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융복합 문화로서 재조대장경과 판각지 남해의 문화콘텐츠 개발

        고상현(Ko, Sang-Hyu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81

        재조대장경의 조성과 관련하여 아직까지도 연구자들 사이에 논의가 진행 중이다. 그럼에도 남해에서 판각되었다는 사실에는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대장경은 문화적으로는 유형문화와 무형문화가 결합하고 있으며, 내용적으로는 의천의 『신편제종교장총록』, 송·거란·일본 등에서 한역대장경 장소 수집과 교감을 통한 완성도 높은 교정이 이루어졌다. 재조대장경은 당대 인쇄문화와 기술의 융합, 지역간의 연계, 국가와 민간, 출가와 재가 등 회통과 융복합 문화의 정점에 있었다. 13세기 동아시아 문화를 아우르는 글로컬라이제이션의 전범이었다. 또한 현대 일본의 『대정신수대장경』과 대만의 『불광대장경』 등의 저본으로 삼을 만큼 문화를 주도해 왔다. 21세기 문화로서 대장경은 문화재 가치의 보존과 활용을 통해 재탄생되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는 본고에서는 대장경의 본래적 가치와 종합적 외현인 문화콘텐츠로서 불교문화테마파크와 대장경축전문화콘텐츠, 문화콘텐츠산업으로서 인쇄문화콘텐츠산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불교테마파크로는 불교랜드, 불교문화 라키비움과 마음산업을 선도할 수행센터인 참선센터 등 건립을, 대장경축전문화콘텐츠로서는 격년으로 개최되는 대장경천년세계문화축전과 연계한 대규모의 축전과 소규모 지역공동체 축전을 제시하였다. 특히 창조적 파괴를 통한 활용인 인쇄문화콘텐츠산업으로는 4차 산업혁명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인쇄전자산업(Printed Electronics Industry)의 도입과 활용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부경남의 지역 클러스트 형성과 학교와의 연계, 대장경인쇄문화연구소(가) 설립 등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Jaejo-tripitaka, which was manufactur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s a cultural asset of convergence. It also examines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printing as it was pursued in Namhae, where the tripitaka was carved into woodblocks. The Jaejo-tripitaka was fine-tuned and became more sophisticated by collecting and collating research and commentaries from Uicheon’s Sinpyeon-jejong-gyojang-chongrok, as well as from Chinese tripitakas from Song, the Khitan, and Japan. Furthermore, the Jaejotripitaka showcased the culmination of intercommunication and culture of convergence, which was characterized by the integration of the printing culture and technology of the time, as well as interregional coordination, the link between the state and its peopl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ithful and secular. The Jaejo-tripitaka led cultural promotion not only as a classic of the globalizing East Asian culture of the 13th century, but also as an original script for modern Japan’s Daejeongshinsudaejanggyung and Taiwan’s Bulkwang-tripitaka. To lead the culture of the 21st century, tripitakas should be embraced in efforts to preserve and utilize cultural values and to promote disruptive creation. Buddhist Theme Parks and tripitaka cultural festivals could serve as places to commemorate and display the intrinsic values of the tripitaka. Furthermore, a new direction for the cultural content printing industry is offered to enable tripitakas to be used to facilitate disruptive creation. Specifically, a Buddhist Theme Park could take the form of a Buddhist Land, Buddhist Larchiveum, or Seon Meditation Center for the mind industry. As for cultural festivals, large-scale festivals linked to the biennial Millennial Anniversary of the Tripitaka Koreana, as well as small-sized community-level festivals, could be considered. Finally, for the cultural content printing industry, the electronic printing industry could be introduced and adopted as it will play a key rol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regard,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clusters in west Gyeongnam, cooperation with schools, and a tripitaka cultural research and printing institute (provisional) are proposed.

      • KCI등재

        고려대장경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이재수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30 No.-

        대장경은 불교의 출발점이며, 붓다의 가르침과 이에 대한 해석과 실천이 경․율․론 삼장으로 정립된 총서이다. 아울러 각 지역과 시대에서 불교를 바라보는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작용하였다. 논자는 대장경의 과거를 새롭게 발견하고자 대장경의 문화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고려대장경이 지닌 원전적 가치와 문화유산으로서의 위치에 주목하였다. 본 논의에서 대장경을 다른 시각으로 검토하였다. 대장경을 미디어와 플랫폼으로 바라보고자 하였다. 대장경은 미디어로서 원형성을 지니고 종교적 기능을 담당했으며, 대중성과 사회성을 지향한 소통의 결과물로 보았다. 대장경은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소통의 기능과 불교적 지식생산의 도구로서 다양한 활용을 이끌어내는 훌륭한 플랫폼이라는 것을 밝혔다. 대장경의 현재를 한글대장경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는 과거 대장경의 원전을 해석하고 의미와 가치를 확장하는 측면을 담당하였다. 우리시대 대장경은 전자불전을 통해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대장경의 미래는 쌍방향 소통과 복합적인 활용에 있다고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대장경의 과거-현재-미래를 텍스트, 해석, 소통이라는 지점에서 참다운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원래 그 의미에 맞게 널리 쓰이게 하여 우리의 삶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확장되어가는 문화콘텐츠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였다. Tripitaka, a collection of books containing the Buddha's teachings, is the starting point of Buddhism. It is divided into three baskets of teachings; Sutras, Abhidharma and Vinaya. It served as a paradigm of the Buddhism in each region and in each era. In order to interpret the past of Tripitaka from a new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ultural implication of Tripitaka. It focused on the original value of the Tripitaka Koreana and its status as a cultural heritage. It discussed Tripitaka from a new perspective and tried to view it as a sort of media and platform. It said that Tripitaka performed a religious function with original features of media and was the outcome of popularity and sociality-oriented communication. It saw Tripitaka as an excellent platform that played multiple roles as a tool for communication connecting the past and present and for producing Buddhist knowledge. In this study looked into the present of Tripitaka through it's the Hangul Tripitaka. Korean version of Tripitaka contained an 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version of old Tripitaka and extended its meaning and value. The emergence of electronic Buddhist texts marked a turning point in the Tripitaka of this era. The future of Tripitaka rests on two way communication and multiple use. In conclusion, this study discovered the true value of Tripitaka as an excellent communication tool in interpreting its past, present and future and discussed expanding its usage as cultural content in daily life.

      • KCI등재

        조선초기 태조-세종대 고려대장경의 인경과 그 의의

        박용진 ( Park Yong-ji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8 No.-

        고려 재조대장경은 13세기 조성된 이래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인경은 약 20여 회이다. 이 가운데 조선시대는 전체 7회이지만 4회가 조선초기인 태조-세종대에 이루어졌다. 태조대 1393년 대장경 인경은 태조와 왕실, 관료의 발원으로 개경 연복사 오층탑전에 봉안키 위한 것이었다. 1393년 3-6월 무렵에 인경을 완료하고 연복사 오층탑에 봉안하였다. 고려 개창 이래 개경 도성 내 주요 사원인 연복사의 오층탑전을 중수하고 대장경을 봉안하여, 태조의 개인적 신불 이외 국가 창업의 공을 기리고 국리민복과 국가영세를 기원한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정종대 1399년 대장경 인경은 태조의 사재를 근간으로 국가의 지원을 통하여 이루어졌고, 조선 신도 한양의 흥천사 사리탑전에 봉안키 위한 것이었다. 흥천사는 1398년 태조가 신덕왕후의 원당으로 한양 도성 내에 창건하였고, 선종 최고 사원의 위상을 가졌다. 개경 연복사와 오층탑전의 전례에 준하여 사리탑전을 영조하여 1399년에 대장경을 봉안하였다. 태종대 1413년 대장경 인경은 1413년 3월 태종의 명으로 진행되었고, 태조의 재궁인 개경사에 봉안키 위한 것이었다. 태조의 5주기에 맞춰 개경사에 대장경을 봉안하고 대장경 전독 의례를 설행하여 명복을 기원하였다. 태종 13년 태조 재궁인 개경사에 봉안한 대장경은 태종의 효행적 불사라는 성격 이외 조선 개창조에 대한 불교적 추숭이라는 성격을 가졌다. 세종대 1440년에 인경한 대장경은 흥천사의 사리탑전을 중창하고 봉안하였다. 이는 조선 태조가 창건한 ‘조종 창건 사원’인 흥천사의 사리탑전을 중창하면서 대장경을 봉안하여 불법 가피를 통한 왕실 祝釐와 국리민복을 기원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Since the Tripitaka Koreana was engraved in the 13th century, Records show that the Tripitaka was printed about 20 times. There are a total of 7 cases in the Joseon Dynasty, but 4 cases were made from Taejo to Sejo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Tripitaka Koreana printed in 1393 was enshrined in the five-story pagoda of Yeonboksa in Gaegyeong at the wishing of Taejo, the royal family, and government officials. The printing of the Tripitaka was to commemorate the founding of Joseon together with King Taejo, the royal family, and officials, and to pray for the welfare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through Buddhist power.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ayed for the end of war and national development. In 1399, during the reign of Jeongjong, the printing of the Tripitaka was accomplished through state support based on private materials at the wishing of Taejo. The Tripitaka Koreana printed in 1399 was enshrined in the Salitabjeon (舍利塔殿) of Heungcheonsa in Hanyang, Joseon. Taejo founded Heungcheonsa and Salitabjeon in Hanyang, the newly developed Joseon Dynasty, and enshrined the Tripitaka to pray for the royal family’s ancestral rites and national protection by Buddhist power. In 1413, during the reign of Taejong, the printing of the Tripitaka was carried out under the order of Taejong, and it was enshrined in Gaegyeongsa, the Palace for Memorial Ceremony (齋宮) of Taejo. The printing of the Tripitaka to be enshrined in Gaegyeongsa had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respect for the founders of Joseon besides the filial piety of Taejong. In 1440, during the reign of Sejong, the printing of the Tripitaka was to be enshrined in the Salitabjeon of Heungcheonsa. Sejong inherited the ideology of the founding of Heungcheonsa by Taejo,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 and rebuilt Heungcheonsa’s Salitabjeon and enshrined the Tripitaka to enhance its status and authority.

      • KCI등재

        고려 재조대장경 '외장'의 사상사적 의의

        정병삼(Jung, Byung-sam) 불교학연구회 2010 불교학연구 Vol.27 No.-

        해인사에 보관해온 팔만대장경 경판은 세계 조판사상 유례를 찾기 어려운 우수한 경판을 거의 완벽하게 보존해온 문화유산이다. 이제까지 경판의 정확성이나 보관의 우수성이 높이 평가받아 왔지만, 고려 대장경 문화의 사상사적 의미를 새롭게 평가해야 한다. 대장경正藏에 이은 '外藏'의 간행이 이에 대한 의미 부여가 가능하다. 初彫大藏經의 조판은 開寶板 宋本을 바탕으로 보다 정확한 契丹本과 고려의 傳本을 적극 활용하여 가장 정확한 판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대장경 조판에 이어 義天이 敎藏을 이루어냄으로써 대장경과 교장을 함께 이루어냈다. 몽고의 침공으로 초조대장경판이 불타자 16년만에 만들어낸 再彫대장경은 초조보다 더 철저한 校勘을 통해 정확한 경판이었고, 제작과 함께 『校正別錄』을 펴내 교정 사실을 명확히 밝혔다. 장경 목록인 『大藏目錄』을 포함하여 모두 1498종의 經論이 재조대장경 正藏이다. 이에 더하여 內藏인 '正藏'에 이어 '外藏'이라 부를 수 있는조판 사업이 정장 조판 기간 중에 대장도감에서 시작되어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 졌다. '외장'은 동아시아 논저들을 주로 모은 것으로 팔만대장경판의 15종과 해인사 간행의 9종 등이다. '외장'의 중심은 화엄종 주석서와 선종 전적들이었다. 신라와 중국의 화엄종 형성기의 조사전적에 대한 신라와고려 승려들의 주석서들은 재조 사업을 주도한 守其가 소속된 화엄종의 사상적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해인사의 성향이 짙게 배어 있다. 또 선종 전적은 수선사 결사로 고려 후기 불교계를 주도하던 선종의 사상이 반영되었다. 또다른 결사인 백련사의 사상적 바탕인 천태 저술도 간행되었다. 이들 전적은 주로 고려의 傳本이 많고 고려에서 중시되던 전적들 이었다. '외장'의 간행은 고려후기 불교의 사상적 경향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 사업이 재조대장경 조판 인력에 의해 이어졌다는데 그 사상사적 의의가 있다. 초조대장경은 동아시아 대장경 조판 체제에서 정확성을 배가하였다. 재조대장경은 초조 이후 추가된 목록에 의거하여 증보 완성하였다. 이어 동일한 인적 자원에 의해 이루어진 '외장' 조판은 고려후기 불교의 사상적 경향에 따른 독자적 사업으로서, 해인사와 수선사 중심의 고려후기 불교의 경향을 드러내준다. Palman Daejanggyeong(Goryeo Tripitaka) are the most excellent of all Tripitaka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in its accuracy and elegance. We should focus on the meaning of Goryeo Buddhist thought. Chojo Daejanggyeong(The First Tripitaka) were produced based on Sung Tripitaka and were compared with Liao Tripitaka and the Goryeo traditional edition. After that, Ucheon published Gyojang(Collection of Research) that supplement the Tripitaka. Chojo Daejanggyeong were destroyed by the Mongolian invasion, just after Jaejo Daejanggyeong(The Second Tripitaka) were engraved. They made a more precise edition by a thorough comparison with various editions. As a result, the Chief Editor Sugi wrote Gyogeongbyeollok(Extra list of revision). Jaejo Daejanggyeong was listed in 1498 books by Daejangmonnok(List of Tripitaka). Then 'Oejang' continued by Daejangdogam, the national publishing organization. The main parts of Oejang consisted of the books of Hwaeom School and Seon School(Suseonsa). It shows the tendency of later Goryeo Buddhist thought. The books of Oejang were based on a Goryeo tradition, and were accounted in Goryeo Buddhism. The publishing of Oejang verifies the main tendency of late Hwaeom School and Haeinsa. The meaning of Jaejo Daejanggyeong,(that includes Oejang) is this point. And it shows the unique tendency and ability of Goryeo Jaejo Daejanggyeong.

      • KCI등재

        청대 내부의 대장경 간행

        翁連溪,이경민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0

        한 대부터 불교가 중국에 전해진 이후 대대로 불경에 대한 번역과 수집은 이미 중국 문화와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구성 요소가 되었으며, 중국 민족 공통의 정신적 유산이 되었다. 대장경은 “일체경(一切經)”으로도 불리기도 하고 약칭으로 “장경(藏經)”, “결경(契經)” 또는 “삼장(三藏)”이라고도 한다. 즉 인도와 서역에서부터 전해져 번역된 대·소승의 경(經), 율(律), 논(論)과 성현들이 집대성해 놓은 대형 총서들로 불교 경전의 총집으로, 권질이 매우 방대하고 복잡하다. 송대 이전에 대장경은 모두 손으로 베껴 쓰는 형식으로 편찬되었다가, 5대 10국 시대의 민국(?國)의 임금 왕심지(王審知)는 “금니 은니 일만 여 냥”으로 4부의 ≪금은자대장(金銀字大藏)≫을 베껴 쓰기도 했는데, 많은 재화와 오랜 시간을 들였음에도 대량 생산을 하지 못했다. 목판인쇄술이 발명된 후 대장경의 인간이 가능하게 되었다. ≪불조통기(佛祖統紀)≫ 권43의 기록에 따르면 송나라 태조 개보 4년(971)에 “고품과 장종신에게 칙서를 내려 익주로 가 대장경판을 조각하게 하였다.(”勅高品·張從信往益州雕大藏經版“)라고 기록하고 있는데, 이것이 처음으로 대장경을 간각한 기록이다. 그 이후에 여러 조대에 대장경이 간행되었는데, 예를 들면 요대에는 거란장이, 원대에는 원관장이, 명대에는 홍무남장, 영락남장, 영락북장과 티벳어 ≪감주이≫가 간행되었다. 청대로 접어든 후 청 왕조의 내부(內府)에서도 이전 왕조의 전통을 이어 받아 강희 8년의 티벳어 금니 필사본 ≪감주이≫를 시작으로, 강희 39년의 티벳어 ≪감주이≫, 옹정 2년의 티벳어 ≪단주이≫, 강희 59년의 몽고어 ≪감주이≫, 건륭 14년의 몽고어 ≪단주이≫, 건륭 3년의 한문 대장경 ≪용장≫, 건륭 59년의 만주어 ≪대장경≫을 티벳어 대장경인 ≪감주이≫와 ≪단주이≫를 시작하여 몽고어 대장경, 한문 대장경과 만주어 대장경 등 서로 다른 언어로 된 대장경을 인간하였다. 이로써 청대는 역대 왕조 중 가장 많은 언어로 대장경을 인간한 시대로 기록되고 있다. 특히 청은 역대 황제들이 티벳 불교를 숭상하였을 뿐만 아니라, 또한 이민족들을 통합해야 하는 정치적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티벳어, 몽고어, 만주어 대장경의 간행은 그 본연의 종교적 의미도 매우 중요하지만, 이와 함께 이민족의 지배층을 통치하고 융합하고 회유하는 하나의 도구로써의 역할도 매우 중요했기 때문에 청의 역대 제왕들은 다민족 언어 대장경의 간행을 매우 중요시 하였다. 佛敎自漢代傳入中國經過歷代的傳布, 飜譯匯集編次久已成爲中國文化不可缺少的組成部分, 是我國各民族共同的精神寶藏。 自北宋開寶年間, 我國第一部漢文大藏經≪開寶藏≫后, 陸續刊刻有北宋≪崇寧藏≫、 ≪毗盧藏≫、 南宋≪資福藏≫、 ≪万壽藏≫、 ≪趙城藏≫、 元代≪元官藏≫、 明代≪洪武南藏≫、 ≪永樂南藏≫、 万歷≪嘉興藏≫。 淸代中央政府內府, 繼前朝的傳統繼續編刊了多部不同文種的大藏經, 但由于對每部大藏經的刊刻人員、 時間地点、 存世情況等問題多有不同論述, 現据淸內府?案與存世大藏經的情況做進一步考證, 將對淸代內府大藏經的刊刻有較明確的認識。

      • KCI등재

        팔만대장경판(八萬大藏經板)과 무아통일정신(無我統一精神)

        서수생 ( Su Saeng Seo ) 택민국학연구원 2009 국학연구론총 Vol.0 No.3

        大藏經의 意味는 佛敎의 모든 經典을 經·律·論藏으로 나누는데, 이를 三藏이라 하며, 이 ‘三藏’을 通稱하여 ‘大藏經’이라 한다. 그리고 大藏經板의 雕造時期와 歷史, 大藏經의 海印寺奉安時期, 雕造過程과 規模, 印經史, 大藏經의 內容, 大藏經의 書誌와 補遺目錄을 일반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밝혔다. 특히 大藏經에 포함된 法門이 八萬四千이므로 그 큰 수를 들어서 ‘八萬大藏經’이라고 한다. 高麗朝에 이루어졌기에 ‘高麗大藏經’이라고 하며, 前代에 이룩된 것이 蒙古兵火에 불타 버렸으므로 이를 繼承하여 高宗때 再雕하였으므로 ‘高麗續大藏經’이라고 한다. 이 大藏經板은 高麗顯宗二年(A.D.1011)에서 高宗三十八年(A.D.1251)까지 二百四十年間에 무려 2次에 亘하여 거룩한 大藏經刻板佛事를 完成하였다. 그러나, 두 번째 最後에 이룩한 高宗板이 바로 現傳大藏經板이다. (크게 나누면, 兩次刻板佛事가 됨)이 刻板藝術을 이룩하는 덴 長久한 時日동안 百折不屈의 끈기와 民族的無我思想統一精神과 信佛力, 그리고, 民族的넋이 엉기어 이 歷史的大事業을 成就하였던 것이다. 우리는 半萬年歷史를 가졌건마는 이 大藏經雕造佛事를 일으킬 때처럼 일찍이 民族的民心統一이 되어 본 적이 없다. 日帝때 三一運動을 前後한 獨立精神과 光復直後旬日間의 光復精神은 확실히 民族的統一이 이룩되었지마는 이는 오래지 않아 끝이 보였다. 그러나, 이 大藏經을 雕造하는 國家的大佛事는 二百四十餘年間 麗民上下가 一致團結하여 民族的統一無我思想을 마음에 아로 새기고, 끈기 있고 세차게 勇猛精進으로 치달아 드디어 거룩한 創世的板刻藝術의 精華를 이룩하고, 드디어 外敵을 退治하여 民族的危機를 冒免하여 그 民族的脈이 이어졌음을 밝혔다. The Eighty Thousand Buddhism Scriptures, the most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texts, is preserved in Haeinsa Temple now. It is the greatest heritage of Buddhism in Korea and also in the entire realm of world history and culture. The woodblocks of this Scripture were destroyed by the second Mongol invasion in 1232 A. D. It``s recovering was finally completed after fifteen long years, the 38th year of Goryeo King, Gojong. It comprises 6,568 volumes in 1,501 categories which are recognized as the most outstanding cultural treasures in the world. This scripture consists of three chapters of sutra, statute and reasoning which teach us the Buddha``s mercy toward all creatures, patriotism and mental unity to defend the country from foreign invasion.

      • KCI등재

        고려대장경, 현재의 의미와 미래의 가치

        이도흠(Lee, Do-heum) 불교학연구회 2011 불교학연구 Vol.30 No.-

        중세 농업사회에서 조성된 대장경이 1,000여년의 시공간을 지나 지금 여기, 디지털 사회에서 갖는 의미, 나아가 미래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 문화론적 해석을 하였다. 부처님의 말씀은 아난의 기억, 聖衆의 기억을 거쳐 문자로 기록되면서 기억의 碇泊이 시작되었다. 한역대장경은 부처님의 말씀을 모두 한데 모아서 잘 정박시킨 유일한 큰 그릇으로서 위상을 누리며, 고려대장경은 한역대장경 가운데 ‘온전하게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판대장경이라는 가치를 갖는다. 석가모니의 말씀과 경전텍스트와 해석은 일치하지 않는다. 언어 자체의 한계성, 참조체계, 이를 인식하고 느끼는 인간 몸의 메커니즘, 구조와 형식, 이데올로기, 코드체계 등에 따라 차이를 갖는다. 이 차이 자체가 의미를 가지며, 진리 또한 그 ‘사이에’ 있다. 원본이 사라지고 복사본이 이를 대신하고 현실을 가상, 혹은 시뮬라시옹이 대체하는 재현의 위기(the crisis of representation) 시대에서 고려대장경은 시뮬라시옹이 침해할 수 없는 원본으로서 굳건한 지위를 갖는다. 21세기에 와서 고려대장경은 다양한 복사본을 낳는 샘의 구실을 할 것이다. 고려대장경과 관련된 의례는 聖俗의 합일을 매개하는 매체다. 대장경에 관련된 스님과 고려 민중의 지극한 신심을 자기화할수록, 너와 나의 구분을 무너트리고 我慢에서 빨리 벗어나기에, 대중들은 불교의례를 통하여 자아와 타자의 공존을 추구하게 되고, 참여자들은 자연스레 탈구조공동체(communitas)를 지향하게 된다. 21세기에는 고려대장경은 소셜 네트워크를 타고 쌍방향의 소통을 할 것이다. 발신자와 수신자의 경계는 무너지고 무수한 하이퍼텍스트들이 소셜 네트워크망을 통해 인드라망처럼 서로 끊임없이 전달되고 해석되고 만들어질 것이다. 팔만대장경은 민족 자긍심의 바탕이었지만 그에 관련된 신화는 이제 제거되고, 차이의 관점에서 팔만대장경을 바라보아야 한다. 대장경은 한 나라의 단위에서는 민족적 긍지감을 높일 국력과 문화와 지식권력의 상징이지만, 동아시아 지평에서 보면 동아시아 지식 교류와 소통의 산물이자 세계화 시대에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의 전범이다. 대장경의 부처님 말씀만이 아니라 고려대장경을 만들며 얽힌 이야기 자체가 또 하나의 (경전) 텍스트다. 이는 시간을 뛰어넘어 1,000년 뒤 오늘에도 풍성한 의미와 벅찬 감동을 준다. 이는 경전에 대한 부재-텍스트가 되어 현전-텍스트인 경전과 서로 不一不二의 연기관계를 형성하며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상호텍스트성의 의미를 생성할 것이다. 더 나아가 이 의미들은 우리 삶에 지표를 제시하고, 어느 때는 삶을 전환하는 지평을 펼칠 것이다. I interpreted the current and future value of the Tripitaka Koreana from a stand-point of cultural studies. Buddha’s words had been recorded in a form of the tripitaka after passing through the memory of Ananda and the Sacred Multitudes. The Chinese Tripitaka is the only great container which anchored of all the memories of Buddha’s words. The Tripitaka Koreana is the oldest one of existing Tripitakas printed from woodblocks. Buddha’s words do not agree with tripitaka-text and interpretation. The memory is influenced by the limit of language, reference system, mechanism of human body, form and structure, ideology, and code. These factors make differences. The difference between meaning and truth is ‘between’ differences. The Tripitaka Koreana is the original text of Buddha’s words in which simulation can not substitute in the age of the crisis of representation. It will play a role of the original which produces numerous copies. The Buddhist ritual for the Tripitaka Koreana functions as the messenger between the sacred and the secular. The more the stories and facts abou tthe Tripitaka Koreana are internalized in the minds of the participants in this ritual, the faster they free themselves from ātmamāna. So, they pursue co-existence between self and others, and head toward communitas. In the 21st century, the Tripitaka Koreana is supposed to be interactive media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 There is no boundary between sender and receiver, and numerous hyper-texts can be transmitted, interpreted and produced ceaselessly, as though on an internet. We must get rid of myth about the Tripitaka Koreana, and look and study it in the light of difference. The Tripitaka Koreana is a product of the communic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a model of glocalization in East Asia. Not only Buddha’s words are in the Sutra but also the stories about the Tripitaka Koreana are the other tripitaka-text. This plays a role of absence-text for the sutra-text as a presence text, and it generates inter-textual meanings in the relation of inter-dependant origination. These meanings will shed light on our lives, and open a new horizon.

      • KCI등재

        고려대장경의 정치ㆍ사회적 기능과 의의

        박용진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5 동국사학 Vol.59 No.-

        This stsudy analyzed ‘Political-social function and significance of Tripitaka Koreana in the Goryeo Dynasty’. This study analyzed political and diplomatic background of Tripitaka import of Goryeo, philosophy that made the Tripitaka, political and social utilization of Tripitaka. Its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Goryeo imported the Tripitaka in Song(宋) and liao(遼). These Tripitaka became foundation of Chojo-Taejanggyong(初雕藏) and Jaejo-Taejanggyong (再雕藏). Tripitaka imports have international politics correlation between three countries such as Goryeo and Song(宋) and liao(遼). In addition, countries were advocating cultural nation through the Tripitaka making. This study analyzed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authorities’ and ‘purpose of the Tripitaka making from aspect of the inclusion’ for making of Goryeo Tripitaka and national Buddhist. Philosophy that made the Tripitaka pray for peace of the nation and overcome of national crisis in the blessedness of the Tripitaka. In addition, it is the idea that protect the country through the power of Buddhism(佛法治國). Tripitaka was accomplished the political and social function to construct a sense of unity by integrating society with the idea that protect the country through the power of Buddhism(佛法治國) through the Buddhist rituals and temples enshrined. 본고는 고려시대 대장경의 정치사회적 기능과 의의를 분석하였다. 고려가 대장경을 수용한 정치외교적 배경, 대장경 조성의 이념, 대장경의 정치사회적 활용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고려의 대장경 수입은 북송과 요에서 최소 12차에 걸쳐 이루어졌고, 이 대장경이 고려 초조장과 재조장의 근간이 된다. 대장경의 수입은 고려와 송 그리고 요와의 국제정치적 상관성을 가진다. 또한 각국은 대장경 조성을 통하여 문화국을 표방하였다. 고려대장경 조성의 이념은 대장경의 공덕으로 국난의 극복과 화합평안을 기원한 것으로 불법치국의 이념에 기초한 진호국가의 사상을 담고 있다. 대장경의 정치적 기능은 대장경 관련 국가 불교의례의 설행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고려사』에 수록된 대장경 관련 불교의례는 5종 43회가 개설되었다. 대장경 관련 불교의례는 국가적 불교의례로 설행되었으며 불법치국을 널리 펴는 정치적 성격을 가졌다. 대장경의 사회적 기능은 중앙과 지방의 주요 사원에서 신앙의 대상으로 사회통합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대장경은 국가가 조성한 것으로 왕명으로 반사되어 주요 사원에 봉안되었다. 고려후기에는 재조장이 조성되어 소장처가 확대되었고, 원간섭기에 이르면 왕실이나 권문세족, 더 나아가 군현민의 시주를 통하여 원나라에서 대장경을 구입하여 수장하는 대장경의 소장 범주가 확대되는 경향을 보인다. 고려말에는 재조장에 한정하여 인경되고 유통되었다. 대장경은 고려 일대 불교의례나 사원 봉안을 통하여 불법치국의 이념으로 사회를 통합하고 일체감을 조성하는 정치사회적 기능을 수행하였다.

      • KCI등재후보

        『고려대장경』과 문화콘텐츠 활용

        최연주 ( Choi Yeon Joo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4 文物硏究 Vol.- No.25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족문화유산으로 경남 합천 해인사에 소장된 江華京板 『高麗大藏經』(이하 『고려대장경』으로 줄여 부름)은 다른 문화유산에 비해디지털 기반이 잘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콘텐츠로의 개발이 용이하다. 『고려대장경』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은 그 자체가 갖고 있는 역사성과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추진해야 한다. 『고려대장경』은 목판이라는 하드웨어가 있고, 그 인지도 또한 높기 때문에 콘텐츠로서 활용 범위가 매우 넓다. 폭넓은 활용을 위해서는 여러 방면에서 응용 및 개발될 수 있는 문화원형 자원이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 『고려대장경』이 문화콘텐츠로서 적극 활용되고 대중성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대장경의 이해를 높이는 방안이 적극 모색되어야 한다. 단순히 인터넷으로만 제공되는 콘텐츠가 아니라 대중들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최근 디지털 기술 발달과 문화상품재의 온라인화·디지털화는 각 영역 간, 문화상품 간의 장벽을 허물고 있다. 콘텐츠는 생산→유통→소비→생산이라는 선순환구조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하므로 각 단계별 전략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전문 인력의 확보이다. 이를 위한 인적 자원의 발굴과 지원에 대해서는 불교계뿐 아니라 대장경세계문화축전(이하 대장경축전으로 줄여 부름)의 위원회 등 유관 기관에서 많은 관심과 정책이 뒤따라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大衆書籍을 중심으로『고려대장경』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필자 및 대중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고려대장경』이 가지고 있는 가치와 활용성 등은 매우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문화원형으로 재편집(재창조)되어, 문화콘텐츠 또는 스토리텔링으로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대중들에게 폭넓은 인지도를 형성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고려대장경』에 대한 문화콘텐츠로서의 응용과 활용은 부족한 실정이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고려대장경』이 갖고 있는 주요한 요소들을 스토리텔링, 캐릭터, 콘텐츠 개발로 연결시켜야 한다. 더 나아가 다양한 분야에서 문화콘텐츠로서 개발 및 응용될 수 있는 지원 정책이 절실하다. 그래서 학문후속세대를 비롯한 전문 연구자를 적극 발굴하고, 소설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의 창작물과 기획물 등이 발간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Buddhist cultural heritage of Korea`s representative for The Tripitaka Koreana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content. Recent developments in digital technology and cultural products, digitize material online, the barriers between each area and each can break down barriers between cultural products. Considering this point, The Tripitaka Koreana is very likely that development. The Tripitaka Koreana compared to other digital-based cultural heritage is quite established. Content Production→Production→Distribution→Consumption continues to grow through that cycle, because the structure strategy is needed for each step. In particular, it is urgent that the securing of professional staff. So that the excavation and support for human resources should have a lot of interest. The Tripitaka Koreana is a wooden plank that is hardware count as content is well-established infrastructure. Lots of software to be developed in terms of the variety of ways in the future should be applied. Tripitaka written in Hangul is easy to understand. Many modifications are needed to existing content. And experts or investigators should be excavated and actively. Based on this, such as the creation of various sectors should come out. Finally, as The Tripitaka Koreana is cultural content and applications can be developed and utilized to support measures to be ensured.

      • KCI등재후보

        고려대장경의 문화적 가치와 활용의 방안

        이재수 ( Jae Soo Lee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1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7 No.1

        본 논의는 고려대장경에 담긴 문화적 함의를 살펴보고, 그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하여 과거의 소중한 문화유산과 기록유산으로서의 위치를 다시 한 번 논의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를 통해 문화유산이자 기록유산인 고려대장경을 활용하는 한 방안으로서의 전자불전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본 논의는 과거의 역사적인 상황의 규명과 과정에 대한 것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에서 대장경의 가치를 드높이는데 이바지 하고자 한다. 먼저 대장경이 지니는 불교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고려대장 경이 조성되게 된 경위와 그 의의에 대해 정리하였다. 고려대장경의 가치를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에 대해서 살펴보고 세계 기록유산으로서의 가치를 함께 논의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고려대장경이 지니는 총체적이고 입체적인 문화적 함의를 살폈다. 우선 대장경의 의의와 특징을 원형성에 있다고 보았고, 종교적 기능을 담당했으며, 대중성과 사회성의 지향의 결과물이라는 관점으로 제안하였다. 아울러 한글대장경과 세 번째 대장경 조성불사라 할 수 있는 전자불전에 대해 살펴보았다. 불전전산화의 토대를 확립한 고려대장경연구소의 고려대 장경 디지털 서비스로 보았다. 아울러 고려대장경연구소를 비롯한 전자불전을 위한 단체들과 전자불전 보살들의 노력의 성과를 통해 디지털 대장경의 현재를 조망해 보았다. 이는 유산으로서의 대장경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본 논의에서 대장경 2.0의 제안을 통해 초조대장경 천년의 해에 새로운 도전이라는 발걸음을 크게 내딛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Tripitaka Koreana, rediscover its cultural values, and renew its status as one of the valuable cultural and record assets of the past. It also aimed to discuss electronic Buddhist Texts as a way to utilize Tripitaka Koreana, a cultural and record asset. The study tri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higher values of Tripitaka Koreana in the present and future rather than to examine its historical situations and processes. First examined in the study was the Buddhist significance of Tripitaka Koreana along with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its creation. Then the investigator moved onto examining its values as a world cultural and record asset and further its overall and solid cultural implications. Tripitaka Koreana, whos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lie in its qualities as an archetype, performed religious functions and was the product of orientation towards popularity and sociality. Also discussed in the study were electronic Buddhist Texts, which are called the third Tripitaka creation project, as well as the Hangul Tripitaka. The investigator also examined the digital service of Tripitaka Koreana provided by the Research Institute of Tripitaka Koreana, which built a foundation for Buddhist Texts digitization, and the efforts to create electronic Buddhist Texts by various organizations including the Research Institute of Tripitaka Koreana and Buddhists of electronic Buddhist Texts, getting a picture of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tripitaka based on the accomplishments, which are attributed to diverse efforts to preserve and utilize the tripitaka as a legacy. The study proposed a big step of new challenge in the 1,000th anniversary of the First Tripitaka Koreana through Tripitaka 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