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의 한국판 웩슬러 지능검사 및다면적 인성검사의 특성

        이태영(Tae Young Lee),정혜경(Hae Gyung Chung),최진희(Jin Hee Choi),정문용(Moon Yong Chung),최영안(Young An Choi),김태용(Tae Yong Kim)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7 사회정신의학 Vol.12 No.2

        연구목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는 많은 혼란요소로 인해 정확한 평가에 어려움이 있다. 단일 외상에 노출된 PTSD 환자군을 대상으로 임상에서 널리 사용하는 지능검사 및 인성검사를 실시하여 PTSD 증상의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11명의 PTSD 환자군과 12명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다면적 인성검사, 웩슬러 지능검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다면적 인성검사 검사 결과 타당도 척도에서 F 척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K 척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임상척도에서 Hs, D, Hy, Pd, Pa, Pt, Sc, Si 척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웩슬러 지능검사 검사 결과 환자군에서 언어성 지능이 유의하게 낮았다. 결 론: PTSD군의 MMPI 결과 대부분의 임상척도의 상승 소견을 보였고 지능검사에서 나타난 낮은 언어성 지능은 이전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소견이다. Objectives:It’s difficult to evaluate PTSD due to many comfounding fac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PTSD symptoms for patients with PTSD having experienced single traumatic event with K-WIS and MMPI which are widely used clinically. Methods:K-WIS and MMPI were performed and compared on the 11 patients with PTSD and 12 normal comparison. Results:The result of MMPI test concluded that the patients group had significantly high F, low K scale in validity scales, and also significantly high of Hs, D, Hy, Pd, Pa, Pt, Sc, Si in clinical scales. The result of K-WIS test showed that the verbal intelligence was significantly low in patients with PTSD. Conclusion:The MMPI results from the patients with PTSD showed overall elevation in clinical scales. Low verbal intelligence of K-WIS test supports previous study results.

      • KCI등재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다면적 인성검사 특성

        은헌정,이선미,장광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4 신경정신의학 Vol.33 No.2

        본 연구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정상인을 의미있게 구별하여 주는 다면적 인성검사 반응 특성을 확인하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군 내의 다면적 인성검사 프로화일 특성을 분류하고자 시도하였다. 연수 대상은 1991년 1월부터 1993년 3월까지 전주 예수병원에 입원 또는 외래로 내원한 외상후 스트레서 장애 환자 45명과 정상인 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군이 L척도를 제외한 모든 척도에서 정상집단보다 의미있게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2) 판별 분석에서 두 집단을 잘 판별해주는 척도는 D, Mf, Pt,Si척도이고, 이 척도들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군을 88.9% 정확헤게 판별해 주었으며, 정상 대조군은 94.5% 정확하게 판별해주었다. 3)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군의 다면적 인성검사 반응을 군집 분석한 결과 3개의 하위 집단이 추출되었다. a. 첫번째 집단은(54.3%) L, F, K척도의 프로화일이 역전된 'V' 형태이고 Hs, D, Hy, Pd , Pt, Sc척도의 점수가 60년에서 71점 사이의 점수를 보이고 있다. b. 두번째 집단은(36%) L, F, K척도의 점수가 47점에서 56점 사이의 범위를 보이고 있고, 모든 임상 척도가 42점에서 59점 사이의 점수를 보이고 있는 정상 프로화일이었다. c. 세번째 집단은 (11.1%) L, F, K척도가 56점에서 70점의 점수에 속하고, Mf척도를 제외한 모든 임상척도들이 60점에서 80점의 점수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다면적 인성검사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군을 구별하는데 신뢰할만한 판별력을 가진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MMPI responses which significantly discriminate between the PTSD and the normal on the basis of MMPI scores. And it was designed to classify the types of MMPI profiles in the PTSD. Subjects were 55 healthy control and 45 PTSD who were inpatient or outpatient in Presbyterian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91 to March, 199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MMPI subscales, except L scale, PTSD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the normal group. 2) In discriminant analysis, it was D, Mf, Pt, ans Si that discriminate these two groups. Also, it classified 88.9% of PTSD group and 94.5% of normal group correctly. 3) Three subgroups were extracted from the PTSD by cluster analysis of MMPI. a. The first subgroups(54.3%) showed a profile which T score of L, F scale configured a reverted "V" pattern, and T scores of Hs, D, Hy, Pd, Pt, and Sc scale belonged to the range of 60 to 71 point. b. The second subgroup(36%) showed a normal profile which had L, F, and K scale with normal range of 47 to 56 T score and all clinical scales with 42 to 59 T score. c. The third subgroup(11.1%) showed a profile which had L, F, and K scale belonged to the range of 56 to 70 T score and all clinical scales belonged to the range of 60 to 80 T score except Mf scale. These findings suggest MMPI has a remarkable discriminant power in PTSD group.

      • KCI등재

        이갈이 환자의 다면적 인성검사의 특성

        박병욱,이희철,장문정,심주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3

        연구목적 : 다면적 인성검사를 통해 이갈이군의 심리적 특성을 알아보고 이갈이 환자의 성별, 가족력, 발병기간, 이갈이 유형, 동반된 통증 유무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8월까지 개인 치과의원을 방문한 환자들 중 46명의 이갈이군, 41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이갈이군과 대조군의 심리적 특성, 이갈이 환자의 성별, 가족력 유무, 이갈이 기간, 이갈이 유형, 통증과 같은 동반증상유무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다면적 인성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이갈이군이 대조군보다 모든 임상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나 남성특성-여성특성 척도점수를 제외하고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가족력이 있는 이갈이군이 가족력이 없는 이갈이군보다 반사회성 척도가 높았다. 이갈이군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교정척도(K)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여자는 편집증 척도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발병기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이갈이 종류의 비교에서는 이악물기형이 다른형보다 내향성 척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저작근 통증, 경통, 두통과 같은 동반된 통증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다면적 인성검사상 일부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낸 것으로 이갈이 환자의 심리적 특성을 규정짓기는 어려우나 이갈이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다면적 인성검사상 모든 척도가 상승되어 있고, 이갈이의 성별, 가족력, 이갈이의 종류에 따라 일부 척도의 점수가 상승되어 있는 것은 이들이 서로 다른 심리적 특성을 가질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라고 판단되며, 이는 치료에 있어서도 좀 더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ith bruxism by Minnesota Multiphase Personality Inventory (MMPI). Methods : MMPI was administered to 87 patients(46 bruxism group and 41 control group) who had visited a local dental clinic from January to August 1998. Results : The bruxism group had a higher score than control group in Masculinity-Femininity (Mf) scale.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bruxism group and control group on the distribution of Depression(D), Psychopatic Deviate(Pd), Paranoia(Pa), Psychasthenia(Pt) scales. The bruxism group with the family history showed higher score than the bruxism group without family history in Pd scale. Male bruxism group had a higher score than female bruxism group in Defensiveness(K) scale and female bruxism group had higher score than male bruxism group in Pa scale. The bruxism group of clenching type had a higher score than the bruxism group of mixed type in Social Introversion(Si) scal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MPI score between those who had and did not have symptoms such as masticatory muscle pain, neck pain, and headache. Conclusion : It is concluded that individualized approach may be effective to the evaluation of psychological disturbances which might be related to sex, family history and, type of bruxism, while we did not fi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the bruxism and control groups.

      • KCI등재

        19세 남성에서 그레이브스병의 다면적 군인성검사 결과

        김종현,이종국,서정석,김주현,오근,김태현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2 정신신체의학 Vol.30 No.2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assess the degree of Graves’ Disease affecting mental health through the results of multiphasic military personality inventory (MPI) in 19-year-old men. Methods: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MPI for 592 healthy subjects and 148 Graves’ disease patients among the 19-year-old men who visited the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from February 2008 to January 2010. Results: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oth Graves’ disease and control group are 19-year-old men. Educational level, socioeconomic status, parental relationship, and BMI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χ2=0.089, p=0.766; χ2=5.090, p=0.278; χ2=5.988, p=0.112 ; t=-0.635, p=0.526). In the MPI, among validity scales, the score of the faking-good subscal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aves’ group (t=3.507, p<0.001), but in the faking-bad and infrequency subscales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1.700, p=0.090; t=-0.519, p=0.604). Among the neurosis scale, anxiety, depression, somatization, and personality disorder subscale scores were all significantly higher in Graves’ disease group (t=-3.323, p<0.001; t=-4.210, p<0.001; t=-6.202, p<0.001; t=-2.872, p<0.01). Among the psychopath scale, each score of schizophrenia and paranoia subscale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0.158, p=0.874; t=-0.846, p=0.398). Conclusions:According to MPI result, we can confirm that Graves’ disease patients in 19-year-old-men may appear features such as anxiety, depression, somatization and personality tendency (introversion or impulsivity) than the control group. 연구목적본 연구는 19세 남자에서 그레이브스병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다면적 인성검사인 군인성검사(Military Personality Inventory, MPI) 결과를 통해 정량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우리는 2008년 2월부터 2010년 1월까지 병무청으로 군 신체검사를 받으러 방문한 19세 남자 중 다른 내외과및 정신건강의학과 질환이 없는 건강한 대상자들 592명과 그레이브스병으로 확진된 대상자들 148명의 MPI 결과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결 과인구학적 특징에서 대상자들은 19세 남자로 나이와 성별이 동일하였으며, 교육수준, 사회경제적 상태, 부모관계, BMI 모두에서 그레이브스병 환자군과 정상대상자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χ2=0.089, p=0.766; χ2=5.090, p=0.278; χ2=5.988, p=0.112; t=-0.635, p=0.526). 다면적 MPI 결과에서 타당도 척도에서는 긍정왜곡(fakinggood) 하위 척도 점수가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t=3.507, p<0.001), 부정왜곡(faking-bad) 하위척도 점수와희귀도(infrequency) 하위 척도 점수는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1.700, p=0.090; t=-0.519, p=0.604). 신경증 척도에서는 불안(anxiety), 우울(depression), 신체화(somatization), 인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하위척도 점수가 모두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t=-3.323, p<0.001; t=-4.210, p<0.001; t=-6.202 p<0.001; t=-2.872, p<0.01). 정신증 척도에서는 조현병 및 편집증 하위 척도 점수 모두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158, p=0.874; t=-0.846, p=0.398). 결 론MPI 결과로 미루어 볼 때, 19세 남자에서 그레이브스병 환자는 정상대상자보다 불안 및 우울 수준이 더 높았으며, 신체적 염려 또는 증상을 더욱 호소하였고, 내향성이나 충동성과 같은 성격장애 성향이 더욱 나타났다.

      • KCI등재

        자살시도 환자의 혈소판내 세로토닌 농도와 심리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정희연,권영준,박인준,홍세용,최의정,진혁희,Jeong, Hee Yeon,Kwon, Young Joon,Park, In Joon,Hong, Se Yong,Choi, Eui Jung,Jin, Hyuk-Hee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9 생물정신의학 Vol.6 No.1

        자살 시도군 21명, 우울증 환자군 14명, 그리고 정상 대조군 10명을 대상으로 혈소판내 세로토닌의 농도, 반 구조화된 설문조사, 다면적 인성검사, HAM-D, 충동성 검사를 시행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으며, 자살 시도군의 자살방법은 대부분 농약 중독이었다. 1) 자살 시도자의 남녀 비는 차이가 없었다. 2) 혈소판내의 세로토닌의 농도는 자살 시도군, 우울증 환자군 및 정상 대조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3) 다면적 인성검사 결과는 자살 시도군의 경우 D, Hs, Pt 척도가 높았으며, 우울증 환자군의 경우 D, Pa, Si 척도가 높았다. 4) HAM-D 점수는 우울증 환자군과 자살 시도군 모두에서 높았으며, 특히 우울증 환자군의 경우 더 의미 있게 높았다. 5) 충동성 검사 결과는 자살 시도군이 우울증 환자군에 비하여 무계획 충동성, 운동 충동성이 의미 있게 높았다. Objectives : Significant progress has been made in understanding psychosocial,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e. However it is only recently that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neurobiology of suicid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latelet serotonin level and suicidal behavior and psychological features of the suicidal attempters. Methods : After a suicidal attempt platelet serotonin level was measured from 21 patients and compared it with those from depression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Also MMPI, HAM-D, Barratt impulsiveness scale(BIS) were done to evaluate their psychological features. Results :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ratio of the suicidal attempters.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telet serotonin levels among three groups. 3) The analysis of MMPI revealed that the scores of D, Hs, Pt in clinical sca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icide patients and scores of D, Pa, Si were in depression patients. 4) The HAM-D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depression and suicide patients, especially in depression patients. 5) The analysis of Barratt impulsiveness scale revealed that the scores of nonplanning, motor and cognitive impulsiveness sc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icide patients. Conclusion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telet serotonin levels among three groups. However the analysis of psychological featur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psychological examinations are benefit to evaluate the suicidal tendency.

      • KCI등재

        요통을 호소하는 신병들의 정신의학적 특성

        이종훈,조주연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저자는 요통을 호소하는 입대한 장병들의 정신의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환자군은 1996년 9월 6일부터 11월 15일사이에 ○○사단 신병교육대에 입대한 48명이고, 대조군은 이들과 같은 시기에 입대한 장병중에서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 장병 48명을 무작위 추출하였다. 각 군은 MMPI, Beck의 우울척도, Zung의 자가통증척도, 그리고 Barron의 자아강도척도를 실시했다. 자료는 chi-square test 또는 t-test에 의해 분석되었다. 검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구학적 변인상 환자군이 경제적으로 낮은 계층에 더 많이 분포한다(p<.05). 2) Beck의 우울척도와 Zung의 자가통증 평가척도는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1). 3) 다면적 인성검사에서 양군 모두 각 척도별 T 점수의 평균값은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4) 다면적 인성검사는 환자군에서 척도 Pa(p<.05)와, 척도 F, Hs, D, Hy, Pd, Pt, Sc(p<.01)가 유의하게 더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5) 자아강도척도는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더 낮았다(p<.01). 이와 같은 소견은 요통환자가 정서적인 요인들과 강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기존의 가설을 강하게 지지하고 있다. Objectives & Methods : The authors had attempted to find psychiatric characteristics of recruites who had complained lumbar pain. The patient group were 48 recruites who had admitted at recruit training center of the OO division from September 6 1996 to November 15 1996. The control group were 48 healthy recruites who had been chosen randomly during the same period. Each group had been examined by MMPI, BDI(Beck's depression inventory), Zung's self-rating pain & distress scale, and Barron's ego strength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or t-test.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On demographic data, patient group had distributed more common in lower level of economic status(p<.05). 2) The score of BDI & Zung's self rating pain & distress scale of patient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p<.01). 3) The mean T-score on each scale were within normal rang in both group. 4) The group of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scales of Pa(p<.05), and scales of F, Hs, D, Hy, Pd, Pt, Sc(p<.01). 5) Ego strength of patients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p<.01). Conclusion : This finding supports the existing hypothesis that lumbar pain patients are strongly related to emotional factor.

      • 뇌진탕후 증후군과 두뇌 외상성 기질적 장애의 심리검사 반응 비교

        한미경,정인원,김재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5 忠北醫大學術誌 Vol.5 No.1

        뇌진탕후 증후군의 두뇌손상 가능성과 인지와 정서 영역에서의 어려움을 두뇌의 외상성 기질적 장애와 비교할 목적으로, 1993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교통사고로 인한 뇌손상 후유증으로 정신증상을 호소하여 신경심리적 평가를 위해 충북대학병원 신경정신과 심리검사실에 의뢰된 78명의 환자에 대하여 임상심리검사인 BGT, KWIS, MMPI를 실시하였다. 대상 환자를 뇌전산화 단층촬영 소견에 따라 이상이 발견된 군을 기질적 정신장애 집단(N=39), 정상소견을 보인 군을 뇌진탕후 증후군 집단(N=39)으로 나누어 검사 결과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간에 BGT 전체오류점수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KWIS검사에서도 두 집단은 공통성문제, 모양맞추기, 동작성검사 IQ, 전체검사 IQ를 제외하고는 어느 소검사에서도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산수문제, 수자문제, 바꿔쓰기, 빠진곳찾기에서 점수가 저하되는 경향성을 보였다. 두 집단의 MMPI 검사에서는 남성성-여성성(Mf)척도를 제외한 모든 타당도, 임상척도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렇지만 두 집단 모두 Hs, D, Hy, Pa, Pt, Sc 척도가 상승하여 신경증적 신체증상이나 정서적 증상을 호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뇌진탕후 증후군에서도 비록 두뇌의 기질적 장애에 비하여 정도는 경하지만 두뇌손상의 증거가 발견되고 인지기능의 변화가 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뇌진탕후 증후군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vidence of brain injury in postconcussional syndrome patients with history of head trauma by traffic accident. Subjects were 78 paychiatric pstients with history of head trauma who were assessed in the psychometric room of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 1993 to Dec 1994.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brain lesion in CT scan, and examined by Bender-Gestalt test(BGT),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KWIS),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MMPI). The results could not reve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error scores of BGT between normal and abnormal CT finding groups. KWIS and MMPI revealed that both groups were suffering from cognitive and emotional difficulties although abnormal CT finding group had more severe trends than normal CT finding group. This result indicates that similar degrees of organisity signs and congitive deficits were found in postconcussional syndrome with normal CT finding as well as traumatic organic brain syndrome with abnormal CT finding, and suggests that more systemic studies for organisity of postconcussional syndrome are needed.

      • KCI등재

        조현병과 우울장애의 감별 진단 시 다면적 인성검사-Ⅱ(MMPI-2) 내용척도 및 재구성 임상척도의 활용

        설순호,신민섭 한국심리치료학회 2012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4 No.2

        본 연구에서는 조현병과 우울장애의 감별 진단에 있어 MMPI-2의 내용척도와 재구성 임상척도가 기존 임상척도 이상의 추가적인 설명력을 가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111명의 조현병 환자(편집형 77명)와 74명의 단극성 우울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MMPI-2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임상척도 Hs, D, Hy 척도 외에도 내용척도 ANX, DEP, HEA, BIZ, TRT 와 재구성 임상척도 RCd, RC1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위계적 회귀 분석에서는 임상척도와 내용 척도의 추가적 설명력은 유의미하였으나, 재구성 임상척도의 경우 추가적 설명력이 거의 없었다. 특히 조현병 환자들의 경우 내용척도인 BIZ에서만 유일한 상승이 관찰되고 있어 MMPI-2 해석 시 임상척도와 더불어 내용척도의 고려가 필요해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