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담정총서(藫庭叢書)』 소재 전(傳) 문학에 대하여

        홍진옥 ( Hong Jin-ok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8 No.-

        본고는 지금까지 개별적, 혹은 작가별로 연구되었던 『담정총서』 소재 전(傳) 작품을 보다 폭넓은 의미망을 통해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이로써 담정 그룹의 문학적 경향을 살피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 작품 전체를 주제별로 유형화한 뒤 작가 의식 및 서술상의 특징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먼저 충효열의 유교적 덕목을 적극적으로 실천한 하층 신분의 인물들을 조명한 작품들에서는 유교 이념을 강화하기보다는 입전 인물을 하나의 개성적 인물로 창출해내고, 논평부에서 새로운 담론을 제기한 점에서 기존의 작품들과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다음으로 기인과 이인을 입전한 작품의 경우, 김조순은 호기(好奇) 취향을 강하게 드러내면서 높은 서사성과 흥미적 요소를 보여주고 있는 반면 김려는 이들을 ‘회재불우(懷才不遇)’의 한 유형으로서 방달한 삶을 사는 은자(隱者)서 바라보며 이러한 인물군이 계속해서 양산되는 사회에 대한 고발의 의도를 포함하고 있다. 이옥의 경우 이인에 대한 관심과 현실에 대한 부정과 반발 등의 면모를 보여주는 절충적 모습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당대 문화와 생동하는 인간 군상이 핍진하게 반영되어 있는 작품군도 주목할 만하다. 여기에서는 당대의 풍속 관련하여 ‘이익[利]’과 ‘속임수[騙]’의 문제가 주요하게 논의되면서 신뢰와 의리라는 인간 본연의 가치를 강조하였고, 이 외에 바둑 고수나 가객(歌客) 등 조선 후기에 새롭게 산생된 인물들의 삶에 대해서도 섬세하게 조명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종합하면 『담정총서』 소재의 전(傳) 작품들은 사회적으로 고착된, 혹은 관념화된 모든 이데올로기들에 대한 관성적 목소리를 거부하고, 인간에 대한 섬세한 관찰과 심층적 이해 및 사회적 고민을 다각도로 담아냄으로써 조선 후기의 문화 지형을 좀 더 다채롭게 만들어냈다는 의의를 갖는다. This paper aim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Jeon(傳) of the Damjeong Chongseo (潭庭叢書), which have been studied by each work or by writers, through a wider network of meanings, and to examine the literary trends of the “Damjeong Group”. For this purpose, the entire work was categorized by subject, and then discussed, focusing on the writer's consciousness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First, the works that shed light on the lower-class figures who actively practiced Confucian virtues in loyalty, filial piety, and chastity, show a different aspect from the existing works in that they created a personality rather than strengthening Confucian ideology and raise a new discourse in the commentary. Second, in the case of the works that featured between the strange person and hermit, Kim Jo-soon strongly reveals his taste for eccentricity and shows high narrative and interesting elements, while Kim Ryeo sees them as a hermit who lives a free life as a type of people who are talented but do not have the opportunity to show, and includes the intention of accusing society of such a group of characters. In the case of Lee Ok, a compromise appears showing aspects such as interest in hermit and denial and opposition to reality. Third, it is noteworthy of the work group that reflects the culture of the time and the lively human group. Here, the issues of profit and deception were mainly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customs of the time, emphasizing the natural values of trust and loyalty. In addition, the lives of newly produced figur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such as Go masters and singers were carefully highlighted. This analysis means that the Jeon works in Damjeong Chongseo have created the cultural landscape of the late Joseon dynasty more diverse by rejecting inertial voices against all socially fixed or ideological ideologies and capturing detailed observations, in-depth understanding, and social concerns about humans.

      • KCI등재

        석견루(石見樓) 이부현(李復鉉) 시(詩) 연구(硏究)

        이현일 ( Hyun Il Lee ) 한국고전문학회 2011 古典文學硏究 Vol.40 No.-

        이 논문은 아직까지 학계에 잘 알려지지 않은 시인인 石見樓 李復鉉(1767~1853)을 소개하기 위해 씌여졌다. 이복현은 金려(1766~1821)가 편찬한 『潭庭叢書』 전체를 다룬 朴晙遠의 선구적인 업적에서 처음 언급되었을 뿐, 그 뒤로는 본격적인 연구의 대상으로 주목을 받지 못해 왔다. 제1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관련 자료를 보강하여 이복현의 가계와 생애를 다시 정리하였다. 행장이나 묘지명과 같은 기본적인 자료들이 아직 발견되지 않아 미흡한 점이 있지만, 주어진 상황에서는 최선을 다하려고 하였다. 제2장에서는 지금 남아 있는 이복현의 시문집에 대한 기초적인 조사를 정리한 것이다. 이복현의 시문집은 (1) 후손에 의해 중국에서 인쇄되어 들여온 『石見樓詩초』, (2) 『潭庭叢書』에 실린 『石見樓雜詠』과 『石見樓詩卷』, (3) 고려대 중앙도서관에 소장된 『石見樓』 17책 등으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으며, 사실 좀더 본격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각 이본들을 토대로 定本을 만들고 改作 과정을 추적하는 일이 반드시 필요하다. 제3장에서는 주로 『석견루시초』에 수록된 작품들을 중심으로 그의 시세계의 특징적인 면모를 논하였다. 고시, 절구, 율시의 순서로 대표작이라 판단되는 작품들을 뽑아서 詩體에 따라 살펴보았다. 여기서 살펴본 이복현의 시들은 겉보기에는 평범하고 담담한 듯하지만, 시적 기법의 완숙성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나올 수 없는 작품들이며, 분명히 시인 나름의 개성을 포착할 수 있다. 요컨대, 이복현은 한 시대를 대표하는 大家가 되기에는 부족하지만, 名家들의 詩友가 되기에는 충분한 역량을 갖춘 시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餘論에서는 이 글을 마무리하고 앞으로 연구를 심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작업들에 대해서 간략히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unknown poet, Seokgyeonru(石見樓), Lee Bok Hyun(李復鉉). In the first chapter, we deal his life and history of his family based on the study of early scholars. and then we rearrange them with added materials. Although we cannot discover fully the fundamental materials of his life, we do our best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In the second chapter, we deal the elementary investigation of Lee Bok hyun`s collected poems. His works are classified into (1) The Selected Poems of Seokgyeonru(『石見樓詩초』) edited by his descendants, (2) Miscellaneous songs of Seokgyeonru(『石見樓雜詠』) and The Poetry of Seokgyeonru(石見樓詩卷) in Damjeongchongseo(『潭庭叢書』), and (3) Seokgyeonru, composed of seventeen books. In order to study deeply, we need to edit authorized version based on these various versions. In the third chapter, we deal his characteristic features of his poetic world in The selected poems of Seokgyeonru. We do survey his representative poems in order of old-style poetries, quatrains, and code verses. At first blush we think his poetries are commonplace and plains, but it soon become obvious that his works are created with excellent poetic techniques. In short he is not the representative poet of his days, but second-best poet of his times. In the last chapter, we deal about the necessary work in order to deepen the study of Lee Bok hyun, the poet.

      • KCI등재

        현존 김려·김선 형제 저작의 문헌학적 재검토

        김영진 ( Kim Young-ji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8 No.-

        본고는 조선후기 문학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던 金鑢·金䥧 형제의 저작 중 현존하는 필사본 이본들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고 아울러 신자료를 소개하였다. 김려는 만년인 1818년에서 1821년 사이 자신의 시문과 지인 및 인척의 시문을 수합하여 『藫庭叢書』 34권 17책을 편찬하였다. 김려의 손자 김겸수는 이 총서 내의 김려의 시문만을 뽑고 또 육촌 김기수의 자료 협조를 얻어 보유를 첨부한 12권 6책의 목활자본 『藫庭遺藁』를 1882년에 간행하였다. 『담정총서』전질은 유일의 필사본이지만 『牛海異魚譜』및 김려의 傳은 轉寫本들이 현존하고 있다. 연세대에 소장된 『우해이어보』‘서여본’은 표제가 ‘玉曇書種’ 내제는 ‘담자외서’라고 되어 있고, 또 다른 『우해이어보』‘귀중본’은 표제가 ‘담정총서’, 내제는 역시 ‘담자외서’로 되어 있다. 이 ‘귀중본’에는 『우해이어보』 외에 김선·김선신·조면호 등의 시문이 필사되어 있는 바, 조면호가 김선의 제자였다는 점에서 조면호 또는 그 주변인이 필사한 책으로 보인다. 김려의 전 작품들은 『續齊諧志』(필사본 1책, 일본 천리도 서관), 『香半館藏書』(필사본 1책, 규장각) 등에도 실려있는 데, 일부 글자의 출입이 있다. 김려의 『思牖樂府』는 『담정총서』본과 성균관대 존경각 소장본에는 300수, 『담옹유고』에는 295수, 『담정유고』 목활자본에는 290수만 실려 있는 차이가 있다. 성균관대 소장 『담정유고』에는 「月巖權公行錄」 등 유배지 진해에서 지은 글 8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8편 중 「慕先齋上樑文」과 「慕先齋記」만 목활자본 『담정유고』에 보인다. 김선의 경우 시문의 유실이 김려만큼이나 많은데, 필자는 그의 逸文으로 김선민의 『관연록』에 붙인 題後와 유배지인 초산에서 쓴 『초관만필』을 소개하였다. 김선의 경우 『담정총서』에 수록된 小集 이외의 글들이 전혀 발견되지 않아 蒐佚 작업이 더욱 절실하다고 하겠다. 향후 김려·김선 형제와 추사 김정희와의 교유의 정도, 영향관계가 고찰될 필요가 있다. 그 磁場 안에 李鈺, 金善臣, 金照, 趙冕鎬, 金綺秀 등 중요한 문인들이 포진해있는데, 이들은 19세기 문학사를 다채롭고 풍성하게 해줄 하나의 판이 될 것이다. This paper reviewed the existing manuscripts of the Kim-Ryeo and Kim-Seon brother who left a clear mark in the literary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ntroduced new materials of them. Between 1818 and 1821, Kim-Ryeo compiled of 『Damjeongchongseo』 by collecting himself and his acquaintances and relatives’ poetry and literature. Kim Gyeom-soo, Kim-Ryeo’s grandson, selected only Kim Ryeo’s poetry in this book and published wooden movable type 『Damjeongyugo』 in 1882 with the cooperation of second cousin Kim Ki-su. The complete works of 『Damjeongchongseo』 is the only manuscript, but the transcripts of 『Woohaeiobo』 and Kim Ryeo’s biographies exist. A “valuable copy” of 『Woohaeiobo』 owned by Yonsei University include poems written by Kim-Seon, Kim Sun-shin, and Cho Myeon-ho. Considering Cho Myeon-ho was Kim-Seon’s student, I think Cho Myeon-ho or the people around him would have written this book. Kim-Ryeo’s works are also included in 『Sokjehaeji』and『Hyangbangwanjangseo』. Sungkyunkwan University’s 『Damjeongyugo』 contains 8 piece of works such as 「Wolamkwongonghaengrok」, 「Mosunjaesangrangmoon」, 「Mosunjaegi」 written in a place of exile Jinhae. Only 「Mosunjaesangrangmoon」 and 「Mosunjaegi」 are shown in the wooden movable type 『Damjeongyugo』. Also Kim-Seon’s inscription in Kim Sun-min’s 『Gwanyeonrok』 and 『Chogwanmanpil』 written in the exile site Chosan were excavat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Ryeo and Kim-Seon brother and Chusa Kim Jeong-hee.

      • KCI등재

        담정그룹의 문학세계와 상업도시 한양의 도회지 문화

        안대회 ( Ahn Daeho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8 No.-

        이 논문은 도회지 문학의 시각에서 담정그룹 문인의 문학세계를 분석하였다. 담정그룹은 藫庭 金鑢의 『藫庭叢書』에 수록된 16명의 작가를 주축으로 하여 姜彝天과 沈魯崇을 포함하고 있다. 서울 토박이 문인이 주축을 이룬 이 그룹은 독특한 문학적 지향을 보였다. 개성과 변화가 없는 문단의 타성을 비판하며 小品文을 주요한 문체로 채택하여 창작하였다. 낡고 흔해 빠진 창작 소재에서 벗어나 대도회지 한양이 발산하는 새로운 사회와 주민을 창작의 주된 대상으로 삼았다. 동인들은 상업도시 한양의 물질적 풍요를 즐기고 도회지 문화를 적극적으로 향유하는 태도를 보였다. 그 태도가 창작에 반영되어 번영을 구가한 18세기 후반의 한양에서 상품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시장에서 살아가는 여항인을 애정을 가지고 묘사하였다. 그로 인해 도회지의 활력과 상인의 삶, 상업도시의 물질적 풍요를 누리는 작가의 소비생활과 도회민의 생활상, 대중문화 등의 현상이 생생하게 묘사되었다. 이 문학그룹이 지향한 도회지 문학은 조선 후기 문학사에서 남다른 개성을 지닌 독특한 유파임을 부각한다. 식상한 소재와 구태의연한 인물, 전통에 기댄 낡은 문체를 버리고 낯설고 새로운 문체로 한양의 도회지 문화와 인간, 분위기를 부상하게 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가 크다. This paper analyzed the literary world of Damjeong Group writers in the context of city culture. The key members of Damjeong Group were the 16 writers listed in Damjeong Kim Ryeo’s Damjeong Chongseo, including Kang Icheon and Sim Noseung. These writers, who are Seoul natives. showed unique literary traits. Thet criticized the habitual, unchanging routine of the literary circle, and created works in the form of short essays. Instead of relying on worn-out, commonly used materials, they chose the new society and citizens of Hanyang as their main subjects. The writers enjoyed Hanyang’s material abundance and immersed themselves in city culture. Their attituds were reflected in theirs works, and they affectionately portrayed common people living in Hanyang during the late 18<sup>th</sup> century―a time of active trade. As a result, the captured the energy of the city, lives of merchants, spendings of writers enjoying material abundance, lives of city dwellers, and popular culture. The style of city literature aspired by the group is unique and like no other in the literary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ignificance of their works lies in abandoning overused materials, predictable characters, and old writer styles, and adopting a new, unfamiliar writing writing style that contributed to enhancing Hanyang’s city culture, people, and atmosphere.

      • KCI등재

        담정 김려의 산문에 관한 일고찰 ― 제후와 간찰을 중심으로 ―

        정우봉 ( Chung Woo-bo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8 No.-

        이 논문에서는 담정 김려의 산문 가운데 그동안 제대로 조명받지 못했던 작품들―題後, 簡札, 記文―을 중심으로 김려 산문의 특징적 면모와 의식 지향을 살펴보았다. 김려가 『藫庭叢書』를 편찬하면서 남겼던 題後는 책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는 데에 중점을 두기 보다 책을 통해 떠오르는 여러 斷想들을 자유로운 필치 속에 생동감 있는 언어로 서술하고 있어 한 편 한 편이 빼어난 작품으로 읽힌다. 김려는 짧은 편폭 속에서 대상 인물과 관련된 추억과 일화 등을 생생한 장면 묘사와 서정적인 필치 속에 담아내었으며, 이와 같은 점에서 김려의 叢書題後는 예술성을 갖춘 빼어난 小品文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사라진 것들, 이제는 소멸된 것들에 대한 애석한 감정, 작가와 저술의 불운한 운명에 대한 탄식을 토로하였고, 그러한 한탄의 이면에는 부당한 폭력과 횡포에 대한 비판과 인간의 무지, 무능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가 담겨 있었다. 「翠蓮峯記」 또한 記文의 통상적인 격식에서 벗어나 대상 인물과의 만남과 헤어짐의 기본 흐름으로 삼아 은거의 삶을 추구하는 송치관의 남다른 모습을 부각시키는 한편 작가의 절친한 벗이었던 남성구의 죽음을 애도하였다. 한편 김려가 남긴 간찰들에서는 자전적 술회의 방식을 통해 자기 내면의 감정을 격정적으로 표출하기도 하고, 부당한 폭력과 횡포 및 그에 기생한 부류의 행태를 날카롭게 비판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부조리한 세상으로부터 훼손된 자아를 반성하고 질책하였다. 김려는 여기에 머물지 않고 유배지에서 만난 다양한 인물들과의 접촉과 교류를 통해 자신을 변모시키고 자아를 확장시켜 나갔다. 『사유악부』, 『우해이어보』 등을 통해 이 점을 확인해 볼 수 있으며, 『감담일기』 또한 그 같은 자아의 변화 과정을 잘 보여준다. Focusing on the works that were not properly illuminated among Kim Ryeo’s prose, the characteristic aspects and consciousness orientation of Ryeo Kim’s prose were examined. Rather than focusing on introducing the contents of the book, the epilogue that Kim Ryeo left while compiling the Damjeongchongseo describes various fragments that come to mind through the book in a lively language with free brush strokes, so each side is read as an outstanding prop. In particular, with meeting and parting with the target person as the central axis, the past and present were compared, and through this, the target person and related memories were recalled and feelings about life and death were deposited. In addition, through this, they expressed sorrowful feelings for things that have disappeared and now extinct, and lamentation over the unfortunate fate of writers and writings. It contained a warning message. In the letters left by Kim Ryeo, he passionately expressed his inner feelings through autobiographical recollections, and sharply criticized unfair violence and tyranny and the parasitic behavior of the kind. Through this, he reflected on and reprimanded the ego damaged by the absurd world. Kim Ryeo did not stay here, but transformed herself and expanded her ego through contact and exchange with various people she met in the place of exile. This point can be confirmed through Sayuakbu, Uhaeieobo, and Gamdam Diary also shows the process of such a change of ego well.

      • <黃城俚曲> 硏究

        박준원 우리한문학회 2002 漢文學報 Vol.7 No.-

        Hwangseongrigok was written by Kimryo(金鑢), creating a poem everyday, when he served as the head of office in Yeonsan(連山), Choongchung(忠淸) province. Hwangseongrigok consists of 204 poems, and was written from october 1817 to march 1819, a period of 18 months. Hwangseongrigok are classified as follows: First, Hwangseongrigok was written during his service as an official, shows lots of love and concern toward people in Yonsan, while Sayooakboo(思牖樂府) written his exile was critical. Second, Hwangseongrigok contains the poems which he wrote during his official and personal life. There are many poems, describing his work at the office, and confessing on his sicknesses cause by physical weakness. Third, Hwangseongrigok is fundamentally characteristic of Gisogakboo(紀俗樂府). This work deals with historical places of life and culture in Yonsan. Fourth, Damjungchongseo(潭庭叢書) was compiled in this period, so through Hwangseongrigok the process of compilation of Damjungchongseo and the literary writers surrounding it can be found. 황성리곡은 潭庭이 말년에 連山 현감으로 재직하면서, 매일 한 수의 시를 창작한 것이다. 그는 자신의 다른 작품들과는 달리 思牖樂府와 황성리곡의 작품들이 鄙俚하다고 하였다. 이것은 이 두 작품들만의 독특한 특징을 언급한 것으로, 富寧과 연산이라는 특정한 지역의 특이한 풍속과 풍물, 유적 등을 소재로 삼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이 두 작품집들이 紀俗樂府 계열에 속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황성리곡은 모두 204 수의 칠언절구로 구성되어 있다. 작품의 저작시기는 1817년 10월부터 1819년 3월까지의 17개월이다. 황성리곡 204 수의 구체적 내용과 특징을 다음과 같이 네 개의 항목으로 분석해 볼 수 있다. 첫째, 황성리곡은 목민관의 신분에서 쓰여진 것이므로, 유배시절에 쓰여진 사유악부에서 보이는 강렬한 비판보다는, 연산의 주민들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황성리곡은 일상의 업무중에 틈을 내어 자신의 일과를 일일이 시로서 기록한 작품들이기 때문에, 공무와 그 여가에 대한 묘사와, 말년에 병약한 몸 때문에 질병에 시달리고 있음을 토로하는 작품들이 많다. 셋째, 황성리곡은 기본적으로 기속악부의 성격을 가진 작품집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연산의 풍물과 풍속, 유적지에 대한 다양한 기사를 다루고 있다. 넷째, 潭庭叢書의 편찬작업이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우리는 황성리곡을 통해서 총서의 편찬과정과 주변 문인들과의 교유양상도 부수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 KCI등재

        『윤인관척독(閏人觀尺牘)』과 『풍고관소독(楓?觀小牘)』을 통해 본 김려(金?)와 김조순(金祖淳)의 교유 양상

        강혜선 ( Kang Hye-sun ) 한국한문학회 201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9

        『?庭叢書』 소재 『閏人觀尺牘』과 『楓皐觀小牘』은 기본적 성격은 알려져 있으나, 구체적으로 수록 척독들을 세밀하게 검토한 적이 없는 자료이다. 이에 본고는 두 척독집을 충실하게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 金?와 그의 평생의 벗인 金祖淳의 교유 양상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두 척독집의 제작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김려와 김조순의 교유 양상을 두 사람의 시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楓皐集』에는 비록 유배 중인 김려와 관련한 시문이 전하지 않지만, 김려의 시문을 통해 김조순이 김려에게 변함없는 우정을 보여주었으며, 김려 해배 이후 김조순과 김려가 활발하게 교유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윤인관척독』에는 89편의 척독이 수록되어 있는데, 제작 시기는 김려가 삼청동으로 옮겨온 1811년부터 의금부 말단직, 정릉 참봉 등을 지낸 시기를 거쳐 1817년 12월에 걸친 시기이다. 주요 내용은 일상의 안부를 묻고 집안일을 전하고 있어, 문예적인 성격보다 실용적인 성격이 강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편지마다 일정한 물품 - 식량과 각종음식 재료, 건축 자재, 각종 약재와 문방구류 - 이나 돈을 보낸 것을 보아, 김조순이 오랜 유배 생활로 경제적으로 몰락한 김려를 지속적으로 후원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윤인관척독』에서 주목할 척독들로는, 먼저 일상의 가족사를 정감 넘치게 전한 예, 김조순의 玉壺精舍에서 趙學殷, 金照 등과의 교유를 보여주는 예, 단풍나무를 애호한 김조순을 위해 김려가 단풍나무를 여러 차례 구해 준 예, 김려와 김조순, 권상신 등이 서로의 시문을 주고받으며 검토하는 예, 김려가 최고의 위치에 있는 김조순에게 정치적 조언을 하고 그 조언에 김조순이 대응하는 예 등을 주목할 만하다. 『풍고관소독』은 김조순이 1801년에서 1804년에 걸쳐 李復鉉에게 보낸 척독 15편과, 김려가 연산현감을 지내던 시기와 체직되어 돌아온 뒤인 1818~1819년에 김려에게 보낸 척독 30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척독집 역시 실용적인 성격이 강하지만, 여기에도 주목할 만한 척독들이 보인다. 김려의 요청으로 김조순이 연산 동헌의 風雷軒과 酌廉閣 편액 글씨를 써주었으며, 金正喜가 동헌 기둥의 주련 글씨를 써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체직되어 서울로 돌아온 뒤 김조순과 김려의 문학적 교유를 보여주는 척독들은 주목할 만하다. 그 중 대표적인 예가 바로 1819년 3월 김조순, 김려 일행의 奉元寺雅會의 정경을 고스란히 전하는 척독들이다. 세 편의 척독은 김조순의 「記奉元寺遊」와 짝을 이루어 당시 이들 문인 그룹의 문예 활동 및 취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tried to extract the friendship of Kim Rye and Kim Jo-soon shown in the two collection of letters. The two collection named 'Yunningwan Chokdok' and 'Punggogwan Sodok' are contained in 'A Series of DamJeung'. Those are the letters that Kim Jo-soon sent to Kim Rye after Kim Rye was returned from exile. As they usually send daily greetings and convey family relationships, they are more practical than literary characters. Especially, Kim Jo-soon sent Kim Rye various items along with the letter. For example, he sent food, various food materials, building materials, various medicines, and stationery, and money. This shows that Kim Josoon was the economic supporter of Kim Rye. Remarkable letters include the literary activities of Kim Jo-soon and Kim Rye. For example, the letters show Kim Jo-soon, Kim Ryeo, Jo Hak-eun, and Kim Jo‘ s literary activities in Kim Jo-soon's beautiful house named Okhojeongsa. It is also noteworthy that Kim Rye gave political advice to Kim Jo-soon, who actually led contemporary politics at the top, and Kim Jo-soon responded to the advice. The most notable letters from the collection 'Punggogwan sodok' are : First, when Kim Rye was working as a town governor of Yeonsan, Kim Jo-soon wrote calligraphy on the two framed pictures of the government office, and Kim Jeong-hee wrote calligraphy on the government office's pillars. Second, when several writers such as Kim Jo-soon, Kim Rye and Kim Jo visited Bongwonsa Temple in March 1819, Kim Jo-soon described his experiences of the day's traveling in his letters to Kim Rye. The three letters are paired with Kim Jo-soon's travel essay of Bongwonsa, which shows the literary activities and tastes of the writers' group at the time.

      • KCI등재
      • KCI등재

        이옥(李鈺)의 문학에 나타난 벌레, 꽃, 물의 표상

        박수밀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2 No.-

        본고는 이옥의 문학에 나타난 벌레, 꽃, 물의 표상을 분석하여 이옥의 미의식, 존재와 관계에 대한 세계관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는 이옥의 꽃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옥은 꽃 자체의 미적 특질에 주목한 작가였다. 일반의 사람들이 꽃의 향기와 자태에 주목하는데 반해 이옥은 꽃에서 변화와 소멸을 발견했다. 그가 꽃에서 느끼는 미적 체험은 아름다움이 사라지는 소멸의 애상감이었다. 애상감과 무상성이라는 이옥 문체의 특질은 문체반정의 상처 이전에 이미 이옥 안에 내재한 근원적인 감수성이었다. 다음으로는 이옥의 벌레에 대해 살펴보았다. 존재와 관심의 층위에서 이옥은 벌레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기울인 작가였다. 이옥은 벌레에게서 연민을 느끼고 배움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옥은 벌레와 인간의 처지를 역전시켜, 벌레가 인간의 어리석음을 질책하는 데까지 나아갔다. 물아균시(物我均視)는 이옥의 사물 인식을 규정짓는 말이었다. 사물과 나를 균등하게 보는 입장은 나와 벌레는 존재론적으로 같다는 생각으로 심화되었다. 이옥은 벌레와 인간의 존재성을 나란히 놓음으로써 작은 존재들을 존중하고 이들에게서 무언가를 배우려 하였다. 다음으로는 이옥의 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옥이 사랑한 물은 노자(老子)의 물이었다. 이옥의 유약하고 조용한 성격은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유약하고 고요한 노자의 물을 사랑하게끔 이끌었다. 노자의 물에 나타난 유약함과 고요함은 여성의 성질이기도 했다. 많은 연구자들이 이옥의 감성이 여성적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옥이 사랑한 노자의 물을 통해 그 연관성을 확인했다. 이옥의 벌레, 꽃, 물의 표상을 통해 살핀 그의 미의식, 존재와 관계에 대한 통찰, 차별 없는 시선, 유연한 감성이 작품에 어떤 방식으로 펼쳐지고 있는지를 계속해서 살펴갈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ize the symbol of worm, flower and water in Ok Rhee’s literature, and to understand him more deeply. Firstly, it reveals the flower of Ok Rhee’s. He paid attention to the aesthetic feature of flower itself. People usually catch the beauty of flower in its scent and figure, but Ok Rhee found change and extinction in flower. His aesthetic experience from flower is an aesthetics of extinction. His feeling about beauty is based on his grief for extinction. Grief and transience, the feature of his writing style, is his fundamental feeling before his suffering of restoration policy. Next it reveals Ok Rhee’s worm. He had deep concern on worm. He had compassion on it and learned from it. Furthermore, he changed both’s position and considered that worm rebukes people. ‘Mul-A-Kyun-Si’(which means equal viewing self as things) is definition of his ontology. His position of equal viewing self as things is connected with his thought that self (I) and worm is the same in ontology. He placed the value of worm and people in the same place, considered small things preciously, tried to learn something from them. Finally it reveals the water of Ok Rhee’s. His water was of Noh-Ja. He was weak and quiet. This characters had him love the weak and quiet water of Noh-Ja’s,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he weakness and quietness of Noh-Ja’s water was those of women. It will more progressively be developed to study how to reveal his aesthetic sense, his deep insight of existance and relationship, his equal view and his flexible feeling in his works.

      • KCI등재

        『뉴산문고(杻山文稿)』에 나타난 이우신(李友信)의 문론(文論) 연구(硏究)

        김기엽 ( Kim Gi-yeop ) 동방한문학회 2017 東方漢文學 Vol.0 No.72

        李友信이 살았던 18세기 후반은 文을 대상으로 다양하고 세부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문학적 관념에 나름의 다양성이 작용하던 시기였다. 이우신은 어려서부터 金?를 비롯하여 다수의 소품체 작가들과 긴밀하게 교유하며 문학적 활동을 전개해 나갔는데, 유가적 가치를 추구하고 도학자의 삶을 살았던 그의 행력에 비추어 볼 때, 이와 같은 문학 활동은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우신이 소품체 작가들과 교유했던 시기의 작품과, 도학적 이념을 기반으로 활동한 시기의 작품에 주목하였다. 먼저 문학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 있어서 그 계기가 드러난 작품과 작품에 드러난 표현을 대상으로 하여 문학적 경향이 변하게 된 양상을 살펴보고, 이후 文에 대한 그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杻山文稿』에 실려 있는 산문 작품을 분석하였다. 『杻山文稿』에는 이우신의 작품 22편과 편찬자인 김려의 발문을 포함하여 총 23편의 산문이 실려 있다. 이우신이 많은 작품을 남기지는 못했지만 唐宋의 문풍을 뛰어넘어 先秦兩漢의 문풍을 따라 司馬遷, 董仲舒 등과 비견할 정도라고 칭술한 김려의 말에서 이우신의 문학이 어떤 노선을 취하고 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杻山文稿』에 실려 있는 산문 중에 ‘文’을 주제로 한 논변을 중심으로 하여 이우신이 생각하는 道와 文의 관계 설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는 道를 토대로 하면서 文의 사회적 기능도 중시하였는데, 이는 학문이라는 개인적인 영역에서 道의 실천이라는 사회적인 영역으로 文의 기능을 확장한 것으로 보인다. 편지글에서는 이우신이 文을 거론한 부분을 발췌하여 文에 대한 그의 관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科擧 공부를 위한 문장을 지양하고, 자아성찰과 내면수양의 수단으로 文을 정의한 것은 文을 통해 道를 밝힐 수 있다는 입장을 기반으로 언급한 것이다. 이우신의 문학 중 일부의 시 작품을 근거로 작가의 문학적 관점을 소품적 문학으로 속단할 수 없다. 작가의 생애와 과도기적 사건, 또는 이에 따른 심경 변화가 나타난 작품을 통하여 총체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문장을 수식하는 데에 치중했던 지난날의 태도를 반성하고, 文을 통해 도를 밝히고 발현해야 한다는 이우신의 견해를 반영하여 그의 문학적 관념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The late 18th century in which Lee Usin(李友信) lived was a time of significant change in literary concept and also that of diverse, intensive debates in writings. He had conducted his literary activities, closely interacting with a number of vignette style writers from his young days. However, considering his life as a Neo-Confucianism master and a moralist, this kind of his literary activities is quite unconvincing. This study focuses on his works, particularly written in his early years in which he used to interact with vignette style writers and the later years in which he used to concentrate on ethics ideology. The aspect of changes in his literary tendency was examined to see the change appeared in his attitude toward literature, targeting his works and description showing the trigger of such changes. Then in order to figure out his cognition of writings, his prose in 『Yoosanmoongo(杻山文稿)』 was also analyzed. There are 23 prose writings in 『Yoosanmoongo(杻山文稿)』; 22 were written by Lee Usin and 1epilogue was written by the compiler, Kim Ryeo. Although Lee Usin didn't leave many works, it is not difficult to presume his literary direction thanks to Kim Ryeo's compliments saying that Lee Usin surpasses the writing style of China's Tang and Sung Dynasty, and is even comparable to Sima Qian and Dong Zhongshu along with the writing style of Pre-Qin and Ha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ao(道) and Literature (文) set by Lee Usin, based on literature(文)-themed arguments in his prose out of the works contained in 『Yoosanmoongo(杻山文稿)』. Basically placing emphasis on Tao, he also regarded the social function of literature(文), and this implies that he tried to expand the function of literature(文) from individual academic sphere to common, social sphere. The study also looked into his point of view on literature(文) by extracting his mentions about it from his letter writing. He defined literature(文) as the means to avoid writings for Gwageo and achieve introspection and inner self-improvement; this is based in his point of view supporting that it is possible to clarify Tao(道) through literature(文). We should not make a hasty conclusion to consider his literary perspective as vignette style only based on parts of his works in his early days. Instead, it is needed to approach holistically, looking into the writer's life, transitional event, or consequent change of his mind. Now it is necessary to set his literary concept by taking his view of the later years to reflect on the traditional attitude sticking to embellishment of writing and to realize Tao(道) through literature(文) into accou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