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를 통해 본 김수영의 시세계 : 대중매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주영중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2 한국문학연구 Vol.0 No.43

        이 글은 김수영의 시에서 대중 매체가 지니는 의미와 대중매체에 대한 김수영의 태도를 주체·대중·매체의 역학적 구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세 요소는 김수영 시에서 유기적으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김수영 시의 주체는 대중과 (대중)매체를 비판적으로 사유하면서도 자기 자신까지를 타자화하여 비판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김수영이 당대의 대중매체에 대해 관심을 보여주었던 이유는 대중매체가 주체와 대중에게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김수영 시에 등장하는 신문, 잡지, 라디오, 영화, 텔레비전 등의 대중매체는 감각과 신체의 확장은 물론 사유와 상상력의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로 기능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그 자체가 부정적 대상물이 되기도 하며 부조리한 현실·권력을 드러내주는 매개로 작용하기도 한다. 또한 대중매체는 현대인의 왜곡된 욕망과 생활을 드러내주는 일종의 지표 역할을 한다. 김수영시의 주체는 대중매체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그 속으로 들어가 대중매체와 대결하고 그것을 넘어서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보여준다. 김수영은 대중매체가 조장하는 마법적 환상으로서의 세계가 아닌 도래해야할 새로운 실재의 세계를 기대하면서, 오히려 그 너절하고 타락한 오늘보다 더 깊이 들어가 그 오늘을 정시하고 오늘을 구원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 나선다. 김수영은 그것을 또한 현대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 믿었다. 김수영은 미디어의 일방적 메시지 전달도 아니고 주체의 일방적 메시지 수용도 아닌 상호주체적 작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변화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를 통해 김수영 시의 주체는 미디어의 메시지 속에 자신의 욕망을 투사하던 주체에서 능동적이고 자유로운 주체로 변환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역설적이게도 주체는 새로운 담론의 생산자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결국 김수영 시의 주체는 미디어가 미치는 작용력에 대해 지속적으로 의식하면서도 그 작용력의 범위를 넘어서서 자유로운 감각을 획득하게 된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the mass media and the attitude of the mass media in the Kim Su-yeong's poetry focused on the dynamical composition of the subject and the public and media. These three elements has organic relevance in the Kim Su-yeong's poetry. The subject of Kim Su-yeong's poetry shows the appearance to criticize oneself to otherness the public and the mass media as well as his own. The reason Kim Su-yeong showed interest in the mass media of the day is why he knew the influence of mass media on the subject and the public. Mass media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radio, movies, television, appeared in Kim Su-yeong's poetry function as a parameter to enable the expansion of reason and imagination, as well as the extension of the senses and the body. At the same time it is negative object and to functions as parameter that reveal the absurdity of reality and the power of negativity. And the mass media are indicators that reveal the distorted desires and lifestyle of modern man. Kim Su-yeong's subject sustain an effort that go into it and go beyond the public and confrontation with media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mass media. For magical fantasies and depraved reality that the mass media promotes, Kim Su-yeong go more deeply rather than depraved and sloppy reality, try to find the possibility of seeing and saving the reality. As when to do so would expect the world of the reality to be advent. Kim Su-yeong believed that it is also the direction of modern poetry. New possibilities may be derived in the mutual proactive action in the Kim Su-yeong's poetry. Also it go through the process of being converted into an active and liberal principals. Paradoxically, the subject is placed in the position of the producers of the new discourse. And Kim Su-young"s poetry gain free sense against the forces of media consciousness and beyond the scope of its forces.

      • KCI등재

        하버마스, 루만, 들뢰즈·가타리, 데리다의 이론을 통한 일반 대중매체 체계론의 제안

        박대민(Daemin Park) 한국언론정보학회 2014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7 No.3

        커뮤니케이션학에서 통약가능한 이론적 대중매체체계론이 부재하다는 점은 비교연구를 비롯한 경험연구에서 난점으로 남아있었다. 본 연구는 하버마스의 2단계 사회론을 수정한 수정된 2단계 사회론을 바탕으로 정적 일반대중매체체계론을, 루만의 경계이론과 들뢰즈·가타리의 배치이론을 종합한 경계배치이론을 바탕으로 동적 일반대중매체체계론을 제안한다. 정적 일반대중매체체계론에서 대중매체체계는 일반화된 언어를 조정매체로 하는 문화체계의 하위사회체계로서 여타 하위사회체계 및 생활세계와 상호침투한다. 동적 일반대중매체체계론에서 대중매체체계는 다른 모든 하위사회체계의 경계로서 하위사회체계의 자기관계적 관찰을 생활세계에 의한 타자관계적 관찰과 접목시킨다. 또 대중매체체계는 체계와 생활세계 간의 상호침투를 매개한다. 특히 대중매체체계에서의 수행은 체계를 생활세계로 탈영토화하고 생활세계를 체계로 재영토화한다. 일반대중매체체계론은 다양한 경험적 대중매체체계론에 통약가능성을 제공해주고 편향되게 연구대상을 설정하지 않도록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bsence of the commensurable general mass media system theory has been problematic in empirical communication studies. This study first suggests the static mass media system theory based on modified Habermas’s two level society, and then develops the dynamic mass media system theory based on the boundary-agencement theory that synthesizes Luhmann’s boundary theory and Delueze & Guattari’s agencement theory. In the static mass media system theory, the mass media system interpenetrates other social subsystems and the life world as a part of the cultural system coordinated by generalized language media. In the dynamic mass media system theory, the mass media system is a boundary of all social subsystems. The mass media system also articulates its self-referential observations to other-referential observations from other subsystems, mediated interpenetrations between the social subsystems and the life world. Especially, performances in the mass media system deterritorizes social systems to the life world, and reterritorizes the life world to social systems. The general mass media system theory can provide commensurability for various empirical mass media system studies, and prevent biases when researchers choose research topics.

      • 영상매체를 이용한 과학 대중화 연구

        김명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8 연구보고 Vol.- No.-

        이미지가 흘러 넘치는 볼꺼리의 시대, 영상매체는 공중파 T V와 VCR의 수준을 넘어 PC와 케이블 T V로 보편화됐고, 매체 환경도 동영상과 음성정보 등 고품격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시대로 급변하고 있다. 이들 추세에 따라, 과학의 대중화와 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에서도 문자매체에는 비할 수 없이 역동적(力動的)이고 구체적인 영상매체를 활용하는 전략이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우리의 대중영상매체를 이용한 과학 대중화의 현실은 양과 질적 측면에서 모두 매우 열악한 수준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현황분석으로부터의 문제의 본질 파악에 바탕하여 현실적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장단기 발전전략의 구체적 대안을 도출하였다. 과학 대중화와 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대중영상매체의 형태와 범위는 기술혁신에 따라 다양하게 새로운 형태로 변모되고 있으며, 본 보고서에서는 멀티미디어 (첨단통합매체)로서 CD- ROM, 그리고 컴퓨터 통신비스업체별로 상용통신망(하이텔, 천리안 등)과 인터넷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또한 T V 매체로서, 지상파 T V, 유선방송의 국내외 상황을 비교분석하여 대안을 제시하였고, 그러나, DVD (Digital Ver satile Disc) 등의 새로운 매체가 계속 출현하고 있고, 앞으로 위성방송, 웹 T V, 인터넷 T V를 비롯하여 인터넷 라디오, 전자신문, 전자잡지, 웹진(webzine ) 등도 영역을 넓힐 것이므로, 이들 신매체의 대중화 기여를 높일 수 있는 전략도 필요하다. 기존매체로서 영화부문은 다큐물, SF , 애니메이션 등의 형태로 기술 첨단화에 따라 그 영향이 강화되고 있으며, 비디오/ 카셋트테잎/ 슬라이드를 통한 대중화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밖에도 특수효과(비디오/ 그래픽스), 설치예술과 컴퓨터 예술의 장르는 물론, 비디오아트, 디지털사진(Digital Photography ), 그래픽스, 설치미술, 사이버 갤러리 등 예술과 과학의 접목으로 과학 대중화를 구현할 수 있는 전략적 고려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영상매체를 이용한 과학 대중화 전략에서는 매체의 성격과 타겟그룹에 따라 목표를 설정하고, 매체의 성격상 오락성과 전문성을 적절히 융합시켜야 한다. 이들 작업에서는 학제적(學際的) 분야의 전문적 연구를 바탕으로 될수록 쉽고 재미있게 수용자를 끌어들일 수 있도록 표현방식을 고안하는 것이 효과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부문별 전략에서, 기존매체로서 T V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은 최우선 과제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시청률 지상주의, 전문인력 부족, 사회제도적 지원 부족 등을 극복해야 하나, 서로 맞물려 자생적으로 뚜렷한 변화 가 일어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따라서, 국민의 과학 마인드와 혁신역량 제고를 위한 과학 대중화 사업을 체계화하고, 구체적으로 비인기 장르이면서 국가·사회적 필요성이 큰 과학 프로그램의 제작 활성화와 보급을 위해 정부가 그 자구적 기반이 조성되기까지 구체적 지원사업으로 추진돼야 한다. 그리고, 정책·제도적 측면에서 정보산업의 SW 개발에 금융·세제상의 혜택을 주는 것과 같은 차원에서, 과학영상 매체산업과 과학 프로그램 제작과 프로덕션 업체에도 특별지원을 시행함으로써 신생산업으로 육성하는 시책이 긴요하다. 영상매체를 이용한 과학 대중화를 추동해내는 적극조치로서 과학전문 채널을 설립하여 구심체를 확보하는 것도 검토할 만한 계획이다. 그러나, 현재의 경제위기 상황에서는 그 전망이 불투명하거니와, 방송산업의 효율성 제고 측면에서도 숙고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차선의 대안으로 전문제작 프로덕션을 설립하고 기존 방송의 프로그램 제작을 정부가 적극 지원하고 유도하는 실질적 조치가 필요하다. 세계시장에서 애니메이션은 고부가가치의 신생산업으로 날로 그 규모와 영향력이 커지고 있어, 애니메이션의 주인공 캐릭터들은 팬시 상품, 컴퓨터 게임, 테마파크 등으로 막대한 시장을 형성하게 됐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은 예컨대 T V를 통해 방영되는 애니메이션의 90%가 미국과 일본산으로서, 주로 암시장 메커니즘에 의존하여 폭력성·선정성·음란성의 저질품의 무차별 유통으로 특히 청소년층의 사회문제의 원천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한 시급한 대책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일본의 경우, 만화의 영향에 대한 분석평가에서 일본의 과학기술과 경제 발전이 그것에 대한 내용을 다룬 만화를 보고 자란 세대와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는 것은 시사적이다. 애니메이션의 오락적·교육적 효과를 고려할 때, 수용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적절한 주제와 내용을 담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주인공 캐릭터의 세계관과 가치관, 메카닉과 배경의 적합성, 제작과정에 관련된 과학기술성 등에서 적절한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애니메이션은 여타 장르에 비해 제작비가 더 높기 때문에, 자체제작과 더불어 차선책으로 외국작품을 수입하는 것이 불가피하므로 철저한 수준검증이 필요하고, 기존 애니메이션 제작업체에의 지원으로 오락성과 교육내용을 적극 가미한 작품의 제작을 활성화해야 한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PC 활용에 관한 조사결과는 학생들이 컴퓨터를 주로(50- 80%정도) 게임오락의 도구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컴퓨터 게임을 통한 학교밖 교육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있다. 따라서, 과학 대중화 차원의 컴퓨터 게임의 효과도 심각하게 고려돼야 하며, 오락성에 가미한 소재 적정화로 과학적 사고를 키우고, 컴퓨터 게임 관련 장비·도구·기계를 다루는 과정에서 과학기술의 이미지에 대한 소양을 터득하게 하는 효과가 중요하다. 요컨대, 게임 행위자의 그 소재 수용의 긍정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 에듀게임(edugame )과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 )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제작돼야 한다. 인터넷은 2000년대에 5억 5천만명의 이용자를 갖게 되리라 추산되고 있어, 전세계를 잇는 인터넷 서비스가 과학 대중화 사업에 획기적인 수단이 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인터넷의 특성은 언제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최신정보를 교환할 수 있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시공간의 제약없이 마음대로 만날 수 있는 능동적 고급 정보원으로서의 기능 등 실로 막강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과학기술관련 정보 제공의 웹사이트는 그 범위가 극히 제한되어, 컴퓨터 관련분야로 한정되고 있다. 그밖에 건강건강과 의학정보를 제공 사이트가 많고, 응용과학 정보가 일부 제공되는 수준으로, 정보 제공은 컴퓨터 관련 종사자와 일부 과학 전문가에 그치고 있다. 무엇보다도 정보의 질에 대한 검증과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 문제이므로, 과학 전반의 다양한 정보를 적정수준으로 평가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사업을 시행할 단계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유용한 과학기술 정보가 일반대중에게 쉽고 흥미있게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인터넷을 과학 대중화를 위한 차기 첨단매체로서 정착시킬 수 있어야 한다. 과학 대중화에서의 CD의 활용은 그 특성을 고려하여 추진될 필요가 있다. CD의 특징은 우리의 현 여건에서 과학 대중화 기능에 있어 강점과 약점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예컨대, CD는 프로그램 진행 도중에도 검색을 통해 보완할 수 있고, 작은 부피에 엄청난 양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혼자서도 충분히 배우고 즐길 수 있는 등의 강점을 지닌다. 그러나, CD 이용에는 비싼 컴퓨터 장비가 필요해서, 예컨대 동영상을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상당한 속도의 CD 드라이버와 대용량 메모리의 컴퓨터가 필요하다. 그리고, CD 자체의 가격도 비디오에 비하면 훨씬 비싸고, 직접 컴퓨터를 조작해야 이용가능하므로 컴퓨터에 덜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심리적 부담이 크다는 등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정보기술 확산에 따라 CD 시장은 급신장하고 있어, 다양한 활용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예컨대, 기존의 우수 프로그램 콘텐츠를 CD에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여, 이미 검증된 SF 영화나, 과학원리 설명과 실험 등 에듀테인먼트 성격의 CD를 적극 제작하는 것이 요긴하다. 그리고, 출시된 CD의 종류와 내용, 수준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질적 수준을 사전평가하는 작업을 통해 품질관리를 해야 한다. 인터넷, CD 타이틀 등은 특히 멀

      • KCI등재

        대중매체 언어 분석 방법론

        김병홍 우리말학회 2012 우리말연구 Vol.30 No.-

        이 연구는 대중매체에 나타난 개별 언어 현상에 대한 논문이 아 니다. 지금까지 대중매체 언어를 보는 시각과 그 시각을 넘어 새로운 이 론 체계를 수립하려는 방향과 그것이 언어학에 어떤 상호작용을 할 수 있 는가를 모색해 보는 연구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이루어진 대중매체 언어 분석에 대한 연구 성과와 새롭게 대중매체 언어 분석에 접근하려는 경향 들을 살펴보고, 그것이 실제 대중매체 담화에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제시 한다. 이 연구는 하나의 자본주의적 기업으로서의 대중매체가 우리 사회 의 여러 문제를 어떤 틀을 만들어 해석하고 보도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 다. 대중매체 담화에서 미디어 생산자들이 사용하는 어휘 구조의 대표적 인 형태는 어휘화, 재어휘화, 과어휘화, 범주화이다. 어휘 구조를 주관적 으로 재구조화하여 대중매체 담화를 생산할 때, 어휘 선택의 주관성을 판 단할 수 있는 근거는 의미론적인 선택제약을 제시할 수 있다. 대중매체 담화에서 문법 구조를 통한 이데올로기를 세뇌할 수 있는 요소로서 타동 성, 통사적 변형, 발화 태도, 상대경어법, 명사화 등이다.

      • KCI등재

        한국인의 대중매체활용과 정치문화에 관한 연구

        신승배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5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3 No.-

        현대인들은 대중매체의 발달로 다양한 정보의 범람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들 정보의 대다수는 TV, 라디오, 신문, 인터넷 등과 같은 대중매체를 통해서 제공된다. 이중 전파매체의 대표주자인 TV와 인쇄매체의 대표주자인 신문은 전통적인 대중매체이다. 이 글에서는 전통적 대중매체인 TV와 신문에 노출된 개인들이 자신들의 정치적 정향을 나타내는데 대중매체의 활용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실증적・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성향 및 투표행위에 있어 대중매체활용의 영향을 살펴보면, 정치성향은 신문의 영향이 TV보다 더 유의미하였고 투표행위에 서는 신문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둘째, 대북통일문제 및 국가거리감에 있어서는 먼저, 남북통일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TV나 신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북한에 대한 태도에는 대중매체활용이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한에 대한 거리감에서는 오히려 TV 매체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 대한 거리감은 또한 TV나 신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산출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결과, 정치 상황 만족도에 있어서는 신문을 보는 빈도가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인으로서의 자부심은 신문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라디오 방송과 국어교육

        이창덕 국어교육학회 2003 國語敎育學硏究 Vol.17 No.-

        이 글에서는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대중매체(매스미디어)와 국어교육의 접점의 하나로서 라디오 방송과 국어교육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그 관련성을 토대로 라디오 방송을 국어교육에 어떻게 끌어을 것인가를 논의한다. 현재 우리 사회에 강력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매스미디어를 국어교육에서 적극 수용하고, 매스미디어를 어떻게 국어교육에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한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국민공통교육과정의 국어교과에 방송을 비롯한 매스미디어 교육을 적극적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효과적인 국어교육을 위해서 바람직하기만 한가, 체계적 적용이 가능한가를 따져보아야 하고, 미디어 교육이 국어교육에 바람직하고 적용 가능하다는 판단이 내려진다면 다양한 대중 매체 들을 어떻게 국어교육에 구체적으로 적용할 것인가 등에 대해서 충분한 사전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 글에서는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방송매체를 국어교육에 수용하되, 대중매체의 언어나 언어사용 원리를 중심으로 다루고, 매체 일반에 대한 교육이나 매체에서 다루는 담론 내용들에 대해서는 국어 교과 외의 영역에서 다루거나 다루더라도 그 비중이나 중요도를 낮추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리고 현장에서 다룰 방송매체교육은 현장의 특성에 맞게 구체적 대상과 학습 방법을 개발해서 선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다시 말해, 방송매체 교육을 국어교육에 도입한다면 방송언어에 교육의 초점을 맞추고, 라디오 방송의 경우에도 라디오 방송언어나 그 사용의 원리 등을 국어교과에서 익히고, 학생들이 라디오 방송을 직접 듣고 라디오 방송에 참여하며, 나아가서 라디오 방송 제작 등을 해 보면서 다양한 언어생활을 경험해 보는 것은 반드시 국어교과에서만 다루어야 한다고 고집할 것이 아니라 통합 교과 수업이나 재량활동, 특별활동 등을 통해서 다룰 수 있도록 개방적 입장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라디오 방송을 비롯한 대중매체에 대한 교육이 학교현장에서 다루어지는 것은 필요하지만, 국어교육에서 다루어지는 매체교육은 그 대중매체들 전반에 관한 교육, 나아가 사회 전반에 나타나는 다양한 의미의 생성과 해석 과정 전반을 다루는 교육이 아니라 대중매체 언어와 언어사용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서 대중매체와 국어교육, 라디오 방송과 국어교육, 라디오 방송언어와 국어교육으로 층위를 나누어 살펴본다. 그리고 라디오 방송과 국마교육의 관계를 세우고, 라디오 방송 이해 교육, 라디오 방송 언어 이해 교육, 라디오방송 체험교육으로 나누어 실시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effective way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with the language on the radio broadcastings in South Korea. Recently, the opinion that 'media literacy' should be included in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getting power of persuasion among schola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it needs to examine carefully t o include mass media education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media education, especially radio program education, has to be dealt at the low level involved only with the language being used in radio broadcasting. And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should be an education focusing on the principles which can explain various aspects of broadcasting language usages. It is argued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could be effectively performed not only in the Korean language classes but in the integrated subjects classes such as ethics and language classes, sociology and language classes etc.. . In chapter two, it is argued for the significance of the role of broadcasting language in language education. The areas of broadcasting language education involved with language education in schools can be divided by many criteria, for instance, by the sorts of broadcasting network, characters of programmes, and purposes of education etc.. This paper suggests a series of categories of broadcasting language education by each criteria. In the following chapter, this article classifies the various ways to adopt radio broadcasting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Being divided into layers, radio broadcasting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be sorted into education to understand radio broadcasting system, education to learn radio broadcasting language, and education to experience radio broadcasting. And each layer gives concrete shapes of classes teaching and training broadcasting language and its principles of usage.

      • KCI등재

        대중매체와 무용예술의 상호작용

        남수정 한국무용연구회 2008 한국무용연구 Vol.26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mass media, arts, and dance, to discuss their relations. With the appearance of mass media, arts have been through three different changes. The influence of mass media provides dance with two different viewpoints. Firstly, the mass media plays a role as factor of influencing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performers and spectators. secondly, through its way of presenting media or technology, performance becomes a form of making a social estimate of technology. The literacy of mass media in arts, which operates as means of recording and preserving dance, analysing choreography and movement, teaching dance and manipulating stage set, also gives us many choices as one of new creation itself. It is fact that mass media raises a fundamental question on the essence of dance conditioned with uniqueness or temporality. However, the both is interdependent, and partially overlapped, and their creative or instrumental acceptance will enable to produce new type of dance. 본 연구는 문헌자료를 통해 대중매체와 예술, 그리고 무용 등의 본질과 관계를 살펴보고 논의하였다. 대중매체는 변화된 예술의 사회적 개념을 대중문화와 상호보완적으로 관계하도록 하기 위한 장(場)으로서 존재한다. 이의 출현으로 예술은 기존 각 예술 장르의 제작, 전달, 보존, 감상의 국면의 변화, 각기 다른 예술장르의 통합을 넘어선 새로운 미적 경험의 창출을 통한 변화, 새로운 매체에 의해 생산되는 방식의 예술 현상의 등장 등 세 가지 변화를 맞고 있다. 대중매체의 영향력은 무용예술에도 서로 다른 두 가지 관점을 제공한다. 첫째, 대중매체가 공연자와 관객 간의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둘째는 공연에 있어서 미디어나 테크놀로지가 표현되는 방식으로서 공연이 기술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내리는 하나의 형식이 된다는 것이다. 무용 기록과 보존, 무용 안무와 움직임의 분석, 무용교수와 무대장치 조작 수단의 도구로서 작용하는 대중매체의 예술적 활용은 새로운 창조물 자체로서도 선택을 부여하게 된다. 대중매체가 유일성을 예술의 조건으로 하는 전통적인 무용예술의 본질에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 지만 양자는 상호의존적이며 부분적인 상호중복성이 존재하며 도구와 창조에 따른 수용은 새로운 유형의 무용예술 창출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 KCI등재

        민속과 대중매체의 관계 재고

        정수진 비교민속학회 2017 비교민속학 Vol.0 No.64

        This paper aims to rethink the relationship between mass media and folklore as the subject of folkloristics. We live in a modern world where has been infiltrated into deeply and as a result configured newly by media. But there is only a few folklore researches focused on the problems of media,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folklore and media yet. Even most of them are just focusing on the several programs from specific medias fragmentarily. This may be because, on the one hand, the perspective that folklore and media are opposed, is still dominant, on the other hand, the logics and methodologies to analyse the media in folkloristics are not matured enough. But given the enormous influence of the media to modern societies, without paying attention to the media and the problems arised from it, there is a limit to grasp fully the existent aspects of folklore today. Therefore, in this paper I examine the existing arguments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folklore and the mass media, and how the folklore researchers of toda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based on the questions from the examinations, I try to rethin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mong those questions, the questions are also included that I have encountered in the course of fieldwork. In this paper I try to look for clues to the answer, especially with reference to Baudrillard’s simulations theory. 이 글은 우리의 연구 대상인 민속과 대중매체의 관계를 재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는 대중매체가 현대의 일상 깊숙이 침투한 결과 그것이 일상 자체를 재조직하고 있는 세계를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미디어를 가지고 사는 것이 아니라 미디어 세상 속을 살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민속학에서는 대중매체의 문제, 특히 민속과 대중매체의 관계를 주목한 성과들이 아직도 여전히 매우 적고, 그마저도 특정 매체로부터 산출된 몇 개의 프로그램들을 단편적으로 주목하는 데 그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사정은 한편으로는 민속과 대중매체를 대립적인 것으로 상정하는 민속관이 여전히 지배적인 까닭일 테고, 또 한편으로는 민속학에서 대중매체를 어떻게 대상화해야 할지, 그에 대한 인식과 방법론이 충분히 성숙하지 못한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대사회를 조직하는 데 행사되는 대중매체의 막강한 영향력을 감안하면, 대중매체와 그로부터 산출되는 문제들을 주목하지 않고는 오늘날 민속의 존재 양상을 온전히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그간 민속학계에서 산출된 관련 논의들, 특히 민속과 대중매체의 관계를 논한 글들을 대상으로 삼아 오늘의 민속 연구자들이 대중매체와 민속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고찰하고, 그로부터 산출된 의문들을 토대로 현대사회 속의 민속과 대중매체의 관계를 되짚어 보았다. 그 의문들 중에는 내가 그간의 현지조사 과정에서 맞닥뜨렸던 질문들도 포함되는바, 이 글에서는 특히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이론을 참고삼아 그 해답의 실마리를 찾아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현대미술의 매체환경 대응과 그 의미

        윤자정(Ja-jung Yoon) 현대미술학회 2011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5 No.2

        오늘날 우리 삶은 대중매체, 혹은 대중매체의 이미지에 크게 좌우되고 있다. 이 글은 대중매체를 이 시대 문화를 규정하는 본질적 국면으로 상정하면서 현대미술이 어떻게 대중매체 이미지와 대결해나가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나아가 문화와 삶에 관여 하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삶의 편의'를 위한 대중매체가 '삶의 불편'으로 왜곡되는 지점은 어디에 있는가를 염두에 두면서 현대미술이 어떻게 이에 대해 직간접적인 대응을 행하는지를 논한다. 순서상에서는 우선 대중매체가 양산하는 이미지들의 본질이나 속성을 다루고, 다음으로 현대미술의 양상을 '대중매체 환경'이라는 테두리 속에서 살핀다. 이를 통해 대중매체 환경에 대한 탄력적 대응이라는 측면이 현대미술의 최근의 주요한 국면이라는 점을 부각시킨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