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 노멀 시대에 교양교육의 새로운 연구과제와 방향에 대한 모색

        정은상 ( Jung Eun Sang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1 지역산업연구 Vol.44 No.1

        본 논고에서 뉴 노멀 시대에 대학의 교양교육이 나가야 할 새로운 방향과 과제에 대해서 모색해 보고자 한다. 대학 교양교육에서 뉴 노멀 시대를 맞이하여 새로운 방향에 대해서 어떻게 해야할지 다함께 생각과 의견을 교류하는 장이 되길 기대한다. 뉴 노멀의 시대에 교양교육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뉴 노멀 시대의 교양교육은 미래교육의 일부분이다. 우리가 다 같이 경험과 담론을 형성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 교양교육은 전공의 전문성 교육이 아니라, 모든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보편적인 교육이다. 뉴 노멀의 시대에 자유교육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교양교육의 이념과 방향, 그리고 과제들에 대해서 뉴 노멀의 관점에서 성찰할 필요가 있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야 할 시기이다. 이 시기에 우리는 교양교육에서 무엇을 알아야 하고(know-what), 어떤 것들을 준비하고 어떻게 실천해야(know-how) 할지에 대해서 알아 볼 필요가 있다. 뉴 노멀 시대의 교육제도나 교육내용의 혁신적인 변화가 필요한 때이다. 변화를 위해서는 규제개혁이 필요하다. 뉴 노멀의 시대, 디지털 시대에 부합하는 패러다임 또한 경쟁에서 공유와 협력으로 변화해야 할 것이다. 교양교육의 방법과 내용도 스마트 대학 교육과 병행해서 진행하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학생들이 소속감과 안전, 능동적 자기 주도적 학습참여, 건강한 공동체 구성원의 일원임을 각인시킬 수 있는 학생성공 로드맵이 필요하다. 대학은 지역사회와 지역의 산업에 필요한 지식의 생산자이자 전수자 역할을 해야 한다. 지역커뮤니티, 지자체 등과 협력하여 뉴 노멀 시대 알맞은 창의적이고 융복합적인 인재양성이 필수조건이다. 디지털 역량 강화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뉴 노멀 시대에 교양교육 내실화를 위한 선택조건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이 된 사회에 우리는 이미 살고 있다.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review the new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university's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New Normal era. In the new normal era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I hope that it will be a place to exchange thoughts and opinions together on what to do about a new direction. What and how should liberal arts education do in the new normal era? Liberal education in the new normal era is a part of future education. We all need to form experiences and discourses together. Liberal education is not a specialized education for a major, but a universal education required for all students. In the era of the new normal, it is necessary to reaffirm the value of free education and to reflect on the ideology, direction, and tasks of liberal art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ew normal, and it is time to seek a new direction. At this time, we need to know what to know in liberal arts education (know-what), what things to prepare and know-how to do. This is the time when the educational system and educational content of the new normal era need innovative changes. Regulatory reform is needed for change. The paradigm in line with the new normal and digital era will also need to change from competition to sharing and cooperation. The method and cont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also approaching an era in which smart university education is conducted in parallel. There is a need for a student success road map that can impress students with a sense of belonging, safety, active self-directed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members of a healthy community. Universities should serve as producers and transmitters of knowledge needed for local communities and local industries. In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s, cultivation of creative and convergent human resources suitable for the new normal era is essential. We already live in a society where digital competencies and digital transformation became a prerequisite for survival, not an optional condition for the substantializ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new normal era.

      • KCI등재

        뉴 노멀(New Normal) 시대의 교육목회

        채혁수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72

        전 세계가 코로나 바이러스로 몸살을 앓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비대면이 지속되면서, 개인 자아는 심리적으로 점점 더 불안해하고, 모일 수 없는 공동체는 그 존재적 정의에 수정을 가해야 할 형편이다. 이러한 위기는 새로운 표준과 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교회도 예외는 아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교회는 이전의 예배와 목회 등에 새로운 기준을 가지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신앙 공동체인 교회는 이전과는 달라진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를 정립해야 하기도 한다. 이것은 말씀에 비추어, 항상 개혁해야 하는 개혁교회에게는 당연한 과제인 것이다. 어쩌면 말씀 속에 그 본질을 회복해야 하는 교회에게는 이 코로나의 위기가 순전함을 회복하는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적 관점에서 뉴 노멀(new normal) 시대의 교육목회를 위한 제언을 시도하려 한다. 이를 위해 먼저 II장에서는 코로나 시대의 교육목회에 있어서 뉴 노멀의 필요성에 관하여 살펴 볼 것이다. III장에서는 뉴 노멀 시대의 교육목회의 과제를 개인 자아와 공동체의 기능 회복을 중심으로 알아 볼 것이다. 결론격인 IV장에서는 뉴 노멀시대의 교육목회적 대안을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의 공동체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제시해 보려고 한다. 아무쪼록 마리아 해리스(Maria Harris)와 하비콕스(Harvey Cox)가 강조한 사도행전에 나타난 초대교회의 다섯 가지 직능들이 존 웨스터호프 3세(John Westerhoff III)와 레슬리 뉴비긴(Lesslie Newbigin), 그리고 본회퍼의 교회, 신앙공동체 이해에 의해 회복되어져, 오늘날 교육목회의 뉴 노멀을 위한 작은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 The world is suffering from the COVID-19. As social distancing and non-face-to-face communication continue, individuals become more anxious, and communities that cannot be gathered are required for redefinition of their existences. This crisis requires new normal. The church is no exception. As a community of faith, the church must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in this situation. Maybe, it is not wondered that the reformed church must always be reformed. The COVID-19 crisis is a chance to restore the purity for the church. Thus, this study attempts to offer several suggestions for educational ministry in the new normal from a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The struct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 is an introduction part. In chapter II, I find the necessity of a new normal of the educational ministry in the COVID-19 era. Chapter III examines the task of educational ministry in the new normal, focusing on the recovery of the function of the individual self and the community. In the conclusion part, chapter IV offers several suggestions for the educational ministry in the new normal, focusing on Dietrich Bonhoeffer's understanding of the community. I really hope that five functions of the early church in Acts emphasized by Maria Harris and Harvey Cox, should be restored for the educational ministry by the understandings of the faith community as a new normal by John Westerhoff III, Leslie Newbigin, and Dietrich Bonhoeffer. I also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 help for suffering people in the COVID-19.

      • KCI등재

        코로나 19시대 뉴 노멀의 윤리적 가치로서 ‘공동의 선’과 한국교회

        성석환(Sung, Suk-Whan)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0 기독교사회윤리 Vol.47 No.-

        ‘코로나19’ 이후 ‘뉴 노멀(the new normal)’에 대한 각계의 논의가 무성하다. 개인간의 삶의 방식만이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문화 및 종교에게도 많은 도전을 제기한다. 한국은 모범적인 방역과 대처를 통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는데, 이제 ‘뉴 노멀’의 정립을 위해 ‘공동의 선(the common good)’를 가치로 삼는 새로운 토론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교회는 정부와 시민사회의 대응에 비해 소극적이거 나 방어적인 탓에 사회적 비판을 받았다. ‘코로나19’에 대한 신학적 분석이나 대응도 중요하지만, 한국사회의 ‘뉴 노멀’의 수립 과정에 참여하여 모든 이들에게 좋은 질서의 토대를 제공하는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공공신학은 그것을 ‘공동의 선’으로 주장하며, 이것은 비단 한국 사회만이 아니라 지구적 차원에서 요청되고 있는 전환적 요청이다. 지구적 차원에서 ‘공동의 선’은 근대적 공론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모든 인간에게 동등한 권리와 혜택을 보장하여 번영할 수 있도록 하는 중대한 가치이다. 본 연구는 하버마스나 아렌트의 논의를 통해 지구적 차원에서 논의되는 종교의 공적 역할을 다루고, 그것을 ‘공동의 선’을 추구하는 ‘뉴 노멀’과 연결시켰다. 또 미로슬라프 볼프나 리오단과 같은 신학자들의 주장을 통해 ‘코로나19’ 이후의 ‘뉴 노멀’은 개인적 관계에서만 요청되는 것이 아니라 지구적 차원에서 모든 이의 번영을 위한 가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한국교회가 ‘뉴 노멀’의 형성과정에서 ‘공동의 선’을 실천하는 문화적 자원의 역할을 감당할 것을 요청한다. ‘The new normal’ situation, caused by the pandemic of ‘the Covid-19’, poses many challenges not only to the way of life but also to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areas. South Korea has received positive reviews for its exemplary defense to ‘the Covid-19’ but now Korean society has a task of public consensus on ‘the new normal’ based on the value of ‘the Common Good.’ This article argues that for Korean Churches it is more important to take par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new normal’ in society after ‘covid-19.’ Public theology would be a foundation in public sphere for discussing the ‘the new normal’ not only in a local but also on a global level. Thus, this study argues that the public role of religion on a global level is being discussed by non-theologians such as Jürgen Habermas and Hannah Arendt, and for Churches it means a request to contribute to drive ‘the new normal’ to pursue ‘the Common Good.’ And introducing the public theology of Miroslav Volf and Partick Riodan, the study argues all human being’s flourishing should be the key of ‘the new normal’ and Korean Churches should participate in public discussion and produce a value of ‘the Common Good’ to support all people’s flourishing in Korean civil society after ‘the Covid-19’.

      • KCI등재

        뉴 노멀-교육의 비판적 담론 분석을 통한 국어교육의 방향 모색

        정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1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social awareness of new normal in education through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news articles feat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normal and education. The followings are examined. First, in an aspect of textual practice, new normal-education discourse is primarily focusing on describing COVID-19 pandemic as an opportunity, emphasizing instructional method to overcome the crisis ans proposing prospects of future education after the pandemic. Second, in an aspect of discourse practice, this discourse is intertwined with the 2008 financial crisis-new normal discourse, distance education discourse an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iscourse. Lastly, in an aspect of social practice, it is identified that practicality of disaster, innovativeness of distance education and conformity of future education are naturalized as an educational attitude towards the pandemic. The analysis results were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recognition condi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new normal and secures a reflective perspective on it. 이 연구는 뉴 노멀과 교육의 관계를 다룬 뉴스를 분석 자료로 삼아 교육 분야의 뉴 노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비판적 담론 분석의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뉴 노멀-교육 담론의 주제를 현실 인식, 교육적 대응, 미래 전망으로 나눈 후, 각 차원의 담론 구성을 텍스트 층위, 담론적 실천 층위, 사회문화적 실천 층위로 나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텍스트 층위에서 이 담론은 코로나, 위기, 온라인, 원격, 기술, 변화, 미래 등의 어휘, 위기는 곧 기회, 비정상화의 정상화, 결코 돌아갈 수없는 과거라는 표현, 르네상스를 꽃피운 흑사병, 미네르바 스쿨 등의 인용을 통해 코로나19 팬데믹의 재난을 기회로 묘사하고 위기를 극복할 교육 방법을 부각하며 팬데믹 이후의 미래 교육을 전망하고 있으며, 둘째, 담론적 실천 층위에서 이 담론은 금융위기의 뉴 노멀 담론, 원격 교육 담론, 4차 산업혁명 담론과 결합하고 있으며, 셋째, 사회문화적 실천 층위에서 이 담론은 재난의 실용성, 원격 교육의 혁신성, 미래 교육의 순응성을 팬데믹 시대의 교육적 태도로 자연화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팬데믹 이후의 국어교육을 모색하는 데 있어 뉴 노멀에 기반을 둔 국어교육 논의의 인식 조건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성찰적 시각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뉴 노멀시대 프롭테크 발전방향 : 제4차산업혁명과 코로나19 중심으로

        경정익(Kyung JungIk) 한국부동산산업학회 2021 부동산산업연구 Vol.4 No.1

        새로운 생각과 새로운 표준이 필요한 뉴 노멀 시대 누구도 경험해보지 못한 미래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사고를 바꾸어야 한다. 제4차산업혁명의 진입과 코로나19는 디지털전환이란 뉴 노멀의 강요와 가속화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뉴 노멀에 의해 현재 진행중인 프롭테크의 발전방향이 전환되고 발전이 가속화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국내외 프롭테크의 동향과 분야별 비즈니스모델을 정리하고, TOE 프레임워크에 의해 국내 프롭테크의 발전 가능성을 분석하여 지능화, 자동화, 비대면, 온라인화되는 향후 발전된 프롭테크의 비즈니스 모델과 진화방향을 제시하였다. In the New Normal era, where new ideas and new standards are needed, existing thinking must be changed to adapt to a future that no one has ever experienced. The entr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orona 19 require the enforcement and acceleration of the new normal, digital transformation.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such a new normal will shif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ongoing proptech and accelerate its development. This study summarizes trends in domestic and foreign proptech and business models by sector, analyzes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 of domestic proptech by TOE framework, and presents the business model and evolution of advanced proptech in the future, which is intelligent, automated, non-face-to-face, and online.

      • KCI등재

        뉴 노멀시대 디지털전환(DX)과 미래산업에 대한 사회적 동향 분석

        김희숙 ( Kim Hyee-sook ),김찬선 ( Kim Chan-sun ) 미래융합통섭학회 2024 융합과 통섭 Vol.7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뉴 노멀시대 디지털전환(DX)과 미래산업에 대한 사회적 동향을 분석 및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2021년 8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디지털사회 각 분야의 전문가 15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법과 콘텐츠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뉴 노멀시대에 대한 인식은 온라인 언텍트 생활의 일상화,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 미래 비젼 구축, 보건환경에 대한 시민의식 증대, 대한민국 중심 혁신 아이템 구축 문화 형성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뉴 노멀사회의 방향성은 대한민국 트렌드 중심 가치확립, 바이오산업 중심 선진의료 시스템 구축, 4차 산업기술 중심 기술 패권국 역량 강화, 디지털 기반 공유사회 구축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셋째,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업 및 시민들의 삶의 질은 개인위주 사회와 경제의 양극화, 디지털 사회로의 가치관 및 환경의 전환, 디지털 기반 서비스 시스템의 활성화, 속도조절을 통한 사회적 안정화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넷째, 4차 산업혁명 중심 미래산업 전망은 스마트헬스케어 및 힐링산업, 4차 산업혁명 중심 지원 및 개발, ESG 인간중심 미래산업 구축, 디지털 한류 문화콘텐츠 개발, 시장경제의 자율성 부여 및 성장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결론 대한민국과 같이 빠르게 디지털사회로 전환되어져 가는 환경에서 대한민국의 독특한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미래로 도약할 수 있는 소프트 파워지수를 높이는 노력을 하여야 한다. PURPO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dentify social trends regarding digital transformation (DX) and future industries in the new normal era. METHO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dentify social trends regarding digital transformation (DX) and future industries in the new normal era. RESULT First, the perception of the new normal era was derived from factors such as normalization of online untact life, establishment of a future vision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ncrease in citizen awareness of the health environment, and formation of a culture of building innovation items centered in Korea. Second, the direction of the new normal society was derived from factors such as establishing values centered on trends in Korea, establishing an advanced medical system centered on the bio industry,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a technological hegemony centered on the 4th industrial technology, and establishing a digital-based sharing society. Third, the quality of life of companies and citizens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ffected by factors such as polarization of individual-centered society and economy, transition of values and environment to digital society, activation of digital-based service system, and social stabilization through speed control. This was derived. Fourth, the outlook for future industries center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cludes factors such as smart healthcare and healing industry, 4th Industrial Revolution-centered support and development, construction of ESG human-centered future industries, development of digital Korean cultural content, and granting and growth of market economy autonomy. This was derived. CONCLUSION In an environment like Korea that is rapidly transitioning to a digital society,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rease the soft power index that can leap into the future, focusing on Korea's unique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뉴 노멀시대 융합보안 산업의 발전 방향과 전망

        박현호 미래융합통섭학회 2022 현대사회와 안전문화 Vol.5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뉴 노멀시대 융합보안 산업의 발전 방향과 전망에 대해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22년 1월부터 2022년 2월까지 각 보안 분야에서 10년 이상 활동 중인 전문가를 중심으로 심층면담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뉴 노멀시대 융합보안에 대한 인식은 융합보안은 미래의 핵심사업, 연구소 R&D 개발 등 통합된 보안, 산업의 융합화로 노출된 위협을 보호하는 활동 및 기술 등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뉴 노멀시대 융합보안 산업의 전개 방향으로 공공기관의 융합보안센터 설립, 연구개발인 R&D 단계부터 보안 분야 추가, 물리보안과 정보보안 기술의 통합솔루션 개발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셋째, 융합보안 산업의 글로벌 역량을 위해서는 국가 주도 융합보안 컨트롤 타워 설립, 혁신기술 개발 위한 벤처기업 투자 및 육성, 기업의 보안 분야 강화를 위한C-level조직의 역량이 뒷받침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넷째, 융합보안 산업의 정책적 방향은 융합기술발전에 따른 ICT융합산업 보안기준 수립 및 시험・평가방법 개발, 융합보안 전문 인력 양성, 국가차원 융합보안검증센터 설립, 기업 및 연구소에 융합보안 전문가 필수 채용, 블록체인 접목한 보안기술 개발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다섯째, 융합보안 산업 강화를 위한 정부지원 방향은 정보통신망법 개정, 중소기업 및 지역 지원체계 구축, 의무교육 보안교과 편성, 산업기술 인력유출 방지 방안 구축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결론 융합보안 산업은 미래에 신 안보차원에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국가차원 적극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

        새 일상(new normal) 시대 교사의 문법 교수 역량 탐색

        이병규 ( Lee Byounggyu ) 반교어문학회 2023 泮橋語文硏究 Vol.- No.65

        이 논의의 목적은 ‘뉴 노멀(new normal)’ 시대 국어과를 가르치는 교사의 ‘문법 교수 역량’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 주제의 핵심어는 ‘뉴 노멀’과 ‘문법 교수 역량’이다. 따라서 이 주제를 탐색하기 위해서 ‘뉴 노멀’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그에 부합하는 문법 교수 역량의 특성을 규명했다. ‘뉴 노멀’은 ‘새 일상’과 ‘새 기준’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보았고, ‘뉴 노멀’로서 ‘새 일상’의 모습을 ‘사회적 측면’과 ‘교육적 측면’에서 논의했다. 이를 바탕으로 ‘새 일상’이 요구하는 교사의 문법 교수 역량으로 ‘새 기준(new normal)’을 제시했다. 문법 교수 역량으로서의 새 기준은 학습자의 문법 지식 탐구 능력 신장을 지원하는 교수 역량, 문법 지식 탐구 교재 재구성 역량, 과정 중심의 평가 계획 및 수행 역량, 문법 성취 기준 융합 역량, 기초 문식성 교수 역량, 미디어 문식성 교수 역량‘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 그 외에도 에듀테크 역량, 블렌디드 교수 역량도 필수적임을 지적했다.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is to explore the ‘grammar teaching competenci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new normal’ era. The key words in this topic are ‘new normal’ and ‘grammar teaching competence’. Therefore, in order to explore this topic, we identified what the ‘new normal’ is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grammar teaching competencies that correspond to it. We understanded that the term ‘new normal’ is used in two senses: ‘new daily lives’ and ‘new standards’, and discussed the appearance of ‘new normal’ as ‘new daily lives’ from ‘social aspects’ and ‘educational and curricular aspects’. Based on this, the ‘new normal’ as ‘new standards’ was proposed as the grammar teaching competency of teachers required by the ‘new normal’ as ‘new daily lives’. The new standards for grammar teaching competencies discussed in detail the teaching competencies for enhancing learners’ ability to explore grammar knowledge, the competencies for restructuring textbooks for exploring grammar knowledge, the competencies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process-oriented assessments, the competencies for integrating grammar achievement standards with achievement standards of speaking․listening․ reading․writing, the competencies for teaching basic literacy, and the competencies for teaching media literacy.

      • KCI등재

        뉴 노멀 시대하 한국의 인적자본이 영구적 국민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김선재(Seon Ja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6

        본 연구에서는 뉴 노멀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인적자본의 중요성과 함께 동 자본이 한국경제의 일시적 및 영구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1970~ 2014 기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시적 효과를 추정한 결과 물적 자본과 노동, 그리고 인적자본 모두 전 기간에 걸쳐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다만 1999~ 2014기간 동안의 노동과 인적자본계수만이 10% 수준에서 유의성을 보인 반면 나머지 모든 계수들은 전 기간에 걸쳐 5% 이상의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특히 기간 1970~ 2014 동안 인적자본이 1% 증가할 경우 경제성장은 0.1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구적 성장효과를 추정한 결과 자본과 노동 계수 모두 전 기간에 걸쳐 5% 수준 이상의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더욱이 자본과 노동계수의 합이 0.96~ 0.99사이로 1에 가까운 수치로 추정되고 있어 이들 투입물이 규모에 대한 수확불변임을 보였다. 또한 인적 자본계수는 0.064로 10%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임에 따라 지난 45년 기간 동안 인적자본지수의 한 단위 증가는 약 6.4%의 영구적 경제성장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nsitory and permanent growth effects of human capital of the Korean econom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ew Normal Era during the period 1970-2014. For the transitory effects, we found out that all the coefficients of capital and labor are significant above the 5% level, whereas the coefficients of labor and human capital are significant only at the 10% level during the period 1999~2014.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1% increase in the human capital, the actual growth rate raised up with the rate of 0.15% over a 45-year period. For the permanent growth effects, the coefficients of capital and labor are significant above the 5% level. Furthermore, sum of the coefficients of the capital and labor showed approximately 0.96~0.99, approaching to a unit, which implies that there is a constant returns scale with respect to these inputs. In particular, the coefficient of human capital at 0.064 is significant at the 10% level. This implies that the permanent growth effect of an additional index of human capital is about 0.64% the previous 45-year period.

      • KCI등재후보

        뉴 노멀시대 사이버 보안산업의 방향과 전망

        류길호 ( Ryu¸ Kil-ho ) 미래융합통섭학회 2021 현대사회와 안전문화 Vol.4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뉴 노멀시대 사이버보안산업의 방향과 전망을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21년 6월 1~6월 30일까지 사이버 보안산업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담 기법을 적용하여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에 참가한 대상은 13명이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보안에 대한 인식은 미래사회 중요산업, 기업과 국가의 핵심정보보안 강화, 사이버보안 전문가 양성, 개인정보 보안의 중요성 증대 등의 핵심적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사이버 보안산업의 전개 방향으로는 공공기관의 역량 강화, 사이버 보안산업의 혁신적 변화, 사이버 보안시장의 확대 등의 정적 요인과 뉴 노멀 새로운 규제의 필요성, 질적성장을 위한 문제점 해소에 대한 부적 요인이 도출되었다. 셋째, 사이버 보안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국가 주도형 사이버 보안산업 제도적 육성, 혁신 기술을 적용한 플랫폼 구축 등의 정적 요인과 기업 윤리경영 강화와 같은 근본적 역량이 뒷받침 되어져야 한다. 넷째, 사이버 보안산업의 정책적 방향으로는 사이버보안산업의 정책적 지원, 온라인 범죄에 대한 개인인식 고취 및 노력, 선택적 온·오프라인 플랫폼 규제 적용, 사이버보안 예방교육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다섯째, 사이버보안산업 강화를 위한 정부지원 및 육성방향으로는 사이버보안 중앙 컨트롤타워 구축, 전략적 인재 육성, 사이버보안 예방교육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결론 사이버 보안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정부 주도적 컨트롤타워 구축을 통해 전문 인력을 육성해야 한다. PURPO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rection and prospect of the cyber security industry in the new normal era. METHOD As a research metho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in-depth interview technique with experts in the cyber security industry from June 1 to June 30, 2021. The number of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as 13. RESULT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cyber security in the new normal era was derived from key factors such as the reinforcement of core information security of important industries in the future society, corporate and national core information security, the training of cyber security experts, and the increase in the importance of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Second, i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cyber security industry in the new normal era, positive factors such as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public institutions, innovative changes in the cyber security industry, and expansion of the cyber security market, and negative factors such as the need for new regulations in the new normal era and resolution of problems for qualitative growth were derived. Third, in order to strengthen the global capacity of the cyber security industry, it must be supported by static factors such as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the state-led cyber security industry and the establishment of a platform that applies innovative technologies and fundamental capabilities such as strengthening corporate ethical management. Fourth, as the policy direction of the cyber security industry, factors such as policy support of the cyber security industry, raising individual awareness and efforts for online crimes, selective application of on/offline platform regulations, and cyber security prevention education were derived. Fifth, as a direction for government support and fostering to strengthen the cyber security industry, factor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 central cyber security control tower, training of strategic talents, and cyber security prevention education were derived. CONCLUSION For the continuous growth of the cyber security industry, it is necessary to foster professional manpower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government-led control t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