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방언 담화표지 ‘양’의 담화 기능과 운율적 특성

        신우봉 한국방언학회 2019 방언학 Vol.0 No.2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scourse marker ‘yang’ for its prosodic feature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as well as to examine the patterns of prosodic features related to discourse functions.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speech of 30 speakers of Jeju Korean and I also analyzed the marker’s prosodic features by using phonetic equipment and acoustic materials. As a result, I have categorized five discourse functions of ‘yang’: check, demand for agreement, emphasis, hesitation, euphemism. The discourse function of emphasis had the shortest average length. When ‘yang’ occurs through the function of delay, it has the longest average length of utterance and at the same time has a pause that follows. The discourse function of check which appears at the end of utterance is realized mainly in the question, showing high pitch. The discourse function of demand for agreement and euphemism had low pitch. The discourse function of euphemism realizes with relatively long average length than demand for agreement. Therefore prosodic features are reliable in the analyzation of categorical characteristics and important in the establishment of the functions of the discourse marker ‘yang’. 이 논문은 제주방언 담화표지 ‘양’의 담화 기능과 운율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주방언 화자 30명의 대화 자료를 바탕으로 담화표지 ‘양’의 ‘확인, 동의 요구, 강조, 시간 벌기, 완곡’과 같은 5가지 담화 기능에 따른 운율적 특성(발화 위치, 평균 길이, 음높이 유형, 휴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주방언 ‘양’은 발화 위치에 따라 발화 중간에서는 주로 ‘강조, 시간 벌기’의 담화 기능으로 나타났으며, 발화 말에서는 ‘확인, 동의 요구, 완곡’의 담화 기능으로 나타났다. 발화 중간에서 ‘강조’의 담화 기능으로 나타나는 ‘양’은 가장 짧은 평균 길이를 지니고 있었으며, ‘시간벌기’의 담화 기능으로 나타나는 ‘양’은 상대적으로 다른 기능들에 비해 긴 평균 길이를 지님과 동시에 후행하는 환경에서 휴지 구간을 동반한다는 운율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두 가지 담화 기능은 평균 길이 외에도 음높이 유형에 의해서 구별되었는데, ‘강조’는 모두 고조의 음높이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시간 벌기’는 대부분 저조의 음높이 유형으로 나타났다. 발화 말에서 ‘확인’의 담화 기능으로 나타나는 ‘양’은 주로 의문문에서 나타나서 고조의 음높이 유형을 보이며, ‘동의 요구, 완곡’은 저조의 음높이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완곡’은 ‘동의 요구’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긴 평균 길이를 가지고 실현되었다.

      • KCI등재후보

        제주방언 문두 담화표지어 “양”과 “기”의담화 기능과 운율적 특성

        김원보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7 교육과학연구 Vol.19 No.2

        This paper deals with the discourse functions and their prosodic features of sentence-initial discourse markers “yang” and “ki” in the Jeju dialect. We presented the average values of three male and three female subjects’ prosodic features in accordance with the discourse functions of “yang” and “ki”, discussed their sound length and pitch, and examined their implications. First, in terms of the length of the sound, both “yang” and “ki” showed consistency in accordance with the discourse functions regardless of sex. This suggests that the sound length plays a distinctive role in classifying the different discourse functions of each of “yang” and “ki”. Second, in terms of the highest pitch of each of “yang” and “ki”,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the highest pitches are distinctive for men since they a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discourse functions of each of “yang” and “ki”, but not in the case of women because they are almost similar in most of the discourse functions. This fact shows that men whose sound frequency is lower than that of a woman utilize both the sound height and length to differentiate a variety of discourse functions of each of “yang” and “ki”, whereas women use the sound length rather than the highest pitch to actively express the different discourse functions. Third, when comparing the prosodic curves of each of men’s and women’s “yang” and “ki” the prosodic curves of the latter are clearly more dynamic. This fact indicates that women perform a variety of discourse functions using the sound length and the changing prosodic curves rather than the pitch height. 본 연구는 제주방언 문두 담화표지어 “양”과 “기”의 담화 기능과 그에 따른 운율적 특성을 논의 하였다. 여기서는 남녀 피험자 각 3명씩 “양”과 “기”의 담화적 기능에 따른 운율적 특성의 평균 값을 제시한 후 음길이와 음높이 등을 논의하고 시사점을 살펴봤다. 첫째, 음의 길이 측면에서는 “양”과 “기” 모두에서 남녀에 관계없이 일관성 있게 나타났다. 이런 사실은 “양”과 “기” 각각의 담화적 기능에서 음의 길이가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두 번째로 “양”과 “기”의 음높이 최고지점의 측면에서는 남녀사이에 차이가 있어서 남자는 확연히 구별되어 변별적이지만, 여자의 경우 최고음 높이는 거의 비슷하여 담화적 기능에 따른 최고 음 높이 비교는 변별적이지 못했다. 이런 사실은 남자의 경우 여자보다도 주파수가 낮아 음 높이와 음 길이 둘 다를 활용하여 담화적 기능에 활용하는 반면, 여자의 경우 음높이보다는 음의 길이를 상이한 담화적 기능을 표현하기 위해 적극 활용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세 번째로 남자와 여자의 “양”과 “기”의 운율곡선을 비교해보면 여자의 경우 운율곡선이 훨씬 역동적이 확연히 구분되고 있다. 이런 사실은 여자의 경우 음 높이보다는 음의 길이와 유연한 운율곡선을 활용한 다양한 의미의 담화적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충남 논산 지역어 담화표지 ‘머’의 기능과 분포

        염종진 한국방언학회 2019 방언학 Vol.0 No.30

        First, when Nonsan discourse marker(hereafter DM) ‘mwo’ is realized in the medial position of utterence in the function of non-conclusion, the DM is usually used when the speaker cannot say the topic in definite manner. When the DM ‘mwo’ is realized in the final position in the same function, the DM is usually used when the speaker cannot speak in definite manner or he/she equivocates. Second, when Nonsan DM ‘mwo’ is realized in the function of focus, the DM focuses on the prior uttereance component or the following utterance component. Also, when the DM is used with the DM ‘inja’ in the same function, the DM ‘mwo’ focuses on the following uttereance component with the effect of the DM ‘inja.’ Third, the DM ‘mwo’ is usually realized more than twice in an utterance when the DM is used in the function of utterance maintenance. Fourth, when the DM ‘mwo’ is used in the function of devaluation, the DM is usually realized in the medial position of an utterance while the DM is usually realized in the final position in the same function in standard language. Fifth, the Nonsan DM ‘mwo’ is usually realized in the final position of an utterance in the function of emphasis while the DM is usually realized in the medial position in the same function in standard language. 논산 지역어 담화표지 ‘머’의 ‘강조’ 기능은 화자가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 전체 또는 ‘머’의 선․후행 성분을 강조하여 말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그리고 ‘머’가 ‘인자’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인자’의 영향으로 ‘머’의 후행 성분이 강조된다. 담화표지 ‘머’가 ‘비단정’ 기능으로 사용될 경우 발화 중에 실현되는 경우와 발화 말에 실현되는 경우로 나뉜다. 발화 중에 ‘머’가 ‘비단정’ 기능으로 사용될 경우, 화자가 발화 내용에 대하여 불확실하거나 분명하게 말하기 곤란한 상황에서 사용된다. 발화 말에 ‘머’가 ‘비단정’ 기능으로 사용될 경우, 화자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끝까지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고 얼버무리는 태도로 발화를 끝맺을 때 사용된다. 담화표지 ‘머’의 ‘발언권 유지’ 기능은 화자가 청자에게 자신이 발화를 계속 유지할 것이라는 신호를 줄 때, 혹은 화자가 후행 발화를 이어나가기 전 생각할 시간을 벌 때 사용된다. ‘머’가 ‘발언권 유지’ 기능으로 사용되는 경우, 한 발화 내에서 ‘머’가 2회 이상 실현되는 경우가 자주 나타난다. 담화표지 ‘머’의 ‘평가 절하’ 기능은 화자가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하여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경우, 또는 발화 내용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낼 경우 사용된다. 이 기능에서 중앙어의 경우 ‘뭐’가 주로 발화 말에 실현되나, 논산 지역어의 경우 ‘머’가 주로 발화 중에 실현된다.

      • KCI등재

        담화표지 {좀}의 기능과 형태·운율적 특성의 실현 양상

        송인성(In Seong Song),신지영(Ji Young Shin) 한국어학회 2014 한국어학 Vol.62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and prosodic features of discourse marker {jom} related the functions using spoken language corpus(speech corpus). To achieve this, we distinguished [tcom] and [tc*om] and analyzed prosodic features of {jom} such as position in utterance, prosodic boundary, duration, pause, tonal patterns. As a result, functions of {jom} have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Politeness, Focus, Delay, Utterance mitigation. In morphological features according to the functions, [tcom] is high frequency for Politeness and [tc*om] for Delay, Utterance mitigation. Also prosodic features of {jom} is peculiar to each function. Consequently morphological and prosodic features are important distinction for establishing function of {jom}.

      • KCI등재

        담화표지 `뭐`의 기능과 운율적 특성

        송인성(In Seong Song) 한국어학회 2013 한국어학 Vol.58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sodic features of discourse marker ``mweo``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and to examine patterns of prosodic features related the functions. The previous studies of discourse marker ``mweo`` analyzed meanings and functions of ``mweo``. However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sodic features of ``mweo`` based on spontaneous speech corpus and actual speech data. By extension, I reveal unique prosodic features of ``mweo`` related to their functions. In order to analyze functions and prosodic features of ``mweo``, I extract total 784 times of ``mweo`` from corpus. The cues of prosodic features are position of utterance, prosodic unit, duration, pause, intonation (or tone). And I sort out eight functions among various discourse-textual functions of ``mweo``. The results show that the functions of ``mweo`` widely tend to be realize in each positions of utterance (initial, medial, final). Furthermore three functions (delay, focus, refutation) of ``mweo`` have salient prosodic features in each positions of utterance.

      • KCI등재

        '막' 의 운율적 특성과 담화적 기능

        송인성(In Seong Song) 한국어학회 2014 한국어학 Vol.65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ategorical characteristics of “ mak” and their discourse functions through analyzed the prosodic features of “ mak” . The previous studies of “ mak” focused on grammatical or semantic characteristics, but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sodic features of “ mak” based on speech data. As a result, adverb “ mak” and discourse marker “ mak” are distinguished from prosodic boundary, duration, pause and sort of number tonal patterns.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 “ mak” is as follows: Maintenance of utterance, Attention, Delay, Expression negative manner. These functions have salient prosodic features related to their functions. Consequently prosodic features are important to analyze categorical characteristics and to establish functions of “ mak” .

      • KCI등재

        ‘정말’, ‘진짜’의 담화 기능과 운율 특성

        송인성(Song, Inseong) 한국어학회 2017 한국어학 Vol.77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unctions and prosodic features of ‘joengmal’ and ‘jinjja’ in spoken language corpus(TV drama speech corpus). ‘Joengmal’ and ‘jinjja’ have the meaning of ‘truth without falsehood’ realized as nouns or adverbs, and also realized with a discourse markers with a discourse functions.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s ‘joengmal’ and ‘jinjja’ are ‘emphasis(with speaker’s negative manner)’, ‘gap-filler’. Unlike nouns and adverbs, discourse markers that performs these functions have salient prosodic features in the position in utterance, prosidic boundary, tonal patterns, duration, pause and F0 difference between the minimum value and the maximum value in end syll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