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爾瞻의 斥和論과 對明義理

        허태구(Huh, Tae-koo)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서강인문논총 Vol.0 No.59

        광해군대 정치·외교사의 정밀한 복원을 위해서는 집권 세력의 핵심 인물이었던 이이첨에 대한 집중적 고찰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도의 시발점으로서 광해군대 대명·대후금 외교를 둘러싼 광해군과 이이첨의 갈등 양상과 그 정치적·사상적 함의에 대해 정리하였다. 아울러, 이이첨이 어떤 배경 아래 척화론과 대명의리의 고수를 주장했는지 살펴보았다. 광해군대의 대부분 신료들은 政派를 가리지 않고 명에 대한 지원과 후금에 대한 강경책을 주장하였다. 그들은 조선군이 후금군에 비해 전력상의 우위를 점하지 못하고 있으며, 명군조차 후금군을 압도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명확히 알고 있었다. 그리고 조선이 명의 요청을 수락하여 원병을 파견할 경우 후금의 보복 우려가 있다는 사실 역시 모르지 않았다. 이이첨 역시 시종일관 事大의 義理, 재조지은에 대한 보답 등을 강조하며, 명에 대한 원병 파견과 후금과의 화친 불가를 주장하였다. 그는 대명사대 또는 대명의리의 부정을 人倫의 멸절로 인식하였다. 흥미롭게도, 인조반정의 주도 세력 또한 동일한 修辭를 사용하여 광해군 축출의 정당성을 표명하였다. 심하 전투 패전 이후의 상황은 이전보다 훨씬 더 조선에 불리해졌지만, 이이첨을 비롯한 조정의 신료들은 그들의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그들의 척화론은 기본적으로 외교안보적 대안의 성격이라기보다 利害를 초월한 義理의 차원에서 제기된 것이었기 때문이다. 이이첨 또한 인조반정의 공신들과 마찬가지로 척화와 대명의리를 불변의 진리이자 보편적 당위로 간주하는 당대의 지적 분위기에 깊이 매몰된 인물이었다. 그의 강직한 기질과 원리주의적 실천가로서의 정치적 성향 등은 그가 앞장서 척화론을 제기한 또 하나의 배경으로 주목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그는 류성룡의 현실주의적 외교 노선을 主和誤國이라 부르며 맹렬히 공격한 바 있으며, 대명 외교의례의 철저한 준행을 강조하는 행적을 남기기도 하였다. For the precise restoration of political history and diplomacy during the reign of Gwanghaegun(光海君), intensive consideration needs to be given to Yi I-chum(李爾瞻), who was a key figure in the ruling power. As the starting point of this attempt, this paper summarized the aspect of the conflict between Gwanghaegun(光海君) and YiI-chum(李爾瞻) over the diplomacy with Ming and Hugeum(後金) during the reign of Gwanghaegun(光海君) and its political and ideological implications.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background and motive of YiI-chum(李爾瞻)"s argument for the master of chirping theory and Daemyeongeurie(對明義理). During the reign of Gwanghaegun(光海君), most of his officials insisted on support for Ming and a hard-line policy against Hugeum(後金), regardless of political factions. They were clearly aware that the Joseon army did not have a military advantage over Hugeum(後金) army, and that even the Ming army could not overwhelm Hugeum(後金) army. And they were also well aware that if Joseon accepted Ming"s request and sent relief troops, Hugeum(後金) might retaliate. YiI-chum(李爾瞻) also consistently emphasized the Sadaeeuirie(事大義理) and in return for Chaejochieun(再造之恩)’, and insisted on sending soldiers to Ming and the im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with Hugeum(後金). He recognized the denial of Daemyeongsadae(對明事大) or Daemyeongeurie (對明義理) as the extinction of ethics. Interestingly, the leading forces of the Injo Banjeong(仁祖反正) also used the same rhetoric to justify the expulsion of Gwanghaegun(光海君). The situation after the defeat of the Battle of Simha(深河) was even more unfavorable to Joseon than before, but the officials of the royal court, including YiI-chum(李爾瞻), did not change their arguments. Because their Cheok’hwa-ron(斥和論) was basically raised from the dimension of righteousness that transcends interest, rather than as a diplomatic and security alternative. YiI-chum(李爾瞻) was also a person who was deeply buried in the intellectual atmosphere of the time, who regarded Cheok’hwa and Daemyeongeuirie(對明義理) as unchanging truths and universal reasons, just like the meritorious retainer of Injo Banjeong(仁祖反正). His strong temperament and political disposition as a fundamentalist practitioner should be noted as another background in which he took the lead in raising the Cheok’hwa-ron(斥和論). In this regard, he fiercely attacked Ryu Seong-ryong(柳成龍)"s realist diplomatic line calling it Juhwaogug(主和誤國) and also left a track that emphasized strict adherence to diplomatic rites related to the Ming.

      • KCI등재

        남공철(南公轍)의 연행(燕行) 체험과 대청의식(對淸意識)

        안순태 국문학회 2017 국문학연구 Vol.0 No.3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Nam Gongcheol(1760~1840) when he visited the Qing Dynasty in 1807 and the perception of the Qing Dynasty of him. In the course of 1807, Nam Gongcheol received his preface to prominent figures of the Qing such as Cao Jiang曹江, Li Linsong李林松, and Chen Xizu陳希祖, and was included in his collection of works published in 1815 by himself. Among them, especially, Cao Jiang was already known among the intellectuals of Joseon, so Nam Gongcheol visited Cao Jiang without hesitation. In Beijing, too, Nam Gongcheol met directly with the Zhu Yuren猪裕仁 and Wu Siquan吳思權. He also left a record of the meeting with Ryukyu琉球 ambassadors. Because all of the preface was wrote by descendant of the people of Ming明, Nam Gongcheol set them in his anthology as a preface. In addition, Zhu Yuren褚裕仁 and Wu Siquan吳思權 were all descendants of the Ming明, Nam Gongcheol felt strong sympathy for them. Such consciousness of conscience was expressed by the discrimination against Man people滿人 and Han people漢人. It is surprising to note that Nam Gongcheol, who was once enthusiastic with the school to learn the Qing Dynasty such as Park Jiwon, Yu Deukgong, and Park Jaega, however, he basically was lied in the background of the family and the political background that can not throw up the Daemyung loyalty大明義理論. It was perhaps natural that his father, Nam Yuyong, had written a history of Ming明, and that emphasized the faithful to Daemyung loyalty. In addition, most of the Joseon intellectuals at that time, in spite of the craze to learn the civilization of Qing Dynasty, could not deny the Daemyung loyalty actively. Yi Dukmu who closely cooperated with Nam Gongcheol, also had a great interest in the descendant of Ming people. As well known, Nam Gongcheol was a eclectic for Han Methodology漢學 and Song Methodology宋學. However, accepting the merits of Han Methodology漢學 is to relativize Song Methodology宋學, which is contradictive to the Daemyung loyalty, which had been weakened from the beginning. The reason why Nam Gongcheol, who had this self-contradiction, did not give up the Daemyung loyalty until the end was the courtesy to Ming people and the compassion for them through discrimination.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Daemyung loyalty can be said to show the deep self-contradiction of the intellectuals who could stand up at the final stage of Daemyung loyalty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y acknowledged the merits of Han Methodology漢漢, which was to relativize the orthodox Neo-Confucianism. However, as the Daemyung loyalty was based on the orthodox Neo-Confucianism, they did not give up the that by expressing sympathy for the descendant of the people of Ming明. Because of his family background and political status, it seems that Nam Gongcheol was forced to ignore the advanced artifacts of the Qing Dynasty while experiencing the journey to the Qing Dynasty. 본고는 남공철(南公轍, 1760~1840)의 1807년 연행 체험과 청에 대한 인식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남공철은 1807년 연행 과정에서 조강(曹江), 이임송(李林松), 진희조(陳希祖) 등 청(淸)의 명사들에게 자신의 시문을 보이고 서문을 받아와 1815년 자신이 직접 편찬하여 인행(印行)한 문집 『금릉집(金陵集)』에 수록했다. 이들 중 특히 조강은 이미 조선 문사들 사이에 이름이 알려져 있었기에 남공철은 서슴없이 조강을 찾았던 것이다. 또한 북경에서 남공철은 저유인(猪裕仁)․오사권(吳思權)과 직접 만나 필담을 나누기도 하였다. 남공철이 자신의 문집 서문으로 조강․이임송․진희조의 것만을 수록한 이유는 이들이 모두 명(明) 유민(遺民)의 후예인 한인(漢人)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직접 만나 교유한 저유인이나 오사권 역시 명 유민의 후예로, 남공철은 이들 명 유민의 후예에게 강한 연민의식을 느끼고 있었다. 그러한 연민의식은 그의 대명의리론과 결부되어 만한(滿漢) 차별론으로 표출되었다. 한때 박지원, 유득공, 박제가 등과 같은 북학파들과 활발히 교유하고 고동서화 취미에 열성적이었던 남공철이 청의 문물을 배워야 한다는 논의는 고사하고 오히려 만한 차별론을 내세워 애써 만청(滿淸)을 부정하려 했다는 사실은 의외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는 기본적으로 대명의리론에 충실할 수밖에 없는 가문적, 정치적 배경에 놓여 있었다. 부친 남유용이 남명(南明)의 역사를 정통으로 하여 명사(明史)를 다시 써 『명서정강(明書正剛)』을 편찬하고 대명의리론을 강고하게 내세웠던 점을 생각하면 남공철의 ‘만한 차별론’이 난데없는 것도 아니었다. 또 남공철이 친밀하게 교유한 이덕무(李德懋) 또한 명 유민에 대한 관심이 컸던 점, 당시 대부분의 조선 지식인들은 북학의 열풍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대명의리론을 적극적으로 부정할 수 없었다는 점 등도 남공철의 대청의식(對淸意識)에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남공철은 한송절충론자(漢宋折衷論者)였다. 그러나 한학의 장점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송학을 상대화하는 것, 즉 더 이상 주자 학설의 절대성이 담보되지 못하는 것으로, 이는 다름 아닌 주자의 명분론에 기반한 대명의리론의 약화 소지를 애초부터 안고 있는 것이기도 했다. 즉 대명의리론을 내세우면서 동시에 한송절충론을 내세우는 것은 자기 모순적인 것이었다. 이러한 자기 모순을 안고 있던 남공철이 끝까지 포기하지 못한 대명의리론은 만한의 차별을 통한 명 유민에의 예우 내지 그들에 대한 연민의식으로 나타났다. 청의 문물을 받아들이자는 북학론자들도 대개는 대명의리를 부정하지 못했다. 그러나 북학과 대명의리 또한 모순되는 것이기에 그들이 취할 수 있는 것은 대명의리를 거론하지 않거나 소극적으로 거론하는 것이었다. 이것이 한송절충론과 북학 논의가 활발해지던 18, 19세기 상당수 조선 지식인들이 취할 수 있는 입장이었다. 남공철이 연행한 후 15년이 지난 1822년, 추사(秋史)의 족숙(族叔) 김노겸(金魯謙)은 연행하는 족질(族姪) 김명희(金命喜)에게 연행과 관련하여 재고해야 할 점들을 정리하여 서문을 써준다. 이는 당시 연행 풍조에 대한 반성임과 동시에 19세기 초반에 취할 수 있는 대명의리론의 향방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는 점에서 남공철의 연행 체험 및 그의 대명의리론에 견주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서문에서 김 ...

      • KCI등재

        ‘列聖御製別編’에 나타난 對明義理論의 전개

        안장리 열상고전연구회 2014 열상고전연구 Vol.42 No.-

        본고는 두 가지를 밝히려고 하였다. 첫째는 조선 역대 왕의 글을 모은 列星御製 에 別編이 존재하는 이유와 존재양상이며, 둘째는 열성어제별편에 표출된 대명의 리론의 국왕별 전개양상이다. 열성어제별편은 청나라에 저촉되는 글만 모아 진상․보관용으로 두고 반사하지 않았으며, 숙종, 영조, 정조, 순조, 익종 등 5명만 남겼다. 별편 시문의 분량을 보면 숙종은 시가 많고 문이 적으며 문은 숙종, 영조, 정조 순으로 확대되다가 순조․익 종 대에는 현격히 줄어들었는데 이는 대명의리론의 전개와 연계되어 있었다. 본고에서는 대명의리론의 전개를 왕대별로 형성기, 정립기, 확대기, 강화기로 각각 나누었다. 대명의리론 형성기의 숙종은 대명의리보다는 청나라에 대한 분노 와 북벌의지가 컸고, 명나라에 대해서도 再造之恩의 대상인 神宗을 제향하는 대 보단을 세우는 등 신종 중심의 어제를 남겼다. 대명의리론 정립기의 영조는 신종 뿐 아니라 명나라 마지막 황제인 毅宗 그리고 명나라 태조에 대한 의리를 강조하 여 대보단에 이 세 황제를 향사하게 함으로써 단순히 재조지은에 대한 감사가 아 니라 명나라 전체에 대한 의리를 강조하였다. 즉 이 시기에는 재조지은보다 尊周 大義의 이념이 더 중시되었다. 대명의리론 확대기의 정조는 조선을 존주대의의 정신을 이은 나라로 보고 더 나아가 존주대의의 혈통을 이은 명나라 후손을 표창 함으로써 대명의리론의 범주를 현저히 확대해 나갔다. 대명의리론 강화기의 순조 와 익종은 명나라 황제에 대한 불손한 언행을 징치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시기 대명의리론은 의심의 여지없는 당대 이데올로기로 강화된 것이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wo things. One is to find out why there is a separate publication to Yeolseongeoje, a collection of writings by the kings of Joseon Dynasty, and the status of the existence of the collection. Second is to examine how Joseon's loyalty to the Ming Dynasty developed by king's reign in Yeolseongeoje-byeolpyeon. Yeolseongeoje-byeolpyeon contains the writings of Kings Sukjong, Yeongjo, Jeongjo, Sunjo and Ikjong and says that writings unfavorable to the Qing Dynasty were separately published and then tributed to kings or kept instead of being distributed. As for poems and proses in Yeolseongeoje-byeolpyeon, the collection includes more poems by King Sukjong than his proses. The number of proses by kings in the collection topped in King Jeongjo's reign, followed by Yeongjo's reign and Sukjong's reign. The figure sharply decreased in the reigns of Kings Sunjo and Ikjong.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Joseon's loyalty to the Ming Dynasty is divided into four stages by king's reign: forming stage; establishing stage; expanding stage; and enhancing stage. According to Sukjongeoje-byeolpyeon, King Sukjong's reign was the period when resentment against the Qing Dynasty and the willingness to conquer the north were strongly prevailed. In addition, the view to regard the Ming Dynasty, specifically Ming emperor Sin-chong, as the one who saved Joseon from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ppeared,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Joseon's loyalty to the Ming Dynasty. In King Yeongjo's reign, such view was intensified, emphasizing loyalty to the entire Ming Dynasty including Taejo and the last emperor Uijong. That is, during this period, respect for Zhou Dynasty that represents sinocentrism was more emphasized than repaying the Ming Dynasty's help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This is the essence of the argument for Joseon's loyalty to the Ming Dynasty, so King Yeongjo's reign is considered as the period when Joseon's loyalty to the Ming Dynasty was established. King Jeongjo regarded Joseon as the nation that had inherited the spirit of respecting Zhou Dynasty that represents sinocentrism and commended the descendants of the Ming Dynasty who inherited the spirit of respecting Zhou Dynasty that represents sinocentrism, significantly expanding the scope of Joseon's loyalty to the Ming Dynasty. In the reigns of Kings Sunjo and Ikjong, Joseon's loyalty to the Ming Dynasty was enhanced as the absolute ideology of the time, and therefore insolent words and behaviors towards the Ming Dynasty were subject to punishment. This period, therefore, is considered as enhancing stage.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rough Yeolseongeoje-byeolpyeon that Joseon's loyalty to the Ming Dynasty initiated from resentment against the Qing Dynasty and then developed from the movement to repay emperor Sin-chong's help in the Japanese Invasion to loyalty to the entire Ming Dynasty based on the respect for Zhou Dynasty that represents sinocentrism. Joseon's loyalty to the Ming Dynasty was further intensified through the reigns of kings Jeongjo, Sunjo and Ikjong.

      • KCI등재

        대명의리론(對明義理論)의 추이(推移)와 조선관왕묘(朝鮮關王廟) -선조(宣祖)~숙종연간(肅宗年間)을 중심으로-

        이성형 ( Sung Hyeong Lee ) 한국한문학회 2014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3

        關王廟의 위상 변화는 조선의 對明義理論의 변화 시기와 거의 일치하는 점을 볼 수 있다. 주목할 부분은 北伐論이 조선의 정국을 주도하여 尙武的분위기가 조성되었던 孝宗代에는 관왕묘에 대한 관심이 단절되었으나, 지배층의 북벌론이 사실상 중단될 즈음부터 관왕묘에 대한 관심이 부활됨으로써 관왕묘의 위상 변화에 대명의리론의 추이가 중요하게 작용되었다. 임진왜란 이후 明의 존속기에는 再造之恩을 명분으로 요구가 있으면 조선은 이를 수동적으로 수용해야하는 입장이었다. 따라서 明이 관왕묘 건립을 요구했을 때, 결국 관왕묘를 건립하고, 明의 관리가 출래할 경우를 대비해서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宣祖와 光海君은 關羽가 ‘不事二君’의 忠義를 실천한 것을 높이 평가하고, 조선의 상무적 분위기를 제고하고자 했다. 다만 明의 요구를 일방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조선의 성리학적 가치에 따른 비판 의식도 볼 수 있다. 孝宗代에 접어들면서 한동안 관왕묘에 대한 관심이 단절된다. 당시 관왕묘는 淸에서도 일반화 되었고, 이단적 요소가 강했었기 때문에 성리학적 가치관이 더욱 공고화되어가던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관심에서 멀어지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관왕묘에 대한 諱避期는 중국적 관왕묘의 성격이 剝脫되는 기간으로 작용되었다. 肅宗代에 접어들면서 尊周論이 새로운 시대의식으로 재정립되면서 관왕묘는 그 가치를 새롭게 재조명 받았다. 우선 관왕묘가 明의 문화를 가장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유적이었기 때문에 재조지은의 환기에 가장 적합했다. 또한 17세기 후반부터 폭넓게 유행하였던 삼국지연의 가 朱子의 蜀漢正統論을 계승했기 때문에 존주론과 지향점이 서로 통했다. 결국 존주론을 강화하기 위해서 관왕묘가 재조명된 것이기 때문에 불교와 도교적 요소가 剝脫되고 조선의 성리학적 자장 안에서 忠義의 表象空間으로 부활할 수 있었다. 조선 관왕묘는 처음 도입되었을 당시 중국의 儒佛道가 習合된 종교적 관왕묘의 성격에서 숙종대에 ‘儒將’ 관우를 현창하는 성리학적 표상공간으로 재탄생 될 수 있었다. 이러한 이면에는 조선 국왕들의 적극적인 왕권강화 의지가 반영되었다. 특히 ‘陵幸’이나 ‘軍行’에 관왕묘를 방문함으로써 尙武的분위기를 振作시키고, 王室에 대한 충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구체화 되었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significance and change in status of Gwanwangmyo(關王廟) at Chosun(朝鮮) dynasty depending on the change of Damyeong Euiri Discourse(對明義理論). The change in status of Gwanwangmyo(關王廟) is seen to have everything to do with that of Damyeong Euiri Discourse(對明義理論) at that time at Chosun(朝鮮). It is noteworthy that attention to Gwanwangmyo(關王廟) was not paid during the reign of Hyojong(孝宗) when political situations went with Plan for Northern Subjugation(北伐論), promoting the atmosphere of worship- ping martial arts. However, by the time Plan for Northern Subjugation(北 伐論) led by the ruling class was virtually halted, attention to Gwan- wangmyo(關王廟) was back. The trends of Damyeong Euiri Discourse(對明 義理論) along with the revival of Theory of Esteem China(尊周論) and Gwanwangmyo(關王廟) had a crucial effect on the change in status of Gwanwangmyo(關王廟). While Ming Dynasty was highly influential in Chosun(朝鮮)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Chosun in 1592-1598(壬辰倭亂), Chosun(朝鮮) had to accede to a demand of Ming China in the name of “Chaejojien(再造之恩)”. Thus, when Ming demanded construction of Gwanwangmyo(關王廟), although it was considered to be negative, Chosun(朝鮮) had to establish and constantly manage it in case Ming government officials visited Chosun(朝鮮). In the meantime, Seonjo(宣祖) and Gwanghaegoon(光海君) thought highly of Kwanwoo(關羽)`s loyalty based on the belief of serving but one king and wanted to enhance awareness of martial arts in Chosun (朝鮮) society through the fact that Chosun(朝鮮) defeated Japanese invaders. However, the criticism that Chosun(朝鮮) did not always accede to a demand of Ming might be seen according to the value of Neo- Confucianism. During the rule of Hyojong(孝宗), there was no interest in Gwanwangmyo(關王廟) for a while. This is because at that point, Gwan- wangmyo(關王廟) was common in Quing dynasty regarded as bar- barians, the idea was heterogeneous for Chosun(朝鮮), and neo-Confucian values was consolidated further. This period of forgetting it served as a momentum that Chinese aspects of Gwanwangmyo(關王廟) disappeared. During the rule of Sukjong(肅宗), Theory of Esteem China(尊周論) was redefined as a new awareness of the time and its value was reviewed. Because Gwanwangmyo(關王廟) was a historical site which revealed the culture of Ming dynasty, it was suitable for arousing “Chaejojien(再造之 恩)”, which emphasized loyalty to Ming dynasty. Also, from the late 17th century,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演義) was prevailing. Because it succeeded to Authentic Theory of Shu Han(蜀漢正統論) by Chu His, it shared the same idea as Theory of Esteem China(尊周論). In fact, the review of Gwanwangmyo(關王廟) aimed to enhance Theory of Esteem China(尊周論). In this respect, the element of Buddhism and Taoism disappeared and Neo-Confucian loyalty superficially revived in Chosun (朝鮮)`s own way. When Chosun(朝鮮) Gwanwangmyo(關王廟) was firstly introduced, by depriving religious Chinese Gwanwangmyo(關王廟) intermixed with Buddhism, Taoism, and Neo-Confucianism of the element of Buddhism and Taoism, it could revive as space for fulfilling Kwanwoo during the rule of Sukjong(肅宗). The reason Chosun(朝鮮) Gwanwangmyo(關王廟) was emphasized as space for loyalty was that Chosun(朝鮮)`s kings had a strong will on strengthening sovereign power. Particularly, by visiting Gwanwangmyo(關王廟) on the way to a trip to the royal tomb and military marching, they boosted the atmosphere of worshipping martial arts and highlighted loyalty to the crown.

      • KCI등재

        숙종의 대명의리와 문학적 형상화 시점

        김덕수(Kim, Deok-su) 한국고전번역원 2022 民族文化 Vol.60 No.-

        조선은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와 군신관계를 맺고 사대 외교정책을 시행했으나 조선 국왕과 집권 사대부는 걸핏하면 명나라의 재조지은과 청나라에 대한 복수설치를 주장했다. 숙종 역시 예외는 아니어서 재조지은이야말로 조선이 영원히 견지해야 할 의리라고 생각했다. 북벌의 실천이 현실적으로 요원하다는 것을 숙종이 몰랐던 것은 아니지만 부단히 시문을 지어 존주대의와 복수설치의 의지를 형상화했다. 1720년(경종 1) 숙종 시문을 간행할 때 대명의리와 숭명배청 의식이 농후한 작품들이 비로소 『열성어제별편』으로 따로 묶여 간행되었고 이것은 『열성어제별편』 제작의 효시가 되었다. 숙종이 숭명배청 의식을 환기하고 관련 작품을 찬술한 시점은 특정 시간, 특정 공간, 특정 의물, 특정 상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임진왜란, 병자호란, 명나라 패망을 기점으로 해당 연도의 주갑이 도래했을 때 으레 숭명배청 의식을 떠올리며 시문 제작을 통해 의지와 감회를 피력했다. 동짓날에 새해 책력을 보거나 신년에 새봄을 송축하는 시를 지으면서도 청나라 정벌과 명나라 재건을 고대했다. 숙종이 숭명배청 의식을 환기하며 시문을 찬술하던 공간, 혹은 시문의 소재가 된 공간도 청나라에 대한 복수설치와 관련된 곳들이다. 무안왕묘, 선무사, 대보단 등은 재조지은을 상징하는 곳이고 현절사, 쌍령 등은 병자호란과 관련된 곳이다. 명나라 황제가 보내준 곤룡포, 국새 인문 등 명나라 관련 의물을 매개로 하여 대명의리와 숭명배청 의식을 환기하기도 했다. 이밖에 명나라 황제 및 효종의 어제·어필 감상, 조선 충신의 서화 감상, 독서 체험, 청나라 첩보 접수, 조선 사신 전송 등의 상황에서도 북벌의 염원 및 존주양이의 뜻을 피력했다. King Sukjong of Joseon (肅宗) focused on recovering the tarnished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wielding powerful royal authority for 46 years since the tender age 14, when he acceded to the throne. The need to manage the government during the sudden political transition(換局) presented an effective opportunity for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and suppressing the ministers’ authority. However, Sukjong could not help falling into a dilemma as he faced the need to engage, again, the forces that he had purged during the sudden political transition. Therefore, Sukjong comforted Southerners(南人) and those of the Young Doctrine(少論) as well as Old Doctrine(老論) by creating poetry, as a form of book report, after reading the literary collections written by liege subjects. He even revealed his mistakes through his poems. Furthermore, he would reward examples of loyalty by granting his poems, as eoje(御製), to his liege subjects directly, while intending to require them to demonstrate the virtue of loyalty. His experience of reading the literary collections of his liege subjects had an effect on Sukjeong’s political decisions, and he would carry out his political will by setting forth his inspirations and intentions through his poems, both in and outside Seoul, the capital. In addition, Sukjong utilized his poems to call attention to the benefits or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clarifying the principles of jaejojieun(再造之恩), or the rebuilding of the nation, and daemyeongeuiri(大明義理), the support of righteousness. King Sukjong was not satisfied with simply setting forth his personal feelings. His poems served not only as a channel to deliver his political intentions or decisions to his liege subjects, but as a means of consolation toward his liege subjects and reconciling clans or factions. In conclusion, compared with the motivations of other kings of the Joseon dynasty for creating poetry, Sukjong’s was different: his poetry was a kind of political activity.

      • KCI등재

        정조대 대청 외교와 대명의리의 공존,그 맥락과 의미

        허태구 부경역사연구소 2020 지역과 역사 Vol.- No.47

        This paper aims to explain contradictory phenomenon of Joseon’s amicable diplomacy to Qing Dynasty and the coexistence of Daemyeongeuirie(對明義理)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from a new perspective, not from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As such, it was intended to highlight the historical nature of Joseon’s relations with the Qing Dynas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seon’s awareness of the Qing Dynasty.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Qing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remained stable amid the unprecedented friendly atmosphere. King Jeongjo maintained a pragmatic and friendly attitude in the diplomatic field with Qing Dynasty. His diplomatic line was basically implemented for the safety of the people and the security of the nation. At the same time, King Jeongjo thought that the Joseon should maintain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Qing Dynasty through good faith and respect, not on the level of diplomatic deception, as long as he was treated with extreme treatment by Emperor Qianlong. Meanwhile, despite the collapse of the Ming Dynasty, Joseon’s people belief in universal Chinese civilization remained unshakable at all. The Daemyeongeuirie(對明義理), which symbolizes this belief, was practiced in various ways at the level of Li(禮) and History(史), allowing it to coexist without conflict with the amicable diplomacy to Qing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Joseon’s people of the period, this was not a meaningless act that could have no effect on the outcome of the Ming-Qing Transition, but rather a way out of the unbelievable reality of the reversal of Hwa’ih(華夷). 이 논문은 정조대의 유화적 대청 외교와 대명의리의 공존이라는 모순적 현상을 왕권 강화가 아닌 새로운 시각으로 설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그럼으로써 이 시기 대청 관계의 역사성과 대청 인식의 특징을 부각하고자 하였다. 정조대 조·청 관계는 유례없는 우호적 분위기 속에서 안정적 관계를 유지하였다. 정조는 대청 외교의 현장에서 실용적이고 호의적 태도를 일관되게 보였다. 이러한 그의 외교 노선은 기본적으로 安民과 保國을 위해서 시행된 것이었다. 동시에 정조는 건륭제의 후대를 받은 이상, 외교적 기만술의 차원이 아닌 신의와 공경으로써 청과의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한편 명이 멸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中華 문명을 보편으로 간주하는 당대 조선인의 믿음은 전혀 흔들리지 않았다. 이 신념을 상징하는 對明義理는 禮와 史의 차원에서 다양하게 실천됨으로써 대청 외교의 현실과 충돌 없이 공존할 수 있었다. 당대인의 시각에서 볼 때 이러한 행위는 명‧청 교체라는 결과에 아무런 영향을 미칠 수 없는 무의미한 행위가 아니라, 華夷의 역전이라는 믿을 수 없는 현실을 감내하게 하는 그들 나름의 탈출구였다.

      • KCI등재

        張晩의 대외정세 인식과 대중국 외교현안 대응

        허태구 대구사학회 2022 대구사학 Vol.146 No.-

        This paper examined Jang Man(張晩)'s perception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nd response to diplomatic issues with China, who served as the highest-ranking military and diplomatic experts from the reign of King Seonjo(宣祖) to the reign of King Injo(仁祖). The important poi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Jangman(張晩)'s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the Hugeum(後金) changed little by little as the Hugeum(後金)'s power expanded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surrounding it changed. However, Jang Man(張晩) and other kings and servants of the Royal Court judged that the Hugeum(後金)'s top priority attack goal was not Joseon(朝鮮) or Mao Wenlong(毛文龍)'s military camp, so they did not see the possibility of a full-scale invasion of the Hugeum(後金) until just before the Jeongmyo Horan(丁卯胡亂). In the early days of the reign of King Injo(仁祖), one of the most important security issues in Joseon(朝鮮) was the response to Mao Wenlong(毛文龍) and Liao Dong refugees(遼民). Jang Man(張晩) was concerned about the unintended war situation between Joseon(朝鮮) and Hugeum(後金) caused by Mao Wenlong(毛文龍)'s conspicuous and provocative armed demonstration against the Hugeum(後金). And he insisted on strengthening his defense posture. Second, Jang Man(張晩) was a competent practical official who was in charge of post-war defense in the Pyeongan-do(平安道) area devastated by the defeat of the Simha battle(深河戰鬪) and helped King Gwanghaegun(光海君)'s wait-and-see diplomatic route. Nevertheless, when dealing with various diplomatic issues related to the Ming(明), he still strongly recognized and dealt with the justification of Daemyeongeuirie(對明義理). His position and attitude did not change when dealing with problems related to Daemyeongeuirie(對明義理) in the reign of King Injo(仁祖). However, his Daemyeongsadae(對明事大) was not at all in the name of Daemyeongeuirie(對明義理), giving up Joseon(朝鮮)'s national interests. His move was distinct from Yi I-cheom(李爾瞻) and Yoo Hee-bun(柳希奮), who insisted on a strong Cheokhwa-ron(斥和論) against the Hugeum(後金). 이 논문은 선조대부터 인조대까지 최고위급 군사‧외교 전문가로 활약한 張晩(1566∼1629)의 대외정세 인식과 대중국 외교현안에 대한 대응을 살펴보았다. 이 논문의 중요한 논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만의 대후금 인식과 평가는 後金의 세력이 확대되고 이를 둘러싼 대외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조금씩 달라졌다. 그러나 장만을 비롯한 인조대 조정의 君臣들은 후금의 최우선 공격 목표를 조선이나 毛營이 아닌 中原으로 판단하여, 정묘호란 직전까지도 후금의 전면적인 침략 가능성을 높게 보지 않았다. 인조대 초반의 조선의 가장 중요한 안보 이슈 가운데 하나는 毛文龍과 요동 난민에 대한 대응이었다. 장만은 후금에 대한 모문룡의 과시적이고 도발적인 무력시위가 조선과 후금 사이의 우발적 교전을 야기하는 상황을 우려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방어 태세 강화를 시종일관 주장하였다. 둘째, 장만은 深河 패전으로 초토화된 關西 지역의 전후 수습을 전담하며 광해군의 관망적이고 양단적인 외교노선에 힘을 보탠 유능한 실무형 관료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명과 관련된 다양한 외교현안을 다룰 때에는 여전히 對明義理라는 명분을 강하게 인식하며 대처하였다. 인조대 모문룡 문제를 처리할 때에도 이와 유사한 그의 입장과 태도는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對明事大가 대명의리라는 명분에 함몰되어 조선의 국익을 방기하는 성격의 것은 전혀 아니었다. 이러한 그의 행보는 후금에 대한 강경한 척화론을 주장하였던 李爾瞻, 柳希奮 등과는 구별되는 것이었다.

      • KCI등재

        崔鳴吉의 主和論과 對明義理

        허태구(Huh, Tae koo) 한국사연구회 2013 한국사연구 Vol.162 No.-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the basis and contents of the controversy that occurred between arguments to either pursue peace with the enemy or to boycott peace negotiations with the enemy, at the time of the two invasions from Manchu(“胡亂”) in 1627 and 1636. Purpose of such examination i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ter argument, as well as the reason the former argument was never allowed to prevail at the time. Also discussed here is the fact that Choi Myeong-gil’s argument for peace negotiation continued to change its stance and bases, as tension between Joseon and Hugeum(Qing) continued to rise. What Choi Myeong-gil really thought about his own argument of peace pursuit, and the idea of making peace with Qing, and what kind of stance he had after the war when Joseon was forced to aid Qing with troops, are discussed here as well in order to determine the connection between his argument of supporting peace and the issue of Daemyeong Euiri(對明義理). By doing so it is intended here to catch what was missed from previous examinations based upon a perspective which tended to believe that the argument to support peace was based upon an attitude of pursuing practical advantages, and that the argument of boycotting negotiations was based upon an attitude of pursuing a righteous agenda. In retrospect, both arguments were not that different in nature, and the pursuit of either one did not mean either maintaining or giving up the Daemyeong Euiri(對明義理). It was a clash of opinions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the stake was the dynasty’s fate itself.

      • KCI등재

        黃景源 漢詩를 통해 본 신념과 감성, 의리와 시의 상관성에 대하여

        김동준(Kim, Dong-jun) 한국고전번역원 2013 民族文化 Vol.42 No.-

        본고는 英祖代의 대표적 문장가로 알려져 있는 黃景源의 漢詩를 대상으로 삼아, 한시작가로서 논의할 만한 가치가 있는가, 논의할 만한 가치가 있다면 그의 한시에 나타난 어떤 면모에 주목해야 하는가를 기본적인 질문으로 삼았다. 그는 英祖와 正祖 시대의 사상사와 정치사에서 중대한 역할을 수행하고 당대를 대표하는 저술가로 평가되기도 하였지만, 그간 그의 시문학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략했다. 이에 본고는 작품성의 성취 여부를 떠나 황경원의 한시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는 관점을 선택하여, 그의 삶과 자의식, 그리고 그의 지론인 對明義理論과 詩文學의 관련성, 나아가 그가 실현한 시문학의 특징과 가치를 究明하고자 하였다. 논의의 결과, 그의 한시가 빼어난 작품성을 지녔다고 평가하기에는 미흡하지만 문학사에서 주의해볼만한 요소들을 갖추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첫째, 그가 참여한 20대의 詩會가 조선후기 시회의 전형적인 모습을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게 해준다는 점, 둘째, 황경원의 개인사 및 자의식과 관련하여 그의 삶, 신념, 문학이 일관되게 조응하고 있다는 점, 셋째, 변치 않는 신념을 선명한 주제의식으로 흡수하여 이를 시문학으로 형상화하였다는 점이다. 특히 세 번째의 특징은 황경원 시문학의 핵심을 이루는 것으로써, 강렬한 주제의식과 명료한 신념을 敍事的 기법과 긴밀하게 결합 시키고 있었다. 아울러, 황경원이 선택한 시문학의 경로는 시문학 연구자에게 다시 고민해야할 문제를 제기하고 있었다. 漢詩란 반드시 美的이어야 하는가? 아니면 시 쓰기는 기본적으로 자신을 위한 것인가? 황경원의 한시는 이런 질문을 다시 돌아보게 한다는 점에서 문제적 대상이라 하겠다. Targeting Sino-Korean poetry of Hwang Kyeongwon(黃景源) known as the representative writer during the reign of Yeongjo(英祖), this paper developed the point of argument based on basic questions such as ‘Is he worthy to be discussed as a Sino-Korean poet?’ ‘If so, which aspect of his Sino-Korean poetry should be noticed’. Though he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history of thought and politics during the reign of Yeongjo and Jeongjo(正祖) and was also evaluated as a writer representing those day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his poetic literature. Thus, by selecting the perspective that there is a need to study Hwang Kyeongwon’s Sino-Korean poetry regardless of the achievement of literary value, this paper was to identify his life and self-consciousness, relevance between Daemyeonguiriron(Claim to be loyal to the Ming Dynasty 對明義理論), his opinion and poetic literature and furthermore, the features and value of poetic literature realized by him. The results of discussion found out that his Sino-Korean poetry is not enough to be evaluated to have excellent literary value but there are following elements worth noticing in terms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First, the 20s poetry club in which he participated allows us to specifically examine the typical aspect of poetry clubs of the late of Chosun Dinasty. Second, with respect to Hwang Kyeongwon’s personal history and self-consciousness, his life, beliefs, and literature correspond consistently. Third, unchanging belief was absorbed into clear subject consciousness and shaped into poetic literature. In particular, the third feature formed the core of H wang Kyeongwon’s poetic literature and closely combined intense subject consciousness and clear beliefs with narrative technique. In addition, the path of poetic literature selected by Hwang Kyeongwon raises questions to be thought about to poetic literature researchers. Sino-Korean Poetry should be aesthetic? Or writing poems are basically for your self? Hwang Kyeongwon’s Sino-Korean Poetry can be said to be the problematic target for these questions rather than in the interior of his achievements.

      • KCI등재

        청대(淸代) 요서(遼西) 지역 민가(民家)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시각 - 조선 후기 사행록(使行錄)을 중심으로 -

        김지현 ( Kim Chi-hyou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5 No.-

        조선 시대의 중국 사행에서 중국 동북부 요서지역은 주된 사행노정이었다. 이들 지역을 지나면서 견문한 사실 중에서 본고는 요서 지역 민가에 대한 사행록 서술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가장 이른 기록인 권근의 「봉사록」에도 이미 14세기말부터 이 지역 민가는 일자형 평면으로 지붕마루가 없어서 지붕이 평평하며, 지붕 위를 흙이나 백회를 덧발랐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이후 김창업과 이의현은 이들 민가에 대해 ‘일자형’ 구조와 지붕 재료에 대해 객관적으로 서술하였으며, 최덕중은 ‘평방자’라 칭하고 ‘괴이하다’ 라는 주관적인 감상을 덧붙였을 뿐 별다른 의견을 서술하지는 않았다. 황재는 요서 지역 민가에 대해 ‘평방자(平房子)’라는 최덕중의 용어를 사용하고 ‘명나라 유민이 명나라가 망해 임금이 없는 것을 슬퍼해서 대들보 즉 지붕머리가 없는 집을 짓고 산다’는 의미를 덧붙였다. 대명의리론에 입각하여 요서 지역 민가에 대해 평한 것으로 이후 ‘평방자’ 대신 ‘무량옥(無樑屋)’이라 명칭이 변하게 되었다. 송시열의 대명의리론을 계승한 권상하의 손녀 사위였던 황재의 이러한 견해는 이후 조선후기 18세기 사행록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19세기 이해응의 『계산기정』에서도 여전히 확인된다. 그러나 18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황재의 대명의리론 시각에 반박하는 기록들 또한 많아졌다. 즉 요서 지역 민가의 일자형 구조와 평평한 지붕, 진흙 또는 백회로 덧바른 이유가 정치적 의미가 아닌 자연 환경으로 인한 선택이었다는 실학적 시각에 입각한 논의가 정광충, 이의봉, 조환, 김정중 등에 의해 서술되었는데, 이들은 지붕에 덧바른 재료도 단순한 진흙이 아닌 감토(㙳土)를 사용하여 비가 새지 않도록 하였음을 지적하였다. 송시열이 영도하던 노론 쪽에서 강고한 대명의리론을 부르짖고 있을 때 노론의 대표적 인사였던 김창업과 이의현의 사행록에서도 민가에 대해 ‘일자형’인 집의 객관적인 사실만을 기록해 두었다. 이는 노론이라고 해서 무조건적인 대명의리의 관점에 서 청을 바라보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권상하의 손녀사위인 황재에 의해 요서 지역 민가의 형성 원인으로 ‘명나라에 대한 충의’라는 이유가 서술된 후 이러한 의미가 반복되어 재생산되어갔지만, 또 다른 사행록 속에서는 객관적 사실 서술을 중심으로 실학적 사고에 의해 이러한 의견은 극복되어 갔다. 이는 좀 더 세심하게 사행록 속에 나타난 조선 지식인들의 시각차를 고구해야할 것을 시사해준다. In the traveling record of China during the Joseon Era,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Liaoxi Region in China was the main course of journey. From the facts seen and experienced while passing the region, this article has contemplated the Sahaengroks description on the private housings in the Liaoxi Region with the profound insight. In Gwon Geun’s 「Bongsa-rok」 that is the earliest recorded article, those private housings in this area had the straight-type plane without the roof ridge from the end of the 14th century to have flat roof and the top of the roof had the clay or white limestone applied over the roof. Thereafter, Kim Chang-eop and Lee Ui-hyeon objectively described on those private housings with respect to the ‘straight-type’ structure and roof material, and Choi Deok-jung named as ‘Pyeongbangja’ and added his subjective opinion to describe as ‘peculiar’ without mentioning any particular opinion on this matter. Regarding the private housings in the Liaoxi Region, Hwang Jae used the term of Choi Deok-jung as ‘Pyeongbangja’ and added the implication of ‘Yoo Min of Ming Dynasty constructed and lived in a house without the roof head, namely, beams, for expressing his sorrow to see the Ming Dynasty fallen to have no king to rule’. Based on the Theory of Loyalty toward Ming Dynasty, it is an assessment on the Liaoxi Region that the name of ‘Pyeongbangja’ was changed to ‘Muryangok’ thereafter. Hwang Jae, the husband of Gwon Sang-ha’s granddaughter, who succeeded Theory of Loyalty toward Ming Dynasty of Song Si-yeol had such an opinion and it was confirmed from a number of phases in the 18th century Sahaengroks in later period of Joseon, and it was surely confirmed from Gyesangijeong of Lee Hae-eng of the 19th century. However, as it approaches to the later period of the 18th century, the records to rebut to the Theory of Loyalty toward Ming Dynasty view of Hwang Jae increased as well. Namely, the reason for straight-type structure, flat roof, application of clay or white limestone for the private housings in the Liaoxi Region was practically viewed as a selection from natural environment, not a political implication that was described by Jung Gwang-chung, Lee Ui-bong, Cho Hwan, Kim Jeong-jung and others, and the material for application to the roof was not a simple clay but the hydro mica in a way of preventing the rain water to smear in. The Noron (a political fac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that was advocated by Song Si-yeol call out for the solid Theory of Loyalty toward Ming Dynasty but the Sahaengroks of Kim Chang-eop and Lee Ui-hyeon who were the representative figures of the Noron also recorded the objective facts of private housing regarding its straight-type housing. It suggests that even the Noron did not look at the Qing Dynasty with the point of view for unconditional loyalty toward Ming Dynasty. The husband of Gwon Sang-ha’s granddaughter, Hwang Jae, described the reasoning of ‘loyalty toward the Ming Dynasty’ as the cause of formulating the private housing in the Liaoxi region, this type of implication has been repeated over and over, but in other Sahaengroks, such an opinion was overcome by the practical way of thinking focusing on subjective factual descriptions. This fact implies to narrow the difference of views in Joseon’s intellectuals appearing in Sahaengroks for a bit more in detai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