung Ho Moon ),김범수 ( Bom Soo Kim ),권대규 ( Dae Kyu Kwon ),최종민 ( Jong Min Choi ) 대한고관절학회 2012 Hip and Pelvis Vol.24 No.2

        목적: VerSys fiber metal tapered 대퇴 주대를 이용한 무시멘트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최소 4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37고 관절(3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56개월(48-96개월)이었고 환자 평균 연령은 47.9세였다. 임상적으로 Harris 고관절 점수와 대퇴부 동통의 유무를 평가하였고, 방사선학적 결과는 대퇴 주대의 고정 상태, 응력차단, 피질골 비후, 대퇴 주대 주위의 방사선 투과선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에서 Harris 고관절 점수는 평균90.7점(82-99점)이었으며 대퇴부 동통은 6예(16%)에서 있었다. 32예(86.5%)에서 대퇴 근위부 응력 차단에 의한 골 흡수 현상이 관찰되었다. 피질골 비후는 16예(43.2%)에서 관찰되었으며, 2등급이상의 응력 차단 현상과 통계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최종 추시시 36예(97.2%)에서 골성 고정을 보였다. 결론: VerSys fiber metal tapered 대퇴 주대의 중기 추시 관찰 결과 임상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고 방사선학적으로 초기 안정적인 고정과 신생골 형성에 있어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나, 응력 차단에 의한 근위부 대퇴부 골흡수의 빈도가 높아 이에 대해 장기 추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evaluat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patients who received the cementless VerSys fiber metal tapered stem for total hip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seven hip joint replacements (31 patients) were evaluated over a minimum four year period following the procedure with an average follow-up period of 56 months (48-96 months). The mean patient age was 47.9 years old. Clinical results were analyzed using Harris hip scores, incidence of thigh pain and radiographic analysis was used to assess fixation of the stem, stress shielding, cortical hypertrophy and radiolucent lines around the femoral stem. Results: The average Harris hip score was 90.7 points (82-99 points). Thigh pain was noticed in 6 hips (16%). Proximal femoral bone resorption by stress shielding was observed in 32 hips (86.5%). Cortical hypertrophy was noticed in 16 hips (43.2%) and was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stress shielding of 2nd degree or more according to the Engh classification. Stable bone ingrowth at the last follow-up was seen in 36 hips (97.2%). Conclusion: Cementless total hip arthroplasty using the cementless VerSys fiber metal tapered stem demonstrated excellent midterm clinical results as well as excellent radiologic results for stable fixation and endosteal new bone formtion. However, long term follow-up evaluation will be required because of the high rates of proximal bone resorption by stress shiel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