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혼여성의 단절 및 거절 도식과 결혼 만족의 관계에서 헌신의 조절효과

        김률아,하정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identifying whether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out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of married women can influence marriage satisfaction and examining and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marital satisfac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it will differ owing to commitment, which is a moderating variable. Methods For this aim, survey targeted 366 married women residing in Seoul, Gyeonggi, Incheon areas and statistical analysis of 300 surveys through SPSS 22.0 program. Results The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First, it has been found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commit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were all significant.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ha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marital satisfaction and commitment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marital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how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influences marital satisfactio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marital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how commitmen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itmen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marital satisfaction. Conclusions Thus, through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aptive schema and marital satisfaction was examined by looking into the interacting influence of marital satisfaction and commitment of married women with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can differ according to commitment level. In that sens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provided empirical data contributing to improvement of unsatisfactory marriage life. Lastly, the implications in counseling, education regarding maladaptive schema and commitment were discussed and this study's limitations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여성의 초기부적응도식 중 단절 및 거절 도식이 본인의 결혼만족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 조절변인인 헌신에 의하여 달라질 것이라는 예상 하에 이들의 관계를 살펴보고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인천지역에 거주하는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연구에 동의한 366명에게 설문지를 조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 적합한 300명의 설문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절 및 거절 도식, 헌신, 결혼만족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단절 및 거절 도식은 결혼만족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여 단절 및 거절 도식의 수준이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떨어졌다. 헌신의 경우도 결혼만족도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단절 및 거절 도식과 결혼만족의 관계에서 헌신이 조절역할을 하는지살펴본 결과, 단절 및 거절 도식과 결혼만족의 관계에서 헌신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단절 및 거절 도식의 수준이 높고 낮음에따라 헌신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단절 및 거절 도식의 수준이 높은 사람의 높은 헌신은 단절및 거절 도식의 수준이 낮은 사람의 높은 헌신수준 보다 결혼만족도를 떨어뜨린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단절 및 거절 도식을 가진 기혼여성의 결혼만족과 헌신의 상호작용의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부적응도식과 결혼만족의 관계를 알아보았고 여기서 헌신의 수준에 따라 결혼만족도의 수준이 달라질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로써 만족스럽지 못한 결혼생활을 개선하는데 기여하는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부적응도식과 헌신에 대해 상담, 교육 장면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을제시하였다.

      • KCI등재

        성인애착과 Young의 단절 및 거절 도식에 따른 집단 분류와 우울, 불안 및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집단 간 차이

        안하얀,서영석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4

        This study explored groupings of individuals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adult attachment and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We also examined groups differences in depression, anxie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A cluster analysis with a sample of college students (N = 507) indicated four separable groups of participants. The ‘insecure attachment-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group’ scored highest on attachment dimensions and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The ‘anxiety attachment- abandonment/instability schema group’ showed high scores on attachment anxiety and abandonment/ instability schema. The ‘avoidance attachment-low abandonment/instability schema group’ exhibited high scores on attachment avoidance but a low level of abandonment/instability schema. The ‘secure attachment-low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s of attachment dimensions and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The first and second groups were higher on depression and anxiety than the other groups, whereas the first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interpersonal problems.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implications to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성인애착의 두 차원과 Young의 부적응 도식 중 단절 및 거절 영역의 하위 도식들을 조합했을 때 어떤 자연 발생적인 군집들이 형성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형성된 군집들이 우울, 불안 및 대인관계문제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총 507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네 집단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정애착-단절거절도식 집단’은 성인애착과 단절 및 거절 영역의 도식 점수가 모두 높게 나타났고, ‘불안애착-유기불안정도식 집단’은 애착불안 수준은 높지만 애착회피 수준은 낮으며 단절 및 거절 영역 중 유기/불안정 도식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회피애착-저유기불안정도식 집단’은 애착불안의 수준은 낮지만 애착회피의 수준은 높으며, 유기/불안정 도식의 점수가 불안정애착-단절거절도식 집단과 불안애착-유기불안정도식 집단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안정애착-저단절거절도식 집단’은 성인애착과 단절 및 거절 영역의 도식 점수가 모두 낮게 나타났다. 한편, 우울과 불안 수준은 불안정애착-단절거절도식 집단과 불안애착-유기불안정도식 집단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드러났고, 대인관계문제 수준은 불안정애착-단절거절도식 집단이 가장 높고 안정애착-저단절거절도식 집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실제 및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Young의 단절 및 거절 도식, 부정적 기분, 대인관계문제: 정서적 과민반응과 정서적 단절의 매개효과 검증

        안하얀,서영석 한국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9 No.4

        On the basis of Jeffrey E. Young's schema therapy, attachment theory and related empirical findings, the present study examined a theoretical model in which emotional reactivity and emotional cutoff mediated the links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and negative mood and interpersonal problems.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data from 401 college students at 8 universities indicated that the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produced a good fit to the data. Also, the link between maladaptive schemas and negative mood was partially mediated by emotional reactivity. The link between maladaptive schemas and interpersonal problems was also partially mediated by emotional reactivity. Unlike expectations, however, emotional cutoff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negative mood or interpersonal problem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counseling practice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관련 이론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Young의 단절 및 거절 도식과 부정적 기분 및 대인관계문제 간 관계를 정서적 과민반응과 정서적 단절이 매개하는 인과적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 및 정서적 과민반응과 정서적 단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강원 소재 8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01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우선,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이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단절 및 거절 도식에서 정서적 과민반응을 거쳐 부정적 기분 및 대인관계문제로 가는 경로가 모두 유의하였다(단절/거절 도식 ⟶ 정서적 과민반응 ⟶ 부정적 기분, 단절/거절 도식 ⟶ 정서적 과민반응 ⟶ 대인관계문제). 즉, 정서적 과민반응은 단절 및 거절 도식과 부정적 기분, 단절 및 거절 도식과 대인관계문제 간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단절 및 거절 도식은 정서적 단절에 유의미한 정적 효과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지만, 부정적 기분 및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정서적 단절의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실제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성적 자기주장 간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과 단절 및 거절도식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최은영,김정희,최희선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RS) and disconnection/rejection scheme(D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exual assertivenes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identify gender differences. Adult attachment was divided into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sexual assertiveness was divided into rejection of sexual contact, prevention of pregnancy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STD), and claim of sexual contact. The significance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s were confirmed through multi-group analysis. The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RS and DRS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exual assertiveness.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identified in the path from attachment anxiety to RS, DRS, and in the path from RS to DRS. Based on the results, academic and counsel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posed. 본 연구목적은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성적 자기주장 간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과 단절 및 거절도식의 매개효과와 성차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대학교에 재학 중인 383명(여 278명, 72.6%)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Mplus 7.2를 통해 분석하였다. 성인애착을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로 구분하였으며, 성적 자기주장을 성적 접촉 거절, 임신 및 성병예방, 성적 접촉 주장으로 나누어 구조적 관계와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했고, 다집단분석을 통해 성별에 따른 구조모형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애착회피에서 거절민감성, 단절 및 거절도식에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거절민감성에서 단절 및 거절도식과 성적 접촉 거절, 성적 접촉 주장에 미치는 경로, 단절 및 거절도식에서 임신 및 성병예방에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단절 및 거절도식을 매개하여 임신 및 성병예방에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였고, 애착불안이 거절민감성을 매개하여 성적 접촉 거절과 성적 접촉 주장에 미치는 경로가 유의했다. 또한 애착불안에서 거절민감성, 단절 및 거절도식에 미치는 경로와 거절민감성에서 단절 및 거절도식에 미치는 경로에서 성차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의 관련성과 학술적, 상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청소년의 심리적 부적응간의 관계에서 분노사고의 매개효과

        김예나,이은경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3 청소년상담연구 Vol.21 No.2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ditating effect of anger thought in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 Rejection Schemes and adolescent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is subjects were 431 middle students(239boys, 192girls). As a result, Primary anger-thought is part of mediated caus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 Rejection Schemes and shrinking, depression / anxiety. And Secondary anger-thoughts is full of mediated caus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 Rejection Schemes and delinquency. Disconnection / Rejection Schemes are more positive effects of Primary anger-thought than Secondary anger-thought. Secondary anger-thought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 Rejection Scheme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본 연구에서는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청소년의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분노사고의 매 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위치한 중학생 총4 31명 (남자 239명, 여자 192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 과,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심리적 부적응의 하위요인인 위축, 우울/불안의 관계에서 일차 적 분노사고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심리 적 부적응의 하위 요인인 위축, 우울/불안의 관계에서 이차적 분노사고는 부분 매개효 과가, 비행과의 관계에서는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은 이차적 분노사고보다는 일차적 분노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 째,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심리적 부적응의 하위요인간의 관계에서 일차적 분노사고보다 이차적 분노사고의 매개효과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심 리적 부적응이 분노에 대한 인지적 지각과 관련이 있음을 밝혔으며, 이는 초기 형성된 단절 및 거절도식과 관련됨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의의와 제한점을 함께 논의 하였다.

      • KCI등재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외로움의 관계: 거절민감성, 정서표현 양가성 및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이주희,김영근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fear of intimacy o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and lonelines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414 university students from nationwide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yield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First, the result of individual mediating effect among factors showed that all the paths of rejection sensitivity throug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fear of intimacy on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and loneliness were not significant. Second,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had the mediating effect b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fear of intimacy on loneliness. Third, it was found that rejection sensitivit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fear of intimacy were mediated sequentially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and loneliness.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empirically examined the necessity of practical intervention strategies focusing on observing the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hema, anxiety of rejection, difficulties of emotional expression and fear of intimacy for the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ain lonelines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 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절민감성, 정서표현양가성,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이 매개하는지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 지역의 대학생 41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각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첫째,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과 정서표현양가성,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단절 및 거절 도식이 거절민감성을 거쳐 정서표현양가성과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 양가성을 통해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하여 외로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이 거절민감성, 정서표현양가성,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외로움을 호소하는 대학생들의 단절 및 거절 도식의 탐색과 거절에 대한 불안, 정서표현에 대한 어려움, 친밀한 관계에 대한 두려움에 초점을 맞춘 구체적 개입전략의 필요성을 경험적으로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단절 및 거절도식과 결혼만족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 검증

        양서연(Yang Seo Yeon),최한나(Choi Han Na)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2020 가족과 상담 Vol.10 No.1

        본 연구는 단절 및 거절도식과 결혼만족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역할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결혼기간이 1년 이상인 부부 458명(229쌍)을 대상으로 단절 및 거절도식 척도, 지각된 배우자지지 척도, 개정판 부부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t: APIM; Kenny, 1996)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절 및 거절도식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모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절 및 거절도식이 지각된 배우자지지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배우자지지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우선 남편과 아내의 자기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내의 상대방효과는 유의하게 나온 반면, 남편의 상대방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단절 및 거절도식과 결혼만족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매개효과 중 자기효과는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지각된 배우자지지의 상대방효과는 남편과 아내 간 성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지각된 배우자지지는 아내의 단절 및 거절도식과 아내와 남편의 결혼만족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지각된 배우자지지는 남편의 단절 및 거절도식과 아내의 결혼만족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부상담 및 결혼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229 couples married for more than a yea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APIM(Actor-Partner Interdependent Model; Kenny, 1996). The results indicated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has no relation to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in marriage satisfaction. Second,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was related to both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in perceived marital support.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 regards to both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when perceived marital support influences on marriage satisfaction. Both genders’ actor effect was related to marriage satisfaction through perceived marital support. However, while wives’ partner effect had an impact on marriage satisfaction through perceived marital support, husbands’ did not. The results indicated actor effect existed in the mediator effect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marriage satisfaction. However, wives and husbands partner effect on perceived marit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esults indicated perceived marital suppor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ives’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both wives’ and husbands’ marriag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perceived marital support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 and wives’ marriage satisfaction.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단절 및 거절 도식이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거부민감성의 매개된 조절효과

        전정은,김정민,한예은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단절 및 거절 도식, 사회적 지지, 거부민감성 및 초기 성인기의 경계선 성격 특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단절 및 거절 도식이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 지지와 거부민감성이 매개된 조절효과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36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이 거부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이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단절 및 거절 도식이 경계선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거부민감성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단절 및 거절 도식으로 인해 경계선 성격 특성을 가진 초기 성인기를 위한 구체적인 심리 치료적 개입의 근거 자료를 제공했다는 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social support, rejection sensitivity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arly adulthood, and to verify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jection sensitivity concerning the influence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For data collection,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60 young adult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concerning the effect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rejection sensitivity were significa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concerning the effect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were significant. Third,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jection sensitivity concerning the effect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were significa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provided basic data regarding specific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caused by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 KCI등재

        단절 및 거절 도식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주체적 자기손상과 공허감의 매개효과

        김은주(Kim, Eunju),백상은(Baek, Sangeun),이문희(Lee, Munhee) 한국재활심리학회 2020 재활심리연구 Vol.27 No.1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I-self system impairment and empti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s and binge eating behavior. Participants were 361 individuals (female=187, male=174) who responded t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o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s, I-self system impairment, emptiness, and binge eating behavior.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firmed an acceptable fit index and a dual mediating effect using the bootstrap method.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binge eating,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s, I-self system impairment, and emptiness. Additionally, I-self system impairment and empti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s and binge eating behavior. Empti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s and binge eating. However, I-self system impairment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s and binge eating behavior.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본 연구는 단절 및 거절 도식과 폭식행동과의 관계에서 주체적 자기손상과 공허감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19세 이상 60세 미만의 성인 남녀 361명을 대상으로 단절 및 거절 도식 척도, 주체적 자기손상 척도, 공허감 척도, 폭식행동 척도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과 Mplus 7.4를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 분석,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에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수용할 만한 적합도를 확인했으며,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통해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폭식행동은 단절 및 거절 도식, 주체적 자기손상, 공허감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절 및 거절 도식과 폭식행동사이에서 주체적 자기손상과 공허감이 순차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허감은 단절 및 거절 도식과 폭식행동 사이에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체적 자기손상은 단절 및 거절 도식과 폭식행동사이에 간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으며, 추후 연구에서 필요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성향적 낙관성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단절 및 거절 도식의 매개효과

        장숙경,김민정 한국상담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on the effects of childhood trauma and dispositional optimism on interpersonal problems. Participants were 592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who were surveyed on childhood trauma, dispositional optimism, interpersonal problems,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Based on existing research and theory, the investigators created two structural models. In one model childhood trauma and dispositional optimism indirectly affec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In the other model childhood trauma and dispositional optimism indirectly influenced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and through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hood trauma did not directly affect interpersonal problems, but affected them indirectly through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On the other hand, dispositional optimism directly affected interpersonal problems and also affected them indirectly through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외상 경험과 성향적 낙관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단절 및 거절 도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지역 대학생 592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 성향적 낙관성, 대인관계문제, 단절 및 거절도식을 측정하였으며, 선행연구 결과들과 이론적 배경들을 바탕으로 2개의 구조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모형 1은 아동기 외상 및 성향적 낙관성이 단절 및 거절도식을 통해 대인관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모형이고, 모형 2는 아동기 외상은 단절 및 거절도식을 통해 대인관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성향적 낙관성은 대인관계에 직접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단절 및 거절도식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모형이다. 그 결과, 첫째, 아동기 외상은 대인관계문제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단절 및 거절 도식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향적 낙관성은 대인관계 문제에 직접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단절 및 거절 도식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