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동과 현장으로서의 대만문학사` 고찰

        양태근 ( Yang Tae-keun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7 No.-

        `대만문학사`가 가지는 이른바 대만민족 건설과 같은 정치적, 문화적 문제의식을 둘러싸고 본고에서는 `대만문학사`를 사회운동과 문학사 서사의 현장이라는 시각으로 그 진로에 대해 짚어보려고 한다. 우선 본 논문에서는 운동으로서의 대만문학사를 1) 대만문학사 담론투쟁, 2) 대만문학사와 국가체제화라는 과정에 주목하면서 논의를 진행하려고 한다. 담론투쟁과 국가체제로의 편입을 추진하는 일관된 노력을 `운동으로서의 대만문학사`라고 본다면 `현장으로서의 대만문학사`라는 관점은 바로 대만문학사 서술 자체에서 보이는 구체적인 선택과 배제의 과정이 모두 실제로는 서사로서의 대만문학사가 구성되고 형성되는 전체의 일부분임에 주목한 것이다. 이러한 선택과 배제, 충돌과 서사의 일부분을 포착하여 향후 이와 같은 시각으로 대만문학 연구가 가능할 것임을 제안하려고 한다. `대만문학사`는 일종의 사회문화운동으로서의 가능성과 정치성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실 정치와 민족, 역사 등의 끊임없는 참여자들이 함께 서사를 만들어 가고 있는 현장이기도 하다. 이 열려있는 현장이면서 운동의 장소인`대만문학사` 관련 논의를 통해 우리는 문학과 문학사 연구가 가지는 의미들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First of all, this paper focuses on 1) Taiwanese literary history discourse struggle, 2) Taiwanese literary history nationalization, and tries to grasp Taiwanese literature history through the perspective of Taiwanese literary history as social movement. If these consistent efforts to promote the discourse struggle and its incorporation into the national system is regarded as the `Taiwanese literary history as a social movement`, then the viewpoint of `Taiwanese literary history as a field and scene` can be regarded as the actual selection and exclusion process of Taiwanese literary history itself and also It is noted that Taiwanese literary history is the grand part of the whole diverse discourse struggle that is composed and formed in Taiwan until now.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aiwanese literature research will be possible in the future by capturing a part of these choices and exclusions, clashes and narratives. `Taiwanese Literature History` not only shows the possibilities as a kind of social and cultural movement, but also an open place where the constant participants of real politics, ethnicity and history are making narrative together. Through this debate on the open field and the place of the movement, `Taiwanese Literature History`, we can find more concrete and diverse meanings of literary and literary history research meanings. Through these discussions, we will be able to grasp the more specific meaning of literature research and literature history, and find the direction of the new `Taiwanese literature history` as the field and scenes of discourse struggle and social movement of Taiwanese literary history narrative.

      • KCI등재

        2010年 以後 臺灣에서의 韓國學 硏究 傾向과 方向 - 中華民國韓國硏究學會의 『韓國學報』 수록 韓國語文學 및 韓國文化 關聯 論文을 中心으로-

        李荷娜 동아시아고대학회 202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7

        대만과 한국은 일제강점기와 민주화라는 유사한 근대화의 역사를 지닌 국가로 오랜 기간 동안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왔다. 1993년 한・중 수교로 갑작스럽게 단교하게 되면서 사실상 공식적인 교류가 힘들어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만 은 ‘한류(韓流)’의 주도국으로 손꼽힌다. 최근 대만에서는 ‘한국어’와 ‘한국어문학’ 전공의 위상이 매우 높아졌다. 이는 한 국에 대한 대만의 뜨거운 관심을 방증하는 것이며, 이로써 대만에서는 한국학 연 구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는 토대가 형성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만 한국학 연구의 중심에는 ‘중화민국한국연구학회(Chinese Association for Korean Studies, 이하 CAK)’가 있다. 1980년 3월에 창설된 중화민국한국연구학회 (中華民國韓國硏究學會)는 한국어와 한국어교육, 한국 문학, 한국 문화, 한국 역사, 한국 정치, 한국 외교, 한국 경제 등 대만 내 한국학 전 분야의 연구자가 활동하고 있는 대표적인 한국학 연구 단체이다. 중화민국한국연구학회에서는 한국학보라 는 학술지를 발간함으로써 대만 내 한국학 연구의 성과를 가시화하고 있는데 한 국학보는 현재까지 총 35집이 발간되었다. 대만에서 한국학 연구가 진행된 지 4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아 직까지 한국어문학 및 한국문화 관련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 적은 없었다. 그러나 최근 한국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다양한 분야와 주제로 한국어문학 및 한국문화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기에 현재는 이러한 연구의 경향 과 앞으로의 방향을 살피기에 적절한 시점이라 하겠다. 본고에서는 2010년 이후 한국학보에 수록된 ‘한국어와 한국어교육’, ‘한국 문 학’, ‘한국 문화’ 등 인문학 분야의 논문 52편을 살펴 최근 10년 동안 대만에서 이루 어진 한국어문학 및 한국문화 관련 논문 의 내용과 경향을 확인하고, 대만 내 한국 학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대만에서의 한국학 연 구의 가능성과 향방을 가늠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Taiwan and South Korea have maintaine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s both nations have experienced similar modern history such as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democratization. Although official exchanges have ceased since the sudden diplomatic normaliz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n 1993, which severed the Korean-Taiwanese diplomatic ties, Taiwan is still considered a leading country of the Korean Wave. Recently,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Culture’ majors has risen dramatically in Taiwan. This proves strong interest in Korea by Taiwanese people, and it is no longer an exaggeration to say that a foundation has setup in Taiwan to actively conduct research in Korean Studies. Examining the tendencies of Korean Studies in Taiwan must be preceded to set the direction that Korean Studies in Taiwan should head towards. ‘Chinese Association for Korean Studies(CAK)’ has been in the center of Korean Studies research in Taiwan. Established in March 1980, the CAK is a main Korean Studies research organization consisting of researchers in Korean Studies in Taiwan such as Korean langu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iterature, Korean culture, Korean history, Korean politics, Korean diplomacy, and Korean economy. By publishing an academic journal called ‘The Bulletin of Korean Studies,’ the CAK presents research performance of Korean Studies in Taiwan. 35 issues of the ‘The Bulletin of Korean Studies’ have been published so far. Although 4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first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Korean Culture research began in Taiwan, no actual attempts have been made to identify the trend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Korean Culture research. However, numerous researches on Korean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areas and topics with the increasing reputation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literature majors, which makes the present the appropriate time to examine the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Korean Culture research in Taiwan. By reviewing 52 papers in humanities such as ‘Korea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culture’ published in “The Bulletin of Korean Studies” since 2010, this research has sought to identify the details and trend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Korean Culture research over the last 10 years in Taiwan and find the future directions that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Korean Culture research should pursue. Hence, it is hoped that this paper introduces the tendencie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Korean Culture research in Taiwan and provide a guideline for its possibility and future directions.

      • KCI등재

        전시기 조선 · 대만의 어용 문인단체와 대동아문학자대회

        김욱(Kim, Wook) 동아시아일본학회 2024 일본문화연구 Vol.- No.90

        본고는 식민지 조선과 대만에서 총독부의 주도로 인한 문인단체의 통 · 폐합에 주목하여 그 경위를 살펴본 연구이다. 1939년에 설립된 조선문인협회(朝鮮文人協會)의 유일한 종합 문예지인『국민문학(國民文學)』은 ‘국민문학’이 갖춰야 할 요건으로 ‘국민’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었고, 형식적이고 제도적인 면에서 제약은 있었으나 당면한 시국에 대해서 문학적 비틀기가 가능할 수 있는 여지가 존재하였다. 이를테면 최재서, 다나카 히데미쓰, 이효석 등은 각자의 입장에서 본인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국민’상을 전개하고 있다. 조선문인협회의 어용화가 불완전했다는 사실이『국민문학』이 가진 ‘국민’ 표상의 균열로 드러난 것처럼, 대만 역시 총독부의 입김이 강력했던 대만문예가협회에서 일부 문인들이 이탈하며, 대만문예가협회(臺灣文藝家協會)의『문예대만(文藝臺灣)』과 계문사(啟文社) 동인들의『대만문학(臺灣文學)』이라는 두 진영으로 나뉘어 문예의 장에서 ‘대만’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견해를 피력하였다. 대표적으로 시마다 긴지와 황더시는 사제지간이면서도, 각자의 입장에서 당시의 ‘대만’을 정의하여 새로운 문학사 서술을 꾀하였다. 이처럼 전시기 초의 일본어 문예활동은 정치적 간섭과 규제가 존재하면서도, 창작 영역에서 각자의 입장에 서서 문예 담론을 개진하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그러나 1942년 11월에 개최된 제1회 대동아문학자대회에서 모인 ‘총의’가 초래한 결과물 아래서 1943년 4월에 조선은 조선문인협회를 중심으로 조선문인보국회(朝鮮文人報國會)로, 대만 역시 대만문학봉공회(臺灣文學奉公會)로 통합되고 만다. 총독부의 정책에 영합하면서도 나름의 지론을 전개할 수 있었던 ‘외지’ 문인들은, 이전보다 엄격한 사상적 감시와 검열 하에 놓이면서 ‘국민’ 혹은 ‘대만’의 이름을 통한 문예활동의 탈출구를 상실한다. 그 종착지에서 ‘국민’이나 ‘대만’의 이름으로 상상되는 것은 ‘대문자 타자’로서 존재하는 ‘일본인’과 ‘일본’이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gration of literary associations under pressure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n Korea and Taiwan during the wartime period. The comprehensive literary journal Kokumin Bungaku, established in 1939 by the Chosen Literary Association, engaged in vigorous discussions regarding the definition of ‘National literature’ and the ideal image of the ‘Nation’. despite institutional constraints, allowing both colonizers and the colonized to articulate their respective visions of an ideal ‘Nation’. Similarly, in Taiwan, literary discussions regarding the essence of ‘Taiwan’ were conducted within two literary camps: Bungei Taiwan of the Taiwan Literary Artists Association and Taiwan Bungaku of the Keimonsha authors. Thus, it becomes evident that despite political interference and regulations, literary activities in Japanese during the wartime period allowed individuals to express their views within the realm of creative writing. However, the outcomes resulting from the consensus formed at the First Greater East Asia Writers Conference in November 1942 led to the integration of literary associations. In April 1943, Korea merged into the Chosen Literary Patriotic Association under the leadership of the Korean Literary Association, while Taiwan integrated into the Taiwan Literary Public Service Association. Despite cooperating with the policies of the colonial administration, intellectuals from the colonies found themselves subjected to stricter ideological surveillance and censorship, losing avenues for literary activities under the banners of ‘Nation’ or ‘Taiwan’. The entities imagined under the names ‘Nation’ or ‘Taiwan’ ultimately existed as the Grand Autre, namely the ‘Japanese’ and ‘Japan’.

      • KCI등재

        1970년대 한국·대만문학의 공동유산으로서의 `제3세계` ― 황석영·황춘밍의 소설과 그 영화화

        김양수 한국중문학회 2017 中國文學硏究 Vol.0 No.68

        黃?暎以一貫的“參與精神”,是自1960年代以來總是出現在歷史現場的作家。關注60年代以來工業化帶來的“異化”問題開始了作家活動的他,通過80年光州民主化運動,89年訪北,以及那以後在海外的亡命生活,93年以後的7年監獄生活等經歷了?多。每一次的經歷,都文學上表現出來。他活動的幅度?廣,對他的評價也是多角度的,多樣化的。本文中將對他1970年代發表的初期小說及其電影化進行解析。 本文中解析的《去森浦的路》和《看海的日子》各自是70年代韓國“民族文學”和臺灣“鄕土文學”的代表作品。“民族文學”是1960年代“參與文學”和80年代“階級文學”流派相連接的韓國寫實主義文學歷史上重要的環節。發表《看海的日子》的《文學季刊》與以《現代文學》爲中心而展開的西歐現代主義文學主流相背離,而養育著本土主義(Nativism)的文學萌芽,黃春明就是這“鄕土文學”的代表作家。1970年在韓國一個叫全泰壹的勞動者爲了抵制惡劣的勞動現實自焚的事件發生了,而此時韓國政府推動“經濟開發五年計劃”,産業化正如火如?地進行著。在臺灣,1960年代後半開始,經濟增長一直居高不下,不過進入70年代初期后,因爲中美建交,退出聯合國,釣魚島事件等發生,“民族主義”成爲了高潮。 當然,在“第三世界”的構架下試圖?住韓國和臺灣在現在這個視角下仍然不是有效的意義。韓國和臺灣在80年代以後,特別是在經濟規模的成長令人刮目相看,?70年代的情況完全不一樣。特別是20世紀後半以後,“民主化”和“經濟成長”這兩個目標都達成了,但是現在經歷著后民主化時代的精神混亂,在兩極化的深化中民衆的生活不會有太大的變化。 `第三世界論`開始衰退的1980年代以來,以美國、英國等`先進國`爲中心的“新自由主義”的政策産生了,市場中心、成果中心的經濟政策使國民的物質水平提高了,但是,?取與貧困的構造仍未改變。 東亞民衆與第三世界的範疇可以結合的時候,也會産生同感,互相依存。第三世界論在中國被受容爲“新左派”理論,在韓國被受容爲“東亞文學論”,在臺灣爲“脫殖民主義論”。進入了資本支配所有的無限競爭的全球化時代,“第三世界論”淪爲落後的,太過樸素的論理。但是“第三世界”是20世紀“殖民地時代”和21世紀“全球化時代”之間存在的東亞歷史,對於重新審視過去的時期和賦予適當的位置非常重要。我們通過這兩個作品看到了被産業社會疏遠,被?取的人們的樣子。歪曲的性,流浪漢的家庭想象,故鄕的破敗等模樣驚人地相似。 白樂晴在《第三世界與民衆文學》(1979)一文裏指出關於“第三世界”的槪念,與其說是將世界分割爲三個,不如說是??爲一個來看,而且不是從第一世界、第二世界的强者和富者的立場上看,而是從民衆的立場出發。1955年萬隆會議上,闡明了“反帝國、反殖民、民族自決”爲第三世界的精神。六十年過去了,世界發生了巨大的變化。現在,雖然不能將韓國和台灣劃分爲“第三世界”,但是對於70年代文學中出現的“低開發時代”是有同感的,在資本決定一切、控制一切的全球化時代,在東亞就不能産生指向人類尊嚴與平等的文學觀??

      • KCI등재후보

        1930년대 대만문학 맥락 속의 장혁주

        최말순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1 사이 Vol.11 No.-

        This article searched for sentences related to Hyuk-Ju Chang (장혁주) in the Taiwanese literary circles of the 1930s and examined how Hyuk-Ju Chang and his literary works were regarded by Taiwanese writers the Taiwanese left-wing literary movement of the ‘30s and the situation of Japanese literary circles in the ebb period of professional literature inform the background contexts in which Hyuk-Ju Chang was mentioned. As suggested in the works of He-Ruo Le (呂赫若), who wished to follow the literary trends of Hyuk-ju Chang or Kui Yang (楊逵) or Jie Liu (劉捷), who mentioned Hyuk-Ju Chang most often, it appears Taiwanese writers learned of Hyuk-Ju Chang’s novels through Japanese literary magazines. This made them realize the possibility of actualizing their desires to reveal the contradictions of colony by inhabiting the same central literary circles as the clolnial writers, as they received the praises of the professional Japanese writers. The phenomenon where colonial writers of the ‘30s advanced into the Japanese literary circles was an important factor that led to the prominence of Hyuk-Ju Chang in Taiwan. Behind this phenomenon is the objective realit of the situation of Japanese literary circles of crisis of professional literature in the ‘30s and the emergence of writers in Japanese from Chosun. The Japanese literary circles of the renaissance allowed works that were different from the urban literature of Japan to be submitted to literary magazines, and this influenced the creation of colonial literature as a genre, including literature from other regions, due to the external spreading of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Hyuk-Ju Chang was the leader of this trend, distinguishing himself in the Japanese literary circles from the mid-‘30s until wartime. This caused him to be regarded as a worthy reference for the Taiwanese writers who desired to advance to the central literary circles. These desires of Taiwanese writers, including Kui Yang (楊逵), Wen-Huan Zhang (張文環), and Ying-Zong Long (龍瑛宗), influenc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aiwanese literary circles in the ‘30s, including that is, the consciousness of crisis and literary breakthrough for left-wing literature, increase in Japanese- language generation, studying overseas in Japan, and other personal experiences of the writers. 본문은 1930년대 대만문단에서 언급된 장혁주 관련 문장을 찾아보고 어떠한 맥락에서 그가 대만문인들의 시야에 들어오게 되었으며 그의 문단활동에 대한 대만문인들의 인식은 어떤 것인지 살펴보았다. 본문에서 제기한 논점은 30년대 대만좌익문학운동의 맥락과 프로문학 퇴조기의 일본문단 상황이 장혁주 언급과 관련된 배경이라는 점이다. 장혁주의 문학경향을 닮고자 했던 뤼허루어(呂赫若)나 장혁주를 가장 많이 언급한 양쿠이(楊逵)나 리우지에(劉捷)의 경우에서 알 수 있듯이 그들은 일본의 문예잡지를 통해 장혁주의 「아귀도」나 「백양목」등을 접했을 것이며, 장혁주 작품에 대한 일본 프로문인들의 찬사를 보면서 동일한 식민지 문인으로서 중앙문단에 진출하여 식민지의 모순을 드러내고자 하는 열망의 실현 가능성을 발견하였을 것이다. 또한 30년대 식민지 문인들의 일본문단 진출이란 현상이 대만에서 장혁주를 언급하게 된 중요한 요인이며 이 현상의 배후에는 30년대 프로문학 위기와 문예부흥이란 일본문단의 상황과 대만, 조선에서의 일본어 사용 작가들의 등장이란 객관적 사실이 있다. 문예부흥기의 일본문단이 문예 잡지의 투고형식으로 일본의 도시문학과는 다른 내용과 색채를 가진 작품을 등단시키면서, 또 출판과 유통의 대외 전파로 인해 기타 외지를 포함한 식민지문학이 문예의 한 영역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이 추세의 주역이었던 장혁주는 30년대 중반부터 전쟁시기까지 일본문단에서 두각을 나타내었다. 때문에 중앙문단 진출을 열망하던 대만문인들에게 충분히 참고할 만한 대상으로 여겨졌다. 양쿠이(楊逵), 짱원환(張文環), 롱잉쭝(龍瑛宗) 등 대만문인들의 이러한 열망의 배후에는 30년대 대만문단의 상황, 즉 좌익문학에 대한 위기의식과 문학적 돌파, 일본어 세대의 증가, 일본유학 등 작가의 개인적 경험 등이 자리하고 있다.

      • KCI등재

        엽석도(葉石濤)(1925~2008)와 진영진(陳映眞)(1947~2016) -‘대만문학’의 두 갈래 길-

        최말순 ( Choi Mal Soon ) 한민족문화학회 2021 한민족문화연구 Vol.76 No.-

        본문은 葉石濤(1925~2008)와 陳映眞(1937~2016)의 평론활동과 그들이 남긴 문학론을 통해 1970년대 이후부터 2000년대까지 ‘대만문학’의 개념과 범주, 성격을 둘러싸고 진행된 문학에서의 독립 혹은 통일에 대한 쟁론을 고찰한 것이다. 이들은 대만문학장의 중요한 작가이며 평론가로 각각 대만의식과 중국의식의 대표자로 잘 알려져 있다. 본문은 이들의 문학론을 따라가면서 1990년대 중국과는 다른 일국문학으로서의 대만문학을 정립한 葉石濤의 대만문학론과 이에 대응해 대만문학의 중국귀속성을 일관되게 주장한 陳映眞의 중국문학론을 자세하게 고찰하여 이들이 어떠한 인식과 입장에 의해 각기 다른 길을 가게 되었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동시에 그들의 문학론을 지탱하고 있는 이론적 근거와 대만역사와 사회현실을 보는 시각, 다른 의견을 보여 주는 문학사의 각 의제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 문학론의 논리적 타당성과 시대적 적합성을 사고하고자 했다. The critique activities of Yeh Shih-tao(1925-2008) and Chen Ying-zhen(1937-2016), as well as their literary theories, a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main contents are about the concept, categories, and characteristics of 'Taiwan Literature' from the 1970s to the 2000s. In particular, debates about independence from or reunification with China are considered in the field of literature. Yeh Shih-tao and Chen Ying-zhen are crucial writers and critics of the Taiwan Literary Center, and are well known as representatives of Taiwanese and Chinese consciousness, respectively.Following their literary theories,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theory of Taiwanese literature led by Yeh Shih-tao, who established Taiwanese literature as a literature of one country that is different from China in the 1990s, and the theory of Chinese literature led by Chen Ying-zhen, who consistently asserted the attribution of Taiwanese literature to China, in response to that led by Yeh.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reveal what kind of perception and position led them to go down different paths. At the same time, I tried to think about the logical relevance and appropriateness of their literary theories by focusing on the theoretical basis that supports their literary theories, the viewpoints on Taiwan's history and social reality, and each agenda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hat shows different opinions.

      • KCI등재

        대만 한국어문학 전공에서 '문학 교육'의 현황과 과제

        이하나(HANA L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literary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in Taiwan and to propose tasks for the activation of literary education. Universities in Taiwan that offer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all have a fundamental foundation for Korean literature education. However, despite this, there has been no research conducted specifically examining the aspect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Taiwan. Therefore, this paper meticulously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t National Chengchi University (NCCU), Chinese Culture University (PCCU), and National Kaohsiung University (NKU) of Hospitality and Tourism, which are institutions conducting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in Taiwan,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literary courses and their contents. Based on this analysis, the paper discusses tasks for the activation of literary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in Taiwan. With this initiative, we hope to contribute meaningfully to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in Taiwan, becoming a significant pillar alongside Korean language education. 본고는 대만 한국어문학 전공에서 ‘문학 교육’의 현황을 살피고, 문학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만에서 한국어문학 전공 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대학 기관은 모두 한국문학 교육을 위한 기본적인 토대를 갖추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대만에서 한국문학 교육의 양상을 살핀 연구는 진행된 적이 없다. 그러므로 본고는 대만에서 한국어문학 전공 교육을 수행하고 있는대학 기관인 국립정치대학교(NCCU), 중국문화대학교(PCCU), 국립고웅대학교(NKU)의 한국문학 교육의현황을 문학 교과목 개설 및 그 내용의 차원에서 면밀히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대만 한국어문학 전공에 있어서 문학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이 작업을 시작으로 대만 한국어문학 전공에서 한국문학 교육이 활성화되고, 한국어 교육 및 한국학 교육과 더불어 대만 한국어문학 전공의 발전과 성장에 있어서 의미 있는 하나의 축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냉전과 두 개의 중국, 1950~60년대 중국 인식과 중국문학의 수용

        이봉범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0 No.52

        냉전 종식 후 하나의 중국정책의 영향 속에 취해진 대만과의 단교/중공과의 수교조치는 중국에 대한 접근과 인식태도를 근본적으로 전환시킨 중대사건이었다. 이러한 대전환 이면에는 중국문학에 대한 인식과 수용의 굴곡진 역사가 개재되어 있다. 차오위의「雷雨」수용사가 이를 잘 대변해준다. 냉전기 중국에 대한 접근과 중국문학의 수용은 대만(선택)/중공(배제)의 틀로 단순화되지 않는 복잡성을 지닌다. 마오쩌둥에 대한 지식인사회의 지속적 관심에서 보듯 배제되었다고 여겨진 것이 또 다른 맥락에서 실체적 흐름을 형성하며 중국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개척하고 있었다. 1950~60년대 두 개의 중국에 대한 접근은 냉전의 거시적 규율과 한국의 냉전외교정책에 의해 촉진/제약된다. 1954년 아시아민족반공연맹(APACL)과 1966년 아시아태평양이사회(ASPAC)의 창설로 구체화된 한국주도의 아시아지역구상은 미국의 동아시아전략과의 부정합성으로 군사동맹체의 성격이 탈각되는 대신 아시아국가와의 문화적 교류, 협력관계를 촉진시키는 역설적 계기가 된다. 1950년대 대만과의 문화교류도 주로 APACL을 매개로 선전전 차원에서 시행된 동남아예술사절단 파견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는데, 반공과 독재를 근간으로 한 사상적 연대라는 범주를 넘어서지 못했다. 저널리즘을 통해 증식된 중공에 대한 담론도 정보가 차단된 상태에서 심리전에 경사된 미국 정보에 의존한 결과 냉전적 적대를 양산하는데 그친다. 그러나 1960년대 들어 중국에 대한 접근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다. 데탕트국면의 도래와 박정희정권의 아시아중시 외교정책에 따라 지피지기승공론의 차원에서 중공을 중심 대상으로 한 아시아의 공산주의와 근대화에 대한 연구가 촉진된 것이다. 특히 포드재단, 아시아재단 등 미국 민간재단의 원조에 의해 국제적 냉전네트워크와의 긴밀한 연계 속에 전문적인 중공 연구가 트랜스내셔널한 차원으로 확장되기에 이른다. 대만에 대한 관심은 초점이 경제로 이동하며 대만의 근대화 문제로 집중된다. 이 같은 두 개의 중국에 대한 이해의 지평은 중국문학의 번역과 수용에도 대체로 적용된다. 1950년대 후반 세계문학전집에서 중국문학의 비중은 현저히 낮았고, 중국의 전근대문학이거나 대만작가의 작품이 포함되었을 뿐이다. 당대 상상된 세계문학에서 중국문학은 배제된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번역 전체의 지형으로 볼 때 중국문학은 영미문학 다음으로 많았는데, 대부분 중국문학이란 특징 하에 전근대문학, 대만의 무협소설, 일부의 대만 전후문학, 그것도 상당수가 중공과 대만에서 배척된 문학이 번역되는 기형성을 나타낸다. 1950~60년대 외국문학의 번역 및 수용은 냉전검열에 의해 규율되는 일반성을 지니는데, 중국문학의 번역이 가장 불구성을 나타낸 것은 검열의 영향뿐만 아니라 대학제도, 전문학회의 존재와 학술지 발간의 지속성, 대학원을 중심으로 한 학술연구의 재생산기반, 미디어의 관심도 등 제도적 차원의 물적 토대가 허약했던 것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산물이다. 1960년대 임어당 붐과 루쉰 문학이 냉전반공을 뒷받침하는 사상적, 문화적 자원으로 수용되는 양상도 냉전기 중국문학 수용의 축소, 왜곡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특이하게 냉전기 중국문학의 번역, 수용의 불구성 속에서도 일련의 중국문학사 저술이 하나의 흐름으로 존재한다. 중국신문학에 대한 체계적 서술의 ...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Korean government broke diplomatic relations with Taiwan and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Communist China. These actions transformed Koreans’ attitude toward China fundamentally. Behind these turn, there is a difficult history of acceptance of Chinese literature in Cold War Korea. It is a good example that the acceptance of Cao Yu’s “Thunderstorm” in Cold War Korea. Korean approaches to china and acceptance of Chinese literature in Cold War period can’t be just characterized by a binary structure: selecting Taiwan and excluding Communist China. As Korean intellectuals’ continued interest in Mao Zedong shows, what is officially considered excluded had promoted another way to understand China. In 1950s and 60s Korea, relationship with two Chinas was promoted or, conversely, limited by Korean governments’ Cold War controls and diplomatic policies. It was foundations of Asian People’s Anti-Communist League (APACL) in 1954 and Asian and Pacific Council (ASPAC) in 1966 that materialized Korean governments’ Korean-led Asian regional initiative. Though these organizations couldn't be military alliance such as NATO because it would conflict American East Asian policies, it promoted paradoxically Korean cultural exchanges and cooperations with other Asian countries. In 1950s,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Taiwan were mostly taken in form of goodwill missions’ Southeast Asia tour held by APACL, these tours are nothing but a ideological solidarity based on Anti-communism and dictatorship. Korean journalism’s discussions on Communist China also followed Cold War antagonism because their sources was very limited and depended on American materials. However, It began a new phase of Korean approach to China in the 1960s. As détente mood has arrived and Park’s Administration began to implement a more Asia-conscious foreign policies, it improved that studies of Communism and Modernization in Asia, especially Communist China. While American private foundations including Ford and Asia Foundations assist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cold war networks, it became to broaden transnationally that area of study on Communist China. Koreans’ main interest about Taiwan was shifted from cultural issues to economic issues, focusing issues of Modernization in Taiwan. These changes on way to understand Two Chinas also work translating and accepting of Chinese literature. There are very little Chinese works in world literature anthologies in the late 1950s, and it were just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or Taiwanese writers’ works in them. Koreans didn't think that Chinese literature have significant for world literature a whole. However, Chinese literature was is second only to Anglo-American works in the number of translations, most of them included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Taiwanese wuxia fictions, and some of Taiwanese post-war literature. many of those translations are the excluded works in both Communist China and Taiwan. In 1950s and 60s, Korean translations and acceptance of foreign literature were generally controlled by Cold War censorship, as well as its lack of academical and journalistic infrastructures: related department in high education system, scholarly societies, and academic journals. In 1960s, Lin Yutang’s and Lu Xun’s works were accepted as ideological and cultural materials which support Cold War Anti-communism. Besides Chinese literature were inevitably translated and got acceptation in Cold War context, a series of histories of Chinese literature were steadily published. These works have merits as systemic approach, but generally give Taiwanese literature legitimacy as a successor to Chinese modern literature. It also shows that the boundaries of Korean understanding Two Chinas was limited by Cold War.

      • KCI등재

        [기획논문] 1930년대 대만문단의 민간문학 수집, 정리와 그 의미

        최말순 열상고전연구회 2023 열상고전연구 Vol.80 No.-

        1930년대 식민지 대만문단에서는 민간문학에 대한 수집과 정리, 연구 열기가 활발히 일었다. 이 운동을 주도한 지식인들은 대부분 1920년대부터 서구 근대성을 받아들여 대만문화의 발전과 식민지 상황의 개선을 추구했던 신흥 지식인 계층이었다. 이들은 민중의 오락으로 민간에서 구전되고 있던 노래, 설화, 속담, 수수께끼 등을 수집하여 그 내용을 분류하고, 그 속에 담긴 민중의 일상생활, 대자연에 대한 정감과 역사의식을 추출하여 당시 식민지 처지의 민족상황에 대한 돌파구를 찾으려 했다. 그 대표적인 실천이 대만민간문학집 (1936)의 간행이었다. 당시 민간문학은 민중의 생활과 염원의 담지체로서 뿐만 아니라 내용과 방향, 언어면에서 대만문학의 근대적 발전과 연관되어 전방위로 논의된 것으로 상세한 고찰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문은 식민지 대만근대문단의 형성과 발전과정에서 직면했던 여러 조건과 문제에 착안하여 1930년대 대만문단에서 민간문학 채집과 정리의 열기가 일어나게 된 배경과 원인, 과정과 결과, 그리고 당시 채집된 민간문학의 규모와 내용을 소개하고 그 과정에서 이를 주도했던 지식인들의 사고와 인식, 나아가 민간문학에 대한 관심이 식민지하 대만근대문학의 발전과정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사고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1970~80년대 대만 노동문학에서의 노동자 간 갈등의 양상과 그 의미

        林筱慈 ( Lin Hsiao-tzu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3 大東文化硏究 Vol.124 No.-

        이 글은 1970~80년대 양칭추(楊靑矗), 모상천(陌上塵), 리창셴(李昌憲) 등에 의해 창작된 대만 노동문학에서 노사 분규보다 노동자 간의 갈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특징이 나타나게 된 조건과 그 의미를 규명하는 데 있다. 1970~80년대 대만 노동문학은 향토문학의 실천이었지만, 국민당 정권이 향토문학을 마오쩌둥의 옌안문예강화를 연상시키는 공농병문학(工農兵文學)으로 규정하여, 출판검열제도는 작가와 출판물을 제약했다. 이 글은 1970~80년대 대만 노동문학에서 나타난 노동자 간의 갈등은 작가가 검열제도를 의식하면서 텍스트를 살리기 위한 일종의 서사 ‘전략’이었음을 논의하고자 했다. 주요한 작품들을 통해 살펴본 양상은 다음과 같았다. 본토기업의 ‘연고주의’ 문화를 배경으로 승진과 임금에 관련하여 부당한 평가를 하는 관리적 노동자에게 현장 노동자들이 이의를 제기하고, 근대화되지 않은 대만의 기업 문화를 비판한다. 화이트칼라의 설계에 기초한 현장 작업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한 노동자들의 계속된 문제제기를 무시한 결과, 노동자들의 희생을 낳는 상황을 통해 사회적 풍토였던 육체노동에 대한 경시를 비판하면서도, 더욱 심각한 문제로 생산량 경쟁 때문에 노동자들이 서로를 적대시하는 풍토를 주제로 삼았다. 다른 한편 다국적 기업을 배경으로 한 대만 노동문학에서 외국인 자본가는 대만인 여공들에게 표면적으로 친절하게 대하지만, 근무평가와 승진제도에 있어서는 대만인 관리직 노동자를 내세워 여공에게 초과근무를 강요하여, 결국 노동문제는 대만인 노동자들 간의 갈등으로 표면화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ays that labor issues are set and their significance in Taiwan’s labor literature during the 1970s and 1980s in order to illu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Taiwan’s labor literature. The representative writers of labor literature in Taiwan are Ching-chu Yang(楊青矗), Shang-chen Mo(陌上塵), and Chang-hsien Li(李昌憲). Their works often focus on disputes between laborers rather than on employer-laborer disputes, which are common in ordinary labor literature. The inter-laborer disputes that they tackle can generally be categorized into two main types; the first is the dispute between the on-site laborers and the management-level laborers who are responsible for job evaluations, and the second is the dispute between Taiwanese management-level laborers and Taiwanese female workers on the production line in international enterprises. It has to do with the fact that, during that time, the Nationalist regime was wary of labor, peasant and military literature, and enacted a censorship system that restricted the creativity of writers. In other words, the disputes between laborers in Taiwan’s labor literature in the 1970s and 1980s were a narrative strategy used by writers, who felt the constraints of the censorship system, to enable their works to survive. The works of Taiwanese labor literature set in the context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implied that foreign capitalists treat Taiwanese female laborers with kindness on the one hand, while using tactics like job evaluations and a promotion system to make Taiwanese management-level laborers demand overtime work from the female laborers in order to increase production, which led to serious disputes among Taiwanese laborers. However, these novels fail to go further in explaining the way in which international corporations operate. This reflects the fact that the mode of operation of international capitalism is so complex that Taiwan’s labor literature is unable to paint a clear picture of it. In other words, the complexity of international capitalism limited the expressiveness of Taiwanese labor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