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민간 대북방송 출현 이후 대북라디오방송의 변화

        조수진,김도연 한국소통학회 2020 한국소통학보 Vol.19 No.1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radio broadcasting to North Korea (RBTNK) after the emergence of civil broadcasting players to North. Specifically, it pursued to find out the changes in the nature, contents, and programming of RBTNK, focusing on KBS Hanminjok Radio, Far Eastern Broadcasting Company (FEBC), and a civil player, Unification Media Group, during the period of 2006-2016.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more recent it came, the clearer RBTNKs commonly revealed their orientation of broadcasting toward unification, despite their individual character. Second, in programming, they all aimed to diversify their program contents, with the ratio of current affairs/news programs reduced and that of culture/entertainment and culture/entertainment inecreased. In particular, regular programs of RBTNK tended to be softened, but the specially planned programs faithfully reflected then ruling conservative government’s unification policy. Finally, North Korean defectors’ participation in RBTNK increased and their daily lives were highlighted in the programs. 이 연구는 민간 대북방송의 출현으로 행위자(player)가 다양해진 이후의 대북라디오방송의 변화를 연구했다. 구체적으로 전통적 대북라디오방송인 KBS 한민족방송과 종교방송인 극동방송, 그리고 민간 대북방송인 국민통일방송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2016년까지 10여 년간의 대북라디오방송의 성격 변화와 프로그램 편성 등 내용의 변화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첫째 대북라디오방송은 방송사별 특수성에도 불구하고, 최근으로 올수록 통일을 지향하는 전문채널로 변화하는 공통점을 보였다. 둘째 프로그램 편성에서는, 세 방송사 모두 시사/보도의 비율이 줄고 교양/정보와 문화/오락의 비율이 높아졌으며, 프로그램 콘텐츠의 다양화를 지향하고 있었다. 특히, 연구대상 기간이 보수정부 하에 있었음에도 대북라디오방송의 정규 프로그램은 연성화 경향을 보이지만, 특집프로그램에서는 보수정부의 통일정책을 충실히 반영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민간 대북방송 출현 이후 탈북민들의 대북방송 참여가 늘고, 방송 내용에 그들의 일상이 강조되는 모습을 보였다.

      • KCI등재

        남한의 대북방송 전문가들이 갖는 통일과정에서 방송의 역할에 대한 인식 연구

        조수진(Soojin Cho),이창현(Chahyun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6 No.2

        이 연구는 남한의 대북방송 전문가들이 ‘통일 과정에서 방송의 역할’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갖는지 파악해 보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방법론적으로는 심층적 인식 분석에 유용한 Q-방법론을 사용하였다. P표본은 남한의 대북방송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거나 학계에서 연구하는 집단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Q 진술문은 통일인식, 대북방송 일반, 민간 대북방송, 남북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60개를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1단계로 전통적 방식의 Q 분석 결과를 통해 2개의 인식 유형, 즉 ‘유형 1: 북한자유화방송’과 ‘유형 2: 남북교류협력방송’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2단계로는 심층적인 추가 분석을 위해 긍정의 진술문과 부정의 진술문이 갖는 내용적 경향성을 파악해 보았다. 이 결과, 긍정의 경향성은 ‘통일방송역할론’으로, 부정의 경향성에는 ‘민간방송규제론’으로 나누어졌다. 긍정적 인식의 경향성을 축으로 추가 분석해 보면 기존의 유형이 그대로 반영되어 각각 ‘북한자유화방송’과 ‘남북교류협력방송’이라는 세부 유형을 가졌다. 부정적 인식의 경향성을 축으로 하여 분석해 보면 기존의 전통적 유형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민간대북방송보완’, ‘민간대북방송비판’이라는 세부 유형을 가졌다. 그러나 유형 간의 차이를 넘어서 대북방송 전문가들의 긍정적인 평가를 정리해 보면, 통일 과정에서 방송의 역할이 어떤 형식으로라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반면, 부정적인 평가에서는 현재 설립된 지 10년이 넘어가는 민간 대북방송이 문제를 갖고 있고, 무엇인가 개선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대북방송 관계자들의 인식 연구를 객관적이고 실증적 방법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대북방송 관련 연구와 차별성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북방송 제작에 있어 고려할 사항들을 제안했다.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evaluate perception of “the role of broadcasting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among South Korean propaganda broadcasting experts. This research used Q-methodology for in-depth evaluation of the experts’ perception towards propaganda broadcasts. Total sixteen experts who work at the propaganda broadcasting company domestically or internationally as well as conduct related researches were selected as P-samples. This research listed sixty Q statements covering issues such as Perception of Unification, General Propaganda Broadcasts, Private Propaganda Broadcasts, Commun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ccording to traditional way of Q-analysis, it drew two types of perception; Type 1: North Korean Liberal Broadcasts, Type2: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Broadcasts. For in-depth analysis, positive and negative statements were analyzed based on its tendency. As a result, positive statements tend to follow ‘the Role of Unification Broadcasts’ and negative statements followed ‘the regulation of Private Broadcasts’ When further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positive statements based on its axis of tendencies, Type 1 and Type 2 were categorized as follows; the Role of Unification Broadcasts- North Korean Liberal Broadcasts and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Broadcasts. On the other hand, when negative statements were analyzed based on its tendencies, the result of Type 1 and Type 2 were as follows; the Improvement of Private Broadcasts- Redeeming the Private Propaganda Broadcasts and Criticizing Private Propaganda Broadcasts. Regardless such differences, experts do agree on the idea which emphasize the role of broadcasts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and also they share the same thought on the need to improve the private propaganda broadcasts. This research expected to contribute to society by making differences in analyzing propaganda broadcasting experts’ perception in an objective and positive way compare to other existing researches. Therefore, it proposes several suggestions to consider when producing propaganda broadcasts.

      • KCI등재

        미디어를 활용한 북한선교방안 모색‐대북라디오선교방송을 중심으로

        조수진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1 장신논단 Vol.53 No.5

        Since the national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radio has been the only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Each of the countries began radio broadcasting as a form of psychological warfare to defend each of the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and overthrow their counterparts. However, the overtones of the radio have varied in response to the regime changes. Still, radio has been an effective means of communication toward North Korea for 70 years since the division. South Korea’s radio broadcasting to North Korea includes the terrestrial radio broadcasting, the private broadcasting company using shortwaves and the overseas-based broadcasting and the broadcasting company operated by missionary organizations which cover various subjects. Christian missionary broadcasting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radio broadcasting to North Korea. To that extent, this study extends its focus from the FEBC to other radio broadcastings, which are currently conducting missionary activities in North Korea. There are two sorts of the missionary broadcasting: the terrestrial radio broadcasting using medium waves and the radio broadcasting operated by mission organizations using shortwaves.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y and flow of radio missionary broadcastings to North Korea, which have not gained enough academic attention, and examines how they can be used for the missionary work in North Korea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reunification in the future. The media environment in North Korea is rapidly changing. Accordingly, new media strategies are necessary for missionary work in North Korea. The missionary broadcasting toward North Korea requires a transition and new broadcasting strategies. This study thus suggests for the radio missionary media new strategies covering content creations and media combinations, suitable for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of North Korea and the new generation in the North. 분단 이후 라디오 전파는 남과 북의 유일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었다. 대북방 송은 각자의 체제를 옹호하며 상대를 전복시키려는 심리전 형태로 시작됐으나 정권이 바뀔 때마다 논조가 바뀌면서 그 모습을 달리해왔다. 분단 7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북한에 정보를 유입하는 수단으로 라디오 전파가 적극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대북방송은 지상파라디오방송(KBS한민족방송과 FEBC극동방송, 초기 CBS기독교방송)과 단파를 활용한 민간대북방송(국민통일방송, 자유북한방송, 북한개혁방송), 해외 주체 대북방송(VOA미국의소리방송, RFA자유아시아방송, 영국 BBC 등), 선교단체가 운영하는 대북방송(OKCN광야의소리, TWR북방선교방송) 등 주체도 다양해진 상황이다. 분단 초기부터 대북방송을 지속해오고 있는 지상파 라디오방송은 KBS한민족 방송과 종교방송인 극동방송이다. 선교방송이 우리나라 대북라디오방송 역사의한 축을 담당해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극동방송 외에도 현재 전파를 활용해 북한선교 활동을 벌이고 있는 대북라디오 선교방송에 주목한다. 대북선교방송은 중파를 활용한 지상파 라디오방송과 선교단체에서 운영하는 단파 라디오방송으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선교 영역에서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대북라디오 선교방송의 역사와 흐름을 분석하고, 향후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북한선교를 위해 대북선교방송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한다. 북한의 미디어 환경이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이제 북한선교에도 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대북선교방송도 이제는 새로운 방송 전략이 필요한 전환의 시점에 놓여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라디오 선교 매체가 변화하는 북한의 미디어 환경, 그리고 변화하는 세대에 맞게 어떤 방향으로 콘텐츠를 제작하고 새로운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한다.

      • KCI등재

        1950년대 서울중앙방송국 대외방송의 전개과정

        윤상길(Sangkil YOON),이정훈(Junghoon Lee)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9 언론정보연구 Vol.56 No.4

        본고는 1950년대 서울중앙방송국의 ‘자유대한의 소리’ 방송이 탄생하여 정착, 확대되어 가는 과정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시도하였다. 1950년대를 전후로 한반도에서 전개된 복잡한 전파전의 양상 속에서 이승만 정부는 1953년 8월 15일 ‘자유대한의 소리 영어방송’을 개시함으로써 독자적인 대외방송을 시도하고자 했다. ‘자유대한의 소리’ 방송 개시를 통해 한국은 제2차 세계대전 종료 이후 새롭게 시작된 전파전이라는 전쟁에 동참하게 된 것이다. 여기에는 이승만의 정치적 동기와 외교정책이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1950년대 한국의 대외방송은 1956년 이중방송의 실시와 함께 한 단계 도약하게 되었다. 국내 정치의 위기를 맞은 이승만은 방송에 있어서 국내 공보와 대외 공보를 나눠서 시행할 필요성을 크게 느끼게 되었고, 이런 필요성이 이중방송의 실시와 대외방송의 분화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1950년대 대외방송의 근간이었던 대북방송은 1956년 3월 서울중앙방송국에 대북계가 발족된 이후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1957년부터 대북방송은 방송 시간의 대폭 연장과 함께 재방송 시간의 점진적 폐지를 통해 방송 내용의 질적향상을 꾀하고자 하였다. 한편 1950년대 중반 이승만 정부 외교정책의 중요한 한 축이었던 반일정책을 정책적 배경으로 하여 대외방송의 본격적 출발점으로 시작한 대일방송은 1953년 10월 이래 결렬되었던 한일회담이 1957년부터 재기될 움직임을 보이는 데 큰 자극을 받아 방송 시간을 늘리고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꾀하게 되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settling down and expanding of the ‘Voice of Free Korea’ in the 1950s. In the midst of the complicated radio warfare that took place on the Korean Peninsula around the 1950s, the Rhee Syng-man administration wanted to try its own overseas broadcasting by launching the “Voice of Free Korea English Broadcasting” on Aug. 15, 1953. With the launch of the “Voice of Free Korea,” Korea has joined the war of radio warfare, which began anew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Rhee’s political motivation and foreign policy contributed to this. In the 1950s, Korea’s overseas broadcasting took a leap forward with the implementation of dual broadcasting in 1956. Rhee, who has faced a crisis in domestic politics, has come to realize the need for a domestic public announcement in broadcasting, which seems to have led to the implementation of dual broadcasting. Radio to North Korea, which was the basis of external broadcasting in the 1950s, began full-fledged activities in March 1956 after the Daebook-kye(Department of North Korea) was launched by the Korean Central Broadcasting Station. Since 1957, the Radio to North Korea has sought to improve the quality of broadcasting contents by gradually abolishing the rerun time along with a significant extension of broadcasting time. Meanwhile, the Radio to Japan, which targets ethnic Koreans living abroad and foreigners living abroad, was greatly stimulated by the fact that the Korea-Japan talks, which had been broken since October 1953, are moving to resume in 1957, which is aimed at increasing airtim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program.

      • KCI등재

        방송 뉴스 시장의 관점 다양성 - 대북 관련 보도를 중심으로

        이이제,송진 한국언론학회 2011 韓國 言論學報 Vol.55 No.6

        <P>&nbsp;&nbsp;본 연구는 대북 관련 보도를 중심으로, 방송 뉴스 시장의 관점 다양성이 어떠한 양태로 구현되어 왔는지를 2000년, 2005년, 2010년 시기별로 구분하여 비교ㆍ검토하였다. 방송 시장의 집중도와 취재원 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 국내 방송 뉴스 시장은 관점 다양성의 확보가 미흡한 수준으로 드러났다. 특히, 새로운 경쟁 채널의 시장 진입 여부보다는 정부의 이념 성향과 연계되어 있는 미디어 거버넌스가 방송의 뉴스 보도 관점에 보다 더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양한 관점을 가진 뉴스 채널 사업자가 균형적으로 보도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P>

      • KCI등재

        북한인권과 NGO :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노력의 변화 과정

        이상신 법무부 통일법무과 2010 統一과 法律 Vol.- No.4

        90년대에 시작된 북한인권관련 NGO들의 활동은 정치환경 및 남북관계의 변화에 따라 그 내용에서 변화를 겪어 왔다. 북한의 심각한 인권침해 상황에 대한 국제 여론 조성을 주된 목적으로 하던 초기 활동은 90년대 중후반 북한의 대량 아사 사태를 맞아 탈북자 지원 및 북한 주민 지원 활동으로 그 주 관심사가 바뀌었다. 2000년대 이후 보수적 인권단체들은 북한인권문제에 무관심한 남한 정부를 압박하면서 국내 여론을 환기하는데 노력을 집중하였다. 이후 북한의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 등으로 햇볕정책에 대한 여론이 악화되고, 급기야 이명박 정부의 출범이후 대북정책이 수정되면서 이 보수적 북한인권 NGO들은 대북 전단지 살포나 대북 단파 라디오 방송을 통해 북한 주민들을 직접적으로 회유하는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북한인권 NGO들의 활동이 북한 외부에서 북한 내부로 향하는 일관된 방향성을 가지고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북한인권과 관련된 국내 NGO들의 활동은 시대변화에 따라 북한 외부의 간접적 여론 조성을 통한 압박 전략에서 북한 내부의 변화를 추구하는 직접적 개입 전략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는 시각을 통해 북한인권NGO들의 활동을 고찰해보려 한다. Since 1990s, South Korean NGO's efforts to improve human right situations in North Korean have experienced series of changes due to changes in political climate and North-South Korean relations. In the first stage, those NGOs focused on creating international pressure on North Korean government on human right issues. After North Korea suffered from severe food crisis and hundreds of thousands North Korean residents died from starvation in the late 1990s, South Korean human right NGOs changed their priorities to support the refugees and provide North Korean residents with humanitarian aids. In the next stage after 2000, by building public consensus on North Korean human right problems conservative human right activists has successfully put pressure on South Korean government who since then had been muted on that issue. Their efforts have evolved into the direct activism against North Korean Government that includes launching balloons containing tons of anti-Kim Jung-il leaflets.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ions and dynamics of these South Korean human right NGOs efforts.

      • KCI등재

        북한주민의 외부정보 수용 태도 변화

        이주철 한국동북아학회 2008 한국동북아논총 Vol.13 No.1

        이 글은 1990년대 후반이후 북한주민의 외부정보에 대한 수용태도 변화에 대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의 내부 언론방송의 현실을 살피고, 북한주민들이 접촉할 수 있는 외부방송, 외부 영상 매체 등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리고 외부 방송과 외부 정보의 북한 유입에 대한 최근의 보도나 탈북자 증언을 살피고, 또 이에 대한 검증을 여러 각도에서 진행하였다. 더불어 북한 내부의 외부방송이나 영상매체의 수용을 확인하기 위해 북한주민의 라디오와 TV, 비디오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등의 보유 및 유통, 영상물 유입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1990년대에 생존을 위협하는 수준으로 경제적 기반이 바뀌면서 북한인민들은 자연히 북한정권이 그들에게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할 수 없게 되었다. 북한정권은 여전히 북한체제 내부의 문제뿐만이 아니라, 외부 세계에 대한 정보도 차단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북한주민들은 이제 자신들의 생존과 미래를 알기 위해 외부정보를 원하고 외부정보에 대한 접촉을 확대하고 있다. 아직은 일부지만 북한주민들은 외부정보를 얻기 위해 남한과 미국의 대북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고 있으며, 남한과 중국의 TV방송에도 접촉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북한정권은 라디오와 TV의 채널을 봉인하고, 방해전파를 발사하고, 외부방송의 청취를 처벌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인민들은 외부정보에 대한 접촉을 지속하고 있고, 이에 대한 북한정권의 통제능력은 이완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북한주민들은 국경지대와 경제적 여유가 있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TV와 라디오, 비디오와 DVD 플레이어를 구입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개별적으로 외부세계와 접촉하고, 또 외부 영상문화에 대한 접촉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북한주민의 외부정보에 대한 접촉은 상당히 엄격한 처벌을 초래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현상이 확대되고 있다는 사실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앞으로도 북한정권은 외부세계를 알기 원하고, 외부 문화에 접근하는 북한주민들을 통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그러나 북한정권이 처한 현실은 북한정권의 변화를 부분적으로 강요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즉 북한정권은 주민들의 의식 변화에 따라 조금씩 외부정보를 개방할 수밖에 없게 될 것이며, 주민들의 의식은 점차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게 될 것이다. This research studied an argument on North Koreans' acceptance attitudes about the outside world information since the late 1990s. For this study, it is investigated about the reality of North's domestic broadcasting. Also it is explained about outside world broadcasting and video media which North Koreans can touch. And it observed the report or a verbal evidence of recent times on the North Korea influx of external broadcasting and external information, also the verification from multi-angle is processed. It investigated retention and circulation of the radio, the T.V., the video player, the DVD player and image media influx of the North Korea resident . Due to 1990's economic crisis, the North Koreans were no longer satisfied with the information which the North Korean political power provides to them. That is because North Korean political power intercepted information about a outside world as well as problems of the North Korea inside. The North Korean people recently want information outside for their existence and their future, for it magnifies the contact with information. Some North Korean listen to the radio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get external information and contact T.V. broadcasting of South Korea and China. The North Korean political power confronts and seals the channel of the radio and T.V. and punishes external broadcasting listening. But the North Korean people continue the contact with external information, and the control ability of the North Korean political power is relaxed and this is the actual condition in North Korea. Recently among the North Korean people who lives in the border area and people in an economic surplus purchase T.V. and radio, video and DVD player. It will lead and contact individually outside world, also the contact with an external image culture is magnifying. The contact with the external culture will bring about a serious punishment of North Korean people, but this actual condition is magnified. In the future, the North Korean political power will endeavor to control North Koreans who want to know a outside world and approach an external culture. The North Korean political power will have to open external information little by little according to the awareness change of the people, the speed of change in awareness of the North Koreans will come to be quick gradually.

      • 한류스타는 어떻게 북한군이 되었는가? - 북한 관련 드라마의 내용변화 -

        신호식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 2022 미래문화 Vol.0 No.3

        냉전기에 시작된 북한 관련 드라마의 내용은 대북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반공드라마에서 북한은 위협적이고, 경계의 대상이었으나 서울올림픽개최와 북방정책의 영향으로 공산권 국가들과의 교류가 증가하면서 분단의고통을 함께 겪는 이산가족 이미지로 변모했다. 1990년대부터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북한 관련 드라마도 상업화되었고, 남북정상회담의 성사와 함께 대북포용정책이 활발하던 시기부터는 적대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동반자 이미지가 자리잡았다. 보수정부의 실용주의에 입각한 대북정책이 추진되면서부터 북한 관련 드라마는 더욱 상업화가 되어 첩보물과 탈북민 관련소재를 통해 북한은 다시 독재국가와 인권유린사회로 묘사되었다. 한편, 진보정부의 평화체제 구축정책이 추진되면서 북한사회는 이념적 문제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에서 묘사되었고, 남한여성과 사랑을 나누는 부드러운 이미지의 북한군 남성을 한류스타가 연기하기도 했다. The content of North Korean-related dramas that began during the Cold War was greatly influenced by North Korea policy. In the anti-communist drama, North Korea was a threat and a target of caution, but as exchanges with communist countries increased due to the hosting of the Seoul Olympics and the influence of the Northern Policy, it has transformed into an image of a separated family suffering the pain of division. From the 1990s, North Korean-related dramas were commercialized due to the change in the media environment, and from the period when North Korea engagement policy was active with the success of the inter-Korean summit, the image of a companion was established, moving away from the hostile image. As the conservative government's pragmatic policy toward North Korea was pursued, dramas related to North Korea became more commercialized, and through espionage and defectors-related material, North Korea was again portrayed as a dictatorship and a human rights-violating society. Meanwhile, as the progressive government's policy of establishing a peace regime was promoted, North Korean society was portray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way from ideological problems, and a Hallyu star played a North Korean military man with a soft image who shared love with a South Korean woman.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