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해배(解配) 이후 교유관계에 대한 고찰(1) -前期(1818~1827)에 限하여-

        金奉楠 ( Kim¸ Bong-nam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8

        본고는 다산 정약용(1762~1836)이 해배되어 고향에 돌아온 1818년 9월부터 1827년 12월까지 약 9년 동안의 교유관계를 고찰하였다. 아울러 교유시에 나타난 시적 형상화의 주요 표현기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 시기는 다산의 나이로 보자면 57세에서 66세까지이며 노년기의 전반부에 해당하므로, 본 연구를 통해 다산 노년기의 교유양상에 대해 알게 되었을 뿐 아니라, 다산 노년기의 삶과 사유가 어떠했는지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 다산이 해배 이후 세상을 떠날 때까지 교유한 인물은 모두 73명인데, 그 중에서 친족을 제외하면 66명이고, 66명 중에서 전반부에 속하는 인물은 39명이다. 본 논문에서는 39명 중에 비중이 높은 19명을 ‘親舊·尊丈·後輩’ 세 그룹으로 나누어서, 시에 나타난 교유양상과 시적 형상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친구 그룹에는 尹永僖·金商雨·尹書有·申綽·李載毅·韓益相·鄭元善·李魯和·李淵心·李舜卿·尹養謙·閔伯善·尹善戒 등 13명이, 존장 그룹에는 申景玄·趙可敎·李楘 등 3명이, 후배 그룹에는 金商儒·尹鍾遠·權永佐 등 3명이 속해 있다. 이 19명의 지인들은 다산이 해배 이후 고향에 돌아와 새로운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 큰 기쁨과 위로를 안겨 주었다. 다산이 그들과 교유하며 지은 시에는 갖가지 교유양상이 담겨 있었을 뿐만 아니라, 다산 내면의 여러 가지 생각과 고뇌와 정회가 짙게 배여 있었다. 그리하여 지금으로부터 200년 전에 생존했던 다산의 노년기의 진면모를 눈에 보이는 듯 생생하게 느낄 수 있었다. 다산은 교유시를 지을 때 用事·點化·直敍의 표현방법을 활용하여 자신의 시를 효과적으로 조직하였고, 그렇게 하여 자신의 心懷와 情感과 苦惱 등을 적절하게 시에 표현하였다. 다산은 用事를 통하여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뜻을 함축적이면서 비유적으로 표출하였고, 點化의 방식을 통하여 시를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原詩의 의미와 자신이 지은 시를 연관 지어 생각하도록 유도하였으며, 자신의 진솔한 내면을 숨김없이 直敍함으로써 친구에게 자신의 眞正한 마음을 전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ptember 1818 and December 1827, when D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 returned home from exile. In addition, the main expression techniques of poetic imagery that appeared in poems built during Yak-yong(丁若鏞)'s intercourse were considered. Jeong Yak-yong(丁若鏞)'s age ranges from 57 to 66 years old, which corresponds to the first half of his old age. Through this study, I learned not only about Jeong Yak-yong(丁若鏞)'s the aspect of fellowship in his old age, but also about his life and thoughts in his old age. A total of 73 people have met and played since Jeong Yak-yong(丁若鏞) was exiled from exile until his death. Among them, there are 66 people excluding relatives, and 39 of the 66 people belong to the first half. In this paper, 19 of them, who have a high proportio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riends, respected adults, and juniors, and looked at the aspects of the relationship and poetic imagery that appeared in the poem. The group of friends includes Yoon Young-hee(尹永僖), Kim Sang-woo(金商雨), Yoon Seo-yu(尹書有), Sin jak(申綽), Lee Jae-ui(李載毅), Han Ik-sang(韓益相), Jeong Won-seon(鄭元善), Lee No-hwa(李魯和), Lee Yeon-shim(李淵心), Lee Soon-kyung(李舜卿), Yoon Yang-gyeom(尹養謙), Min Baek-seon(閔伯善), Yoon Gye-seon (尹善戒). In the senior group, there are three members Shin Kyung-hyeon (申景玄), Jo Ga-gyo (趙可敎), and Lee Mok (李楘). In the junior group, there are three members: Kim Sang-yu (金商儒), Yoon Jong-won (尹鍾遠), and Kwon Young-jwa (權永佐). The 19 friends brought great joy and comfort to Jeong Yak-yong(丁若鏞) in returning to his hometown and living a new life after he escaped exile. The poem, which Jeong Yak-yong(丁若鏞) wrote while meeting and playing with them, contained various images of fellowship, and the inner reasons and regular meetings of Jeong Yak-yong(丁若鏞) were deeply ingrained. As a result, I could feel the true face of Jeong Yak-yong(丁若鏞)'s old age, which survived 200 years ago. In addition, Jeong Yak-yong effectively organized his poems by using the expressions of yongsa(用事)·jeomhwa(點化)·jigseoui(直敍). And it could be seen that he successfully expressed his feelings and anguish in poetry by using the three expression methods appropriately. Jeong Yak-yong was able to express what he wanted to convey in a figurative and connotative way through the yongsa(用事), And through the jeomhwa(點化), the reader of the poem was encouraged to think in relation to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original poem. And he tried to convey his sincere heart to his friend by describing his true inner self without hiding it.

      • KCI등재

        茶山學團의 『주역』 해석 방법론 연구 -丁若鏞의 아들들과 舫山 尹廷琦의 『易傳翼』을 중심으로-

        서근식 한국고전번역원 2020 民族文化 Vol.55 No.-

        This thesis examined how Jeong Yak-Yong(丁若鏞)’s sons, Jeong Hak-Yon(丁學淵) and Jeong Hak-Yoo(丁學游), and Jeong Yak-Yong(丁若鏞)’s grandchild, Yoon Jeong-Kee(尹廷琦), accepted Jeong Yak-Yong(丁若鏞)’s Yixue(易學). Jeong Hak-Yon(丁學淵) and Jeong Hak-Yoo(丁學游) showed their presence in Zhouyisijian(周易四箋) and “Chashanwenda(「茶山問答」)” of Yixuexuyan(易學緖言). Jeong Hak-Yon(丁學淵) and Jeong Hak-Yoo(丁學游) followed Jeong Yak-Yong(丁若鏞)’s ideas well. In fact, Chashanxuetuan(茶山學團) became better known to the world owing to Yoon Jeong-Kee(尹廷琦) who led his whole life following Dasan’s ideology(茶山學). In Yoon Jeong-Kee(尹廷琦)’s Yizhuanyi(易傳翼), only the core of Jeong Yak-Yong(丁若鏞)’s Zhouyisijian(周易四箋) was accepted and developed properly. Yilisifa(易理四法), consideration of “Wenyanzhuan(「文言傳」)” as an ancient book, and Shierpigua(十二辟卦) are some examples. However, they believed the hypothesis that Confucius authored Shiyi(十翼), did not accept “Shiguazhuan(「蓍卦傳」)” in which Jeong Yak-Yong(丁若鏞) had borrowed some lines from “Xicizhuan(「繫辭傳」)”, and returned to ZhuXi(朱熹)’s divination. Jeong Yak-Yong(丁若鏞)’s sons lived in their father's shadow and did not get enough recognition. After Jeong Yak-Yong(丁若鏞)’s death, Yoon Jeong-Kee(尹廷琦) adequately fulfilled his role as a successor of Dasan’s ideology(茶山學). Yet, in his efforts to establish his own theory distinct from Jeong Yak-Yong(丁若鏞)’s, he seems to have rather gone backward compared to Jeong Yak-Yong(丁若鏞). 이 논문은 丁若鏞의 아들인 丁學淵․丁學游와 외손인 尹廷琦가 정약용의 역학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정학연․정학유는 周易四箋과 易學緖言 「茶山問答」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윤정기도 평생을 다산학의 계승자로서 살았기 때문에 다산학단이 좀 더 빛을 보게 된 것이다. 윤정기의 易傳翼은 정약용의 주역사전의 핵심적인 부분만을 받아 들여서 잘 전개하고 있다. 易理四法이라든지 「文言傳」을 고대의 字書로 본 점이라든지 十二辟卦라든지가 그렇다. 그러나 공자가 十翼을 지었다는 설을 믿거나 정약용이 「繫辭傳」에서 독립시킨 「蓍卦傳」을 받아들이지 않고 朱熹의 占法으로 되돌아갔으며, 주희는 인정하였지만 정약용은 부정한 <文王八卦方位>도 실어 놓고 있는 점 등은 다산학의 발전과정에서 오히려 퇴보된 느낌이다. 정약용의 아들들은 정약용의 그늘에 가려져서 빛을 보지 못하였다. 윤정기는 정약용이 죽은 후에 다산학의 계승자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하였다. 그러나 일부 정약용과는 다른 학설을 내세우다 보니 오히려 정약용보다 퇴보된 느낌이 든다.

      • KCI등재

        다산茶山의 양호작괘법兩互作卦法

        방인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7 다산학 Vol.- No.30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주역사전周易四箋』에서 ‘사전四箋’은 추이推移ㆍ효변爻變ㆍ호체互體ㆍ물상物象의 역리사법易理四法을 가리킨다. 이 가운데 호체互體는 호괘互卦라고도 하는데, 상괘上卦와 하괘下卦가 아닌 위치에서 괘상卦象을 취하는 방법을 가리킨다. 정약용은 다양한 호체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가장 독특한 해석법은 양호작괘법兩互作卦法(혹은 양호법兩互法)이다. 양호작괘법은 3ㆍ4ㆍ5의 상호괘上互卦와 2ㆍ3ㆍ4의 하호괘下互卦의 두 개의 호괘를 위아래로 연결하여 별괘別卦를 형성하는 방법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역학사易學史에서 양호법兩互法의 기원은 정현鄭玄과 우번虞翻의 연호법連互法에서 찾을 수 있다. 한역漢易의 연호법連互法에서도 정약용의 양호작괘법과 마찬가지로 두 개의 호체互體를 조합組合하여 별괘別卦를 만들어 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양자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한역의 연호법連互法에서는 양호兩互를 취하는 범위를 중효中爻에 한정시키지 않으며, 초효初爻와 상효上爻도 포함한다. 반면에 정약용의 양호작괘법에서는 양호兩互를 취하는 범위를 오로지 중효中爻에 한정한다. 정약용은 한역의 연호법에 관해 아무런 언급도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가 이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추정할 근거가 없다. 정약용이 양호작괘법의 선행先行 사례事例로 언급하고 있는 것은 두 가지 경우이다. 첫째는 태괘泰卦 육오六五 효사爻辭의 “제을귀매帝乙歸妹”에 대한 오징吳澄의 주注이며, 둘째는 완안량完顔亮(1122~1161)의 입구入寇에 관한 서례筮例이다. 완안량의 입구入寇란 금金의 군주君主 완안량이 남송南宋을 침공한 사건을 가리키는데, 이때 완안량의 운명에 관해 회계會稽의 선비가 점을 친 서례筮例가 송대宋代의 정형程逈의 『주역고점법周易古占法』, 명대明代의 하해何楷의 『고주역정고古周易訂詁』, 청대淸代의 모기령毛奇齡의 『중씨역仲氏易』과 『춘추점서서春秋占筮書』 등에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완안량의 입구入寇에 관한 서례筮例에 양호법이 적용되었다고 하더라도 정약용이 이러한 단편적 서례筮例를 참조하여 곧바로 양호작괘법의 체계를 구상構想하게 되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필자의 견해로는 정약용의 양호법의 체계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오징吳澄의 호체론이다. 역학사易學史에서 양호법兩互法은 정현鄭玄과 우번虞翻의 연호법連互法 이후로 거의 나타나지 않다가 원대元代의 오징吳澄에 의하여 다시 체계적 이론으로 등장하였다. 오징의 양호법의 체계는 정약용의 양호작괘법과 대체적으로 일치한다. 그러나 정약용과 오징의 양호법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첫째, 오징의 양호법은 소옹邵雍의 선천역학先天易學의 토대 위에 성립된 것이지만 정약용은 오징의 양호법에서 선천역학을 제거하고 오직 양호관계만을 채택하였다. 오징의 양호괘가 질서정연한 규칙에 따라 배치되어 있는 데 반해서, 정약용의 양호작괘법에서 그러한 규칙성을 발견할 수 없다. 이것은 오징의 양호법에서 선천역학先天易學의 질서를 제거해 버렸기 때문에 생긴 불가피不可避한 결과이다. 둘째, 오징이 양호법을 적용하여 역사易詞를 해석한 것은 태괘泰卦 육오六五의 주注에 그쳤다. 반면에 정약용은 양호작괘법을 『주역』 전편全篇에 걸쳐 역주易注에 광범위하게 적용하였다. 그러면 양호... T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 used four methods which included tuiyi(推移), yaobian(爻變), huti(互體) and wuxiang(物象) in his Zhouyisijian(周易四箋, Four Ways of Annotation for interpreting the Zhouyi). Among these four methods, the huti is the method of taking the nuclear trigram placed in the second, third, fourth and the fifith line of a hexagram. Among the various huti methods used by him, the method of lianghuzuoguafa(兩互作卦法) seems to be the most characteristic one. Basically, the lianghu hexagram(兩互卦) is made by overlapping two nuclear trigrams taken from th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lines of a hexagram. The origin of this method can be traced back to the lianhu method(連互法) used by Zheng Xuan(鄭玄) and Yu Fan(虞翻). Like Jeong Yakyong, they also used the way of making an additional hexagram by overlapping two nuclear trigrams. However, the difference lies in that Zheng Xuan and Yu Fan made use of all the lines from the first to the sixth line in a hexagram, while Jeong Yakyong restricted it to the middle yao(中爻) which consisted of th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lines. There is no evidence to suggest that Jeong Yakyong’s method could have been influenced by them. Instead, he mentioned two instances as the previous examples in the exegetical tradition of the the Zhouyi text. The one can be found in Wu Cheng(吳澄)’s comment on the “Di Yi Kuei Mei(帝乙歸妹)” phrase of the Tai(泰) hexagram. The other can be found in the divinatory example referring to Wanyan Liang(完顔亮)’s invasion on the territory of the Southern Song in 1161. But it is not likely that the fragmentary divinatory example on Wanyan Liang could have led Jeong Yakyong to conceive the lianghu method. In my opinion, it is Wu Cheng’s huti theory that had a decisive effect on Jeong Yakyong. In broad outlines, Wu Cheng’s huti theory accords with Jeong Yakyong’s lianghu method.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First, Wu Cheng’s huti theory is laid on the foundation of Shao Yong(邵雍)’s prenatal image-number theory. In contrast, Jeong Yakyong adopted only the lianghu relation removing Shao Yong’s prenatal logic from Wu Cheng’s huti theory. Although Wu Cheng’s lianghu hexagrams are arranged in a very logical manner, one cannot find a logical arrangement from Jeong Yakyong’s chart of lianghu hexagrams. The loss of logical order is inevitable because Jeong Yakyong removed Shao Yong’s prenatal order from Wu Cheng’s lianghu hexagrams. Second, Wu Cheng applied the lianghu method once when he commented on the the “Di Yi Kuei Mei” phrase of the Tai hexagram. In contrast, Jeong Yakyong used the lianghu method more than thirty times in his Zhouyisijian. By the way, is there a sufficient reason to use the lianghu method? According to Jeong Yakyong’s view, there are two reasons. Firstly, the divination should be used so as to meet the people’s various needs. Secondly, the divination should not be abused for the immoral purpose. The former belongs to the practical reason, while the latter belongs to the ethical or moral reason. In short, the lianghu method is an alternative method that could be used when the interpretation depending on the original hexagram(本卦, bengua) fails. Jeong Yakyong held that the lianghu method should not be considered as the skillful manipulation. Nontheless, it is hard to cast off the doubts about the deliberateness of this method. In my opinion, the use of alternative method should be restricted only to the cases in which the interpretation by the bengua cannot be applicable. However, the lianghu method is used too frequently in his Zhouyisijian. The excessive abuse of the alternative method can undermine the confidence about Jeong Yakyong’s interpretive method in general.

      • KCI등재

        茶山・舫山 詩經說이 지닌 복고적 성격과 그 경학사적 의미-「周南」과 「召南」을 중심으로-

        홍유빈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9 大東漢文學 Vol.60 No.-

        This paper was written to reconsider of 茶山 丁若鏞 and his grandson, 舫山 尹廷琦’s 詩經學. in terms of restorative perspective. In fact, restoration in 詩經學 means 毛詩說 of Han dynasty and 魯・齊・韓’s 三家詩說. And 舫山 also succeed 茶山’s this restorative pattern in his 詩經說. The previous researchers thought 丁若鏞’s 詩經學, which based on mainly 諫書論, had political characteristics. However, when we see the commentary of 周南 and 召南 in this paper, 丁若鏞 and 尹廷琦’s 詩經說 refer 毛詩序 and 三家詩 and there were scholarly characteristics with little political characteristics. 詩經講義補遺, which was considered as 丁若鏞’s the latest part, had 諫書論’s suggestion, however, since 丁若鏞 had plenty of time in exile period and he studied about the ancient commentary such as 毛詩序 and 鄭玄’s theory. Therefore, this suggestion may put 丁若鏞 and 尹廷琦’s works in the field of scholarly works. On the other hand, 尹廷琦, who succeeded in 丁若鏞’s 補遺說, used more various and vast works such as 先秦諸家’s theory. And he approached 西漢今文學 with more restorative aspect in ancient commentary. And these restorative trends are as same as 詩經學 in 淸 dynasty which have restorative trends. In addition, when we examined of the interpretation of 詩經, 尹廷琦’s comments present the ancient’s commentary as well as his own opinion. For example, in 周南 芣苢’s case, 尹廷琦 thought even if someone had the weakness, the king should choose him because he had the strength. This opinion is the one that collaborates with 韓詩說 and 毛詩說. And in 召南 何彼穠矣’s case, the previous researchers considered it as “praise poem,” however, 尹廷琦 confirmed it as “satire poem” which followed 丁若鏞’s 補遺說. (This point of view was very rare and 方玉潤 in 淸 dynasty also had this perspective. This is very remarkable.) 尹廷琦’s 詩經說 was respect of the ancients’ commentary, but he proposed his own perspective as well. In the conclusion, 丁若鏞 and 尹廷琦’s 詩經說 are far from of their political characteristics. We can understand it with scholarly view. With given view, we need to examine in the field of 經學 itself. 본고는 조선후기 학자인 茶山 丁若鏞(1762~1836)과 그의 외손인 舫山 尹廷琦(1814~1879)의 시경학이 가진 복고적 성격의 의미를 되짚어보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복고성이란 시경학에 있어 다산의 후기설이 입론의 근거를 漢代의 ‘毛詩說’ 및 그보다 이전에 정립된 魯・齊・韓의 ‘三家詩說’에서 취하는 경향을 가리킨다. 그리고 방산의 詩經說 역시 다산의 이러한 경향을 계승하여 보다 견고하게 다듬고 확립하였다는 점에서 같은 맥락에서 다루어 볼 수 있다. 그리고 간서론을 위주로 한 다산 시경학의 이러한 경향에 대해 기존의 평가의 경우 그것을 다산 경학의 ‘정치성’에서 찾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고에서 다룬 「周南」과 「召南」에 대한 주석을 보았을 때, 다산과 방산의 시경설은 「모시서」와 「삼가시」를 두루 참고하는 등 기본적으로 ‘학술적 성격’을 띠며, 그 안에는 정치적 색채가 보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다산의 후기설이라 할 수 있는 『시경강의보유』에는 간서론의 주장이 강하게 피력되고 있지만, 이 역시 유배기의 시간적 여유 속에서 「모시서」 및 鄭玄의 설을 재음미 하는 가운데 그 주장이 성립되고 있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학술적 영역 안에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방산 윤정기는 이러한 다산의 『보유』의 설을 계승하면서, 보다 다양하고 방대한 자료를 가지고 선진제가의 설들을 참조하는 가운데 古注 안에서도 한층 더 복고인 西漢 今文學에 맞닿는 논의를 펼쳤다고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고적 특징은 동시대인 청대 시경학에서 점차 古注를 중시하는 복고적 경향과도 일맥상통한다. 한편 시편 해석을 구체적으로 보았을 때, 방산의 설시는 古注를 참고하면서도 그것을 바탕으로 자신의 설을 개진하기도 하는데, 예컨대 「周南・芣苢」의 경우 방산은 『속집』에서 냄새가 고약한 질경이를 따는 것이 사람에게 나쁜 질환이 있지만 그럼에도 쓸 만한 재주와 덕행이 있으니 그것을 뽑아야지 버리면 안 된다는 것을 비유한 것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韓詩의 설(⇐三家詩)’과 ‘求賢審官의 설(⇐毛詩)’을 절충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召南」의 「何彼穠矣」편의 경우 이 시를 찬미시로 보는 ‘漢代의 古注’와 ‘朱熹의 新注’의 견해에서 탈피하고, 이 시를 풍자시로 본 다산의 『보유』의 설을 계승하여 이 시를 풍자시로 확정하였다. 이 시를 풍자시로 보는 견해는 드물다 할 수 있는데, 청대의 방옥윤 역시 이러한 시각을 가졌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바가 있다. 결론적으로 이렇게 淸代의 自得 계열과 조응하는 방산의 시경설의 의미를 논한다면, 방산의 시경설이 古注를 존중하여 삼가시와의 접점을 이루긴 하였지만, 그것에 종속되지 않고 자신의 생각을 가지고 독자적인 설을 제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볼 때, 다산과 방산의 시경설은 그들의 經世論에 결부시키기에 앞서, 그 본연의 經學的 맥락에서 보다 자세히 이해될 필요가 있으며 그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茶山’의 초상과 남ㆍ북한의 ‘實學’ 전유

        정종현(Jeong Jong Hyu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서강인문논총 Vol.0 No.42

        본 연구는 식민지 시기 최익한의 「與猶堂全書를 讀함」에서 구성된 중층적인 정약용의 형상이 분단 이후 1950년대의 남북한에서 간행된 최익한의 『실학파와 정다산』(1955), 홍이섭의 『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 연구』(1959)로 각각 어떻게 전유되었는가를 검토한 것이다. 식민지 시기 최익한의 다산론에는 봉건제의 내부에서 모순된 질서를 재조정하려는 온건한 유교적 개혁가라는 관점과 사회주의적 경제이론을 선취한 혁명가라는 관점이 공존하고 있었다. 1950년대 분단과 냉전의 사상지리 속에서 발간된 『실학파와 정다산』에서 최익한은 이전에 만들었던 ‘유형원-이익-정약용’으로 이어지는 실학파의 계보를 보다 정교화했다. 그는 서경덕-이율곡-실학파로 이어지는 ‘기(氣)철학’의 계보를 주조하였으며, 자본주의적 화폐경제와 관련된 부정적 사상으로 북학파를 주변화하였다. 서학교파와 서학학파의 분리를 통해 기독교의 영향을 실학에서 배제하였으며, 무엇보다도 정약용을 체제 내부의 유교 개혁가에서 북한 사회주의를 예비한 자생적 혁명사상가로 전환시켰다. 정다산에 대한 관심이 식민지 시기 조선학 운동, 특히 최익한의 정다산론과 관련되었음을 밝힌 바 있는 홍이섭의 『정약용의 정치경제사상 연구』는 1950년대 남한이 위치한 냉전의 사상지리의 맥락을 잘 보여주는 저작이다. 홍이섭은 정약용을 체제 내적인 행정적 개혁론자로 이해한다. 특히 그는 북한에서 간행된 최익한 등의 저술이 다산의 전론을 사회주의권의 콜호즈를 선취한 혁명적 이론으로 파악하는 상황을 알고 있었으며, 그에 대한 반감을 드러내고 있다. 그에게 다산은 관료들이 유교적 윤리를 통해 도덕적으로 각성하기를 촉구했던 사상가였으며, 그의 사상은 국가기구를 개혁하는 ‘管理論’이었다. 홍이섭은 다산의 기독교와의 관련을 특히 강조하였는데, 이러한 그의 다산론은 저술의 출판을 지원한 미국의 민간기구 아시아재단의 이념인 반공과 기독교 복음주의와도 무관한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실학이 ‘실재’로서만이 아니라 특정한 역사적 맥락에서 자기 시대의 의제를 투영한 담론으로서 이해될 가능성을 제기하고자 했다. This study examined how multi-layered ideas constituted in 「Reading Yeoyudangjeonseo」 written by Choi, Ik-han led to Silhakpa and Jeong, Da-san (1955) by Choi, Ik-han, Research on Political and economic ideas of Jeong, Yak-yong (1955) by Hong, I-seop(1959), respectively, since the division published in South Korean and North Korea in the 1950s. Dasanron by Choi, Ik-han during the colonial times involved both the perspective of moderate Confucian reformer seeking to readjust contradictory order inside feudalism and that of reformer who achieved socialistic economic theory. In Silhakpa and Jeong, Da-san published in the ideological geography of the division in the 1950s and the Cold War, Choi, Ik-han elaborated the genealogy of positive school which featured ‘Yu, Hyung-won ―I, ik ― Jeong, Yak-yong’. He coined the genealogy of ‘Qi Philosophy’ which led to Seo, Gyung-deok ― Lee, Yul-gok ―Silhakpa and marginalized Bukhakpa through negative ideas related with capitalistic monetary economy. He excluded the effect of Christianity from positive science through the separation of Seohakgyopa and Seohakhakpa, and above all, transformed Jeong, Yak-yong from Confucian reformer inside system to voluntary revolutionary thinker who prepared socialism in North Korea. Research on Political and economic ideas of Jeong, Yak-yong (1955) by Hong, I-seop(1959), which illuminated the relation of the interest in Jeong, Da-san with the movement of Joseonhak during colonial times, especially Jeongdasanron by Choi, Ik-hyun, is the writing which shows well the context of ideological geography of the Cold War faced by South Korea in the 1950s. Hong, I-seop udderstands Jeong, Yak-yong as the internal administrative reformer in the system. In particular, he well aware of the situation in which the writings by Choi, Ik-han etc. published in North Korea regarded Dasan’s theories as the revolutionary one which took up kolkhoz in socialistic arena and therefore revealed his antipathy over it Dasan was a thinker who urged officials to awaken through the Confucian ethics to him, and his ideas were based on ‘Gwanriron’, reform of national organization. Hong, I-seop emphasized, especially, the relation of Dasan’s Christianity, and his Dasanron was not separated from Anti-communism, the ideology of Asia Foundation, America’s private organization, which supported the publication and Christian evangelicals. These discussions seek to represent the possibility for Silhak to be understood as discourse reflecting the agenda of its own era in the particular historical context, as well as being ‘esse’.

      • KCI등재

        정약용(丁若鏞)의 기자(箕子) 인식(認識) - 고법(古法)탐구와의 연동(連動)을 중심으로 -

        윤석호 ( Yoon Suk-ho ) 한국실학학회 2021 한국실학연구 Vol.- No.42

        정약용의 기자 인식은 비균질적이면서도 전환적으로 변화했다. 또한 보편적 유교문화의 시원으로서 기자를 정위한다는 기조를 공유했으되, 기자로부터 전래된 보편문화가 무엇이었는가에 대해서는 당시의 유자들과 상이한 견해를 가졌다. 이에 본고는 다산의 기자 인식이 古法에 대한 독법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 양자를 계기적으로 논증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사료적 가치에 있어 후대의 역사서보다 經書를 우선했다는 점, 경서에 대한 해석을 토대로 유교의 보편적 전장을 궁구했다는 점, 또한 이것이 기자의 역사성을 판단하는 준거로 활용되었다는 점 등은 다산의 기자 인식에서 지속적으로 확인되는 특징이었다. 그럼에도 다산의 기자 인식은 유배기 전후로 크게 달랐는데, 이는 고법과 기자에 대한 경전적 해명의 변화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먼저 사환기까지의 다산은 기자의 동래와 그로 인한 행적 전반에 대한 경학적 전거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단군이 한반도를 다스렸고 ‘朝鮮’이라는 명칭도 이때부터 있어왔다고 보았던 한편으로, 기자의 동래 나아가 평양에 도읍을 세웠다는 것에는 강한 의문을 표했다. 이러한 입장은 당시 ‘기자정전’으로 운위되던 평양의 격자형 유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유지의 구획는 ‘井’자가 아닌 ‘田’자였는데, 이와 같은 형태는 『맹자』의 정전에 대한 경문과는 부합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것은 다산이 ‘기자정전’을 인정하지 않았던, 대신 이를 당나라의 이세적이 운영했던 둔전의 유지로 추정케 했던 경학적 근거였다. 그러던 다산에게 강진 유배기는 유학의 보편적 전장을 본격적으로 궁구할 시공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다산은 『周易』의 明夷卦를 역사적으로 재해석하여, 기자 동래에 대한 경전적 근거로 삼았다. 또한 『주역』의 坤卦, 『尙書』의 洪範九疇와 六鄕制, 『周禮』의 營國원리 등을 재해석했다. 그리고 ‘井’자가 토지제도에서부터 도성[읍성]건설, 나아가 통치 이념에 이르는 삼대 전장에서의 보편적 원리였음을 추론했다. 이와 같은 고법 독법 하에서 다산은 기자의 흔적을 평양의 유적 가운데에서 해명했다. 그런데 그가 주목한 것은 평양성 밖의 이른바 ‘기자정전’이 아닌 평양성 내부의 격자형 유지였다. 동래한 기자가 고법에 의거해 평양성을 조영했으니, 내부에 남아 있는 ‘井’자 형태의 공간 구조가 바로 그 증거라는 것이다. 이로써 다산은 고대의 한반도를 유학의 보편적 전장이 시행된 시공으로, 그와 같은 경학적·역사적 추론에 대한 실증적 근거로서 평양성을 위치시켰다. 이처럼 다산에게는 보편적 전장의 해명이라는 학술적 목표가 일관되게 저류하고 있었다. 특히 유배기 이후로는 경전의 재해석을 통해 고법에 대한 기왕의 독법을 조정했으며, 그 논점을 통치체제의 차원으로 확대했다. 다산의 이러한 학술적 경과 속에서 고법은 기자와의 주요한 교점이 되었다. 그리고 고법 독법의 변화에 근거해 기자에 대한 인식 또한 연동했고, 이 과정에서 기자는 고대 한반도에서의 문명사적 실체로서 자리매김했다. D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s recognition on Kija(箕子) was inhomogeneous and conversely changed.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mpirically argue Dasan's perception on Kija under the connection with the process of changing his view about Old Law(古法). The fact that the historical value of the Confucian scriptures was prioritized over the later historical books, that the universal system of Confucianism was explained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Confucian scriptures, and that it was used as a criterion for judging the historicality of Kija were characteristics that were continuously confirmed in Dasan's perception on Kija. Nevertheless, Dasan's perception on Kij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xile period, because Dasan's explanation based on Confucian scriptures for Old Law and Kija was changed. Dasan before exile was unable to provide evidence in the Confucian scriptures for Kija's migration to the east and the overall course of action related thereto. In addition, Pyongyang(平壤)'s grid-shaped historical site, so-called ‘Kija's Jeong-jeon(井田)’, was not recognized because it did not conform to the explanation of 『Mencius(孟子)』 about Jeong-jeon. Dasan was exiled by Gangjin(康津), and during that period, he studied the universal system delivered in Confucian scriptures in earnest. In this process, Dasan historically reinterpreted Ming-Yi Hexagram(明夷卦) in 『I-Ching(周易)』, and used it as a scriptural basis for Kija's migration to the east. In addition, Dasan reinterpreted Kun Hexagram(坤卦) in 『I-Ching(周易)』, the Nine Category of the Great Rule(洪範九疇) in 『Shangshu(尙書)』, Hyangsu- System(鄕遂制) in 『Zhou-li(周禮)』 and 『Shangshu』, and argued that the form of ‘Jeong(井)’ was the universal principle of the Confucian ruling system. Under this interpretation of Old Law, Dasan explained the traces of Kija among Pyongyang's ruins. However, what he paid attention to was not the so-called ‘Kija's Jeong-jeon’, but the maintenance of the grid inside Pyongyang Fortress. He understood that Kija built Pyongyang Fortress in accordance with the old law, and regarded the remaining shape of Jeong as its evidence. Overall, Dasan evaluated the ancient Korean Peninsula as a space where the universal Confucian system was implemented. In addition, he positioned the grid-shaped historical site inside Pyongyang Fortress as an empirical basis for his Confucian scriptural and historical reasoning.

      • KCI등재

        다산 시경학 연구를 위한 예비적 검토

        홍유빈(Hong you-bi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20 No.-

        기존의 논의를 바탕으로 정리해 보면, 정조조의 ‘경사강의(經史講義)’는 그 이전의 경연(經筵)에서 이루어진 논의보다 학술적 차원에서 보다 진일보한 측면이 있으며, 《시경》에 대해 문답한 ‘시경강의(詩經講義)’ 역시 단순한 학술적 토론을 넘어서 《시경》시편의 본의(本意) 혹은 진의(眞意)에 다가가고자 했던 정조(正祖) 본인의 치열한 학문적 호기심의 일단에서 촉발되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그러한 정조의 시경학적 탐구의 배경에는 안으로는 ‘삼연 김창흡–담헌 홍대용’으로 이어지는 노론계 시경학풍의 영향이 있으며, 밖으로는 주희의 시경설을 비판했던 청대 모기령의 시경설이 주는 외부적 충격이 있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초계문신을 비롯한 재야의 제신(諸臣)들은 각자의 학맥을 바탕으로 하여 자신의 소신이 담긴 답변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군신(君臣)간의 학술적 문답 속에서, 풍석 서유구와 다산 정약용은 특유의 박학(博學)과 면밀한 고증(考證)을 통해 가장 많은 조문이 채택되는 영광을 안았다. 그리고 이러한 점으로 인해 현대의 연구자들은 정조조의 시경강의에 주목을 하면서 풍석과 다산의 시경학에 대해 집중적인 논의를 펼쳐왔다. 다만 간과해서는 안될부분은 당대 조선시경학계의 양상을 통해 보았을 때 다산 및 풍석 의설(說)은 오히려 소수파에 불과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중국의 양명(陽明)의 학설이 전면적으로 수용되지 못하고 정제두를 대표로 하는 이른바 강화학파(江華學派)라고 하는 소수의 학자군에 의해 연구되었던 바와 같이, 시경학(詩經學)의 경우에도 명 청대의 신설(新說) 및 새로운 저서(著書)들은 당시 조선에 있어 극히 일부의 계층만이 접할 수 있었던 것이 현실이었으며, 정조조 시경강의에서 수 많은 문신(文臣)들 가운데 모기령의 설을 인지하고 있었던 사람이 단 두명 정도에 불과했다는 것이 이에 대한 반증이 될 수 있을 듯하다. 따라서 당대의 조선 시경학계의 주류는 그 외의 세력 즉 이른바 정학(正學)으로 인정되던 주희(朱熹)의 시경설을 옹호했던 부류였다고 생각되며, 그 이유는 역시 중국의 학술 및 사상을 일방적으로 수용해야 했던 수용자로서의 한계 및 정통주의에 입각한 소중화주의(小中華主義)에 말미암은 학문 및 사상적 보수성에 기인한 것이 아닐까 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의 신성(新星)들은 나름의 학파적 전통을 지키면서 당대 중국의 학술적 흐름을 예민하게 감지하고 그것을 탐구하였으며, 그러한 집단 중의 하나가 성호계 기호 남인들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시경학(詩經學)에 있어 그들의 이론은 크게 볼 때 성호 이익과 목재 이삼환 녹암 권철신을 거쳐 다산 정약용에까지 이르러 정조(正祖)와 만나고, 다산의 중년에 《시경강의보유》로 보충된 뒤, 이어서 외손인 방산 윤정기의《시경강의속집》으로 완성되는 과정으로 그려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산 시경학에 대한 연구’ 역시 이러한 통시적인 흐름을 염두에 두는 가운데, 그 흐름이 가진 의미를 당대 조선의 시경학설과 비교해 보고, 아울러 외적으로는 중국과 일본을 위시한 역외(域外) 시경학의 견지에서 조망하는 것이 그 최종적인 목표가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is an Introductory Exploration on the Joseon dynasty’s studying of 《詩經(The book of ode)》, focusing on Dasan(茶山) Jeong Yak-yong studies of 《詩經》. Dasan(茶山) had studied Confucian Classics in the Seung-ho school(星湖學派) before he met Chŏng-Jo(正祖): king of Joseon dynasty. Dasan’s academic genealogy is Lee ik(李瀷) - Kwon Cheolshin(權哲身) - Jeong Yak-yong(丁若鏞). So we have to research Seung-ho school(星湖學派)’s studies of 《詩經》if we want to know about Dasan(茶山)’s studies of 《詩經》. But when Chŏng-Jo(正祖) died and Queen Dowager Kim became regent for the new king, Sunjo(純祖), a cruel suppression ensued. This is known as the Catholic Persecution of 1801. And most of the Seung-ho school’s student have died and banished for that crisis, and their books and works were thrown out, too. Nevertheless, there were a few quotations of Seung-ho school(星湖學派)’s studies in the Dasan(茶山)’s 《ShiJingJiangYi(詩經講義)》. Dasan(茶山)’s 《詩經講義》is a sort of a catechism with Chŏng-Jo(正祖). Chŏng-Jo was very scholarly king, and he had a lot of questions about Confucian Classics. And there was an academic flow of new strikes from Qing(淸) Dynasty. Therefore, Chŏng-Jo had to deal with those flows. In the case of a scholar of Joseon at the time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who can perceive these new movement and another is who cannot. Chŏng-Jo asked to Dasan the theory of Mao Ch"i-ling(毛奇齡, 1623~1716), scholar of Qing (淸) Dynasty, and Dasan answered about it effectively. Because he studied at a relatively academic open group, and he well knew about Mao Ch"i-ling’s theory, too. And his research methods were to gathering across several books. It was similar to Ching Dynasty scholars’ research methods. His mode of scholarly may not represent the Joseon dynasty’s studying of 《詩經》, but we have to pay attention that his proposal could be a alternative to the scholars of Joseon dynasty at that time.

      • KCI등재후보

        다산(茶山)의 『이담속찬(耳談續纂)』 편찬 과정에 대하여

        임미정 ( Mi Jung Lim ) 다산학술문화재단 2009 다산학 Vol.- No.14

        이 논문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편찬한 속담집 『이담속찬耳談續纂』의 편찬 과정을 살핀 것이다. 그 동안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속담집이라는 측면에 주목되었고, 따라서 속담 내용 연구나 한역漢譯된 양상에 집중되었다. 그러나 『이담속찬』은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보다 먼저 간행되었고, 다산의 오랜 준비 과정 아래 이루어진 저작이다. 지금까지의 연구가 다산이라는 작가와는 별도로 텍스트에만 집중되었다면, 이제는 다산이 속담집을 저술했다는 사실과 관련한 편찬 의식을 살필 때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우선 다산이 『이담속찬』을 어떠한 자료를 통해 어떻게 만들었는지를 검토하여 `다산의 이담속찬` 연구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담속찬』은 크게 중국 속담과 우리나라의 속담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중국 속담의 편찬과정을 살폈다. 다산은 명나라 왕동궤의 『이담류증』에 수록된 「집언요고언集諺謠古言」을 참조하여 중국 속담부분을 집필하였다. 다산은 이 책을 전재하거나 원전原典에 의거하여 수정하고 보완하는 작업을 하였고, 여기에다 석천 신작이 준 10여 장을 합하여 『이담속찬』 내의 중국 속담 부분인 「경사인유」를 완성하였다. 다산은 속담집 편찬에 있어 『이담류증』의 속담을 최대한 바꾸지 않는 방향에서 정리하였다. 따라서 이 책의 제목이 『이담』을 이은 `속찬續纂`이라는 의미인 『이담속찬』으로 명명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은 우리나라 속담의 편찬과정을 살폈다. 다산은 젊은 시절부터 우리나라 속담에 관심이 많았다. 따라서 속담을 수집하고 한역한 후 압운까지 하여 가장 먼저 결실을 거둔 속담집이 『채파유의』(1792년)이다. 이후 성호의 속담집 『백언해』를 접하고 여기에서 속담을 골라 뽑아 운을 붙이고, 『채파유의』에서 참조하거나 추가로 수집한 속담을 더하여 『백언시』(1801년)를 만들었다. 그리고 19년 뒤 『백언시』에 손암 정약전이 준 속담을 더하여 『이담속찬』(1820)의 「동언」을 완성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 방향의 작업이 모여 최종적으로 『이담속찬』이 이름 지어지고 편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담속찬』의 편찬 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적어도 『이담속찬』이 어떠한 성격의 책인지는 밝혀졌다고 생각한다. 차후의 『이담속찬』 연구는 이 논문에서 밝힌 자료와 사실에 기반하여, 편찬 의식을 비롯한 작가와 연관된 해석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mpilation process of Idamsokchan(耳談續纂). Idamsokchan is a collection of proverbs which Tasan(茶山) Cheong Yagyong(丁若鏞) compiled. Past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Idamsokchan as a collection of proverbs, paying attention only to the contents or aspects of Chinese translation. However, because this book was written by Tasan`s elaborate effort and published before Yeoyudang Cheonseo(與猶堂全書), new ways to approach this material needs to be discussed. To understand Idamsokchan, we need to look at how it was made because previous studies have not focused on this. It was impossible to connect Idamsokchan with its writer or his thinking becaus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Tasan`s writings have not been conducted yet.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cess of how Idamsokchan was created through examining related materials. Idamsokchan largely consists of Chinese and Korean proverbs. First of all, Tasan completed most of the Chinese proverbs in reference to "Jipeon yogoeon" collected in Idamryujeung(耳談類增) by Wang, Dong-gwe. Tasan mostly copied proverbs from the book, but he sometimes edited them based on the original. However, the foundation was not changed from the context of Idamryujeung, so he named his book the second series of Idamryujeung. Secondly, Tasan was concerned about Korean proverbs from when he was young. Accordingly, he collected and translated those into literary Chinese and made the lines rhyme. In 1792, he made Chaepayui(采芭遺意), which contains 820 proverbs. After that, he wrote Baekeonsi(百諺詩, 1801) by picking out some proverbs from Baekeonhae(百諺解) by Seongho and added some proverbs he collected from elsewhere. And 19 years later, he completed "Dongeon(東諺)", Idamsokchan (1820) by adding proverbs from Sonam to Baekeonsi (百諺詩). The exact period of his arrangement of Chinese proverbs has not been found because he did not mention it. However, it can be found that he collected those proverbs by adding some from Chinese scriptures and ten chapters from "Gyeongsainyu(經史引喩)" which was given to him by Shin, Gak to "Jipeonyogoeon(集諺謠古言)" in Idamryujeung. Through all these processes, Idamsokchan was given its name and compiled. This paper gives an outline of the compilation process of Idamsokchan. I think the characteristics of Idamsokchan are clarified by this paper. From now on, there must be an analysis of the intention and the meaning behind the compilation of it based on the materials and facts defined in this paper.

      • KCI등재

        茶山 丁若鏞의 字學에 대한 인식 및 六書論

        楊沅錫(Yang won seok)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8 No.-

        본 논문은 茶山 丁若鏞의 ‘字學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아울러 茶山의 ‘六書에 대한 견해’를 고찰하여 그 의의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字學은 經學 연구의 기초가 되며 또 그것의 중요한 방법론이라고 할 수있다. 다산은 이러한 자학의 방법론을 경학 연구에 적극 활용하였다. 또한 다산은 자학의 각 분야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다방면으로 제출하였다. 그러므로 경학에 큰 성취를 이룬 다산의 학문을 온전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그의자학을 연구하는 것은 일정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2장 ‘字學에 대한 인식’에서는 다산이 제시하였던 자학 연구의 목적, 문자 공부와 교육의 바람직한 방법 등에 대해 정리하였다. 다산은 글자의 造字 원리에 대한 이해를 통해 글자의 본뜻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좋은 문장을 쓰는 것을 자학의 목적으로 삼았으며, 이를 위한 문자 공부 및 교육의 방법으로 ‘觸類旁通’과 ‘竭其族, 別其異’를 제시하였다. 3장 ‘六書論’에서는 다산의 六書에 대한 이해, 다산이 제시했던 六書의 구체적인 사례, 다산 六書論의 특징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산은 육서의 개념과 원리를 ‘文字之法’, ‘子母相生之法’, ‘偏旁離合之制’, ‘文字之源’, ‘造字之本’이라고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다산 육서론의 특징으로는 許愼이 제시한 形聲과 다른 독창적인 諧聲 개념을 사용하였고, 六書互兼說에 대한 인식을 가지면서 특히 會意兼指事를 제시하였으며, 說文解字 를 참고하였지만 독자적인 글자 해석을 시도한 경우가 있었고, 육서를 활용한 글자 풀이의 상당수는 경서 해석을 위한 훈고 작업에 활용하였다는 점 등을 제시할 수 있다. This paper was intended to examine D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 s recognition of graphonomy and simultaneously to look into Dasan s views of six categories of character construction(六書) and research the meaning. Graphonomy can be said to be the basis and important methodology for Confucian Classics. Dasan positively utilized such methodology for graphonomy in studying Confucian Classics. Also, Dasan submitted his various views of each field of graphonomy. Therefore, it would be significant to study his graphonomy to fully understand Dasan s learning that made great achievements in Confucian Classics. ‘Recognition of Graphonomy’ in Chapter 2 described the purpose of graphonomy, desirable methods for characters study and education, etc. Dasan regarded it as the purpose of graphonomy to exactly grasp the original meaning of characters through understanding of pictograph(象形), associative method(會意), picto-phonetic method(諧聲) which is the principle of characters being generated and, on the basis of that, to write good sentences. Also, as a characters study and education for that, Dasan proposed “Leaning widely with respect to the same kinds of characters” and “Learning knowing the same kinds and discerning the difference points”. ‘Discussions about six categories of character construction in Chapter 3’ described understanding of Dasan s six categories of character construction, concrete examples of six categories of character construction proposed by Dasan and characteristics which can be found from discussions about Dasan s six categories of character construction. Dasan understood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six categories of character construction as ‘文字之法’, ‘子母相生之法’, ‘偏旁離合之制’, ‘文字之源’, ‘造字之本’. Also, for characteristics of discussions about Dasan s six categories of character construction, this paper referred to Dasan s peculiar concepts of picto-phonetic method, recognition of ‘六書互兼說’, refer to Shuowenjiezi(說文解字) but attempted independent interpretation of characters and interpreting Confucian Classics by utilized six categories of character construc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혼돈록(혼돈錄)』에 대하여

        김언종 ( Eon Jong Kim ),안세현 ( Se Hyun Ahn ) 한국실학학회 2013 한국실학연구 Vol.0 No.26

        본고는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잡저류(雜著類) 저술인 『혼돈록(혼돈錄)』 현전본의 종류와 주요 내용을 학계에 소개하고, 이 저술이 지닌 자료적 가치를 부각시키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혼돈록』은 신조본(新朝本)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에 수록되어 있지 않으며, 장서각과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 필사본 『여유당집(與猶堂集)』에 각각 수록되어 전한다. 또 1974년에 영인된 『여유당전서보유(與猶堂全書補遺)』 2집에도 수록되어 있다. 조목은 장서각본이 249개, 규장각본이 225개로 장서각본이 24개 더 많다. 보유본은 장서각본을 저본으로 하면서도 규장각본을 섞어 영인한 것이며, 영인 과정의 오류로 244개 조목만 수록되어 있다. 요컨대 장서각본이 규장각본보다 앞선 초본(初本)일 가능성이 높다. 『혼돈록』의 내용을 통해 볼 때, 이 저술은 다산이 1796년(정조 20) 초계문신으로 『사기영선』을 교정한 것이 계기가 되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전체적인 서술은 유배지에서 완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혼돈록』 권4의 내용이 『아언각비』에 많은 부분 수용된 것으로 보아, 『혼돈록』 저술은 적어도 『아언각비』가 완성된 1819년(순조 19) 이전에 마친 것임에 분명하다. 『혼돈록』은 총4권인데 권1ㆍ2는 모두 사론(史論)이며 권3의 전반부는 사론이고 후반부는 시화(詩話)이다. 권4는 언어문자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다. 전체 249개 조목 중에 136개가 사론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249개 조목의 제목과 내용에 대해서는【부록】으로 첨부한 <『혼돈록』 249개 조목 내용 일람표>를 참고하기 바란다. 『혼돈록』은 신조본 『여유당전서』에 들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간 학계의 주목을 받지 못하였으나, 그렇다고 해서 『혼돈록』의 자료적 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결코 아니다. 첫째, 『혼돈록』은 절반 이상이 사론으로 채워져 있는데, 이를 통해 다산의 역사인식을 엿볼 수 있다. 특히 숙종과 정조 연간의 사건과 인물에 대한 논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산은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당파에 얽매이지 않고 냉정하게 역사를 평가하였다. 다산이 자기 나름대로 남인이 분열되고 정치적으로 몰락한 과정을 탐색해 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중국 역사에 대한 단순한 기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중국과 우리나라를 비교하면서 우리의 현실에 입각하여 비판적으로 역사를 검토하였다. 둘째, 신조본 『여유당전서』에 수록되지 않은 다산의 시론과 시편을 확인할 수 있다. 남인 시맥에 대한 정보나 칠언고시의 율격에 대한 논의는 다산의 시론 연구에 참고할 만하다. 신조본 『여유당전서』에 수록되지 않은 희작 성향이 농후한 잡체시(雜體詩)는 다산 시세계의 또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답수차요(踏水車謠)」와 「반지화곡(班枝花曲)」 등에 대한 논의에서는 다산의 실학자적 면모를 엿볼 수 있다. 셋째, 『혼돈록』은 다산의 여러 저작의 원천 자료 역할을 하였다는 점이다. 『혼돈록』은 『아언각비』 저술의 밑바탕이 되었음은 물론이거니와 여타 문장을 짓는 데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원사(原赦)」라는 글은 『혼돈록』권1의 「왕가종수칠십(王伽縱囚七十)」이 바탕이 되어 완성되었다. 이외에도 「한전(限田)」ㆍ「현령시책(縣令試策)」ㆍ「개천맥(開阡陌)」 등은 『경세유표』에, 「본생부칭백부숙부(本生父稱伯父叔父)」ㆍ「성치(城雉)」 등은 『상례사전(喪禮四箋)』에, 「세실(世室)」은 『춘추고징(春秋考徵)』에 수용되었다. 넷째, 다산의 저술 편찬 경위를 엿볼 수 있었다. 다산은 『혼돈록』 권1의 7조에서 자신이 지은 『맹자차록(孟子箚錄)』이라는 저술을 언급하였다. 『맹자차록』은 현재 전하지 않는데, 본 조목과 관련된 내용은 『맹자요의(孟子要義)』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맹자차록』은 『맹자요의』에 앞서 지었고, 이를 바탕으로 『맹자요의』를 저술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고가 다산학의 지평을 넓히는 데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s about a book which is named Hondonnok written by Jeong Yak-yong. This article is a kind of miscellaneous records. In this paper, I introduce the value and bibliography of this book. According to the record of this book, Jeong set out to write in 1796 when he was serving as a government official in Kyujangkak. And he completed it before 1819, during his exiled period. This book was composed in 4 volumes. First two volumes are debates about historic issues. And the others are comments on poems and linguistics. For the information, I attached a table at the end of this paper as a supplement. As this book was not included in the complete book of Yeoyoodang(與猶堂全書), no researchers took notice of it for now. But it does not mean this book has no value. I suggest the important facts of this book like following. First, we can grab his view of history through this book. Especially,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people and events of the King Sukjong and Jeongjo era. He tried to evaluate historical facts based on objective point of view. Second, we could find out some unexcavated articles from this book. Among them, some arguments about Namin party and poems are particularly important. Third, this book was a raw material for other writings for him. He wrote this book as a memorandum for the future, and he used it in other books actually. Forth, we can reconstruct the details of his writing in the chronological sequence. In this book, he mentioned some titles of his own books, and these are important evidences about his writings. I look forward to lead some new researches from this pa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