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측 대퇴골 근위부 (경부 및 전자간) 및 간부의 동시 골절의 수술적 치료의 결과

        박희곤 ( Hee Gon Park ),유재성 ( Jae Sung Yoo ) 대한골절학회 2011 대한골절학회지 Vol.24 No.4

        목적: 동측 대퇴골 근위부 (경부 및 전자간) 및 간부의 동시 골절에 대해 수술적 치료를 한 환자에서 진단과정 및 수술 후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8월부터 2009년 7월까지 본원에서 동측 대퇴골 근위부와 간부 골절로 수술을 시행받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 성별, 골절의 위치, 골절 유형, 고정 방법, 진단 시기, 수술 시기, 동반 손상, 골유합 시기,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고, Friedman과 Wyman 기준에 따라 술 후 기능을 평가하였다. 결과: 술 후 골유합 시기, 합병증 발생, 기능은 나이, 성별, 진단 시기, 수술 시기, 고정 방법, 동반 손상 유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근위부 및 간부의 골절 분쇄 정도에 따라 골유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동반 손상의 유무에 따라 술 후 기능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4예 중 6예 (25%)에서 경부 골절의 초기 진단에 실패하였으며, 그 중 4예는 수술 중 발견하여 다발성 핀고정술을 시행하였으며, 2예는 수술 후 발견되어 2차적으로 경부 골절에 대해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대퇴 간부 골절은 24예 중 21예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불유합 3예는 골이식술을 시행하여 골유합을 얻었다. 대퇴 근위부 골절은 24예 중 23예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1예의 불유합을 보였다. 최종 추시상 Friedman과 Wyman의 기능 평가에서 11예에서 우수, 11예에서 양호, 2예에서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동측 대퇴골 근위부 및 간부의 동시 골절의 경우 대퇴골 근위부 골절이 간과되지 않도록 충분한 이학적 및 방사선학적 검사가 선행되어야 하며, 대퇴 골두의 무혈성 괴사 및 불유합을 줄이기 위해서는 조기 진단이 필수적이며 근위부 골절의 해부학적 정복 및 견고한 내고정이 중요하다. Purpose: To analyze diagnostic process and clinical data in cases of fracture of the femoral shaft with fracture of the proximal femur.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24 cases of patient who undergone surgery for fracture of the femoral shaft with ipsilateral fracture of the proximal femur and more than 1 year of examination of follow up was available. Age, sex.loca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fracture, the time of diagnosis and operation, the method of operation, the associated injuries, the time of bony union and complication were investigated, postoperative function was evaluated on Friedman and Wyman criteria. Results: Bony un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splacement and comminution of fracture, postoperative function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ssociated injuries. The 6 cases (25%) out of 24 cases are failed early diagnosis, 4 cases out of 6 cases was detected during operation and 2cases was found after surgery. 21 cases out of 24 cases of femoral shaft fractures showed union, 23 cases out of 24 cases of femoral neck fractures showed union. There were eleven good, eleven fair, and two poor functional result according to Friedman and Wyman criteria. Conclusion: Precious clinical and radiologic examination is needed not to miss the diagnosis of proximal femur fractures in ipsilateral femoral shaft fractures with proximal femur fractures. Anatomical reduction and rigid fixation of proximal femur are important to reduce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and nonunion of proximal femoral fractures.

      • KCI등재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한국인에서 대퇴골 원위부 및 경골 근위부의 해부학적 특징

        이건우(Geon Woo Lee),송은규(Eun-Kyoo Song),선종근(Jong-Keun Seon),이동현(Dong Hyun Lee),이태민(Tae Mi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6

        목적: 저자는 한국인의 대퇴골 원위부 및 경골 근위부의 해부학적 특징들을 분석하고, 남녀 간의 차이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골관절염으로 ROBODOC<SUP>®</SUP>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76명의 환자(여자: 50명, 남자: 26명)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퇴골 원위부 및 경골 근위부의 해부학적 지표의 전후 길이 및 좌우 길이를 ORTHDOC progra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대퇴골 원위부 및 경골 근위부의 경우 한국 여성은 모든 해부학적 지표에서 남성에 비하여 작게 측정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모두 p<0.05). 하지만 전후 길이에 대한 좌우 길이의 비(Aspect ratio,%)의 경우 남녀 두 군 간에 대퇴골과 경골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모두>0.05). 결론: 한국인 여성에서 대퇴골 원위부 및 경골 근위부의 좌우 길이에 대한 전후 길이의 비율이 남성과 다르지 않고 대칭적으로 작은 형태를 가진다고 할 수 있겠다. Purpos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natomic characteristics of the distal femur and the proximal tibia to determine if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 six patients (50 of female, 26 of male) who were treated by total knee arthroplasty using ROBODOC<SUP>®</SUP>, were included. The anteroposterior and mediolateral length of the distal femur and proximal tibia were checked using the ORTHODOC program. Results: The mean sizes of the distal femur and proximal tibia of female knees were slightly smaller than those of male kne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p<0.05 for all). On the other hand, the anteroposterior and mediolateral ratios of distal femur and proximal tibia revealed no differences between female and male knees (p<0.05 for all) Conclusion: The anteroposterior to mediolateral ratio was similar in the distal femur and proximal tibia of Korean females.

      • KCI등재

        양성 골 병변으로 인한 대퇴골 근위부 병적 골절의 치료

        정성택(Sung-Taek Jung),박유복(Yu-Bok Park),조상권(Sang-Gwon Cho),임근영(Keun-Young L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3

        서론: 양성 골 병변으로 인한 대퇴골 근위부 골절의 치료 결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7년 2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양성 골 병변으로 인한 대퇴골 근위부 골절로 치료 받은 19명, 2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양성 골 병변은 섬유성 이형성증 15예, 단순 골낭종 3예, 동맥류성 골낭종 2예, 거대 세포종 2예 및 호산구성 육아종 1예였다. 양성 골 병변에 대한 치료는 골 소파술과 고속 드릴(high speed burr)을 이용한 보조 치료 후 자가골 이식술을 1예, 동종골 이식술을 6예 및 동종골과 자가골 이식술을 3예에서 시행하였다. 최종 골절 치료 방법은 내고정술 18예(골수강 내 금속정 10예, 압박성 고 나사 6예, 금속판 1예, 나사못 1예), 석고 고정 3예,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2예였다. 결과: 골소파술과 골이식술을 시행한 10예 모두에서 재발은 없었다. 석고 고정을 시행한 3예 중 2예에서 대퇴골 근위부의 내반 변형을 보였으며, 최종 골절 치료로써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내고정술을 시행한 10예에서 재골절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었다. 결론: 다발성 섬유성 골이형성증인 경우 골수강 내 금속정을 이용한 내고정술이 골절 치료, 변형 교정 및 예방에 효과적이며, 고립성 양성 골 병변인 경우 철저한 소파술, 골이식술 및 내고정술이 병변 치료 및 재발 방지에 효과적이다. Purpose: The treatment results for a proximal femur fracture caused by a benign bone lesion were evaluated. Materials and Methods: Nineteen patients (23 cases) who had been treated for proximal femur pathologic fracture from 1987 to 2002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40 months. The causes and treatments of the pathologic fractures and complications such as nonunion, deformity and recurrence were evaluated. Results: The benign bone lesions treated were fibrous dysplasia (15), simple bone cyst (3), aneurysmal bone cyst (2), giant cell tumor (2) and eosinophilic granuloma (1). An autograft (3), allograft (2), and both autograft and allograft (3) was performed after adjuvant curettage with a high-speed burr. There was no recurrence in these 8 cases. At the final course, internal fixation was performed in 18 cases (intramedullary nail (10), compressive hip screw (6), plate (1), screw (1)), a hip spica cast 3 cases and a THR 2 cases. Three cases where a hip spica cast had been performed showed a varus deformity. A refracture and deformity were prevented in 10 cases who underwent intra-medullary nailing. Conclusion: The IM nail is very effective in preventing complications such as a deformity, refracture after a treatment for polyostotic fibrous dysplasia. However, in a solitary benign bone lesion, bone graft and internal fixation is effective after thorough curettage.

      • KCI등재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의 특별한 합병증 1예보고 칼날의 고관절 내로의 관통

        장세앙 ( Se Ang Jang ),조영호 ( Young Ho Cho ),변영수 ( Young Soo Byun ),조훈식 ( Hun Sik Cho ),최성 ( Sung Choi ),유현승 ( Hyun Seong Yoo ) 대한고관절학회 2011 Hip and Pelvis Vol.23 No.4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은 근위 대퇴골의 전자부 골절 시 고정에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기구이다. 저자들은 골절부의 내반 혹은 회전 불안정성이 없이 나선형 칼날이 대퇴골 두를 통하여 고관절 내로 관통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The 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PFNA) is a useful device to fix 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proximal femur. We report a case of postoperative penetration of the helical blade through the femoral head into the hip joint without any sign of rotational or varus instability in the fracture.

      • KCI등재

        항 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한 대퇴골 근위부 골절의 치료

        박명식,조홍만,임영진,김영신,김규형 대한골절학회 2009 대한골절학회지 Vol.22 No.2

        목적: 항 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한 대퇴골 근위부 골절 치료의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9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대퇴골 근위부 골절 환자 중 항 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하여 치료한 35예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 검사를 통한 고정 정도, 골 유합 및 합병증을 알아보았고, 임상적 결과는 Jensen의 social function score와 Parker와 Palmer의 mobility score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전례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평균 골유합 시기는 15.7주였다. 방사선 소견상 Garden 정렬지수는 15예에서 양호이상의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Cleveland index는 14예에서 5구역에 위치하였고, TAD는 평균 17.8 mm이었다. 추시 방사선 소견상 blade의 평균 활강 정도는 1.3 mm였으며, 합병증으로 원위 나사못 주위 골절이 1예 있었다. 임상적 결과는 총 21예 중 각각 15예와 13예에서 수상전 기능을 완전히 회복하였다. 결론: 대퇴골 근위부 골절 시 항 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한 내 고정술은 방사선학적 및 임상 결과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 유용한 수술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대퇴골 전자간골절에 대한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PFNA) 고정술 후 중기 추시 결과

        주석규 ( Suk Kyu Choo ),오형근 ( Hyoung Keun Oh ),우성종 ( Sung Jong Woo ) 대한고관절학회 2012 Hip and Pelvis Vol.24 No.2

        목적: 대퇴골 전자간 골절로 항회전 근위대퇴 골수정(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PFNA)으로 수술을 시행했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선적, 임상적 결과에 대한 중기 추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본원에서 대퇴골 전자간 골절로 PFNA 내고정술을 시행한 93명의 환자 중 1년 이상 방사선 추시가 가능하였던 4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77.7세(62-93세), 남자 6명, 여자 37명이었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9.1개월(12-33개월)이었다. 환자군은 AO/OTA 분류법에 따랐으며, A1군 14명, A2군 25명, A3군 4명이었다. 방사선학적으로 골유합 및 골절의 형태에 따른 나선 칼날의 활강 정도,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으며, 임상적으로는 최종 추시상 동통 및 보행 정도, 일상 생활 능력(ADL) 등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심부 감염이 발생한 1예를 제외한 전례에서 평균 3.5개월(2-6개월)에 골유합을 얻었다. 술 후 단순 방사선 검사상 43예 전 례에서 good 또는 acceptable한 정복 상태를 얻었다. 평균 나선 칼날의 활강은 6.1 mm (range, 0-21 mm)였으며, 골절 형태에 따른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최종 추시상 Chanley 동통 점수는 평균 4.0점(0-6점)이었으며, 19명(44%)의 경우에서 술 전 보행 능력을 회복하였다. 일상생활 척도(ADL) 상 6개 항목 모두 만족하여 완전 일상 생활 자립이 가능하였던 경우는 22명(51.2%)이었다. 결론: PFNA는 다양한 형태의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 효과적인 내고정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술 후 임상적으로 보행 능력의 감소 및 일상 생활로의 복귀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 및 기능적 회복과 재활 계획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mid-term results of patients with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s treated with 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PFNA) in the elderl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08 and February 2010, 93 patients with intertrochanteric femoral fractures were treated with PFNA. Of these patients, 43 could be followed for a mean of 19.1 months (range, 12- 33 months). The mean age was 77.3 years (range, 62-93 years) and there were 6 males and 37 females. According to the AO/OTA classification, there were 14 cases of A1, 25 cases of A2, and 4 cases of A3. Radiological outcomes were assessed at the union period along with the sliding distance of the antihelical blade according to fracture type. Functional outcomes were assessed according to the Chanley hip pain scoring system, walking ability, and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dex. Results: All patients, except for one with a deep infection, had complete union at 3.5 months (range, 2-6 months). Postoperative X-rays showed a good or acceptable reduction in 43 cases (100%), and an ideal blade position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fracture type. The mean sliding length of the blade was 6.1 mm (range, 0-21 mm) and mean Chanley hip pain score was 4.0 points (range, 0-6.0 points). 19 patients (44%) were restored to their preoperative walking ability. 22 patients (51.2%) were able to live independently without support. Conclusion: The PFNA is a very effective implant in the treatment of different patterns of intertrochanteric femoral fractures. But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cusing on a functional recovery and rehabilitation to improve postoperative clinical outcomes.

      • KCI등재

        증례 보고 : A2형의 전자간 골절에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 삽입 후 지연나사의 과도한 활강과 발생한 대퇴골 경부 골절

        박봉주 ( Bong Ju Park ),조홍만 ( Hong Man Cho ),김주한 ( Ju Han Kim ),신우진 ( Woo Jin Sin ) 대한골절학회 2013 대한골절학회지 Vol.26 No.2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은 나선형의 칼날형태의 지연나사를 가진 근위 대퇴 골수강 정으로 그 생역학적인 장점으로 최근 널리 사용되고있다. 저자들은 AO/OTA type A2형의 전자간 골절이 발생한 83세 남자 환자에게서 수술 후 20주에 급격한 지연나사의 과도한 활강과 동시에 대퇴골 경부 골절이 발생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PFNA) with a lag screw that is shaped like a spiral blade shape is an orthopedic implant to fix 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proximal femur. In addition the reason of the biomechanical advantages, PFNA widely been used recently. We report an 83-year-old man with excessive sliding of the helical blade and a femoral neck fracture after AO/OTA type A2 intertrochanteric fracture, which was fixed with a PFNA.

      • KCI등재
      • KCI등재

        항회전 대퇴 골수강정을 이용한 전자간 골절의 치료에서 수술 중 골절 부위 압박의 효과에 대한 후향적 비교 연구

        김세진,조홍만,박지연,안기용,정영우,신우진 대한골절학회 2020 대한골절학회지 Vol.33 No.4

        Purpos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can be treated using 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PFNA). This study examin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the intraoperative fracture compression. Materials and Methods: Ninety-four patients underwent intraoperative compression (Group I), and 88 patients underwent natural sliding only (Group II). The patients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two years. All patients met the following seven conditions: (1) AO/OTA 31-A1, A2 type intertrochanter fracture, (2) availability of compression of more than one cortical bone in the anterior or medial region of the fracture site under the preoperative imaging test, (3) Singh index grade ≥3, (4) blade position: center-center, center-inferior, (5) tip-apex distance <25 mm, (6) reduction status of good or very good, and (7) positive or neutral medial cortical support position with slightly valgus reduction. Results: A slight tendency towar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ute phase pain between the two groups was observed at six weeks postoperatively (p=0.073). Twenty-four months after surgery, lateral extension of the PFNA helical blade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17). Fracture gaps measured immediately after surger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and a clear tendency fo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fracture union time was found (p=0.065). Conclusion: Intraoperative fracture compression, intraoperative fracture compression appears beneficial to achieve a successful union of trochanteric fractures provided that all conditions are met to apply the method safely. 목적: 항 회전 대퇴 골수강정을 이용한 전자간 골절의 치료에서 수술 중 골절 부위 압박 시행에 따른 결과를 알아보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자간 골절로, 골절 부위의 전방이나 내측중 한 군데 이상의 피질골의 압박이 가능하며, Singh index grade 3 이상, 나선검의 위치가 중심-중심이나, 중심-하부, TAD가 25 mm 이내, 정복 상태가 우수 혹은 매우 우수, 중립위 혹은 외골수강 형태이면서 경도의 외반 정복 상태에 모두해당하여 수술 중 압박을 시행한 환자 94명(Group I)과 자연활강만 시행한 환자 88명(Group II)을 2년 이상 추시하였다. 결과: 통 증은 수 술 후 6 주에 유의한 수 준에 근 접하였고(p=0.073) 나선검의 외측 연장은 수술 후 24개월에 유의한차이를 보였다(p=0.017). 수술 직후 측정한 골절 간격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01), 골절의 유합은 유의한 차이에 근접하였다(p=0.065). 결론: 전자간 골절의 조기 유합과 회복 기간의 통증이 적고골절 치유 후 나선검의 활강에 의한 돌출이 적은 장점을 고려하면, 안전하게 수술 중 압박을 시행할 수 있는 모든 조건에합당한 경우에는 수술 중 압박을 시행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