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원화사회에 기독교 선교의 과제와 방향

        정봉현(Bonghyun Jeong)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23 종교문화학보 Vol.20 No.1

        논문의 목적은 다원화의 개념과 영향 내용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다원화사회와 성격을 파악하며 선교적 시각에서 진단한다. 이를 기반으로 종교다원화사회의 기독교 선교의 과제를 알아보고, 기독교 선교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향과 전략을 실천신학적 입장에서 제시하는 데 있다. 종교다원주의 사회는 전통적인 기독교 선교활동을 약화 및 상실시키려 한다. 종교다원주의에 대한 조건없는 배타적 태도는 기독교 선교에 또 다른 패착을 가져온다. 종교다원주의 시대정신에 함몰되지 않으면서 십자가 진리에 기반하여 공적 영역에서 구별된 메시지로 전달하는 능력을 배양하고 소통전략을 강화하는 것이 절실하다. 종교다원화사회에서 기독교 선교의 방향과 전략을 미시적, 거시적 차원에서 다양하게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 복음주의적 선교적 명제를 명확히 해야 한다. 성경을 효과적으로 읽으면서 타 종교의 진리와 함께 그리스도의 유일성을 견지하는 새로운 언어와 신학적 범주가 요구된다. 둘째, 종교다원주의 시대에 복음주의 선교전략은 선포 형태이며, 복음에 대한 변증과 삶의 방식으로 성숙한 크리스천의 모습을 사회에서 보이고, 이에 대한 신학적 준비도 강화한다. 셋째, 복음 전파의 과정에서 종교다원주의 공식적인 대화방식이나 지성적인 접근보다 마음의 만남을 추구하는 자연스러운 비공식적인 대화를 지향한다. 넷째, 종교다원주의 사회에서 효과적인 기독교 선교를 위하여 전도대상자를 자유주의 기독인, 종교적 대화 가능 타 종교인 및 종교에 무관심한 불신자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이에 적합한 선교전략을 마련한다. 다섯째, 종교다원주의 사회에서 기독교 선교를 체계적으로 준비하며, 이의 내용들은 하나님 나라의 복음 회복, 다원화사회 전문전도자의 발굴과 육성, 교회공동체의 공공성 증진과 신앙 체질의 개선 등이다. 여섯째, 종교다원주의 시대에 복음 전도를 위하여 로잔대회에서 제시한 선포(proclamation)를 통한 대화식 전도, 설득(persuasion)을 통한 질문전도, 현존(presence)을 위한 생활 전도 전략들을 더욱 개발하고 응용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heoretically examine the concept and impact of diversification, identify the diversified society and its characteristics, and diagnose it from a missionary perspective. Based on this, it is to find out the tasks of Christian missions in a religiously pluralistic society, and to present directions and strategies to effectively carry out Christian missions from a practical theological point of view. Religious pluralistic societies seek to undermine and lose traditional Christian missionary activity. The unconditional exclusive attitude toward religious pluralism brings another defeat to Christian missions. It is urgent to cultivate the ability to deliver a distinct message in the public realm based on the truth of the cross and strengthen communication strategies without sinking into the spirit of religious pluralism. In a society of religious diversification, it is desirable to present various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Christian missions at the micro and macro levels. First, the evangelical mission statement must be clarified. A new language and theological category that maintains the uniqueness of Christ along with the truth of other religions while effectively reading the Bible are required. Second, in the era of religious pluralism, the evangelical mission strategy is a form of proclamation, showing the appearance of a mature Christian in society through apologetics and a way of life for the gospel, and strengthening theological preparation for this. Third, in the process of spreading the gospel, we aim for a natural informal conversation that pursues a heart-to-heart meeting rather than an intellectual approach or an official dialogue method of religious pluralism. Fourth, for effective Christian missionary work in a religious pluralistic society, evangelism targets are divided into liberal Christians, religiously conversable people of other religions, and unbelievers who are indifferent to religion, and then devise suitable missionary strategies. Fifth, systematic preparation for Christian missions in a religious pluralistic society, the contents of which are the restoration of the gospel of the kingdom, the discovery and training of professional evangelists in a pluralistic society, the promotion of the public nature of the church community, and the improvement of the constitution of faith. Sixth, for evangelism in the era of religious pluralism, conversational evangelism through proclamation, question evangelism through persuasion, and life evangelism strategies presented at the Lausanne Conference should be further developed and applied.

      • KCI등재

        사회균열의 축으로서의 종교 : 종교 간 가치 및 태도의 차이를 중심으로

        박병진,김병수 東洋社會思想學會 2013 사회사상과 문화 Vol.27 No.-

        본 연구는 종교가 한국사회에서 사회통합보다는 사회균열의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종교 참여와 신념이 개인의 종교적·사회적 정체성과 개인적 가치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와 논의들이 주로 담론 및 이론적인 수준에서 진행되어왔던 것에 반해 이 글은 "2008 한국종합사회조사"를 활용하여 한국사회의 주요 쟁점가치에 대한 종교간 의식 및 태도의 차이를 경험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은 크게 '개인적 성공', '일상생활과 관련된 사회적 가치', '종교와 정치의 관계에 대한 의식' 그리고 '타종교에 대한 의식 및 태도'의 네 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다른 사회균열의 축으로 고려되는 세대, 이념, 지역 그리고 직업(계급)과의 비교를 통하여 종교가 사회균열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4개의 분석영역의 하위 12개의 구성요소 중 2개의 구성요소(소득과 타종교와의 공존)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구성요소들은 종교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주목할 만한 결괴들은 다음과 같다. 성적 자유의식과 낙태에 관한 의식은 종교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서구사회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국사회에서도 성적 자유의식과 낙태에 대하여 종교인과 비종교인 그리고 종교간 인식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 차이는 서구사회에서도 나타나는 것이지만, 한국사회에서는 특히 종교간에도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정치적 태도를 살펴보면 불교도와 개신교도들은 무종교인들에 비하여 종교지도자들의 정치관여에 높은 동의율을 보이고 있다. 종교집단별로 타종교와의 공존에 대한 의식 및 태도에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이는 다종교사회인 한국사회에서 공존적 가치를 가진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종교집단 간 호감도 및 사회적 거리 분석결과 개신교집단에 대한 사회적인 분위기가 호의적이지 않고, 개신교가 타종교인과 무종교인보다 종교적 배타성 정도가 높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종교가 개인의 성공과 일생생활 관련 사회적 가치뿐만 아니라 정치적 태도와 타종교에 대한 의식구조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한국사회에서 세대, 이념, 지역, 계급과 더불어 사회균열의 주요한 축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o investigate whether religion as social institution in South Korea is a faaor contributing to social cleavages rather than social integration, we examine the effea of religious affiliation and belief on individuals' social identity, ideological preference as well as attitude toward other religions and politics. While previous research around this topic has been focused on theoretical discussion,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various religious groups in behavior and attitude in relation to socially controversial issues, using the 2008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The analyses was performed in following four areas: (1) individual happiness and socio-economic status; (2) value systems on socially controversial issues; (3)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4) attitude toward ocher religions and religious extremism. In addition, we analyze the extent to which religiosity and religious affiliation affect social cleavage, in comparison to other contributing factors incurring social cleavage, such as generation, ideology, region, and occupation(clas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depending on religious affiliation,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ur areas (consisting of twelve subcategories), except for two subcategories (i.e. income and attitude toward coexistence of multi-religions. Som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religious groups in sexual attitude and opinions with regards to abortion. As is in the case of Western societies, there is substantial differences in these issues between religious and non-religious groups in South Korea. Interestingly, there also exist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se issues, depending on their religious affiliations. Compared with Catholics and non-religious groups, Protestants and Buddhists tend to agree with political involvement of religious leaders. Regardless of their religious affiliations, respondents seem to accept coexistence of multi-religions in South Korea. However, according to analysis on inter-religious favorableness and social distance, Protestants are least favorably regarded by other religious group members and non-believers, and show highest level of exclusivity to other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s well a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 KCI등재

        다문화사회에서 종교의 교육적 수용 : 협력 종교 교육을 중심으로

        김진영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3 대순사상논총 Vol.45 No.-

        2000년대 들어 한국 사회는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자, 유학생, 난민 등의 유입이 급증하면서 다문화사회로 이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종교 사회로서 종교 간 평화와 공존이 유지됐던 한국 사회는 갈등이 표면화되며 사회 문제로 확대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다문화 환경을 인식하고 대처하는 데 있어서 종교는 다문화 사회화 과정에서 공동체의 통합과 안전에 기여하나 다른 한편에서는 공동체 내부에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양가성을 띰으로써 교육적 차원에서의 논의를 필요로 한다. 이는 교육의 주요 기능 중 하나가 사회통합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종교 교육이 다문화사회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런 인식 속에서 종교 다양성에 대응하기 위한, 그리고 현재의 사회를 이해하고 세계 시민으로 거듭나기 위한 새로운 관점의 종교 교육에 대한 논의를 필요로 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종교 이해’(religious literacy)를 배양하기 위해 다양한 종교적, 비종교적 세계관을 교육하는 ‘교양 종교 교육’(general religious education) 모델이다. 그렇지만 다문화사회에서 교양 종교 교육이 학생들이 통합 환경 속에서 편견과 차별을 줄이는 데 유용할지라도 다문화주의의 가장 효과적인 접근법이 각 인간 집단의 고유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라는 점을 상기한다면 ‘개별 종교 교육’(special religious education) 또한 필요성이 인정된다. 이에 본 연구는 종교 교육의 방안으로 교양 종교 교육과 개별 종교 교육을 결합한 ‘협력 종교 교육’(co-operative religious education)을 제안할 것이며, 이에 기초하여 한국의 종교 정책과 종교 교육을 검토하고 학교 현장에 실천 가능한 현실적인 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Since the 2000s, Korean society has been transition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a sharp increase in the influx of various non-Koreans including immigrant workers, immigrant spouses, international students, and refugees. As a result, Korea, which had maintained religious peace and coexistence as a multi-religious society, is showing signs of increased risks of social problems such as the surfacing of conflicts between religions. Religion can contribute to the integration and safety of communities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but at the same time, it requires discussion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because of its ambivalence in potentially causing conflict within communities. Considering that one of the main functions of religion is social integration, religious education is required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multicultural societies. In recognition of this, discussion regarding a new perspective on religious education is needed to respond to religious diversity and to understand the current society and the means of becoming a global citizen. This new discussion would be a ‘general religious education’ model that provides an education covering various religious and non-religious worldviews in order to cultivate ‘religious literacy.’ However, in a multicultural society, while general religious education may be useful in reducing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mong students in an integrated environment, it should also be recognized that a ‘special religious education’ would be needed to acknowledge the unique values of each human group. This would be the most effective approach to multiculturalism.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form of ‘cooperative religious education,’ which combines general religious education and special religious education as a direction for religious education. In providing readers with background context, this study will review Korean religious policies and religious education, and then present realistic methods that can be implemented in schools.

      • KCI등재

        사회균열의 축으로서의 종교: 종교 간 가치 및 태도의 차이를 중심으로

        박병진,김병수 동양사회사상학회 2013 사회사상과 문화 Vol.27 No.-

        To investigate whether religion as social institution in South Korea is a factor contributing to social cleavages rather than social integration, we examine the effect of religious affiliation and belief on individuals' social identity, ideological preference as well as attitude toward other religions and politics. While previous research around this topic has been focused on theoretical discussion,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various religious groups in behavior and attitude in relation to socially controversial issues, using the 2008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The analyses was performed in following four areas: (1) individual happiness and socio-economic status; (2) value systems on socially controversial issues; (3)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4) attitude toward other religions and religious extremism. In addition, we analyze the extent to which religiosity and religious affiliation affect social cleavage, in comparison to other contributing factors incurring social cleavage, such as generation, ideology, region, and occupation(clas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depending on religious affiliation,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ur areas (consisting of twelve subcategories), except for two subcategories (i.e. income and attitude toward coexistence of multi-religions. Som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religious groups in sexual attitude and opinions with regards to abortion. As is in the case of Western societies, there is substantial differences in these issues between religious and non-religious groups in South Korea. Interestingly, there also exist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se issues, depending on their religious affiliations. Compared with Catholics and non-religious groups, Protestants and Buddhists tend to agree with political involvement of religious leaders. Regardless of their religious affiliations, respondents seem to accept coexistence of multi-religions in South Korea. However, according to analysis on inter-religious favorableness and social distance, Protestants are least favorably regarded by other religious group members and non-believers, and show highest level of exclusivity to other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s well a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본 연구는 종교가 한국사회에서 사회통합보다는 사회균열의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종교 참여와 신념이 개인의 종교적․사회적 정체성과 개인적 가치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와 논의들이 주로 담론 및 이론적인 수준에서 진행되어왔던 것에 반해 이 글은 “2008 한국종합사회조사”를 활용하여 한국사회의 주요 쟁점가치에 대한 종교간 의식 및 태도의 차이를 경험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은 크게 ‘개인적 성공’, ‘일상생활과 관련된 사회적 가치’, ‘종교와 정치의 관계에 대한 의식’ 그리고 ‘타종교에 대한 의식 및 태도’의 네 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다른 사회균열의 축으로 고려되는 세대, 이념, 지역 그리고 직업(계급)과의 비교를 통하여 종교가 사회균열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4개의 분석영역의 하위 12개의 구성요소 중 2개의 구성요소(소득과 타종교와의 공존)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구성요소들은 종교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주목할 만한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성적 자유의식과 낙태에 관한 의식은 종교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서구사회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국사회에서도 성적 자유의식과 낙태에 대하여 종교인과 비종교인 그리고 종교간 인식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 차이는 서구사회에서도 나타나는 것이지만, 한국사회에서는 특히 종교간에도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정치적 태도를 살펴보면 불교도와 개신교도들은 무종교인들에 비하여 종교지도자들의 정치관여에 높은 동의율을 보이고 있다. 종교집단별로 타종교와의 공존에 대한 의식 및 태도에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이는 다종교사회인 한국사회에서 공존적 가치를 가진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종교집단 간 호감도 및 사회적 거리 분석결과 개신교집단에 대한 사회적인 분위기가 호의적이지 않고, 개신교가 타종교인과 무종교인보다 종교적 배타성 정도가 높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종교가 개인의 성공과 일생생활 관련 사회적 가치뿐만 아니라 정치적 태도와 타종교에 대한 의식구조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한국사회에서 세대, 이념, 지역, 계급과 더불어 사회균열의 주요한 축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복음주의 진영의 타종교에 대한 선교신학적 인식 변화 연구

        김광성(Kwang Seong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8 선교와 신학 Vol.46 No.-

        이주의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다양한 종교가 한 시대 한 공간에 공존하게 되었다. 이주민으로 인한 다문화 상황의 도래는 대한민국도 피해갈 수 없다. 사실 다종교 상황은 대한민국 국민에게는 낯선 현상이 아니다.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자, 유학생, 난민 등 이주민이 급증하면서 최근에야 다문화화로 인해 다종교 사회가 인식이 생긴 듯하지만, 사실상 대한민국은 역사적으로 불교, 유교, 무속종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는 사회였다. 이처럼 단일민족, 단일문화를 강조하는 대한민국에 펼쳐진 다문화 상황이 다종교 상황으로 이어지면서 대한민국 기독교를 당혹스럽게 하는 것이 아니다. 이미 다종교 상황 속에 살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타종교와 공존을 모색하지 못했던 대한민국 기독교는 다문화 시대의 급격한 도래와 함께 타종교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하게 된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이 다종교 사회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복음주의 진영의 타종교에 대한 선교신학적 입장의 변화과정을 로잔운동을 통해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음주의 선교신학의 기틀을 마련한 로잔운동은 혼합주의, 종교다원주의를 경계하면서도 다종교 사회에서 기독교가 타종교와 공존해야 한다는 현실을 인정한다. 〈로잔언약〉, 〈마닐라선언〉은 타종교에 대한 전통적인 신학적 입장을 견지한다. 로잔운동의 이러한 신학적 입장은 〈케이프타운서약〉에 이르러 “경계 안에서의 포용(breadth within boundaries)”이라는 표현으로 본질과 현상을 분명하게 구분함으로써 복음주의 진영의 타종교와의 공존에 대한 새로운 선교신학적 출구를 보여준다. 〈케이프타운서약〉 IIC는 타종교인에 대해 그리스도, 사랑 그리고 실천을 강조한다. 대한민국은 전통적으로 다종교 사회이며, 국제적 이주로 인해 다문화가 확산되면서 다종교 공존의 필연성에 대한 인식을 더욱 분명히 하였다. 타종교와의 공존은 “복음을 땅끝까지 전하라”는 사명을 포기하라는 말이 아니다. 로잔운동은 개종의 강요가 아니라 복음을 복음답게 전하는 것이 선교라고 선언함으로써 진정한 세계 복음화를 앞당길 수 있는 길을 우리에게 제시하였다.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명령은 타종교인을 포함한다. “우리의 소명은 복음 전도를 통해 좋은 소식을 나누는 것이지 비열한 개종활동을 벌이는 것이 아니다.”(〈케이프타운서약〉IIC 타종교인들 속에서 그리스도의 사랑 실천하기).

      • KCI등재

        다종교 사회에서 기독교(개신교) 대학 기독교교양 교과목의 상호종교교육 가능성

        이인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a possibility of Christian liberal arts courses at a Christian University that would function as interreligious education in a multireligious society. This paper is composed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of education about religions will be discussed by examining and interpreting the implications of a multireligious society and the current religious landscape in Korea. Second, religious literacy education and interreligious education for cultivating multireligious sensitivity and interreligious sensitivity are discussed. Third,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liberal arts courses functioning as interreligious education is proposed by evaluating the case of operating Christian liberal arts courses at K University in terms of religious literacy education and interreligious education. In conclusion, the Christian liberal arts courses at K University shows a possibility of interreligious education by allowing professors, students, and people of neighboring religions from various religious backgrounds to reveal their religious identity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humanistic approaches in the classroom and <Interview with people of neighboring religions>. 본 연구는 다종교 사회에서 기독교(개신교) 대학 기독교교양 교과목의 상호종교교육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첫째, 다종교 사회의 함의와 종교 지형의 변화를고찰하고 해석함으로써 종교교육의 필요성을 다룰 것이다. 둘째, 다종교 감수성과 상호종교 감수성함양을 위한 종교 공부로서 종교 문해력 교육과 상호종교교육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셋째, 기독교(개신교) 대학인 K대학의 기독교교양 교과목 운영 사례를 종교 문해력 교육과 상호종교 교육의 측면에서평가하여, 기독교교양 교과목의 상호종교교육 가능성을 제안할 것이다. 연구 결과, K대학의 기독교교양 교과목은 강의실에서의 인문학적 접근과 <이웃종교인 인터뷰>를통해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가진 교수와 학생 그리고 이웃종교인의 종교적 정체성을 드러내게 하고상호작용하게 함으로써 상호종교교육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 개신교 입장에서 본 개신교 배타주의와 그 해법 모색

        장혜선(Hyesun Jang)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09 종교문화학보 Vol.6 No.-

        현재 한국교회가 직면한 위기중 하나는 타종교에 대한 배타주의의 문제이다. 본 글은 한국 개신교가 보이는 배타적 태도의 원인을 살펴보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다종교사회인 한국에서 종교간 평화 공존의 공동체를 실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한국 개신교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배타적 태도는 개신교 본질의 배타적 태도와는 거리가 멀다. 개신교가 가진 종교본질의 배타적 진리주장이 반드시 타종교에 대해 배타적일 필요는 없는 것이다. 오히려 현재 한국교회가 보이는 배타주의적 태도는 종교의 역기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종교가 도그마티즘에 빠지거나 권력화 될 때 배타적 태도를 갖게 된다. 이는 개신교만이 아니라 모든 종교가 빠질 수 있는 병리적 현상이다. 현재 한국 개신교에 나타나는 배타적 태도는 한국적 상황에서 드러난 종교 이기주의적 태도가 그 원인이며 여기에는 신학적 보수주의의 문제가 놓여있다. 이러한 배타주의는 세 가지 방향으로 드러나는데 신학적 근본주의, 교회 절대주의, 타종교에 대한 배타적 태도이다. 현재 한국 개신교가 비난받는 배타주의는 타종교에 대한 배타적 태도이며 이러한 태도의 이면에는 신학적 근본주의와 교회 절대주의가 그 원인으로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 교회가 배타주의적 태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신과 세계를 이해하는 관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신학적 차원의 대안과 실천적 차원의 종교간 대화와 만남이 요구된다. 또한 공동체 영역에서 교육, 신자들의 삶의 변화를 추구하는 실제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첫째, 한국 개신교의 신학은 창조적인 한국적 신학으로 성장해야 한다. 신학적 근본주의의 틀에서 벗어나 문화신학, 종교 신학, 자연신학적 관점에서 신학적 균형을 회복해야한다. 둘째, 타종교와의 대화와 만남을 위해 적극적인 자세를 가져야 한다. 대화와 만남은 자신과 타종교를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셋째, 이러한 신학적 통찰력과 타종교 이해는 공동체의 교육에 반영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실천을 위한 구체적인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 내야 할 것이다. 다문화적이고 통합적이며 공동체적인 교회교육은 종교간 평화공존과 연대를 위해 필수적이다. 한국 교회는 심각한 종교 갈등을 가져오는 교권주의, 종교이기주의에서 비롯된 배타주의를 깊이 반성해야 한다. 한국에서 종교적 주류의 위치를 점하는 한국개신교는 이제, 그리스도를 본받아 더욱 섬기는 자세로 낮아지고, 겸손한 교회로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One of the crises that Korean Church currently faces is deemed to be its exclusivism held against other religions. This study examines the causes of Korean Protestant Church’s exclusive attitude, and explores solutions to it. In Korea, a multi-religion society,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a community of peace between religions. Korean Protestant Church’s exclusive attitude problem is far different from the protestant church’s fundamental exclusive attitude. The protestant church’s exclusive, inherent insistence on truth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being exclusive against other religions. Rather, the current exclusive attitude held by the Korean Church should be understood to be a religious dysfunction. Religion, when engrossed in dogmatism or becoming a political power, will produce an exclusive attitude. This pathology concerns not only the protestant church but also all other religions. Korean Church’s exclusive attitude is attributable to a religious egoism created under Korean situations, and is also related with theological conservatism problems. This exclusivism is demonstrated into three directions; theological fundamentalism, church absolutism, and religious exclusivism. Behind the religious exclusivism, there are theological fundamentalism and church absolutism. To overcome its exclusive attitude, Korean Church needs to have a viewpoint of understanding itself and the world. To that end, theological alternatives and practical dialogue between religions are required. Education in the area of the community, especially, practical education geared toward encouraging believers to pursue a change in their lives, is required. Thus, a change must occur in these three categories. First, Korean Protestant Church's theology should be developed into a creative Korean theology. It should shed the framework of theological fundamentalism,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theology of culture, theology of religion and theology of nature, thereby recovering a theological balance. Second, Korean Protestant Church should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s meeting and talking with other religions. Korean Protestant Church’s efforts for dialogue and meeting are essential for understanding itself and other religions. Third, these theological insights and an understanding of other religions should be reflected in the community education. Thus, a concrete change in behavior should be brought about. Multicultural, integrated, and community-based church education is essential for the peaceful coexistence and unity of various religions. Korean Church should deeply reflect on itself to address its exclusivism that comes from clericalism and religious egoism which bring about serious religious conflicts. The mainstream religion in Korea, Korean Protestant Church, should follow Christ, be humble to serve others, and become a modest church.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이주민 선교를 위한 종교와 문화 이해

        한국일(Kook II Ha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1 선교와 신학 Vol.27 No.-

        1988년 서울 올림픽 이전만 해도 우리 나라에 외국인들이 일자리를 찾아오리라고는 생각할 수도 없었다. 그러나 올림픽 이후 한국의 인지도가 세계에 높아지면서 중국의 조선족을 위시하여 아시아와 중동 지역의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오더니 이제는 아프리카, 남미, 중앙 아시아를 포함한 전세계 지역에서 취업을 위해 무려 120만 명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국내에서 일을 하거나 가정을 형성하고 있다. 한국은 지정학적 이유로 인해 외국인과의 교류가 매우 적은 나라에 속해 있다. 무엇보다도 오랜 역사 속에서 거의 한국인은 한국 문화 속에서만 존재해 왔다. 세계에서 보기 드물 정도로 높은 단일 민족의 순도는 과거에는 민족주의 관점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하여 왔으나 세계 선교와 세계 화를 지향하는 오늘의 상황에서는 한국인들이 세계를 향해 진출하는 데 결정적 장애 요인이 된다. 인구 비율로 볼 때 한국 사회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아직 작은 수에 불과하지만 한국 사회는 점진적으로 다원주의 사회로 변화하고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다원주의 사회를 향한 변화는 무엇보다 선교에 도전적 요인이 되고 있다. 타문화권 선교는 이제 지리적으로 해외 지역에서만이 아니라 국내 교회들이 당면한 과제이기도 하다. 한국 교회는 우리 곁에 와 있는 외국인들이 우리와 똑같이 편안하고 동등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이 사회의 문화와 제도를 변화시켜 가는 일에 앞장서야 할 책임이 있다. 그것을 위해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정체성을 존중하고 그들의 권리를 지키며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어 가야 한다. 문화적 차이와 전통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다른 종교들과 함께 평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관용과 사랑의 행위는 하나님의 창조 세계의 다양성을 존중하며 그리스도 안에서 구속의 은혜로 인한 일치를 목표로 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기독교 복음의 핵심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