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구감소시대 농촌 중심지 내 사회적 활동과 공간의 이용실태에 따른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농촌지역 면소재지를 중심으로 -

        박성진,염대봉,강인호 한국농촌건축학회 2017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19 No.3

        본 연구는 농촌 중심지 정비가 커뮤니티 특성에 맞게 실행되어 왔는가라는 연구문제를 시작으로 커뮤니티를 고려한 농촌 중심지 정비의 방향성을 모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전라남도 지역행복생활권 농촌 생활권 지자체들 중 고령화 지수가 높은 4개의 지자체의 37개 면소재지를 대상으로 중심기능의 정도와 인구규모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로 지역주민의 커뮤니티 활동공간과 커뮤니티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지역주민의 커뮤니티 활동공간은 첫째, 교통여건의 개선으로 중심지수가 낮아진 쇠퇴 유형은 복지센터(문화센터), 둘째, 중심지수는 높으나 상위중심지 접근성이 낮고, 이농현상에 의한 지속적 쇠퇴를 보이는 유형은 주민자치센터와 장터, 셋째, 중심지수와 상위중심지로의 접근성이 낮은 유형은 농협, 넷째, 중심지수와 상위중심지 접근성이 낮고, 인구가 적은 쇠퇴 유형은 노인회 분회가 주된 지역내 사회활동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를 중심으로 한 커뮤니티 중심의 공공공간 확충 및 연계가 필요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커뮤니티 인식에 대해서는 중심지수가 높은 유형들은 유대감과 이웃관계, 중심지수가 낮은 유형들은 협력, 공동의식이 커뮤니티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readjustment of rural areas, considering the community. Therefore, it classified the types of 37 Myeon units from 4 communities with higher aging index among rural communities in Jeonnam according to the degree of central functions and population and examined the residents' awareness of community space. As a result, The space used as a social activity for each type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type of decline in the decline of the central index, which reduces transportation conditions, is welfare center (culture center). Second, the central index is high, but there is a low degree of access to the center of the middle and low levels of the population, and the local autonomous center and marketplace, respectively. Third, the low level of access to the central index and the higher center is Nonghyup. Fourth, the decline type with low center index and low accessibility to superior center and low population was the elderly community. Additionally, the types with higher center index on the awareness of community included solidarity and neighbor relationship, and those with lower center index were influenced by cooperation and community awareness for community activation.

      •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의 자원조사 분석

        양용석 ( Yong Seok Yang ),이주용 ( Joo Yong Lee ),오영수 ( Young Soo Oh ),강승묵 ( Seung Mook Kang ),김경수 ( Kyoung Soo Kim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농촌은 주요 도시 중심의 산업화로 인한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하여 산업기반 및 경제기반 쇠퇴 과정을 겪고 있다. 이러한 농촌사회의 변화 과정은 과거 농촌 배후지역을 주심으로 발생하였으나 현재 시·군청 소재지와 같은 농촌 중심지에도 예외일 수는 없다. 농촌 중심지를 이용하는 배후지역 주민의 감소와 지역경제의 악화는 결과적으로 지역 주민들에게 제공되거나,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의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형성한다. 이런 상황 속에서 대다수의 농촌 중심지는 최소한의 서비스만을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명맥만을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상지구의 주민 문화·복지시설 및 청소년시설의 운영 및 이용실태를 점검하기 위해 기존의 선행조사 결과들을 수집·분석함과 동시에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될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추진을 위한 자료로 이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차후 주민문화·복지시설 및 청소년시설 운영·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초점집단토론(FGI: Focus Group Interveiw)와 결합하여 조사의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을 위한 자료로 사용 될 것이라 판단된다. 오피니언 리더들과 주민들 그리고 지역 소재 주민 문화·복지시설과 청소년시설에 재직 중인 관리·운영자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토론을 진행함으로써 생동감 있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현장의 이야기를 조사의 일부로 삼았다. 이러한 질적조사는 양적 조사를 통하여 밝혀내기 힘든 기층적 의식을 표면으로 이끌어냄으로써 양적 조사의 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조사를 통하여 본 조사가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핵심은 단양군 매포읍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수행을 위한 근간을 마련함에 있고, 단순히 문헌조사 기반이 아닌 양적 조사와 질적 조사를 동시에 실시함으로서, 상호 보완적이고 실질적인 내용을 토대로 그 기틀을 구성하였음에 의의가 있다고 판단 된다. 단양군 매포읍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과 관련하여 지역주민, 청소년 및 시설 운영·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주민 문화·복지시설 및 청소년시설에 대한 이용실태 및 이용만족도 관한 의식 조사와 더불어 지역에 대한 요구를 조사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매포읍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을 진행함에 있어 향후 사업의 근간이 될 수 있는 내용 모색·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단양군 매포읍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에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현장 조사와 실증적인 분석 작업을 하는데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진행 될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에 진행됨에 그 목표와 방향성의 근간이 될 수 있는 내용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인구소멸시대의 농촌중심지 기능변화에 대한 실증적 연구

        노세희(盧世姬),강인호(姜仁皓) 한국공공관리학회 2018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2 No.1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서 ‘재정부담을 최소화 하면서 지역주민에게 양질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농촌중심지 기능을 어떻게 정비해야 하는가’라는 문제를 토대로 인구감소와 저출산이라는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여 농촌중심지의 기능 변화와 집약화에 대해 고찰하고, 농촌지역 중심지의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농촌지역의 공공서비스와 시설을 어떻게 재구성해야 하는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농촌중심지 기능과 공공서비스정비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지역 공공서비스 제공과 지자체의 재정부담, 환경적인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농촌개발을 위해 농촌 중심지인 읍·면 지역을 중심으로 한 집약적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인구감소라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농촌 주민이 요구하는 생활서비스의 공공성에 대응 할 수 있는 서비스와 시설을 점검하고, 농촌지역 주민에게 살기 좋은 정주환경 및 공공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국가기반산업인 농업과 농촌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농촌중심지 정비는 교육시설 즉 초등학교를 거점으로 주민요구와 생활가치를 반영할 수 있는 중심지 기능들을 접목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넷째, 중심지와 배후지역, 중심지간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접근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지방정부는 지역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지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식을 찾아 일관되게 실천하고, 지역의 미래를 위한 장기적 비전을 수립해 다양한 주체가 참여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경강선 전철개통 이후 여주시 농촌중심지의 기능 변화 - 농촌중심지 내 시설 수와 방문빈도의 변화를 중심으로

        김현기,유석연 한국도시설계학회 201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0 No.5

        New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s considered as a means of spurring local development. However, the metropolitan transport network linking rural and urban areas tends to weaken the functions of rural centers by strengthening the influence of large city centers, according to the central theory. So far, the research on functional change of urban area after the opening of the metropolitan transportation networks has been ongoing frequently. However, the research focusing on rural areas have been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functional change of the rural center in Yeoju after the opening of the Gyeong-gang line depending on the changes of the number of facilities and the frequency of visits. Firstly, the functions of regional exchange and leisure & culture activities were strengthened as the result of increasing the number of facilities and the frequency of visits. Secondly, as the number of residents who purchased specialized product and health care services in rural areas were decreased, the related functions weakened. Thirdly, because of the population decrease, the functions for basic residential life have not been enhanced even after the opening of the Gyeong-gang line. Fourth, the functions of public adminstration and support for agriculture are likely to vary at the policy of local governments.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visits to rural centers by age after the opening of the Gyeong-gang line. This study may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rural center policy. 신규 교통인프라는 지역발전수단으로 여겨진다. 반면, 농촌과 도시를 잇는 광역교통망은 중심지이론에 따라 농촌 지역 내 대도시의 영향력을 강화해 농촌중심지의 기능을 약화시킨다. 지금까지 중심지 기능의 변화에 있어 광역교통망 개통에 따른 시ㆍ군 단위에 대한 연구는 자주 진행되어 왔으나 농촌중심지와 같이 농촌생활권 단위에 대한 국내 연구는 부족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중심지의 기능을 정립하고 최근 전철이 개통된 여주시 능서면 농촌중심지 사례를 중심으로 기능별 시설 수 및 방문 빈도의 변화를 분석한다. 전철개통 이후 기능변화의 분석 결과, 첫째, ‘대외교류’와 ‘여가문화활동’ 기능이 강화되었는데, 시설 수가 증가하였고 방문빈도 또한 증가하였다. 둘째, 농촌중심지에서 ‘전문제품구매’, ‘보건의료서비스’를 이용하던 주민이 이탈하면서 기능의 약화가 진행되었다. 셋째, ‘식료품구매’, ‘기초생활서비스’ 등 기본적인 정주 생활에 필요한 기능은 전철개통 이후에도 내부적 발전이 없고 오히려 인구감소 등으로 인해 축소가 진행되는 현상을 보였다. 넷째, ‘공공행정’ 및 ‘농업지원’ 기능은 전철개통 이후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추가로 전철 개통 이후 연령대별 농촌중심지를 방문하는 빈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농촌중심지 정책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의 배후마을 연계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이성재(Lee, Sungjae),장성화(Jang, Sung Hwa) 한국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연구 Vol.27 No.3

        정부는 농촌중심지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는 소재지와 인접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왔다. 2015년부터 도입된 농촌중심지활성화 사업은 농촌중심지의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중심지의 서비스를 배후마을로 연계시키는 정책이다. 그러나 사업추진 과정에서 중심지의 기능 강화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으며, 배후마을과의 서비스 연계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북에서 추진되고 있는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55개 지구를 대상으로 중심지와 배후마을과의 연계 측면의 문제점을 분석과 주요 분야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분야의 개선방향은 배후마을은 기획생산, 중심지는 소비와 유통을 담당하는 지역농업공동체 시스템 구축, 배후마을과 연계를 통해 농업의 생산과 가공, 유통, 체험교육 등이 복합된 6차산업화 육성, 고향장터 운영, 공동작업공간 조성, 커뮤니티 스쿨가든 조성 등이다. 둘째 문화‧관광 분야의 개선방향은 문화서비스의 중복 또는 소외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배후마을 거점시설을 활용한 문화서비스 전달, 중심지내에서 운영하는 각종 동호회를 활용한 동호회 강사 양성 및 파견, 중심지 내 청소년문화의 집, 공공도서관 등 공공기관을 활용한 문화서비스 제공, 관광자원을 활용한 배후마을 연계 강화 등이다. 셋째, 교통 분야의 개선방향은 중심지 내 복지회관, 종교단체 등 주요기관 차량을 활용한 이동편의 제고, 중심지 내 자원봉사센터 차량 활용, 배후마을과 중심지의 보행동선 정비 등이다. 넷째, 의료‧복지 분야의 개선방향은 통합거점 경로당 운영으로 의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 효율화, 문화, 예술, 법률 등 다양한 의료‧복지 서비스를 패키지 형태로 구성하여 배후마을에 제공하는 배후마을 행복버스운영, 의료‧복지서비스의 정보 접근성 제고 등이다. 다섯째, 경관‧생태 분야의 개선방향은 배후마을에서 중심지로 진입하는 상징적인 공간의 경관 특화, 선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중심지와 배후마을의 수변‧산림 자원 연계 등이 고려될 수 있도록 상징경관, 테마경관, 생태경관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배후마을에서 활동하고 있는 활동가를 중심으로 액션그룹을 조직화하고, 중앙부처 또는 지자체의 다양한 소규모 사업을 추진하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the rural center, the government has been implementing a continuous policy of focusing on the towns and around towns. Since 2015,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a project to revitalize the rural center, and has been working to strengthen the functions of the center and to link the services of the central area to the back village. However, when the project is promoted, the functions are concentrated in the center and the linkage with the around towns is not considered.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linking the rural towns and around towns to 55 districts promoted by Jeollabukdo, and suggests improvement directions by major field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gricultural sector,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linkage with the around towns through community farming, 6th industrialization fostering, community school garden and so on. Second, strategies for utilizing cultural facilities such as base facilities in the around towns or public institutions in the central area are needed, and personnel training and dispatch for improving the service delivery system should be reviewed.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mobility of the around towns by using the main agency vehicles in the center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In particular, the utilization of vehicles operated by the City Volunteer Center should be examined. Fourth, in the field of medical care and welfare, the integrated operations of senior community center, the happy bus of arouond towns, which provides various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in package form,should be reviewed. Fifthly, it is necessary to specialize the space entering from the around towns to the central area in the landscape ecology field and to promote linkage using the waterfront and forest resources of the center and the around towns.

      • KCI등재

        집약화 관점의 농촌중심지 거점기능 강화 방향에 관한 주민인식 연구 - 전라남도 화순군 면소재지를 중심으로 -

        박성진 한국농촌건축학회 2018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20 No.1

        본 연구는 인구감소가 진행되고 있는 전라남도 농촌지역 중 화순군의 3개 면소재지를 대상으로 집약화의 수단인 지속가능한 개발과 컴팩트 시티의 구성요인을 중심으로 배후지역의 생활서비스를 공급하는 농촌중심지에 대한 지역주민의 이용만족도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농촌지역 면소재지 지속가능한 집약화에 있어서는 다음의 내용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연구되었다. 첫째, 농촌중심지 면소재지의 공간구조는 차량중심의 필수·목적적 활동 중심의 공간구조가 아닌 보행중심의 선택·사회적 공간구조로의 변화와 농촌지역 근린성 관련 공동체를 유지 할 수 있는 공간과 기회의 공급, 둘째, 면소재지 중심부 기존 상권지역의 스톡재생을 통한 공공서비스의 집적화·원스톱화를 통한 편리성의 강화, 셋째, 공간복지 차원에서 면단위의 사회적 취약계층 및 이주민에 대책과 지역 맞춤형 공동체 비즈니스 등을 통한 일자리 확보에 중점을 둔 농촌지역 중심지 공간의 조정이 필요할 것이다. The area to be surveyed is the three-seat of Myeon office in Hwasun-gun, Jeollanam-do, where population is declining.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local residents of rural central areas providing life services in the back area was identified, focusing 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compact c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local spaces to be surveyed need a shift to a walk-centered choice and social structure, not a must-oriented, activity-centric structure. This not only improves the neighborhood of rural areas, but also increases the frequency of pedestrian exchange and helps keep the community afloat. Second, it could enhance the convenience of residents by reviving stocks in existing commercial areas and integrating public services. Finally, it has the effect of taking care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immigrants in terms of space welfare, and securing jobs through locally customized community businesses.

      • KCI등재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의 변화와 실무적 개선방안

        김성록,김지석 한국법정책학회 2017 법과 정책연구 Vol.17 No.4

        As the phenomena of the decline of rural areas and the degradation of their functions due to the centralization of the metropolis, the phenomenon of aging and low fertility rates emerge as realistic problem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nditions of residents’ settlement in rural areas, the necessity of life service functions increases. In rural areas, such as the eup and myeon areas, since most areas, excluding the central areas, are spread spatially wide, the level of benefits from life service differs depending on the area. In terms of the fairness of the policy, an equal level of facilities and programs should be provided for each village, but it is hard to consider this a reasonable alternative due to the budget problem. Thus, it is necessary to concentrate life service function facilities in the rural center and to build up an efficient service delivery system in the surrounding areas, rather than small-scale diversified investment. A rural center revitalization project is a policy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in the center and the surrounding areas together, by building up a system that can expand the central functions such as education, welfare and culture to the eup and myeon areas, which are the rural centers and to deliver the services of the center to the surrounding areas, responding to the increase of underpopulated villages. This study discussed changes and problems of the rural center revitalization project and drew plans for improvement as follows: First, it would be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system with city/county master plans and to stipulate the time of consultation among the related departments of the local government in the planning process. Second, it would be necessary to clarify the roles and authority of PM group and stake holders. Third,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of residents in the surrounding areas and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between the center and its surrounding areas. Lastly, it would be necessary to concretize measures for the practical support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대도시 집중화・고령화・저출산 등으로 인한 농촌지역의 공동화와 기능저하가 현실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있어, 농촌지역 주민의 정주여건 개선을 위하여 생활서비스 기능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농촌지역은 읍・면소재지와 같은 중심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들이 공간적으로 넓게 분포되어 있어 생활서비스에 대한 수혜수준이 지역마다 상이하다. 정책의 형평성 측면에서는 각 마을마다 동등한 수준의 시설과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겠지만, 이는 예산상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합리적인 대안으로 보기에는 어렵다. 그러므로 소규모 분산 투자보다 생활서비스 기능시설 등을 농촌중심지에 집중하고, 배후지역에 대해 효율적인 서비스 전달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은 인구 과소마을의 증가에 대응하여, 농촌중심지인 읍・면소재지에 교육・복지・문화 등 중심기능을 확충하고, 배후마을로 중심지서비스를 전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중심지와 배후지의 삶의 질을 함께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이다. 이 연구는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의 변화와 문제점에 대해 고찰하였고,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도시・군기본계획과의 연계체계 강화 및 계획수립과정에 있어서 지자체 관련 부처간 협의시기를 명문화 할 필요가 있다. 둘째, PM단 및 참여주체의 역할과 권한에 관한 명확화가 필요하다. 셋째, 배후지역주민의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제도개선 및 중심지와 배후지간의 접근성을 강화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사업완료 이후 운영지원 방안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전라남도의 인구감소에 따른 농촌중심지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조준범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9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centers change appearing due to population decreases in Jeollanam-do.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rapid population decreases and aging have progressed together centering on myeon areas. The rates of population decreases in myeon areas were at least six times higher than those of eup areas and the rates of average ages changes were also shown to be higher in myeon areas than in eup areas. Second, the central place functions of myeon areas have been weakened very much while the central place functions of eup areas have been strengthened. Third, some differences in changes in the functions of the rural centers appeared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center functions of surrounding areas of large cities and small cities tended to be strengthened or maintained and the phenomenon of declines or stagnation of center functions could b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island and rural areas farther from urban areas. Fourth, the functions of center related to expertism & technology, which are higher central industries and the basic living services for residents were bring weakened. It could be seen that following the population decreases, the spatial structures of rural areas were changing in much different ways from the past. In the long run, it is expected that the hierarchical structure will be simplified and converge into one or two center for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rural areas to establish bases for the provision of living services such as welfare, culture, and various convenience functions in line with such changes. 본 연구는 전라남도의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인구감소에 따라 나타나는 농촌중심지의 중심기능변화를 규명하고자하는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사업체기초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 전라남도 농촌지역은 면단위 지역을 중심으로 급속한 인구감소와 고령화 현상이 진행되어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번째, 농촌의 중심지 구조가 과거 마을-면단위-읍단위 지역의 계층구조 속에서 면소재지와 읍소재지가 중심기능을 담당했으나 면단위 중심기능이 매우 약해지고 읍단위 중심기능이 강화되는 경향으로 변화해왔다. 세 번째, 지역특성에 따라 농촌중심지의 기능변화에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대도시와 중소도시 주변지역의 중심기능은 강화 또는 유지하는 경향이 높았고 도시지역에서 원거리일수록 중심기능의 정체 또는 쇠퇴현상을 관찰할 수 있으나 독특한 자연경관특성을 유지한 지역은 기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중심기능의 변화와 전문·기술, 도소매, 수리·개인서비스, 금융보험, 교육서비스, 숙박 및 음식점, 부동산·임대, 정보통신 및 출판, 공공행정 등의 기능변화와 연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감소에 따라 농촌지역의 공간구조가 과거와는 매우 다른 방식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기적으로 계층구조가 단순화되어 1중심 또는 2중심 형태로 수렴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으로, 배후 지역을 고려한 농촌중심의 정주기능개선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 때 농촌중심성의 변화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농촌지역 중심지 공공공간에 대한 주민 인식도 연구 - 지역커뮤니티 단위의 중심가로와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

        박성진,염대봉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2

        본 연구는 농촌지역 중심지의 장소성 중심 활성화로서 공공공간으로 볼 수 있는 중심가로와 공공공간들을 대상으로 전라남도 농촌생활권 중의 하나인, 화순군의 12개 면소재지 중 정주체계계층 분석을 통한 계층별 3개 사례를 추출하여 공공공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실증적 연구이다. 그결과 조사대상지의 면소재지들의 공공공간의 환경은 첫째, 중심가로의 밀집도로 인해 공공공간이 이면도로 또는 외곽부에 공급되고, 공공공간의 전면구성은 차량의 접근 및 통행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중심가로변 건축물의 전면공간 역시 차도 확보로 인해 보행에 적절한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고, 버스정류장은 중심가로 외곽부 설치로 접근성이 부족하였다. 셋째, 보행과 연계한 소규모 공원 및 편의시설들의 부재, 보행로 상의 무분별한 차량진입구 설치로 인한 보행의 연속성 및 환경 악화의 문제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지역민들의 농촌중심지에서 필수적 활동만이 가능한 환경으로 구성되었고, 선택적, 사회적 활동을 수용하기에는 힘든 상황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농촌중심지의 공공공간 구성은 지역민들의 선택적, 사회적 활동이 가능한 보행중심의 공간들로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a positive study to examine problems of public space and seek their solutions with three cases of 12 myeon locations in Hwasun-gun, one of rural circles in Jeollanam-do based on center streets and public spaces through settlement system analysis. Consequently, public space environment of myeon locations at the sites of research showed that firstly, public space was arranged at the backside road or outer area due to the concentration of center streets and the facade structure of buildings at the center street was based on vehicle access and passage. Secondly, the facade structure of buildings at center street didn't ensure proper space for walking due to the street space and a bus station lacked the accessibility because it was installed at the outskirts of center street. Thirdly, it was analyzed that there were problems such as the absence of small parks and convenience facilities connected to walking and environmental worsening due to the installation of indiscreet access road on the pedestrians road. As a result, environment to accommodate compulsory activities for the residents at the center of rural areas was build and it seemed to be difficult to accommodate optional and social activities. Therefore, change into pedestrian-centered space for optional and social activities is needed.

      • 농촌지역 중심권역의 공간 형태학적 특징 분석

        이성윤 ( Sungyun Lee ),이상현 ( Sang-hyun Lee ),리재웅 ( Zaewoong-rhee ),취뤼 ( Rui Qu ),배승종 ( Seung-jong Bea ),김수진 ( Soo-jin Kim ),김상범 ( Sangbum Kim ),김진성 ( Jin Sung Kim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현재 농촌계획의 대표 사업인 일반농산어촌사업에서는 거점지구를 중심으로 원형 반경 내에 생활서비스 기능시설을 입지 시키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한다. 그러나 현실의 농촌지역은 비정형적인 공간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거점지구 중심의 원형 반경을 중심권역으로 설정할 경우, 실제의 공간 형태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 중심권역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농촌 중심지를 지점으로 시가지의 공간적 분포 형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중심권역이 발달한 농촌지역을 선정하고자 충청북도 내 16개 읍 지역 중 청주시 내의 3개 읍을 제외한 13개 읍 지역을 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중심 지점은 행정학적 중심 지점과 경제적 중심 지점을 적용하고자 행정복지센터와 공시지가 최고가 지점을 각각 반영하였다. 행정 및 경제 중심 지점들을 기준으로 300m, 500m 반경 권역을 부채꼴 형태로 8분할 하여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각 방향별 건축물의 공간밀도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중심권역의 공간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행정 중심 지점과 경제 중심 지점의 분포 특징에 따라 괴산군 괴산읍, 영동군 영동읍, 옥천군 옥천읍, 음성군 금왕읍, 음성군 음성읍, 단양군 단양읍, 단양군 매포읍, 보은군 보은읍, 제천시 봉양읍, 증평군 증평읍, 진천군 진천읍 지역은 두 중심지구의 위치가 상당히 가깝게 나타났고, 진천군 덕산읍, 충주시 주덕읍 지역은 두 중심지구가 2km 이상 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심권역 내 공간적 개발 방향성 분석 결과, 원형 형태의 공간개발을 보이는 지역은 전체 13개 지역 중 괴산군 괴산읍, 진천군 진천읍 지역으로 나타났고, 이 외 11개 지역은 특정 방향성을 보이는 공간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향후 본 연구에서는 대상 지역을 전국으로 확장하여 중심 지점 기준 중심권역 분포 형태를 유형화하고 이에 따른 효과적인 중심지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