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 江汀洞 ‘대궐터’ 유적의 역사적 성격

        김일우(Kim, Il-Woo)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60

        제주 서남부 지역의 강정동 ‘대궐터’는 300여 년 전부터 주목받았음이 드러나는 유적이다. 이렇게 된 데는 제주의 ‘대궐터’란 지명 가운데 여기만이 유독 사서를 통해서도 확인되는 곳이기 때문이다. 또한 1704년 무렵 제주목사 宋廷奎가 濟州城외에 ‘宮闕’이라고 칭하는 것은 강정동 대궐터 밖에 없다고 단언한 뒤, 강정동 대궐터는 1366년~1369년에 조영공사가 추진되었던 몽골 황제 순제의 피난궁전 터로 본다는 논의를 제기했다. 이 사실은 현직의 제주목사가 제기했던 만큼, 허투루 말했다고 할 수 없지 않을까 한다. 한편, 몽골의 제주지배가 80여 년이 지난 1360년대 무렵, 제주사회의 중심지역과 권력의 중심부는 제주의 서남부권, 곧 오늘날 서귀포시 洞지역의 서쪽에 자리잡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아울러, 몽골이 제주의 서남부 지역에서 황제 순제의 피난궁전조영공사를 일으켰고, 몽골 왕족 출신의 제주 유배인을 거주·정착케 할 목적의 대규모 주택단지 주택조성도 이루어졌음이 드러난다. 더 나아가 강정동 대궐터 유적은 2015년 발굴조사를 통해 14~15세기에 걸쳐 축조된 건물지가 드러났거니와, 이곳의 수습 유물은 강정동 대궐터가 몽골과 관련성을 지녔음직한 점도 시사해주고 있다. 이상의 사실을 종합 유기적으로 미루어 보자면, 제주 강정동 대궐터는 몽골 황제 순제의 피난궁전 터나, 혹은 명과 고려가 몽골 왕족 출신의 제주 유배인을 거주 정착케 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던 대규모 주택단지·주택조성과 관련된 유적일 듯싶다. The Palace Site in Gangjeong-Dong is the ruins that have been taken notice of since 300 years ago. Such notice has been possible because this site alone is confirmed by historical records among the place titles that have ‘Palace Site’ in theirtitles which is also used to designate historical sites in Jeju. In historical records, this place name is marked as ‘Daegwolgi(大闕基)’, which is, in fact, a first example of writing in borrowed chinese characters. Additionally, around the year 1704, then-Jeju Moksa(牧使), Song, Jeong-Kyu asserted that except for the Jeju Fortress, there is no other places referred to as ‘Palace’ than the Palace Site in Gangjeong-Dong, regarding it as the site of palace where Mongol Emperor Soonje would take a refuge, whose construction work was in progress over the years from 1366 to 1369. As much as these remarks were brought forward by the incumbent Jeju Moksa(牧使), they cannot be taken lightly. Meanwhile, around the 1360s when the Mongol’s ruling of Jeju seemingly reached the apex, it was evident that the main region of Jeju society and the center of power was positioned in the southwest area of Jeju, today’s west of Seowipo-Si. Besides, as for the ruins of the Palace Site in Gangjeong-Dong, the site of the building constructed over the centuries from 14 through 15 was revealed through excavation research, suggesting the building site had some relevance to Mongol. Jeju’s historical and archeological research achievements made today are additionally supporting the view of Jeju Moksa Song, Jeong-Kyu that the ruins of the Palace Site in Gangjeong-Dong were the palace site of refuge for Mongol Emperor Soonje. on that accunt, literature review on the palace site should be enhanced while excavation investigation should be expanded into the vicinity centering on the remains excavated in February, 2015.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to determine the precinct of Beophwa-Sa in Goryeo Period since a large-scale housing complex and houses, appear to have been formed within this precinct which Mingand and Goryeo Dynesties intended to create for the exiled Mongol royals to reside and settle in.

      • KCI등재

        몽골 황제 順帝의 제주 피난궁전 터 탐색

        김일우 한국몽골학회 2016 몽골학 Vol.0 No.46

        Around the year of 1704, Jeju Moksa(牧使), Song, Jeong-Kyu left behind records indicating that ‘Daegwolgi(大闕基)’ in Hongro-hyun, which corresponds to today’s ‘Palace Site’ in Gangjeong-Dong, was the ruins where construction work for a palace had been progressed for over two years from the reign of 15th year to 17th year of King Gongmin (1366~1368). His position as the incumbent Jeju Moksa(牧使) is thought to lend credence to his statement about what had happened. Furthermore, today's findings from research on Jeju's history and archeology provide additional support for his view made about 300 years ago, that regarded the ruins of the 'Palace Site' in Gangjeong-Dong as the palace site for Emperor Sunje to take refuge in. As such, further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should follow for the ruins of the ‘Palace Site’ in Gangjeong-Dong. With this, it is equally important to determine the scope of the premise or domain of Temple Beophwasa, for, besides its being the palace site, it seems that Dynasty Ming and Dynasty Koryo led the construction of large-scale housing complex and houses within the precinct of this temple in the 1380s so that the refugees of Mongol royal coming into Jeju could reside and settle there. If the site for the refuge palace of the Mongol emperor Sunje can be confirmed as this place, this site will gain an international attention. Along with this, Jeju is likely to embrace the opportunity to gain a spotlight as the icon for interaction and encounter as well as one of the main places in the east asian culture zone.

      • 한계산성 天祭壇의 형태와 성격

        김도현 한국성곽학회 2013 한국성곽학보 Vol.23 No.-

        寒溪山城の中にある天祭壇は城郭内に位置した祭祀の遺蹟であったと推定することができる。その理由として, 他の地域山城内の祭祀遺蹟を綜合的に檢討してみた結果、祭祀遺蹟が位置した所は山城の內部、特に建物址がある所と近くにありながら、內部をよく見ることができ、山城外部の河川や主要な交通路などを一目で見渡すことができる所に位置されているということである。寒溪山城内の天祭壇と近い所の大闕垈と呼ばれる所に住居遺蹟が發見された点と、その周邊で發見された土器片は山城を維持していた高麗時代と朝鮮時代に祭壇の役割として機能した可能性を高めてくれる。そして、寒溪山城が關防遺蹟としての機能を廢した後、祭壇も放置され、ここを據點に仙思想と道敎、佛敎が習合された新宗敎を作った人がここを天に祭祀を執り行う祭壇として活用した可能性が高い。なぜなら、一般的に共同體のための祭壇を設置する所が村落や周邊の景觀をよく眺望できるところに設置された事例が多いので、太白山の天祭壇や三陟にある可谷山烽燧·陽野山烽燧の民間信仰の處所化の事例などを通じて過去に國家の祭場だったり、關防の遺蹟だった所がその本來の機能を廢した後、新宗敎や民間信仰の處所として活用された事例が多く發見される。これとともに以前の宗敎機能を廢しても以後に作られる宗敎祭場は以前に宗敎祭場だったところに彼らの祭場を設置した事例が多いからである。 寒溪山城내 天祭壇은 城郭내에 위치한 祭祀遺蹟이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른 지역 산성 내 제사 유적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본 결과 제사 유적이 위치한 곳은 산성 내부, 특히 建物址가 있는 곳과 가까우면서 내부를 잘 볼 수 있으며, 산성외부의 하천이나 주요 교통로 등을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곳에 위치해 있다는 점이다. 寒溪山城내 天祭壇과 가까운 곳에 대궐터라 불리우는 곳에 주거 유적이 발견되었다는 점과 그 주변에서 발견된 土器片은 山城을 유지하였던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祭壇으로 기능하였을 가능성을 높여준다. 그리고 한계산성 내 천제단의 명문을 보면 仙○○, 道君子, 上帝, 佛者등 仙思想과 道敎, 佛敎思想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천제단에 새겨진 명문 내 인물들이 고려시대에 활동한 인물이라면 당시 이와 같은 사상 경향을 국가나 민간 차원에서 수용하여, 祭儀를 행하였음은 醮祭나 八聖堂을 설치한 사례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한계산성을 고려시대에 주로 사용하였다는 고고학적 발굴 성과를 종합해 보면 고려시대에 한계산성 내에서 하늘에 제사지내기 위해 설치하였던 天祭壇이었을 가능성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한계산성이 관방유적으로서의 기능을 廢한 후 祭壇또한 방치되었다가 이곳을 거점으로 仙思想과 道敎, 佛敎가 習合된 新宗敎를 만든 사람들이 이곳을 하늘에 제사지내는 제단으로 활용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공동체를 위한 제단을 설치하는 곳이 마을이나 주변 경관을 잘 조망할 수 있는 곳에 설치된 사례가 많으며, 太白山天祭壇이나 삼척 가곡산 봉수·양야산 봉수의 民間信仰處所化사례 등을 통해 과거에 국가 제장이었거나, 관방 유적이었던 곳이 그 본래의 기능을 廢한 후 新宗敎나 民間信仰의 처소로 활용된 사례들이 많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이전의 종교 기능을 廢하더라도 이후에 만들어지는 종교 제장은 이전에 종교 제장이었던 곳에 그들의 祭場을 설치한 사례 또한 많다. 이와 함께 한계산성 천제단이 지닌 가치는 하늘에 제사를 지낸 聖所였다는 점과 산성 유적 내에 제사를 지낸 장소의 위치적 특징이 산성 내부와 외부를 잘 조망할 수 있는 곳이면서 주변에 건물 유적이 있는 곳에 위치한다는 점을 정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 KCI등재

        고고자료(考古資料)로 살펴 본 원(元)과 탐라(耽羅)

        김경주 ( Kim Gyeong-ju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6 탐라문화 Vol.0 No.52

        1273년 삼별초 평정후 제주에는 원나라 군사가 주둔하고 官人과 牧人 등이 대거 이주하면서 다양한 元式文化가 도입되기 시작한다. 먼저 법화사는 1269년 중창을 시작하여 원왕실의 도움으로 1279년 완공되었다. 원왕실의 적극적인 중창 개입은 남송과 일본 정벌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한 종교적 기원처이자 願刹의 성격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법화사에는 매우 이국적인 특수건물지가 세워졌는데 정교하게 가공된 석재와 원나라 형식의 기와를 얹어 조성하였다. 이 건물은 원나라 왕실 건축 기술자들이 제주에 입도하여 축조한 元式 건축물에 해당하며 元順帝의 피난궁전으로 추정되고 있다. 왜냐하면 특수건물지에 사용된 龍鳳文 막새는 원의 瓦匠에 의해 제작되었을 뿐만 아니라 왕실을 상징하는 유일한 문양이기 때문이다. 제주 서남부 지역은 원과의 물류수송을 위한 포구가 위치하고 있고 원왕실의 수요가 많았던 香樟木의 최대 군락지에 해당하는 곳이다. 게다가 이곳은 원나라 이주민과 원왕실 후손들의 유배지로도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강정 대궐터와 주변지역이 바로 그들의 생활 터전이었으며 인접한 하원동 왕자묘는 伯伯太子 일행의 분묘일 가능성이 높다. 법화사를 중심으로 하는 서남부 지역은 원나라가 동아시아의 영토확장을 위한 군수산업기지와 물류생산지로 활용하였다. 이로 인해 원나라 이주민들의 據點聚落이 형성되었고 원순제의 피난궁전이 축조되기도 한다. 원이 멸망한 후에도 왕실 후손들의 유배와 이주민들이 유입됨에 따라 考古學的 원식문화가 지속적으로 잔존하게 된다. After the Sambyeolcho Rebellion was suppressed by the Goryeo and Mongol Yuan dynasty in 1273, Mongolian style was introduced to Jeju as Yuan cavalry started to be stationed in Jeju and massive number of Mongolian officials and stock breeders came to the island. Goryeo began rebuilding Fahua(法華) Temple in 1269 and the construction was completed in 1279 with a help of the Yuan Palace. Yuan benefited from its intervention in the rebuilding. The temple was a religious place to successfully conquer the Southern Song Dynasty and Japan. There is a very unusual structure decorated with delicate stones and Mongolian roof tiles in Fahua Temple. Mongolian architects came to the island and they built the structure in Mongolian architectural style. It is assumed that it was used as a place of refuge of the 11th Emperor of the Yuan dynasty. The roof tiles made by Mongolian tile makers have patterns of dragon and phoenix and they were the symbols of royal palaces. There was a port used to ship logistics between Jeju and Yuan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island. The largest colony of camphor trees that were in great demand from Yuan palaces grow near the port. The area was also known as a place of exile for Mongolian immigrants and descendants of Yuan royal families. Therefore, the palace site in Gangjeong(江汀) and neighboring areas could be their homes and the royal tombs in Heyuan(河源)-dong could be the prince Bai bai(伯伯太子), a son of the prince Weishun(威順王) and his followers. The southwestern part of Jeju where Fahua Temple is centrally located was a place to transport and manufacture war supplies for Yuan`s territorial expansion wars. Mongolian immigrants settled down and the palace for the 11th Emperor of the Yuan dynasty was built in the area. After Yuan dynasty collapsed, descendants of the dynasty were exiled and Mongolian immigrants came to the island, archaeological Mongol culture had remained in Jeju for a long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