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중음악 확산 의미와 한류문화의 중요성

        최태선 한국연기예술학회 2022 연기예술연구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oaden the meaning and understanding of popular music by examining the effects of popular music on society in general and analyzing its effects. The research method was a qualitative study, and I would like to present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popular music as a cultural product should be able to form a consensus and feel proud through spontaneity rather than coercion through commerciality. Second, providing a link to maintain a sense of belonging and passionate fans through cultural products also serves as a medium to sustain popular music. Third, although it starts with popular music, sustainable Hallyu can be maintained only when it is connected with culture in individual life. Fourth, popular music is the largest socio-cultural factor that one individual or group influences the world through song, and it plays a leading role in the spread of culture. Fifth, the success of popular music is linked to industry, which has the effect of creating economy and jobs. Sixth, the establishment and practice of a systematic support system that can continuously spread Hallyu culture with popular music at the forefront should be supported. Popular music should not be viewed as a passing fashion like a shower, but as a cultural propagation and cultural industry. Popular music is the best means to fulfill the mission as a spearhead to spread the future Hallyu culture. Not only that, but by conveying our lifestyle, it will greatly contribute to understanding Koreans and Korean culture to the worl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diffusion process of popular music,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contributing to society as a whole, and to form future-oriented thinking about popular music. The path for the public to access music is mainly through the media.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a basic understanding of how popular music is transmitted and spread. Popular music catches the public's attention 이 연구는 대중음악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효과를 분석하여 봄으로써, 대중음악에 대한 의미와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로 이루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문화상품으로서의 대중음악은 상품성을 통한 강요보다는 자발성을 통한 공감대 형성과 긍지를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문화상품을 통해 소속감과 열성 팬을 유지할 수 있는 연결고리를 제공하는 것도 대중음악을 지속해서 유지하는 매개체 기능을 한다. 셋째, 대중음악으로 출발하지만, 개인의 생활 속에 문화로 연결되어야 지속 가능한 한류를 유지할 수 있다. 넷째, 대중음악은 한 명의 개인이나 하나의 그룹이 노래를 통해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사회문화적 요소로서 문화전파의 첨병 역할을 한다. 다섯째, 대중음악의 성공은 곧 산업으로 연결되어 경제와 일자리를 창출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대중음악을 선두로 하여 한류문화를 지속해서 전파할 수 있는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 구축과 실천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대중음악은 소나기처럼 지나가는 유행으로 볼 것이 아니라 문화전파와 문화산업으로 바라보고, 그에 대한 철저한 준비와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지속해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대중음악은 미래 한류 문화를 확산시키는 첨병으로서의 임무를 수행하는데 가장 좋은 수단이 된다. 그뿐만 아니라 우리의 생활양식을 전달하게 됨으로써 세계에 한국인과 한국문화를 이해시키는데도 크게 이바지하게 될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대중음악의 의미와 확산과정을 이해하고, 사회 전반에 이바지하는 중요성을 살펴보고, 대중음악에 대한 미래지향적 사고를 형성시키는 데 목적을 둔다. 대중들이 음악을 접하는 경로는 주로 대중매체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중음악이 어떤 경로를 통해 전달되고, 확산하는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대중음악은 대중의 관심을 먹고 성장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1990년대 이후 한국 대중음악계의 변화에 관한 연구

        김영아(Kim Young-ah) 인문콘텐츠학회 2008 인문콘텐츠 Vol.0 No.12

        대중예술은 대중성과 상업성을 중심으로 시대를 반영하며 그 시대를 살아가는 대중들의 정서에 기반한다. 다양한 대중예술 중에서도 대중음악은 시대의 흐름과 맥을 같이하며 시대의 정신을 보여주고, 더 나아가 대중의 의식과 흐름을 바꾸어 놓거나 때로는 앞장서서 주도해가기도 한다. 세계적인 가수 밥 딜런(Bob Dylan)이나 존 레논(John Lennon) 등은 반전 운동 가수로 유명하며, 밥 딜런의 경우 노벨평화상과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우리나라에도 1970년대 청년문화를 주도했던 록과 포크가수들, 1990년대 젊은이들의 문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서태지 등은 대중음악계 뿐만 아니라 대중문화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대중음악이 가진 사회적 의미와 시대의 반영은 1990년대 이후 한국 대중음악계의 변화와 함께 의미가 퇴색하였다. 1990년대 이후 한국의 대중음악시장은 음반 산업, 방송매체, 매니지먼트 산업 등의 규모와 함께 팽창하기 시작하였고, 대중음악 생산의 핵심으로 부상한 프로듀서가 확산되었다. 이로 인해 음악보다는 가수의 춤과 외모가 더 중요해졌고, 가창력이나 음악성으로 승부하는 가수가 아닌 엔터테이너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본 고에서는 대중음악이 가진 사회적 의미와 규모의 팽창과 함께 산업으로 부상한 1990년대 이후 한국 대중음악계의 변화를 현재 막강한 영향력을 차지하고 있는 SM과 JYP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또한 이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 대중음악계의 문제점과 함께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해 음악공연의 활성화와 전문음악공연장의 설립을 제안하며, 우리나라 대중음악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Popular art reflects the generation based on business and popularity and forms the basis of the public sentiment. Among the variety of popular arts, popular music goes with the current of time, reveals the idealism of the current era, and moreover changes or even sometimes leads the public’s conscious and trends. World renowned artists like Bob Dylan and John Lennon are artists who are famous for being anti-war campaign leaders. Especially Bob Dylan was even considered as a candidate for the Nobel Peace Prize and the Nobel Literary Prize. In Korea, the rock artists and folk artists who led the 1970s counter culture and artists like Seo Taeji who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ulture of the 1990s young generation, brought about a profound effect on not only the popular music but also mass culture. However, after the 1990s, Korean popular music market started to expand tremendously with the grow of the album industry, broadcasting media, and the management industry. Also producers which are the core of popular music production have expanded. Because of this, the importance of dancing and appearance has become greater than that of the music itself and artists underwent a transfiguration as an entertainer instead of an artists with a great range of vocal aptitude and musical talent. We would like to go over the alteration of Korean popular music based on SM Entertainments and JYP Entertainments which occupy a great portion in influencing Korean popular music. Through this we will examine the problems of Korean popular music and the direction it should be advancing in.

      • KCI등재

        가야금 창작음악의 대중화 양상 고찰

        정길선(Jung, Gil Seon) 한국대중음악학회 2011 대중음악 Vol.- No.7

        국악 창작음악은 발전과정에서 독주·중주·관현악 장르의 음악으로 다양화 되었으며, 1980년대 후반 이후 영화음악이나 무용음악이 국악으로 만들어지면서 대중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리고 국악 실내악단 ‘슬기둥’이 창단되면서 국악가요 등으로 대중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계기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국악의 대중화 움직임은 여러 실내악단이나 중주단의 등장을 이끌어냈으며, 국악기의 개량 또한 활발하게 촉진시켰다. 악기 개량은 가야금에서 가장 폭 넓게 나타나 7음 음계 구조를 수용한 25현 개량가야금이 만들어졌다. 그리고 전통적인 선율이나 장단, 음계를 활용한 곡보다는 서양 클래식이나, 고전 팝송, 외국 민요, 영화음악 등의 선율을 편곡한 곡들이 대중의 관심을 받기 시작하면서, 25현 개량가야금에 의한 가야금 창작음악의 대중화 작업이 연주자와 작곡가에 의해 적극적으로 활성화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의해 가야금 창작음악은 초기 순수 창작음악 모습에 머무르지 않고 현대음악 장르까지 수용하면서 퓨전, 크로스오버 등 대중이 향유할 수 있는 대중음악으로 나아가고 있다. New compositions for Gugak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diversified on the genre for solos, ensemble and orchestras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are popularized by themselves for films and dances in the late 1980s. And new ensembles for those new compositions ― like Sulgidung ― have made their chances for people with new compositions. These popular trend for Gugak let the musicians make their ensembles and in the matter of sound, the improvement for music instruments is needed and processed actively. In improvement for Gayageum (12 stringed zither) , 25 stringed new Gayageum tuned in western mode has been made And popularization of new compositions for 25 stringed Gayageum is activated by musicians and composers while people prefer arranged items for classical music, old pop songs, foreign folk songs, films and animations to items in traditional styles. In rapid change of society, new compositions for Gayageum started from early standard tradition in 1960s and have developed into contemporary music. In these days, the new items for Gayageum are diversified into classic, fusion and cross-over with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these new compositions.

      • KCI등재

        음악경연프로그램의 다양화 과정을 통한 대중문화 활성화 방안 연구

        김강모,이우창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7

        The popular culture reflects the situation of the era at the time. Because of this, the growth and the development into a culture in the direction desired by the public and into a culture that is beneficial to the public are required. By analyzing the influences of the music competition programs on the diversification of the popular music, this research sought after a plan for invigorating the popular culture. Firstly, the organization of a program is demanded. Secondly,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can heal the agonies of the era and the pains of the public must be possessed. Thirdly, the planning intention of the music competition programs that positively transforms the society is demanded. Fourthly, the country and the society must not be thrifty with the policy considerations regarding the popular culture. This research presented a plan for the existing music competition programs to contribute to the invigoration of the popular culture. Except, the case examples of the advanced countries in terms of the popular culture were not sufficiently examined. And, there is the limitation that a plan for the invigoration of the popular culture was considered in only the single genre of popular music. 대중문화는 비문화성, 상업주의, 하위문화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시대 상황을 반영하고, 문화를 소비하는 대중들의 소비패턴을 보여준다. 때문에 대중에게 폭넓은 영향을 미치는 대중문화의 활성화를 통해 대중이 원하는 방향으로의 문화, 대중에게 유익한 문화로의 성장과 발전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음악경연프로그램이 대중음악 다변화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여 대중문화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음악경연프로그램이 대중음악을 통해서 대중문화의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첫째, 방송국 기획 의도 또는 가수, 기획사 등 주류 중심의 음악경연프로그램보다는 다수의 대중이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이 요구된다. 둘째, 참여자의 집중과 시청자에게 극적인 흥미 유발을 위해 서바이벌 형태의 음악경연프로그램이 경쟁적 요소를 주된 도구로 사용하더라도 시대적인 고뇌와 대중의 아픔을 치유할 수 있는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셋째, 상업적인 고려, 정치적인 판단보다는 사회적 화합, 세대 간 공유 등 사회를 긍정적으로 변모시키는 음악경연프로그램의 기획 의도가 요구된다. 넷째, 국가와 사회는 대중문화를 저속한 하위문화라는 선입관에서 벗어나 대중에게 폭넓은 영향을 미치는 대중문화에 대한 정책적 배려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본 연구는 과도한 경쟁의식을 유발하고 방송국 중심의 상업적인 의도에 의해서 기획되어졌다는 비판을 많이 받고 있는 기존의 음악경연프로그램이 대중음악의 다변화를 통해 대중문화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만 본 연구가 국내 음악경연프로그램만을 제한적으로 분석하여 대중문화 선진국의 사례를 충분히 검토하지 못했고, 대중문화 활성화 방안을 대중음악 단일 장르에서만 고찰한 한계점이 있다.

      • KCI등재

        한국 대중음악 수용자 연구 - 일제강점기부터 제5공화국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조장원 ( Jang Won Jo ) 민족음악학회 2018 음악과 민족 Vol.0 No.56

        한국은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배경에서 대중음악이 발생하였고 광복 이후에는 미국 문화와의 접촉이 직접적이고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면서 서양문화의 분위기와 특성을 모방하는 대중음악들이 양산되었다. 1960년대 이후 매스미디어가 본격적으로 들어서며 점차 대중사회의 특성을 갖추지만, 정치적으로 검열제도가 매우 엄격하여 대중가요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기도 하였다. 1980년대부터 부가 축적되며 1990년대에는 대중음악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1990년대 말부터 오프라인 음반시장은 쇠퇴하고 온라인 음원시장으로 주도권이 넘어가면서 대중음악의 생산과 소비형태는 급속하게 변화하였다. 미디어 기술의 발전은 음악 산업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고 대중음악 수용자들도 대중음악에 대해 매우 개인적이고 다양한 욕구를 갖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역사적 흐름에서 한국 대중음악사를 사회·정치적 배경과 매체 보급 상황 및 수용자의 태도와 특성을 고려하여 일제강점기부터 제5공화국까지의 시기를 구분하고 수용자들의 변화과정을 정리해보았다. 대중음악 수용자에 대한 이해는 대중음악 산업의 발전을 위한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로 앞으로 더욱 적극적인 학문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Korean pop music has occurred based on the periodical background, Japanese occupation. However, after the independence, direct and extensive contact with the American culture influenced to produce pop music culture that was emulating the Western world’s mood and characteristics. After 1960s, South Korea was gradually forming the characteristic of public society since mass media was taking a place. On the other hand, political censorship has been very strict, so it became an hindrance to the development of pop music. From 1980s, wealth accumulated and 1990s, pop music grew quickly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Since the late 1990s, declination of the offline music market and rise of online music market rapidly changed the way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pop music. Advances in media technology have completely changed the paradigm of the music industry and pop music adopters have a very personal and diverse need for pop music.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this study distinguished the Korean pop music history’s time period from the Japanese colonical period to the fifth Republic Governments by its social/political background condition and consumer’s characteristic and attitude. On top of that, also it organized consumer’s process of changing. Comprehension of pop music consumer is a study to prepare for development of pop music culture industry, so it will require a active academic approach.

      • KCI등재후보

        탈구화된 대중-민속음악 교육현장에 관한 비교문화적 재고찰: 감비아, 스웨덴 현장연구를 중심으로

        김 책(Kim, Chaek) 한국대중음악학회 2019 대중음악 Vol.- No.23

        본고는 탈구화하는 음악 교육 환경에 있어 대중음악과 세계음악 교육과 관련된 이론적 쟁점들을 재고찰해 보려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이 탈구화라는 것은 세계화라는 사회변화의 맥락에 따른 자연스러운 변화로서, 우리가 음악 교육을 통해 성취해야 할 역량으로 제시되는 ‘도덕적 세계시민으로서의 경험’이라는 것과 맞닿아 있다. 이렇듯 타자의 음악문화를 연구한다는 것은 본질적으로 비교의 방법론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지만, 비교방법론을 다루는 다양한 학문들이 제국주의, 식민주의와 같은 역사특수적 이원론(지배자와 하위주체) 구조 속에서 다소 굴절되었다는 상황 인식이 본 연구의 동기가 되었 다. 각론에서는 이러한 지배/저항의 고답적 이분법을 떠나, 학교의 교실이라는 유형학적 공통점을 배경으로 한국과 서아프리카 그리고 북서유럽의 사례 들을 비교문화적으로 제시하고 그를 바탕으로 기존의 제국주의식 교육구조와는 다른 대안적, 중립적 의미에서 세계적 경험을 구체적으로 제안하고자 하였 다. 연구 과정에서 세계음악, 민속음악, 대중음악 교육의 준거점에 대해 묻는 인식론적 연구 질문으로 우회하게 되었다. 제시된 한국과 감비아, 세네갈, 스웨덴의 각 사례들은 자신들의 고유한 문화적 양식의 유지와 근대화, 현대화라는 탈구적 맥락 앞에서 파편화된 존재로 여겨지는 하위주체인 개별행위자 (human agency)가 어떻게 자신들의 바운더리를 형성하며 대중음악이라는(비 종교적, 비정치적) 일상적 맥락에서 어떠한 선택과 회피전략을 통해 정체성의 정치학을 구성해 가는가를 교육학적인 시각에서 일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and reflect the conceptual and contextual changes on the issues of music education in the challenging context of Korean Education through ethnographic field works. Basic research plan was started out by doing field interviews with a comparative perspectives and summarizing distinctive characterizing agents of these cultures or social systems. But in the beginning of this research, the term ‘comparative musicology’, already was representing terrible reputations according to the prior history such as emperialism or colonialism. because most of comparative research methodologies were born between western researcher and isolated indigenous ethnic groups those who are representing authentic culture. With these perpective, the main research question of cultures and musics it self should be re-defined. In this article I decided to remain neutral on these complicated ethical topics. and try to let the field it self could speak the alternative solutions. I determined the interview topic as school setting in order to have a grid as a common standard to compare notions or systems upo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out the procedure of ethnographical field work, I realized that rethinking on the issues of the taxanomy or category of music education such as folk music, popular music, world music is being required. As a distinctive contrast from Korean school education, Gambia field case has been representing: non school music learning system which is having beautiful plural acculturation with world musics, folk musics, polular musics while the counter case, swedish field case was mentioned as case of learning all kind of music cultures(world musics, folk musics, polular musics) through public school system.

      • KCI등재

        대중음악 아카이브의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대중음악관계자의 의견을 중심으로

        정우식 한국예술경영학회 2018 예술경영연구 Vol.0 No.45

        This study is to provide official plan for building Korean popular music archive with its value and property. This study has executed Focus Group Interview (F.G.I) to the people who work in pop-music industry and derivated the plan for building the pop-music archive as follows. Firstly, the pop-music archive benchmarks ‘Korean Federation of Film Archives’ and it shall not be a government-led organization but a public-private joint organization based on the interaction of various opinions of the government, private, and non-profit organization. Next, the pop-music archive’s operation model shall pursue complex cultural space, called ‘Larchivieum’ which is a combination of library, archives, and museum. The details of the operation of the pop-music archive can be divided into data collection plan, music catalog building plan, service provision, and curriculum system management pla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ross-check the preservation of pop-music materials currently owned by government agencies and private organizations. Also, individuals’ pop-music materials’ donation and rent system have to be introduced and proper compilation of budget has to be set in order to purchase pop-music material. Next, as music catalog building plan, building official integrated music catalog is the core task of popular music archive and this work is to spread credible pop-music information and to accelerate pop-music study.In order to build integrated pop-music catalog, proper budget plan is needed from the establishment stage while making the master plan and standardizing massive music data and corresponding study has to be backed up to build the music catalog. Finally, as service and curriculum system management plan, pop-music archive has to be configured with displaying and experiencing section with proper displaying plan for public while providing various experiencing program. Furthermore, in order to provide continuous service of pop-music archive, professional curator has to regularly update the music material and establish various exhibition planning. Support for nurturing professional curator and the study is greatly needed.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ublic music archive in detail, so that the building and operation of the popular music archive will be the main infrastructure of preserving the roots of Korean popular music, enhancing its history, and promoting the status of Korean pop music to the world. It is worth emphasizing tha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stablishment of official popular music archive for domestic situation by presenting practical guideline for construction of public music archive. 본 연구는 대중음악 아카이브의 가치와 특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국내 실정에 맞는공식적인 대중음악 아카이브의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활동 중인 대중음악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F.G.I)을 실시하여 대중음악 아카이브의 구축방안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먼저 건립방안으로 대중음악 아카이브는 ‘한국영상자료원’을 벤치마킹하며, 정부주도의 운영이 아닌 정부와 민간, 시장의 비영리부문 등 다양한 의견의 상호작용에기반을 둔 민·관 합작의 방식으로 건립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대중음악 아카이브의 운영 모델은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의 기능을 결합한 복합문화공간인 ‘라키비움(Larchivieum)’을 지향한다. 대중음악 아카이브의 세부 운영방안은 자료수집방안, 음반목록구축방안, 서비스제공 및 학예시스템 운영방안으로 나누어 제시할 수 있다. 먼저 자료수집방안으로 현재 정부 기관이 보유한 대중음악기록물들의 보존 여부를 면밀하게 크로스 체크할 필요가 있으며, 동시에 민간의 영역에서의 자료보유현황조사도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개인소장자가 보유하고 있는 대중음악 기록물의기증 및 임대 시스템을 도입하는 동시에, 대중음악 자료를 구매하기 위한 적절한예산편성이 필요하다. 다음은 음반목록구축방안으로서, 공식적인 통합음반목록구축은 대중음악 아카이브가 수행해야 할 핵심적인 업무이며 공신력 있는 대중음악 정보를 확산시키고 대중음악 연구를 진작시킨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통합음반목록구축을 위해서는 건립논의 단계인 마스터플랜 작업에서부터 적절한 예산책정이 필요하며, 목록작성을 위한 방대한 음반 데이터의 표준화작업과 이에 상응하는 전문적인 연구 작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끝으로 서비스 및 학예시스템 운영방안으로대중음악 아카이브는 기본적으로 전시와 체험을 병행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적절한 전시기획을 통한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대중음악 아카이브의 지속가능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자료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고 다양한 전시기획을 수행할 수 있는 대중음악 전문 학예사의 양성과 이들에 대한 연구 지원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대중음악 아카이브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을 시도하여 대중음악 아카이브는 한국 대중음악의 뿌리를 보존하고 역사성을 재고하며, 한국 대중음악의 위상을 전 세계에 알리는 사회적 기반 시설임을 강조한 점과, 대중음악 아카이브의 구축을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의 제시를 통해 국내 실정에 맞는 공식적인 대중음악 아카이브의 구축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대중음악의 훅(hook)에 관한 정의와 재해석

        서정환 ( Jeong Hwan Seo ) 한국음악학학회 2011 음악학 Vol.19 No.2

        최근 한국의 대중음악계에서 자주 언급되고 있는 ``훅송``이라는 신조어는 듣는 사람의 귀를 사로잡는 상업적 대중음악으로 그 의미가 통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단어의 본질인 ``훅`` 자체에 관한 체계적인 분석이나 논의는 찾아보기 힘들다. 지금까지 정의된 훅은 반복되는 후렴구라는 뜻으로 대부분 사용되며 훅송과 함께 그 비판적 맥락의 동일선상에 존재해왔다. 그러나 훅의 개념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으며 따라서 훅을 좁은 의미에만 한정하는 태도는 지양해야 한다. 최근 우리는 대중음악의 훅이 어느 한 범주에 한정되지 않고 더욱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함을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음악에서 훅의 범위는 유동적이며 이 유동성은 훅에 관한 다양한 정의와 그 정의들 간의 차이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모든 음악은 훅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소위 예술음악이나 클래식 등에서 나타나는 훅과 대중음악에서의 훅은 그 성격이 다르다. 대중음악에서의 훅은 어느 정도 차별화되는 성질을 지닌다. 그것은 철저히 상업적이다. 연구자가 이렇듯 훅에 중요성을 부여하는 이유는 훅을 최근 현대 대중음악의 본질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각각의 훅은 유기체적 특성을 가지며 대중음악이라는 혼합물을 구성한다. 또한 훅은 가시적, 비가시적으로 음악의 형식과 내용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 글에서 연구자는 대중음악에 사용되는 훅의 성격에 주목하며 여러 연구가들에 의해 정의 내려진 훅의 개념을 재조명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대중음악을 훅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통해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훅의 개념은 최근 대중음악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훅의 부정적 기능을 지적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훅은 대중음악을 분석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잣대로서 재해석되어야 한다. "Hook song," a newly coined word that is frequently cited these days in Korea`s pop music industry, passes as commercial pop music that hooks a person`s ears. It is difficult, however, to find systematic analysis or discussion on the "hook" itself, which is the essence of the newly coined word. Hook, as has been defined thus far, is mostly used to mean repeated chorus and has been in the same line of criticism as "hook song." Yet, the concept of hook is not that simple, and thus we should not limit hooks to a narrow meaning. Recently, we have been witnessing the hooks in popular music developing into more diverse forms, not just limited to a certain category. This means that the range of hooks in music is flexible, and the flexibility affects their various definitions and differences. All music has hooks. Yet, the hooks that can be seen in the so-called art music or classical music and the ones in popular music are different in nature. Hooks in pop music have a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 to some degree, which is completely commercial. The reason hooks are given such significance here is hooks are perceived as the essence of the recent modern pop music. Each hook has organic quality and composes melange, which is popular music. These hooks change the style and contents of music either visibly or invisibly. In this paper, I will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hooks used in pop music highlighting the concept of hooks, which has been defined by many researchers so far. In this way pop music will be seen from a new perspective. The concept of hook can be applied to various phenomena that appear in the pop music arena. Yet, it is also possible to pont out hooks` negative functions. Therefore, hook should be reevaluated as another yardstick by which pop music can be analyzed.

      • KCI등재

        대중음악 흥행결정요인이 국내대중음악 흥행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획사와 유통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양석,이상혁,Kim, Yang Sug,Lee, Sang Houck 한국벤처창업학회 2015 벤처창업연구 Vol.10 No.1

        K-Pop이 사회, 문화 그리고 경제적인 분야에서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관련 연구가 아직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중음악의 흥행결정요인들이 국내대중음악의 흥행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대중음악 흥행결정요인을 파악한 후 가수의 역량, 미디어 영향, OST 영향, SNS 영향 그리고 발매 첫 주 순위를 독립변수로 정하였다. 더불어 2013년 7월 둘째 주부터 2014년 7월 첫째 주까지 가온차트 내 디지털차트 순위에 진입한 국내대중음악을 선별하여 100위 순위 내 유지한 기간을 곡 별로 조사한 후 이를 주 단위로 측정하고 흥행성과인 종속변수로 정하였다. 기획사와 유통사의 역량울 조절변수로 설정한 후 국내대중음악의 흥행결정요인과 흥행성과와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조절작용을 하는가를 연구가설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가수의 역량, 미디어의 영향과 SNS의 영향 그리고 발매 첫 주 순위 등이 국내대중음악의 흥행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분석되었으나 OST의 영향은 가온차트 내 디지털차트의 순위유지기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획사의 역량은 자체적으로는 국내대중음악의 흥행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조절변수로 작용을 할 경우, 대중음악 흥행결정요인과 국내대중음악 흥행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사의 역량은 조절변수로 작용을 할 경우, 대중음악 흥행 결정요인과 국내대중음악 흥행성과에 정(+)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actors of the box office record in Korean popular music. For this purpose, 1.239 musics were selected in the Gaon digital weekly album chart from second week July 2013 to first week July 2014.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ntertainment of music company, distribution of music company, singer, OST(Original Sound Track), television show, SNS and high ranking in the first week of its release are the factors of the box office record in Korean popular music. Second, entertainment of a large number of music production company is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s,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case of distribution music company. Third, musics of singers who have large number of music ranked Gaon digital chart and appearance of television show program are effective in the box office record in Korean popular music. Fourth, SNS are great factors to promote Korean popular music. Fifth, it is important to rank high position in the first week of its release.

      • 공공부문에서의 정책적 지원을 통한 한국대중음악 발전 방안 연구

        권준원,권미영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16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9 No.1

        이 연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공공부문에서의 대중음악 지원정책에 대하여 분석하고, 해외 선진 사례를 비교 하여 살펴봄으로써 한국대중음악의 발전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리고 다른 예술장르와 마찬가지로 우수한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시장에 공급하여 소비자인 대중들에게 선택 을 받도록 하는 것이 한국대중음악의 지속적인 발전을 담보하는 최선의 방안이며, 그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우수 한 콘텐츠가 만들어질 수 있는 창작기반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전제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문화산업적인 효용성과 함께 동시대인들의 압도적 지지를 받고 있는 예술의 한 장르로서의 대중음악의 창작 기반 강화는 공공부문에서의 보다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가지고 연구에 임 하였다. 문화산업은 이제 개인이나 기업 차원에 한정하여 논의할 대상이 아니다. 문화산업은 국가 핵심 산업의 하나로 정부 차원에서 전략을 수립하고 체계적으로 지원하여야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K-pop을 필두로 한국대중문화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 움직임을 보이는 지금이 한국대중음악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지원이 집중되어야 할 때이다. 다만 이번 연구는 대중음악을 문화산업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데 그치고 있어, 대중음악이 가지고 있는 본질 적인 요소인 예술적・사회적 가치와 효용성에 대하여 깊이 있게 논의를 전개하지 못한 미흡함이 있어 이후의 연 구에서 이를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upport for popular music in public sector policy. In addition, it suggests development strategies for Korean popular music based on a comparative case study of the overseas popular music support policy. It explores how it is pivotal to continuously provide qualified content to be selected from the public, sustaining development of Korean popular music as is the case with other art genres. To perform this, it is the presupposition that there should be support to reinforce the creative foundation in order to create qualified content. Furthermore, this study states the perspective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positive supporting policies in the public sector about the reinforcement of creative foundations for popular music, as popular music is considered an art form that has strong public interests and utility in the cultural industry. The cultural industry is not a subject to be discussed separately on the individual level or organizational level. It should be discussed as one of the national core industries establishing strategies and having systematic support on a government level. Furthermore, it is time to focus on political interest and support of Korean popular music as it globally expands from K-pop to Korean cultur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only discussing popular music as the perspective of the cultural industry and not covering popular music’s artistic and social value and utility. Therefore, further research can be performed on these top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