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세기 한국의 단군 연구와 최근의 경향 -다른 종교 전통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주실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06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2 No.-

        13세기말 고려 『삼국유사」 에 단군신화가 최초로 기록된 이후 20세기까지도 단군 연구는 허구로서의 신화와 사실로서의 역사라는 이분법을 바탕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 글은 20세기의 단군 연구들 중에서 특별히 종교적 성격을 지닌 연구들을 신화와 역사의 이분법에 따라 일단 살펴보고, 이러한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이루어지는 최근의 단군 연구 경향과 그 의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20세기 초에는 일제가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말살하고자 단군을 허구로 치부한 데 반발하여, 민족종교와 그 영향을 받은 학자들이 단군의 실재를 인정함은 물콘, 종교 적으로 단군을 숭봉하는 입장에서 단군을 연구하였다. 한편 20세기 중반 이후, 기독 교 토착화를 시도한 신학자들은 단군의 사실성에 관심을 두기보다, 선교적인 관점으 로 기독교의 전통 교리 내에서 단군의 의미를 재해석하는 데 치중하였다 민족종교 측과 기독교 측의 연구 시각은 신화와 역사 중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 있어 서로의 차이를 좁히기 어려웠고, 비교 내용을 자의적으로 해석하는 문제를 낳았다. 이는 단 군신화가 역사신화라는 점을 간과하여 비롯된 문제이다. 역사신화는 그것을 참된 것으로 간주하는 사람들의 삶의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 단군신화는 한민족의 역사 안에서 끊임없이 되풀이 되어온 "살아있는 신화"로서, 허 구와 사실의 이분법을 벗어나 다양한 시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반영하여 20세기말 단군신화를 고대 근동종교의 신화와 비교한 연구들이 나왔고, 21세기에 들 어와서는 단군의 종교 교육적 가치와 종교 윤리적 의미를 고찰한 연구도 나오고 있 다. 이처럼 최근의 다양한 단군 연구는 현재 한국의 다종교 상황에서도 단군신화가 민족공동체의 화합과 발전을 도모하는 살아있는 신화로 기능할 수 있는 인식적인 기 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환단고기』 소재 단군신화의 서사 구성의 지향과 그 의미

        박성혜 한국구비문학회 2019 口碑文學硏究 Vol.0 No.55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version of theDangun myth contained in the Hwandangogi. Until now, the discussion on the Hwandangogi has focused whether this book can be considered a historical work. However, the question of its historicity aside, this book is also valuable as a text representing the imagination of the people who lived in the 20th century.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approach the Dangun myth contained in this text from the perspective of viewing it as a literary narrative. Chapter 2 of this paper breaks down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Dangun myth in the Hwandangogi. This approach is good for demonstrating the way in which the Dangun myth was composed. In chapter 3, this paper explains what is emphasized in the Hwandangogi version of the Dangun myth: the nation has a long history and a large territory. Chapter 4 explains the meaning of the Dangun myth by borrowing Cassirer’s phrase and calling it the Hwandangogi as a ‘poitical myth of the 20th century’. The Dangun myth in the Hwadangogi shows the desire for a strong nation named Hwan Guk, which has a large territory. However, this nation can easily be changed into the territory of the Japanese empire and Dangun just as easily changed into Susanoonomikoto, a mythic figure known as a sibling of the mythical founder of Japan, in the discourse of Japanese imperialism. 본고는 『환단고기』에 수록된 단군신화에 대한 설화학적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그동안 『환단고기』에 대한 논의는 주로 『환단고기』의 사료적 성격 검토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앞선 연구들은 역사적 사실을 구체화하려는 목적 아래 진행된 연구들이다 보니, 『환단고기』의 내용과 구성에 대한 문학적 관점에서의 텍스트 연구는 진행되지 못하였다. 『환단고기』는 한국 고대사에 대한 20세기의 상상력이 담긴 텍스트로서의 가치가 있으며, 이미 축적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환단고기』에 수록된 단군신화에 대한 설화학적인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런 관점에서 『환단고기』내에 수용된 단군 신화의 구성요소와 특징을 서사 단락을 나누어 화소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환단고기』 내의 단군신화가 무엇을 가지고 어떻게 구조화되었는지를 고구하였다. 나아가 이 단군신화가 결국 어떤 상(像)을 형상화하고자 하였으며, 그 의미와 효과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환단고기』의 단군신화는 건국의 역사성을 강조하기 위해 환국의 유구한 역사와 넓은 땅을 강조하고 있으며, 근대에 출현한 단군관이 수용되었다. 사회적으로 불안한 시대마다 단군신화가 대두되었던 신화사적 맥락과 이유립의 개인적, 시대적 경험 속에서 이유립은 광복 후 불안에 대한 대응으로 기존에 전승되던 단군신화를 바탕으로 『환단고기』의 서사를 구축할 수 있었다. 『환단고기』는 개인의 전략적인 고안의 과정과 『환단고기』에 형상화된 과거의 천년왕국을 근거로 20세기의 정치적 신화라 부를 수 있다. 그러나 환인, 환웅, 단군을 지키려는 의도에 매몰되어 환국, 배달, 조선을 제국으로 형상화한 『환단고기』는 단군신화를 서사의 기본 구조로 채택하고 있는 구성 상 일선동조론이나 단군과 스사노오가 동일한 인물이라는 논의에 복무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유립은 단군을 높이려고 했으나 역설적으로 일본의 침략논리에 포섭되어 버린 한계가 『환단고기』의 일역자인 가지마 노보루의 판본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환단고기』를 단순히 위서가 아니라 20세기의 정치적 신화로 자리매김 하였을 때, 『환단고기』 자체가 가지고 있는 신화로서의 성격을 근거로 이미 연구사적 판단이 끝난 『환단고기』를 둘러싸고 왜 끊임없이 논란이 계속되는지, 왜 일군의 사람들은 『환단고기』의 서사를 포기하지 못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민족의 기원으로 본 한국춤 사상-단군 신화를 중심으로-

        백현순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6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2 No.1

        「단군 신화」는 우리 민족의 신화로 비록 다른 민족의 신화와는 다르나 신화적 특징을 가진 특이한 신화이다. 본 연구는 우리 민족의 기원인 「단군 신화」를 통해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우리 민족의 사상적 원류를 탐색하고, 그 민족사상적 특성이 한국춤 속에서 어떠한 춤 철학을 구성하였는지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다. 「단군 신화」는 고조선 건국의 주역인 환웅이 곰에서 인간으로 변한 웅녀와 결혼하여 국가를 만듦으로써 민족 중심의 주체적 의식이 신과 인간의 결합이라는 융합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이는 우리 민족의식의 성격과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드러낸 것이라 볼 수 있다. 「단군 신화」에 관한 최초의 문헌인 삼국유사에 나타난 단군 신화의 내용을 바탕으로 「단군 신화」의 사상을 유추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와 국가를 세우는 이념으로 ‘널리 인간세계를 이롭게 할만하다’는 홍익인간사상과 인간세상을 행복하게 만드는 것을 국가의 목적이자 각개인의 삶의 목표라고 보는 인간 중심주의인 휴머니즘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단군 신화」에서 우리 민족의 존재 근원인 천지인 합일사상이 들어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단군 신화」는 고조선의 역사적 사실과 신화적 요소가 융합되어 있는데, 곰이 쑥과 마늘만 먹어 인간이 되어 결국 천신과 결혼하는 인간적 질서의 모태를 설명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존재상황에 기반을 둔 토테미즘을 느낄 수 있다. 넷째, 단군은 나라를 세워 인간세계를 다스렸는데 그의 역할이 바로 무당이자 통치자였다는 것을 통해 「단군 신화」 속에는 우리의 무교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단군 신화」에는 우리가 천자의 후손임을 알게 해 주고, 우리 민족에게 동질성을 심어 주어 미래의 희망적 삶을 살게 한 ‘한’사상이 들어 있다. 여섯째, 「단군 신화」에는 단군을 ‘환인제석’이라는 불교용어를 사용한 점과 후에 단군이 죽어 신선이 되었다는 도교적 요소의 사상, 그리고 가부장제의 유교적 사상 등 여러 가지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단군 신화」의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춤 사상을 추론해 보면, 첫째, 한국춤 역시 홍익인간과 휴머니즘 사상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 민족은 천신과 조상을 숭배하였는데, 그 숭배의식을 위해 춤을 추었다. 그리고 그 춤의 목적이 홍익인간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춤의 주체나 대상, 표현 등 모든 것이 다 사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휴머니즘 행위인 것이다. 둘째, 한국춤을 출 때 하늘과 땅 사이에 존재하는 무용수는 천지인의 공간 구조에서 삼재의 조화를 이루는 주체로, 한국춤에서의 천지인 합일은 「단군 신화」 속 우리 민족의 존재 근거와 함께 우주의 탄생에 관한 사유체계의 철학적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한국춤에는 「단군 신화」에서 보이는 토테미즘 사상과 무속사상이 들어 있다. 넷째, 한국춤에서의 ‘한’은 ‘한사상’의 의미를 지니며 「단군 신화」에 나타나는 한사상은 유․불․선이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는 사상이다. 이를 한국춤과 연관하여 볼 때 이기(理氣)의 우주 전개 개념으로 음양의 원리에 의해 동작선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한’사상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교춤, 불교춤 등이 현재 추어지고 있는 점 등을 볼 때 한국춤 속에는 한사상을 포함하여 유교사상이나 불교사상 등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Dangun Myth>, as one of the Korean myths, has been believed to be characterized by the unique mythological feature different from the other ethnic myth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basis of ideology in the Koreans by dint of <Dangun Myth> and the contribution of ideological properties to the philosophical construction of Korean dance. <Dangun Myth> is marked by the convergence of ethnicity-centered autonomous consciousness, God and human through the birth of a nation following the matrimony between Hwanwoong as main agent of founding of Kojoson and Woongnyeo as human transformed from a bear, which illustrates Korean characteristic of ethnic consciousness and identity of n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ntent of <Dangun Myth> shown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the first literature on <Dangun Myth>, some ideas of <Dangun Myth> can be inferred. First of all, as a founding ideology, humanitarianism and humanism are profoundly rooted. Then, oneness of heaven, earth and man is involved. Third, <Dangun Myth> has the blended feature of historical facts and mythological elements of Kojoson, showing the matrix of human order through the matrimony between human changed from a bear and heavenly god, which leads us to perceive totemism based on existential state of Korean people. Fourth, from the fact that Dangun, as a shaman and ruler, founded a nation and governed human world, Taoism is believed to be included. Fifth, in <Dangun Myth>, the thought exists that proves the Koreans are sons of heaven and gives us homogeneity, making us lead a better life in the future. Last but not least, seeing that Dangun is also named as Hwanin Jeseok, a Buddhist term, Dangun becomes an ascetic and patriarchy is widespread, the thought of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is said to be inherent in <Dangun Myth>. From the <Dangun Myth> mentioned earlier, the ideas on Korean dance can be inferred. To begin with, it is discovered that Korean dance has also the thought of humanitarianism and humanism. The Koreans worship heavenly god and ancestors, dancing for worship ceremonies. The purpose of the dance is to benefit all the humans; the subject, object, and expression involved in the dance are an act of humanism. Second, Korean dance performers existing between heaven and earth could be defined as the subject creating harmony of the three disaster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heaven ,earth and human. The unity of heaven, earth, human in Korean dance displays basis existence of the Koreans and the philosophical structure of thinking system on the origin of the universe. Third, Korean dance definitely has the idea of totemism and shamanism. Finally, 'sorrow' in Korean dance is meant by Han-ism, which forms inseparable relationship amo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t is widely acknowledged that Korean dance has been greatly affected by Han-ism in that the movement of Korean dance is determined by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confucian and Buddha dances are seen to be performed, Korean dance is believed to include Han-ism, Confucianism, and Buddhism.

      • KCI등재

        갑골 복사(卜辭)・주역 점사(占辭)를 통해 본 단군신화의 천신(天神)사상

        임재규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5 민족문화논총 Vol.59 No.-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Dangun Myth’s Thoughts of the Heavenly gods and Oracle bond script’s and the Book of Change’s. In the history of east-asia, the periods of Dangun myth and Oracle bond script overlap each other. And the regions of Dangun myth and Oracle bond script are also not far away. So we can assume that two cultures are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is assumption, I review Dangun myth’s thoughts of Heavenly Gods and Oracle bond script. From this review, I find out similarities between these two cultures. Dangun myth’s Heavenly gods are Hwanin(桓因), Hwanung(桓雄), the god of wind(風伯), the god of rain(雨師), the god of cloud(雲師). And Oracle bond script’s Heavenly gods are Almighty god(上帝), Sun(日), Mother of the East(東母), Mother of the West(西母), Cloud(雲), Wind(風), Rain(雨), Snow(雪). Although Sun(日), Mother of the East(東母), Mother of the West(西母) are not appeared in Dangun myth, but the other heavenly gods match up. Heavenly gods of Dangun myth and the Book of change are also similar in the thought of Almighty God. These similarities between Dangun Myth and Oracle bond script and the Book of Change are recognized in Mircea Eliade’s Relgious patterns. Thus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religious thoughts of Gochosun(古朝鮮) and Ancient china developed coordinately by cultural exchange. 단군신화에 있어서 천신 사상은 단군신화의 핵심적인 사상 중의 하나인데, 이러한 단군신화의 천신 사상과 갑골 복사 및 『주역』 점사에서 나타나는 천신 사상을 비교하여 살펴보는 것도 단군신화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이다. 갑골문이 발견된 중국 하남성 안양은 단군조선의 중심지로 추정되는 요동 지역과 지리적으로 멀지 않은 위치에 있다. 시기적으로도 서로 중첩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도 서로 가까운 위치에 있는 안양 지역의 문화와 단군조선의 문화를 비교 연구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시각이라 할 수 있다. 흥미로운 점은 시대와 지리적인 근접성에 걸맞게 갑골문의 천신 사상과 단군신화의 천신 사상은 서로 유사한 점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단군신화에 등장하는 천신(天神)은 1) 상제인 환인, 2) 환인의 서자인 환웅, 3) 풍백, 4) 우사, 5) 운사 등이다. 상제는 최고신으로 풍백, 우사, 운사 등을 거느리고, 인간사를 주관하게 된다. 단군신화의 천신(天神)과 관련하여 갑골문의 천신(天神)을 살펴보면, 상제(上帝), 일(日), 동모(東母), 서모(西母), 운(雲), 풍(風), 우(雨), 설(雪) 등이다. 이를 통해 보면, 단군신화에 등장하는 천신(天神)과 갑골문에 등장하는 천신(天神)이 서로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갑골문의 천신(天神) 중 단군신화와 일치하는 上帝, 雲, 風, 雨 등을 제외하고, 日, 東母, 西母, 雪 등의 천신(天神)도 나타나고 있다는 차이점은 있지만, 이것은 갑골문의 천신(天神)이 보다 다양함을 나타내주는 지표일 뿐, 단군신화와 갑골문의 천신(天神)이 일치하고 있다는 사실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나라를 이은 주나라의 종교적 문헌인 『주역(周易)』에서도 단군신화의 천신과 유사한 내용이 등장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갑골 복사의 천신, 『주역(周易)』 점사의 천신, 단군신화의 천신 사상은 엘리아데의 종교유형론을 통해 보다 보편적인 종교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조선의 문화는 중국의 문화와 서로 교류하면서 대등하게 발전하였음을 추론할 수 있다.

      • KCI등재

        의례를 통한 단군신화의 와해 : 와우리 단군전을 중심으로

        박성혜(Park, Seong Hye) 한국구비문학회 2020 口碑文學硏究 Vol.0 No.57

        본고는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와우리 단군전을 중심으로 이곳에서 전승되는 의례가 단군신화와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의미를 만들어가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군사묘는 전국적으로 약 40여개가 있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그 중 와우리 단군전은 현전하는 단군전 중에서 그 유래가 가장 오래되고, 단군 영정을 보관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마을 공동체를 중심으로 매년 두 번씩 단군전에서 의례를 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지금까지 신화와 의례의 관계를 다룬 논문들은 주로 무속신화를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었고, 건국신화의 경우 현재적인 사례를 확인한 경우는 없다. 따라서 21세기에 단군 의례가 단군 신화와 서로 어떻게 연관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확인하는 것은 의미가 있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와우리 단군전은 1910년대에 한 대종교인이 단군영정을 가지고 와서 제향을 드리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의례를 제대로 수행할 수도 없었고, 영정을 보관하는 것도 어려웠으나 해방 이후 지역민들이 단군전을 세우고 단군 영정에 제향을 하다가 1987년 현재의 단군전을 중건하기 시작하고, 의례도 유교식으로 재정비하여 지금까지 이르렀다고 한다. 이곳에 봉안된 단군영정은 20세기 초반에 대종교를 중심으로 전승되던 단군신화에 형상화 된 것으로 신화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단군신화와 비교했을 때 신화도상은 단군으로 의미가 집약되는 것이 특징이다. 단군전은 어천제와 개천제가 지켜지는 것, 영정이 봉안된 것을 근거로 단군영정을 봉안하던 천진전의 전통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의례의 참여자들은 일상과 다른 정형적인 행동의 반복을 통해 신화보다 초점화된 신화적 관념(mythical concept)의 단군을 만나고, 단군이 구현한 세계의 당위성을 행위로 추인하며, 의례의 참여자들에게 이를 현시한다. 행동을 통해 강화된 신성성의 감각은 이미 신화도상이라는 형식을 통해 의미가 집약된 신화적 관념(단군)을 한번 더 응집시키고, 고양시킨다. 그러나 의례의 통해 고양된 신화적 관념은 단군신화와 함께 전승되지 못한다. 단군이라는 신화적 관념이 의례를 통해 고양되는 과정에서 천신에서 국조로 그 의미가 바뀌었고, 신화적 관념에 필요한 형식을 신화적 서사 대신 단군영정과 의례를 수행하는 행위가 대체했기 때문이다. 의례와 관련해서 신화는 와해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서사(mythical narrative)가 완전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단군전의 의례는 단군전이라는 장소의 유래와 의례라는 행위의 타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증거물인 단군영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단군영정은 이제 그 자체로 영정의 역사성과 단군전 의례의 연원을 설명해주는 유래담의 핵심 증거물이 된다. 그리고 단군신화가 와해된 자리에 단군 영정의 유래담이 확장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ritual performed around the Wawoori Dangun Shrine in Unsan-myeon, Seosan-si, South Chungcheong Province, crafts meaning in the context of its relationship with the Dangun myth. The Wawoori Dangun Shrine originated in 1910 when a Daejonggyo believer brought the Dangun portrait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hrine and gave an offer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was not possible to properly perform any rituals, nor was it easy to preserve the portrait, but after the liberation, locals erected the Dangun shrine and gave offerings before the portrait. In 1987, repair work on the shrine began, and the ritual was reorganized according to Confucian ideals into the ritual that continues to be passed down today. The portrait enshrined in this place is a visualization of the Daejongism-centered Dangun myth that was transmitt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s such, it can be considered a mythical icon. In comparison to the Dangun myth, this mythical icon concentrates its focus on Dangun himself. As evidenced by the preservation of the Dangun portrait and the observation of Eocheonjeol and Gaecheonjeol, the Dangun Shrine can be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the tradition of Cheonjinjeon (Dangun Portrait houses), which enshrined Dangun portraits.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ritual encounter a more focalized mythical concept of Dangun than in the myth through a series of fixed actions that are a departure from the ordinary, endorse the rightfulness of the world realized by Dangun through their actions, and make this manifest to the other participants of the ritual. The sense of sacredness intensified through such actions once again enhances and binds together the mythical concept (Dangun) that has already been focalized through the mythical icon. However, the Dangun myth is not transmitted alongside the mythical concept that is enhanced through the ritual. This is because, as the mythical concept Dangun became enhanced through the ritual, its significance was transformed from that of a divine entity to that of a founding father, and the mythical narrative was replaced by the Dangun portrait and the act of ritual performance as forms necessary for the mythical concept. Although the myth collapses in relation to the ritual, this does not mean that the narrative disappears altogether. This is because the ritual of the Dangun Shrine, which is sustained for the sake of transmitting tradition, possesses the Dangun portrait, which acts as evidence of the validity of the origin of the Dangun Shrine and the performance of the ritual. The Dangun portrait is now in itself a key piece of evidence in the origin tale that explains the source of the Dangun Shrine ritual and the historicity of the portrait. In place of the collapsed Dangun myth, the folktale of the Origin of Dangun portrait is growing.

      • KCI등재후보

        단군신화의 비대칭적 세계관과 고조선의 왕권

        이정빈 ( Lee Jeong-bi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인문학연구 Vol.0 No.31

        본고는 단군신화에 담긴 세계관을 분석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단군신화에 보이는 곰과 호랑이에 주목하였다. 일찍부터 단군신화의 곰ㆍ호랑이는 토테미즘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다. 하지만 단군신화의 곰과 호랑이는 전형적인 토템과 차이를 보인다. 다만 토테미즘의 흔적을 엿볼수 있다. 단군신화에서 인간과 곰ㆍ호랑이의 경계는 비교적 명확했다. 그런 만큼 양자의 직접적인 교감과 소통 역시 어려웠다. 단군신화에서 인간과 자연은 비대칭관계로 설정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단군신화는 비대칭적 세계관을 반영한다고 이해된다. 물론 웅녀의 존재에서 알 수 있듯이 인간과 곰ㆍ호랑이의 교감ㆍ소통이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었다. 단군신화 내지 그 신화소의 원형은 인간과 자연의 대칭관계를 반영한다고 추정된다. 웅녀는 환웅을 통해 인간과 교감ㆍ소통하였다. 이로 보아 대칭관계에서 비대칭관계로 변화한 중심에는 환웅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환웅은 천계의 존재였지만, 천하의 인간세계를 대변하며 자연세계를 주관하였다. 단군신화의 환웅은 단군왕검과 혈연적 계보가 설정된다. 이로 보아 환웅이 인간세계를 대변한 것은 단군왕검으로 상징되는 고조선의 왕권이 신화에 투영된 결과였다고 해석된다. 인간세계의 지배자로서 왕이 출현하면서, 왕은 인간세계만 아니라 자연세계도 주관할 수 있는 존재로, 또 양자와 천계의 교감ㆍ소통을 독점한 혹은 그의 가장 우월한 존재로 부상하였다고 파악된다. 이 점에서 단군신화의 비대칭적 세계관은 고조선 사회의 변화, 보다 구체적으로 왕권의 탄생을 반영한다고 이해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world views of Dangun myth and figure out their historical meanings with a focus on the bear and tiger. It has been long that discussions started about the bear and tiger of Dangun myth in relation to totemism, but the bear and tiger of Dangun myth are different from the typical totems, merely showing the traces of totemism. There is a relatively clear boundary between the bear and the tiger in the Dangun myth,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have direct communion an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the Dangun myth, man and nature are set in an asymmetrical relation, which means that the myth reflects an asymmetrical world view. The presence of Ungnyeo, of course, makes communion and communication possible among man, the bear, and the tiger. It is estimated that the Dangun myth and the archetype of its Mythmes reflect the symmetrical relations between man and nature. Ungnyeo engages in communion and communication with people through Hwanung, which means there is Hwanung at the center of shift from symmetrical to asymmetrical relations. In the Dangun myth, Hwanung has in blood-based genealogy with Dangun Wanggeom. Hwanung represents the human world as the royal authority of Old Joseon represented by Dangun Wanggeom is projected in the myth. As a king appears as the ruler of human world, he rises to the status of controlling both the human and natural worlds and monopolizing commun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worlds as the most superior being. In that sense, the asymmetrical world view of Dangun myth seems to reflect the changes to the Old Joseon society and the birth of royal authority.

      • KCI등재

        <단군신화>에 대한 현대 독자의 수용 양상과 특성

        황혜진 ( Hye Jin Hwang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3 No.-

        본고에서는 현대 독자들이 단군신화를 어떻게 수용하고 있으며, 그것과 자신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단군신화와 나``라는 주제로 독자들이 쓴 64편의 자료를 분석하여 수용 양상을 펼쳐 보았다. 이 양상을 기술하면서 이 연구는 자신의 삶에서 비롯된, 단군신화에 대한 관심이라는 항을 설정하고 그 하위 내용을 ``단군신화와 나의 관계``를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민족적 이념에 대한 관심 아래 ``단군의 자손인 나``, ``유서 깊은 민족의 일환인 나``, ``홍익인간의 이념을 가진 나`` 등의 자료가 14.1%, 인격적 미덕에 대한 관심으로 ``곰의 미덕을 배우려는 나``, ``호랑이 같음을 반성하는 나`` 등이 26.5%, 신화에 대한 역사적 관심으로 ``신화를 통해 역사를 아는 나``, ``신화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나`` 등이 12.5%, 신화에 대한 서사적 관심으로 ``인물의 감정에 반응하는 나``가 6.3%, 개인적 전유에 대한 관심으로 ``경험 이해의 틀을 구하는 나``, ``수용 태도를 성찰하는 나``, ``창작의 소재로 활용하는 나``가 28.1%로 집계되었다. 이러한 수용 양상을 바탕으로 수용의 특징과 단군신화라는 상징을 매개로 의미 작용을 하는 주체인 현대 독자들의 정신적 삶을 기술하였다. 우선, 수용의 분포를 바탕으로 단군신화와 같은 집단적 상징을 통해 단군민족주의라는 사회적 의미 작용을 도모하는 이데올로기의 위력이 과거보다는 줄어들었음을 지적하였다. 두 번째 특징은 독자들의 반응이 활발한 서사 내용과 관련된 것으로, 독자들은 곰과 호랑이가 등장하는 내용에 흥미를 갖고 반응하였다는 사실이다. 세 번째 특징으로 든 것은 단군신화에 대해 비판적이고 합리적인 수용 태도가 확인된다는 점이다. 단군신화는 우리에게 소중한 상징이다. 민족의 기원에 대한 신화를 공유함으로써 사회 성원들은 상상의 끈으로 연결되어 있는 ``우리``를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집단적 상징의 의미는 시대와 함께 끊임없이 변화하는 도정에 놓인 것이며 다양한 개별 주체의 상징 작용에 열려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징적 텍스트의 상징성을 체험하게 하는 문학교육의 역할이 중요하다. 문학교육은 상징 세계에 참여하는 방법을 안내해 줄 수 있어야 한다. 그럴 때, 단군신화의 상징에 대한 의미 작용은 풍요로워질 수 있을 것이며, 특정한 목적으로 단군신화가 사용되는 것에 대항하면서도 새로운 전망과 보편적 원리를 제안할 수 있는 창조적 힘을 단군신화에서 얻을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how to be accepted the Dangun myth for korean young readers and how to be made the relationship with the myth and themselves by surveying the 64 texts of the topic, ``Dangun myth and I``. main interests relationship of myth and I count % 1) national ideology ① I`m a descendant of Dangun 3 14.1 ② I`m one of distinguished ethnic group 2 ③ I have national ideology such as ``beneficial for human[弘益人間]`` 4 2) personal virtues ① I learn the virtues of the bear 7 26.5 ② I regret to behave like the tiger 10 3) history about the myth ① I learn the history by the myth 4 12.6 ② I analyze the myth critically 4 4) narrative of the myth ① I feel the character`s feelings 4 6.3 5) personal appropriation ① I find the frame for understanding of my experience 11 28.2 ② I reflect the attitude of acceptance 4 ③ I utilize the myth for my storytelling 3 6) etc. foreigners and disposables 8 12.5 I described of mental lives of modern korean young readers by finding the characteristics of receptions of Dangun myth. First of all, I pointed out that the power of national ideology for young readers was decreased rather than past generation. Second, I found that young readers had interested in the narrative of bear and tiger. Third, the sacredness of the myth decayed with the reasonal and critical attitude.

      • KCI등재

        조선 초기의 단군신화와 의례의 관계 -『세종장헌대왕실록·지리지』 소재 단군신화를 중심으로

        조현설 한국구비문학회 2017 口碑文學硏究 Vol.0 No.45

        조선 초기 건국세력들은 자신들의 건국이념인 주자주의에 맞춰, 그리고 중국의 제 후국으로서의 정치적 위치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의례를 정비한다. 그 과정에서 이전 왕조까지 지속되던 민간의 단군 숭배를 포함한 제천의례와 단군신화가 자신들의 이념 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문제의식을 갖게 된다. 이들은 신화와 의례 사이의 정치적 문화 적 괴리를 조정하기 위한 논의를 상당 시간 지속했고, 그 결과 1403년에 편찬된 『동국 사략』에 처음 보이는 국인추대형 단군신화, 곧 조선형 단군신화를 제작한다. 신인이 내려오자 국인이 추대하여 왕으로 세웠다는 간략한 신화 서사는 천명론, 민심천심론, 천인합일론 등 유가의 정치 이념에 부응하는 것이었다. 이 조선형 단군신화는 1413년 을 전후로 하여 제도화된 평양부의 단군-기자 의례와 조응하면서, 나아가 유가적 교육 과정에서의 신화 읽기와 암송 과정을 거치면서 통해 양반 사대부 계층의 ‘상식’으로 자리 잡는다. 이 상식은, 대한제국기와 근대계몽기에 단군에 대한 재의미화 작업, 그리 고 근대적 교육 과정을 통해 조정될 때까지 지속된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 종장헌대왕실록·지리지』라는 공식 문헌이 비조선형 단군신화, 다시 말해 조선 이전부 터 전승되고 있었던 단군신화를 수습해 놓은 것은 민간의 의례와 결합되어 구전되고 있었던 신화적 전통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는 뜻으로 이해된다. 조선 초기는 이 같은 이원적 신화-의례 구조의 출발점이었고, 이는 유가 이념의 필연적 결과였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을 위한 <단군신화>의 교육 방향

        이은자(Lee, Eun-Ja)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4

        본 논문은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단군신화>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단군신화>의 한국어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단군신화>는 한국의 시원을 설명하는 건국신화로서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이야기이다. 한국어 교재에도 문학텍스트 수용 비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는 텍스트이다. 이는 <단군신화>가 한국인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진 신화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언어와 문화교육을 함께 할 수 있는 구비문학텍스트라는 점에서 유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교재의 상당수가 <단군신화>가 가진 구비문학의 한국어교육적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역사와 신화의 경계에서 <단군신화>를 해석하는 일정한 교육적 관점을 가지지 못한 채, 삼국유사에 기록된 문어적 요약 서사방식 그대로를 텍스트로 삼고 있고 때문이다. <단군신화>는 구비문학텍스트의 장점을 활용해야 언어와 문화 교육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한국어교재의 <단군신화> 텍스트가 현대인의 구연성에 맞게 재화되어야 한다. 이 때 언어교육의 측면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할 수 있는 입체적인 텍스트로 구성하여 의사소통 중심의 학습활동을 가능케 해야 하고, 문화교육의 측면에서는 문화교수 항목을 단계별로 배치하여 체계적인 문화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텍스트가 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단군신화>는 역사가 아니라 이야기의 문학적 독자성을 확보함으로써 심미적 체험과 상상력을 펼칠 수 있는 문학텍스트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The Myth of Dangun is a founding myth of Korea, which is very well known to Korean people. It is numbered as the most frequently printed literary text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This is not only because Dangun Myth is a very significant myth for Korean people, but also because it is considered as a practical oral literary text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t the same time. But in reality, a majority of textbooks have failed to activate the myth’s potential strength as an oral literature. The reason of the failure comes from the absence of clear educational perspectives to the Dangun text, which seems to be overshadowed by its historical or mythical perspectives. Since many Korean textbooks simply borrow a descriptive literary form of Dangun Myth written in Samgukyusa and purely display it, the beneficial features of the text as an oral literature, such as dynamic exchange of communication skills or active transmitting of cultural knowledge, rarely occur in the language classrooms. In order to use the Myth of Dangun efficiently i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the myth in the Korean textbooks needs to be first retelling in contemporary colloquial Korean language. For the purpose of language education, the new text should be formulated for the language learners to practice dynamic communication-centered activities through storytelling method. For the purpose of culture education, cultural elements should be systematically arranged and inserted step by step within the text. Rather than approving the Myth of Dangun only as a historical text, we need to acknowledge its role as an oral literary text and retelling it so as to help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aesthetic experience and their imagination.

      • KCI등재

        근대 일본어 조선 설화집에 수록된 단군 신화의 양상

        박성혜(Park Seong-hye) 국문학회 2022 국문학연구 Vol.- No.45

        본고는 근대에 출판된 일본어 조선 설화집에 수록된 단군 신화의 현황을 확인하고 그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의 논의 결과 단군 신화가 수록된 일본어 조선 설화집은 1891년부터 1943년까지 총 13종이 확인된다. 그리고 여기에 수록된 단군 신화는 단군론 기술 여부에 따라 크게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단군론이 기술되지 않은 단군 신화는 󰡔동국통감󰡕에 수록된 단군 신화나 󰡔삼국유사󰡕 「고기」형의 서사 단락을 매우 요약하여 기술한 것과 󰡔삼국유사󰡕 「고기」형의 서사 단락을 수용하면서 각색한 것으로 구분된다. 1891년의 텍스트에 수록된 단군 신화는 󰡔동국통감󰡕을 전재한 것으로, 일본인들은 󰡔동국통감󰡕의 이해에서 비롯된 단군 신화를 바탕으로 단군을 한반도의 역사적 기원으로 인식한 것을 볼 수 있다. 1908년도의 텍스트는 주몽과 단군을 헷갈리기도 한다. 두 번째로 󰡔삼국유사󰡕 「고기」형의 서사를 각색한 경우 곰과 호랑이의 변신과 곰과 환웅의 결연에 초점을 맞춰 각색하였으며 이 흐름은 1919년부터 1943년 설화집까지 꾸준히 이어졌다. 이는 이 설화의 향유자들이 단군이 탄생이나 고조선의 건국에 관심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며, 단군 신화의 신성성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고 곰의 변신담과 곰과 환웅의 결연담으로만 소비된 것이다. 다음으로 단군론이 기술된 신화는 일선동조론을 강조한 것과 단군 신화가 일연에 의해 날조되었다는 주장으로 구분된다. 이 두 경우 모두 󰡔동국통감󰡕이나 󰡔삼국유사󰡕의 단군 신화를 그대로 전재한 후, 자신들의 의견을 뒷받침해줄 자료들을 연이어 배치한다. 일선동조론을 주장하는 경우 자신들의 주장에 대한 본격적인 근거를 제시하기보다 관련된 사료를 연이어 배치하는 방식으로 서술하고 있으며, 단군 신화의 날조설을 주장하는 경우 당시 일본인 학자들의 근거를 답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This paper studies the form and characteristics of the Dangun Myth in Joseon legendry written in Japanese in Modern era. This paper discovered that a total of 13 Japanese Jo Joseon legendry texts containing the Dangun myth were published between 1891 and 1943. These 13 text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whether they include a description of Dangun discourse. First, Dangun myths which do not refer to Dangun discourse can be divided into the two sub types. One type summarizes the Dangun myths in Dongguktonggam, or Samgukyusa and the other type are adaptations of the Dangun myth in Samgukyusa. First, the Dongguktonggam record of the Dangun myth was composed in 1891. It is indicated that the Japanese people recognized Dangun as the historical origin of Korea. Another text composed in 1908 confuses Jumong and Dangun. Second, in the case of the adaptation of the myth of Samgukyusa, the narratives focused on the transformation of bear and tiger and the marriage of the bear and Hwanung, and this trend continued from 1919 to 1943. This shows that the storytellers were not interested in Dangun s birth or the founding of Gojoseon, and the Dangun myth was no longer considered sacred. The national myth was transmitted and enjoyed only as a folktale. Next, the myth in which Dangun discourse is described can be divided into those that emphasize the theory of Japan and Korea’s ancestral homogeneity and those that claim that Dangun myth was fabricated. In both cases, the Dangun myths of Dongguktonggam or Samgukyusa were fully reprinted. Meanwhile the texts arguing that the Dangun myths were fabricated followed the arguments that had been put forward by contemporary Japanese schol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