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일 다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 후 대퇴골 터널의 위치와 대퇴골 터널 기울기의 상관관계

        이주홍(Ju-Hong Lee),박혁(Hyuk Park),정성엽(Seong-Yup Je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1

        목적: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대퇴골 터널 기울기와 3차원 컴퓨터 단층 촬영(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3D-CT)의 대퇴골 터널 위치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시행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3D-CT 촬영을 시행한 4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후방 및 Rosenberg 사진에서 대퇴골의 해부학적 축을 기준으로 대퇴골 터널 기울기를 측정하였고 3D-CT에서 대퇴골 터널 위치를 표시하여 측정값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전후방 방사선 사진에서 대퇴골 터널 기울기는 41.5°±6.8°, Rosenberg 사진에서는 34.9°±6.9°였다. 3D-CT 영상에서 대퇴골 터널 위치는 후방에서 36.9%±11.3%, 근위에서 38.1%±6.5%였다. 대퇴골 터널 기울기와 위치는 전후방 방사선 사진에서 음의 상관관계(p<0.001, rho=-0.498), Rosenberg 사진에서도 음의 상관관계(p=0.006, rho=-0.416)를 보였다. 결론: 전후방 방사선 및 Rosenberg 사진에서 대퇴골 터널 기울기는 3D-CT 영상에서의 대퇴골 터널 위치와 높은 연관성을 보였고, 해부학적 범위 내에 대퇴골 터널이 위치한 군에서 관상면상 대퇴골 터널 기울기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correlation between femoral tunnel angle in the coronal plane on a simple radiograph and femoral tunnel location in the sagittal plane on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3D-CT).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42 patients who underwent 3D-CT after the operation out of 70 case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quadriceps tendon-patelllar bone autograft from April, 2009 to June, 2011. Measurement of the femoral tunnel angle was based on the anatomical axis of the femur in antero-posterior (AP) and Rosenberg views; femoral tunnel location was described as a proportional percentage on the medial surface of the lateral femoral condyle in the 3D-CT image; then the correlation between femoral tunnel angle and femoral tunnel location was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Femoral tunnel angle was 41.5°±6.8° (range: 29.7°?53.9°) on AP radiographs, and 34.9°±6.9° (range: 23.8°?46.5°) on Rosenberg views. The femoral tunnel was located 36.9%±11.3% from posterior, and 38.1%±6.5% from proximal on the 3D-CT image. On plain AP radiographs, femoral tunnel angle and femoral tunnel loc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p<0.001, rho=-0.498), and, in comparison with Rosenberg view, they showed negative correlation (p=0.006, rho=-0.416). Twenty three patients (53.5%) had femoral tunnel in the anatomical location. Their femoral tunnel angle on AP radiographs was 43.3o±6.1o, while the femoral tunnel angle of patients who had femoral tunnel in non-anatomical locations was 38.4°±6.4° (p=0.004). In the Rosenberg picture, similar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p=0.012). Conclusion: On AP radiographs and Rosenberg views, femoral tunnel angl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femoral tunnel location on the 3D-CT image, and the group who had femoral tunnel location in the anatomical range showed a relatively higher femoral tunnel angle.

      • KCI등재

        통계적 형상 분석을 이용한 대퇴골의 파라메트릭 형상 모델링

        최명환(Myung Hwan Choi),구본열(Bon Yeol Koo),채제욱(Je Wook Chae),김재정(Jay Jung Kim) 대한기계학회 2014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8 No.10

        인체 골격의 모델생성과 형상변동을 파악하는 것은 생체역학의 응용분야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본 논문에서는 3 차원 대퇴골 모델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퇴골의 형상변동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추출된 주요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대퇴골의 형상을 직관적으로 모델링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통계적 기법 중에 하나인 주성분 분석(PCA)을 이용하여 대퇴골의 형상변동을 파악하였다. 주성분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3 차원 대퇴골 모델 간에 토폴로지(Topology)의 일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대퇴골의 형상에 해부학적 기준점(Landmark)을 정의하여 템플릿 모델이 대상 대퇴골 모델로 변형되기 위한 방향을 결정한 후 곡면 피팅(Surface fitting)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주성분 분석을 통해 도출된 주성분과 대퇴골의 형상을 대표할 수 있는 해부학적 파라미터와의 상관관계를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해부학적 파라미터로 대퇴골 모델의 생성 및 형상변동을 가시화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Creation of a human skeleton model and characterization of the variation in the bone shape are fundamentally important in many applications of biomechanics. In this paper, we present a parametric shape modeling method for femurs that is based on extracting the main parameter of variations of the femur shape from a 3D model database by using statistical shape analysis. For this shape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s used. Application of the PCA to 3D data requires bringing all the models in correspondence to each other. For this reason, anatomical landmarks are used for guiding the deformation of the template model to fit the 3D model data. After subsequent application of PCA to a set of femur models, we calcul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ominant components of shape variability for a target population and the anatomical parameters of the femur shape. Finally, we provide tools for visualizing and creating the femur shape using the main parameter of femur shape variation.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원위 대퇴골의 계측 및 여성형 치환물의 적합성

        박형택 ( Hyung Taek Park ),최선진 ( Sun Jin Choi ),박종훈 ( Jong Hoon Park ),하정민 ( Jung Min Ha ) 대한슬관절학회 2008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0 No.2

        목적: 최근 남녀간 대퇴골의 계측학적 차이를 고려한 여성형 슬관절 치환물이 등장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수술 중 원위 대퇴골의 계측과 여성형 슬관절의 적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 중 여자 환자 10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중 대퇴골절제 이후, 절단부의 크기를 6군데로 나누어 측정하였고, 두 가지 삽입물 중 측정치에 가까운 대퇴 슬관절 치환물을 사용하였으며, 같은 크기에 속하는 치환물에서 여성형 슬관절 치환물이 적용된 환자군(1군)과 고식적 슬관절 치환물이 사용된 환자군(2군)의 계측학적 차이와 적합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58예에서 여성형 슬관절 치환물이 적용되었고(58%), 내외측 전방 크기를 제외한 수치에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여성형 슬관절 치환물을 사용한 빈도는 size C에서 33.4%, size D는 57.4%, size E는 70.4%로 나타났고, 5%에서 치환물과 대퇴골 사이에 내외측 불일치가 관찰되었다. 치환물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대퇴골의 전후방 길이에 대한 내외측 길이비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인에서 작은 대퇴골을 가진 여성은 고식적 치환물이 더 적합하고, 큰 대퇴골을 가진 여성에 있어 기존의 고식적 삽입물보다 여성형 치환물이 형태학적인 적합성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여성형 슬관절은 술 중 대퇴골의 크기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new prosthesis was introduced for female recently considering anthropometric differences of distal femur between male and female. We evaluated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distal femur and compatibility of gender knee prosthesis in total knee replacement. Materials and Methods: The candidates were 100 female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knee replacement. We measured the size of resection site which was divided into 6 areas after resection of femur. According to this result, we made a decision which prosthesis would be better fit. Group 1 was whom gender knee prosthesis was used in and group 2 was whom conventional knee prosthesis was used in. Results: Gender knee prosthesis was used in 58cases out of 100 cases (58%).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surements between group 1 and 2 except anterior flange lengths (p<0.05). Gender knee prosthesis was chosen in 33.4% of size C, in 57.4% of size D, in 70.4% of size E. There were less than 5% discrepancies of width between components and femur. The larger the femur, the lesser the ML/AP ratio. Conclusion: Conventional knee prosthesis is adequate to who has smaller distal femur and gender knee prosthesis is adequate to who has larger distal femur in total knee replacement. It is thought that we may select gender knee prosthesis considering the size of femur intraoperatively.

      • KCI등재

        파라메트릭 형상모델을 이용한 근위 대퇴골의 경부 골절 영향 해석

        이호상(Ho-Sang Lee),박병건(Byoung-Keon Park),채제욱(Je-Wook Chae),김재정(Jay-Jung Kim)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11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31 No.5

        대퇴골 근위부의 기하학적 형상은 대퇴골 경부 골절과 중요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인장실험법과 유한요소해석법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해왔다. 그러나 이 방법들은 인체의 미리 정의된 대퇴골 형상을 변경할 수 없고, 다수의 시험편들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시험편과 모델을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퇴골 골절 해석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매개변수로 기하학적 형상 변형이 가능한 대퇴골 모델을 이용하여 대퇴골 골절과 형상매개변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4가지 주요 매개변수(대퇴골두 직경, 대퇴경부직경, 대퇴경두간 길이, 대퇴경간각)를 이용하여 다양한 해석 모델을 생성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이 후 대퇴골두에서의 반력(reaction force)과 경부에서의 응력 분포(stress distribution)를 분석함으로써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고, 대퇴경부 직경이 대퇴골 경부 골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대퇴골두 직경이 가장 작은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타났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femoral morphology has a major correlation to femoral neck fractures(FNF). Previous studies to analyze these correlations have relied on mechanical testing and finite element methods. However, these methods have not been widely applied to various femur samples and models. It is because of the availability of the samples from both patients and cadavers, and also of the geometric limitations in changing the shape of the models. In this study we analyzed femoral neck fractures using a parameterized femoral model that could provide flexibility in changing the geometry of the model for the wide applications of FNF analysis. With the parameterization a variety of models could be generated by changing four major dimensions: femoral head diameter(FHD), femoral neck diameter(FND), femoral neck length(FNL), and neck-shaft angle(NSA). We have performed FEA on the models to compute the stress distributions and reaction forces, and compare them with the data previously generated from mechanical testing.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FND i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FNF and the FHD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FNF.

      • KCI등재

        대퇴골 및 경골간부 골절 치료에서 확공성 금속정과 비확공성 금속정의 비교

        김성수 ( Sung Soo Kim ),김철홍 ( Chul Hong Kim ),이명진 ( Myung Jin Lee ),강진헌 ( Jin Hun Kang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2

        목적: 대퇴골 및 경골 간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확공성 금속정을 사용한 경우와 비확공성 금속정을 사용한 경우, 임상적 차이점과 결과를 평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대퇴골 및 경골 간부 골절의 치료에서 확공성 및 비확공성 금속정을 사용한 예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쇄 정도는 대퇴골과 경골에서 각각 Winquist-Hansen 및 Johner-Wruhs의 분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 이루어졌으며 수술시간, 수술시 출혈량, 최초 가골 형성 시기, 골절 유합 시기, 수술 후 체중 부하시기, 정과 협부의 직경, 폐 색전증과 금속실패를 포함한 임상적인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시간은 확공성 금속정과 비확공성 금속정에서 각각 대퇴골의 경우 평균 104분과 평균 95분, 경골의 경우 평균 96분과 평균 87분으로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보였으며 (p<0.05), 수술시 출혈량의 경우 확공성 금속정과 비확공성 금속정에서 각각 대퇴골의 경우 평균 360 ml과 223 ml, 비확공성 금속정의 경우 평균 280 ml와 205 ml로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p<0.001). 정과 협부의 직경의 비는 확공성 금속정과 비확공성 금속정에서 대퇴골의 경우 각각 105.5% 및 87.0%, 경골의 경우 각각 106.3% 및 85.3%로 나타났다. 지연유합으로 역동화한 경우는 비확공성 금속정에서 대퇴골의 경우 2예, 경골의 경우 1예, 금속 파단이 경골에서 비확공성의 경우에서 1예 관찰되었다. 결론: 비확공성 금속정은 대퇴골과 경골에서 확공성에 비해 수술시간과 출혈량을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감소시키지만, 최초 가골 형성 시기, 골절 유합 시기, 수술 후 체중 부하시기에서는 모두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비확공성 금속정에서의 지연유합이나 금속의 파단 등의 합병증이 나타나는 것에는 골절의 정도가 심하고, 낮은 isthmic ratio, 다발성 손상이 동반된 점 등이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comparative analysis of clincal difference between reamed and unreamed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in the treatment of femoral and tibial shaft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femoral and tibial shaft fracture who were treated with reamed or unreamed nail. They were followed for a minimum of 16 months. Winquist-Hansen and Johner-Wruhs criteria were applied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fractures. Retrospectively we evaluated the duration of operation, the amount of bleeding, the first time of callus formation, union time, the time of partial weight bearing, isthmic ratio, complications. Results: The average duration of operation for femoral fractures with reamed and unreamed nail were 104 minutes, 95 minutes, respectively. And those for tibial fractures were 96 minutes, 87 minute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amount of bleeding in femoral fractures with reamed and unreamed nail were 360 ml, 223 ml, respectively. And those in tibial fractures were 280 ml, 205 ml, respectively,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The isthmic ratio in femoral fracture with reamed and unreamed nail were 105.5%, 87.0%, respectively and those in tibial fracture were 106.3%, 85.3%, respectively. There were 2 delayed unions in femoral fractures and 1 delayed union in tibial fracture with undreamed nail, and 1 metal failure in tibial fracture with unreamed nail. Conclusion: Unreamed femoral intramedullary nailing involves fewer steps and less intraoperative blood loss than reamed nailing.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the first time of callus formation, union time, the time of partial weight bearing. It must be consider that delayed union and metal failure in the unreamed intramedullary nailing due to high grade fracture, lower isthmic ratio, combined with multiple trauma.

      • AO C-형 원위 대퇴골 골절의 치료로 삽입된 관외측 금속판의 절경 보조하 최소 침습적 제거의 결과

        김영모,이준규,양재훈,김보건,이원구,Kim, Young-Mo,Lee, June-Kyu,Yang, Jae-Hoon,Kim, Bo-Kun,Lee, Won-Gu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1

        목적: AO C-형 원위 대퇴골 골절의 치료로서 대퇴골 외측에 금속판을 삽입한 후, 관절경 보조하 최소 침습적 금속판 제거를 시행하였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술식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0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AO C-형 원위 대퇴골 골절로 관혈적 정복 및 대퇴골 외측면에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던 환자들 중 대퇴골 외과 부위의 불편감으로 인해 관절경 보조하 최소 침습적 금속판 제거를 시행하였던 17예와 관절경 없이 고식적인 방법으로 금속판 제거슬 시행한 15예, 총 3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2.6세(20~66세), 최초 골절 상태는 AO/ASIF 분류상 C1 16예, C2 11예, C3 5예였다. 술 중 확인된 관절내 병변, 술 후 합병증 및 술 후 일상 생활로의 복귀 시간, 수술에 대한 만족도, 술 전 및 술 후 6개월 추시상의 슬관절 통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전 예에서 금속판의 최고 원위부는 슬관절 내에 위치하였고, 23예에서 이와 접촉하는 외측 관절낭의 손상이 확인되었다. 관절경 보조하 금속판 제거술을 시행한 군에서 금속판 제거술 후 지속적 창상 배액으로 세척술 및 창상 재 봉합술을 시행한 경우가 1예 있었다. 술 후 일상 생활로의 복귀는 관절경 보조하 금속판 제거술을 시행한 군에서 평균 7일이었고, 고식적 금속판 제거술을 시행한 군에서 평균 7.6일 이었다. 관절경 보조하 금속판 제거술을 시행한 군은 14예(82.4%)에서 '보통' 이상의 수술 만족도를 보였으며, VAS 통증 지수는 수술 전 4.9에서 수술 후 6개월에 1.9로 감소하였다. 고식적 금속판 제거술을 시행한 군은 13예(86.7%)에서 보통' 이상의 수술 만족도를 보였으며, VAS 통증 지수는 수술전 5.2에서 수술 후 6개월에 2.5로 감소하였다. 결론: 본 술식은 원위 대퇴골에 삽입된 금속판 제거와 함께 슬관절 내의 다양한 병변의 확인 및 치료가 가능한 장점이 있었다. C-형 원위 대퇴골 골절의 치료를 위해 삽입된 금속판에 의한 슬관절 외측 관절낭의 손상이 매우 빈번히 확인되었고, 금속판을 제거함으로서 슬관절 통증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음으로, C-형 원위 대퇴골 골절과 같이 금속판의 최고 원위부가 관절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골절의 유합이 이루어지면 금속판을 제거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minimally invasive arthroscopy-assisted plate removal of a laterally inserted periarticular distal femur plate used for the treatment of AO type-C distal femur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ober 2002 to November 2005, we evaluated 17 patients whose plates were removed through minimally invasive arthroscopy-assisted plate-removal technique and 15 patients who got their plates removed through conventional method without using arthroscopy, 32 patients in total. All these patients included in this study initially underwen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the distal femoral fractures with a lateral plate, and complained of continued pain over the lateral femoral condyle after the fracture fixation. The average age was 42.6 (ranges: 20~66) and initial fracture types included 16 cases of C1, 11 cases of C2, and 5 cases of C3 following AO/ASIF classification guidelines. Measured outcomes included: associated intra-articular pathologies, time needed to return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patients' overall satisfaction, complications following the removal of hardware, and pain before and 6 months after the operation. Results: The distal-most end of the plate was placed in the knee joint in all cases and damage of the lateral articular capsule was found in 23 cases. Continuous wound discharge after surgery was found in one case who underwent arthroscopy-assisted plate removal, and it was treated by irrigation and re-suture. Average time needed to return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7 days in arthroscopy assisted group and 7.6 days in conventionally removed group. Fourteen patients (82.4%) who underwent arthroscopyassisted plate-removal reported above 'fair' satisfaction and the Visual analog scale pain score decreased from 4.9 to 1.9, six months after the plate removal. Thirteen patients(86.7%) who underwent conventional plate removal reported above 'fair' satisfaction and the Visual analog scale pain score decreased from 5.2 to 2.5, six months after the operation. Conclusion: Through minimally invasive arthroscopic-assisted plate removal, intrarticular pathology of the knee joint was able to be simultaneously identified and treated at the time of hardware removal. Damage of lateral capsule of the knee joint caused by the inserted plate for the treatment of type C distal femoral fracture was very frequently found and following the plate removal, patients experienced an improvement in pain score. We therefore recommend routine lateral distal femoral plate removal if the bony union is attained in such cases as type C distal femoral fractures whose distal most end of the plates are located in the joint.

      • KCI등재

        대퇴골 간부 골절의 금속정 삽입 도중 발생한대퇴골 근위부의 방출형 골절- 증례 보고 -

        김지완,변성은,오원혁,김정재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2

        성인에서 발생한 대퇴골 간부 골절의 치료 시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전신적 합병증을 피하기 위해 비확공성 골수내정을 사용할 수 있다. 비확공성 골수내정을 대퇴골에 올바르게 삽입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위치에 충분한 크기의 삽입구를 만들어야 한다. 대퇴골 근위부는 선택된 골수내정 근위 말단부의 직경에 맞게 확공되어야 하며, 확공을 충분히 하지 않으면 대퇴골 근위부의 방출형 골절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저자들은 비확공성 골수내정으로 치료한 대퇴골 간부 골절 환자들 중 대퇴골 근위부에 방출형 골절이 발생한 2예의 젊은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CT 영상을 이용한 3D 프린팅으로 환자 맞춤형 대퇴골 첨삭가공

        오왕균(Wang Kyun Oh),임기선(Ki Seon Lim),이태수(Tea Soo Lee) 한국방사선학회 2013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7 No.5

        대퇴골은 사람의 뼈 중 가장 길며 체중을 지탱하는 골격체로 대퇴골간은 긴 파이프 모양이면서 안에 해면골이 거의 없어서 골절이 발생되면 재생이 어렵다. 사고로 인하여 발생되는 대퇴골의 골절은 골간부가 가장 높은 빈도로 발생한다. 골절의 수술방법은 골수강에 IM Nail을 삽입하여 골절부위를 고정하는 IM Nailing이다. 수술 시 대퇴골의 중심으로 진입하지 못하면 2차 골절 등의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전 대퇴골의 CT IMAGE을 이용하여 3D 프린터로 환자 맞춤형 대퇴골을 제작하여 골수강으로 IM Nailing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2차적 손상을 방지 하고 시간 단축, 정밀한 수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Femur is the largest bone in the human body which supports the weight of body. A long pipeline shape of femur has little cancellous bone, so that regeneration is difficult when fracture happens. The fracture caused by an accident most frequently occurs at diaphysis. IM Nailing is the surgical method that implants an IM Nail into a medullary cavity for the fixation of fracture parts. However, a secondary fracture may happen if an IM Nail does not penetrate at the center of femur. In this study, a patient-specific femur was manufactured by a 3D printer using the computed tomography images scanned before surgery, which was used for the simulation of IM Nailing.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may prevent the secondary damage, reduce surgical operation time, and increase the precision.

      • KCI등재

        소아 대퇴골 간부 골절의 치료법에 따른 과성장 비교

        김하용(Ha-Yong Kim),이상민(Sang Min Lee),박경훈(Kyung-Hoon Park),최원식(Won-Sik Choy)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5

        목적: 소아에서 대퇴골 골절 치료 후 과성장은 흔하게 발생되는 문제이나 치료방법에 따른 과성장의 정도 차이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연 골수강내 고정술과 외고정술 사이의 과성장 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퇴골 간부 골절 후 유연 골수강내 고정 또는 외고정기를 이용하여 치료를 받은 2-10세 소아 중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연 골수강내 고정술로 치료한 환아가 13예, 외고정술로 치료한 환아가 13예였다. 대퇴골의 과성장, 임상결과 및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유연 골수강내 고정 및 외고정기로 치료 받은 환자 모두에서 유합을 얻었으며 과성장 외의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유연 골수강내 고정으로 치료받은 환자의 대퇴골 과성장은 평균 4 mm (-6-13 mm)였고 외고정기로 치료 받은 환자는 평균 3 mm (-13-13 mm)였으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10 mm 이상의 과성장은 유연 골수강내 고정술로 치료하였을 때 3예, 외고정기로 치료하였을 때 1예 발생하였다. 결론: 소아 대퇴골 골절 치료 후 과성장은 유연성 골수강내 고정으로 치료한 경우나 외고정기를 이용하여 치료한 경우 모두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며 두 방법 사이에 유의한 과성장 정도 차이는 없었다. Purpose: Overgrowth is a common complication after the treatment of pediatric femoral fractures. However, the effect of treatment methods on the overgrowth is controversial. We compared the amount of overgrowth between flexible intramedullary nailing and external fixation.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ix children with femoral diaphyseal fractures after a minimum 2 year follow-up were enroll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Thir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flexible intramedullary nailing (FIN) group, and the other 13 patients were treated with external fixation (EF) group. The overgrowth of femur, clinical outcomes, and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Results: Union was obtained in all patients without major complications, except for overgrowth. Average overgrowth at the 2-year follow-up was 4 mm (?6-13 mm) in the FIN group, and 3 mm (?13-13 mm) in the EF group (p=0.532). Overgrowths of more than 10 mm were observed in four patients; three patients in the FIN group, and one in the EF group. Conclusion: FIN and EF showed similar amounts of overgrowth, after the treatment for pediatric femoral fractures.

      • KCI등재후보

        대퇴골의 전장검사 시 stitching method의 적용에 관한 유용성 연구

        노지숙(Ji-Sook Noh),정지훈(Ji-Hoon Jung),김성길(Sung-Kil Kim),정명진(Myung-Jin Jung) 대한방사선과학회 2011 방사선기술과학 Vol.34 No.2

        대퇴골의 전장검사 시 조사야의 넓이와 필름이나 검출기 등의 크기의 한계로 인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를 잡는다 하여도 모두 포함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퇴골의 골첨부와 골단부가 포함되도록 두 번 촬영을 하여 얻어진 영상을 융합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검사한 결과에 대한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7년 8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광주지역의 한 대학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중 대퇴골 검사 시 고식적인 DR방식과 SM방식을 이용한 검사방법 모두를 시행한 경험이 있는 방사선사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같은 기간에 대퇴골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영상의 질 평가는 영상의학과 전문의 2명과 10년 이상 근무한 방사선사 6명에 의해 대퇴경의 축소여부, 무릎관절의 회전여부, 대퇴골의 포함정도에 따라 20개의 영상을 평가하였다. 설문조사한 결과는 검사시간, 검사자수, 체력적 소모, 재 촬영률, 환자의 불편 등에 대한 항목에서 SM방식의 검사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받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으며(p < 0.001), 영상의 평가에서도 고식적인 DR방식보다 SM방식의 영상이 높은 평가점수를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대퇴골 검사 시 SM방식이 고식적인 DR방식에 비하여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The Full-length examination of the femur sometimes does not show all of the femur because of the limited width in collimator and size of detectors although it is located in the diagonal direction.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usefulness of the method of combining images which obtained from two radiographic images containing the femoral head and condyle respectively. Our group interviewed 30 radiological technologists who used both palliative DR method and SM method in their examinations of the femur of patients who were carried to the emergency rooms in Gwang-ju city from August 2007 to November 2009. We evaluated twenty images according to the contraction of femoral neck, turning of knee joints and inclusion of the femur. The examination were performed by two radiologists and six radiological technologists who have more than ten years of care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SM method was graded with higher score for examination time, number of examiners, emaciation, retake and patients’ discomfort (p< 0.001) while the. SM method was scored higher than the palliative DR method in the palliative DR method for examination of long b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