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농반어촌의 농경의례와 어로의례의 상관성과 복합성-20세기 경북 영덕 창포마을의 경우-

        배영동 비교민속학회 2018 비교민속학 Vol.0 No.65

        This study explains the interrelationships and complexities between agricultural and fishing rites through the case study of a village, Changpo Village (Changpo), Yeongdeok-gun, Gyeongsangbuk-do in South Korea. Changpo was mainly a farming village, and fishing was a sideline industry until the 1960s. Since the 1980s, however, Changpo has turned into a fishing villag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Changpo was a farming and fishing village in the twentieth century. In Changpo, agricultural and fishing rites were combined. In most cases, fishing rites were included in agricultural rites, but the opposite is rare. The reason for this ceremonial tendency wound be that Changpo’s villagers made their livelihood primarily by farming, and they fished on the side. Firstly, the agricultural ceremonies held in Changpo were dangje, yeongdeung-halmanne- mosigi, juldanggigi, tajaknori, and homissisi. Dangje was a joint farming ritual between all the village members in Changpo, while yeongdeung-halmanne- moshigi was a rite that was performed in each family of Changpo. Both rites were conducted for domestic prosperity and good crops. It seems that these ceremonies were commonly held for a full harvest at first and they prayed for a rich haul of fish afterwards. Secondly, there were farming rites such as juldanggigi and tajaknori that were performed on the first full moon of the lunar New Year. Juldanggigi was conducted for a heavy harvest to begin with and then transformed to be for both good crops and good catches of fish. Tajaknori was also done for a large harvest, but it disappeared after the villagers’ depended more on the fishery. Lastly, homissisi, also known as shonmodum-meokgi, was a ceremony to praise farmers and servants for their hard work. After agricultural productivity increased and the fishing economy was boosted in Changpo, this rite became a public event that were conducted in the village hall, where a meal was served for the heads of households. This event recently disappeared. The complete fishing rites in Changpo were byeolgosa, baetgosa, and baeseongju-drigi. These rites have undergone a dramatic change after farming decreased and the fishery increased in value. Byeolgosa exists today as part of fishing rites, including memorial services, held when the villagers became shipping casualties at sea. The other fishing rites - baet-gosa for large catches of fish, and baeseongju-drigi for safe sailings across the rough seas - have disappeared. In short, the rituals performed at same time and place by village community such as dangje, juldanggigi, and the ritual performed at the same time in each household such as yeongdeung-halmanne-mosigi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ination of agricultural rites and fishing rites, but whether it is agricultural rites or fishing rites, rituals performed by individuals in individual time and space do no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rituals combined with agricultural rites and fishing rites. Since today's fishing villages are villages originating from the farming villages and passing through the semi-farming fishing village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shing rites and agricultural rites of the pre-fishing rites as an important cultural layer. 동해 바닷가에 있는 경북 영덕군 창포마을은 대체로 1960년대까지는 농업을 위주로 하고 어업을 보조적으로 하다가, 1980년대부터 전반적으로 어촌으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20세기 전체를 통틀어 창포마을은 반농반어촌이었다고 하겠다. 창포마을의 농경의례와 어로의례는 복합성을 드러내지만, 농경의례에 어로의례가 복합되는 경우는 많으나 어로의례에 농경의례가 복합되는 경우는 미미하다. 오랫동안 농업은 생존을 위한 기본적인 생업이었고 어업은 농가의 부업이었던 까닭이다. 마을 주민들이 공동으로 안과태평을 비는 당제(堂祭)에는 풍농을 기원하다가 풍어를 기원하는 내용이 덧붙은 것으로 보인다. 집집마다 하던 ‘영등할만네 모시기’는 가정의 전반적인 복록과 풍농을 빌던 의례였는데, 후대에 풍어를 비는 내용이 덧붙은 것으로 해석된다. 정월 대보름 줄당기기는 풍농을 기원하던 것이었는데, 후대에 풍농과 풍어를 함께 기원하는 것으로 전환되었다. 정월 대보름 ‘타작놀이’도 풍농을 기원하던 농경의례였는데, 주민들의 어업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소멸되었다. ‘손모둠 먹기’로 표현된 호미씻이는 농부와 머슴들의 노고를 위로하던 농경의례였는데, 농업생산성이 향상되고 어업경제력이 향상된 후 마을회관에서 잘 차린 밥상을 각각 자신의 가장에게 올리는 공개행사로 바뀌었다가 최근에 소멸되었다. 창포마을에서 전적으로 어로의례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배성주 드리기’, 뱃고사, 별고사가 대표적이다. 이들 어로의례는 개별적인 의례로서, 농업의 가치가 하락하고 어업의 가치가 상승된 후에는 상당히 변화되었다. 별고사는 해상 사고로 인하여 사망자가 발생하였을 때 하는 영혼천도의례 겸 어로의례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승되고 있다. 하지만, 생사를 넘나드는 불안정한 해양생태계에 적응하기 위한 배성주 드리기, 그리고 풍어를 기원하던 뱃고사는 소멸되었다. 요컨대, 당제, 줄당기기와 같이 마을공동체가 같은 시간과 공간에서 하는 의례, 그리고 영등할만네 모시기와 같이 집집마다 같은 시간에 하는 의례는 농어복합의례의 성격을 분명하게 드러내지만, 농경의례이든지 어로의례든지 간에 개개인이 개별적인 시간과 공간에서 하던 의례는 농어복합의례의 성격을 띠지 않는다. 오늘날의 어촌은 역사적으로는 농촌에서 출발하여 반농반어촌의 과정을 거친 마을이므로, 어로의례 이전 시기의 농경의례를 중요한 문화층으로 설정하여 양자의 상관관계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반농반어촌의 농경의례와 어로의례의 상관성과 복합성

        배영동(Bae, Young-Dong) 비교민속학회 2018 비교민속학 Vol.0 No.65

        동해 바닷가에 있는 경북 영덕군 창포마을은 대체로 1960년대까지는 농업을 위주로 하고 어업을 보조적으로 하다가, 1980년대부터 전반적으로 어촌으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20세기 전체를 통틀어 창포마을은 반농반어촌이었다고 하겠다. 창포마을의 농경의례와 어로의례는 복합성을 드러내지만, 농경의레에 어로의례가 복합되는 경우는 많으나 어로의례에 농경의례가 복합되는 경우는 미미하다. 오랫동안 농업은 생존을 위한 기본적인 생업이었고 어업은 농가의 부업이었던 까닭이다. 마을 주민들이 공동으로 안과태평을 비는 당제(堂祭)에는 풍농을 기원하다가 풍어를 기원하는 내용이 덧붙은 것으로 보인다. 집집마다 하던 `영등할만네 모시기`는 가정으 전반적인 복록과 풍농을 빌던 의례였는데, 후대에 풍어를 비는 내용이 덧붙은 것으로 해석된다. 정월 대보름 줄당기기는 풍농을 기원하던 것이었는데, 후대에 풍농과 풍어를 함께 기원하는 것으로 전환되었다. 정월 대보름 `타작놀이`도 풍농을 기원하던 농경의례였는데, 주민들의 어업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소멸되었다. `손모둠 먹기`로 표현된 호미씻이는 농부와 머슴들의 노고를 위로하던 농경의례였는데, 농업생산성이 향상되고 어업경제력이 향상된 후 마을회관에서 잘 차린 밥상을 각각 자신의 가장에게 올리는 공개행사로 바뀌었다가 최근에 소멸되었다. 창포마을에서 전적으로 어로의례에 해당하는 것으로 `배성주 드리기`, 뱃고사, 별고사가 대표적이다. 이들 어로의례는 개별적인 의례로서, 농업의 가치가 하락하고 어업의 가치가 상승된 후에는 상당히 변화되었다. 별고사는 해상 사고로 인하여 사망자가 발생하였을 때 하는 영혼천도의례 겸 어로의례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승되고 있다. 하지만, 생사를 넘나드는 불안정한 해양생태계에 적응하기 위한 배성주 드리기, 그리고 풍어를 기원하던 뱃고사는 소멸되었다. 요컨대, 당제, 줄당기기와 같이 마을공동체가 같은 시간과 공간에서 하는 의례, 그리고 영등할만네 모시기와 같이 집집마다 같은 시간에 하는 의례는 농어복합의례의 성격을 분명하게 드러내지만, 농경의례이든지 어로의례든지 간에 개개인이 개별적인 시간과 공간에서 하던 의례는 농어복합의례의 성격을 띠지 않는다. 오늘날의 어촌은 역사적으로는 농촌에서 출발하여 반농반어촌의 과정을 거친 마을이므로, 어로의례 이전 시기의 농경의례를 중요한 문화층으로 설정하여 양자의 상관관계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동아시아 출토유물로 본 농기구와 농경의례

        방국화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4 동서인문 Vol.- No.24

        농작물의 풍작을 기원하는 농경의례는 농업을 주로 하는 농경사회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행위이다. 중국, 한반도, 일본 등 동아시아 각 지역은 모두 농경사회에 속하며 농경에 사용된 농기구도 거의 동일하다. 그리고 농경이 시작된 이후로 매년마다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농경의례에도 공통점이 많다. 괭이나 따비와 같은 농기구는 농업 사회에 있어서 자주 사용되는 실용적인 농기구이며 농업 관련 의례나 제사에도 자주 등장한다. 이러한 용도는 그후에도 오랫동안 지속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비가 농경의례에 사용된 것은 일본도 마찬가지이다. 현재의 나라시 東大寺 근처에 있는 황실의 창고라고 불리우는 正倉院에는 궁중의례에 사용된 子日手辛鋤(따비의 일종)이 남아있다. 한반도와 일본의 따비, 괭이를 사용한 농경의례는 그 기원을 중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중국의 문헌자료, 출토자료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다. 본고에서는 한중일의 농경의례 중, 공통점을 찾아볼 수 있는 따비, 괭이 등 농기구를 사용한 농경의례에 대해 비교·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새로운 출토 사례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해 보았다. Agricultural rituals to pray for a good harvest of crops are very important in an agricultural society that is mainly engaged in agriculture.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China, Korea, and Japan, all belong to the category of agricultural society, and their agricultural tools used in agriculture are almost identical. Furthermore, the agricultural rituals that have been held annually ever since agriculture started in those countries share many similarities. Agricultural tools, such as hoe and plow, are practical tools that are often used in agricultural societies and frequently appear in agricultural rituals. Plows were used in Japanese agricultural rituals. At Shosoin (正倉院), which is now called the Imperial Warehouse in Nara City, plows used in court ceremonies were found remaining. Agricultural rituals using plows and hoe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can be found in China through Chinese literature and excavated materials. This paper compares and examines Jitian rituals (emperor agricultural rituals), which can be found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therefore considered a type of ritual that provides a common ground for comparison. Based on the analysis,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new interpretation of the new cases of excavated Korean materials.

      • 조선시대 농경의례(農耕儀禮)와 세시풍속도(歲時風俗圖) 병풍의 기능

        김현지(Kim Hyunji) 한국민화학회 2015 한국민화 Vol.- No.6

        조선시대 회화사에서 19세기는 흔히 풍속화가 쇠퇴한 시기로 서술되었으며, 19세기 민간에서 병풍으로 제작된 작자미상의 풍속화들은 미술사 연구에서 그간 주목받지 못하였다. 필자는 ‘경직도류(耕織圖類)’ 회화로 통칭되어 다루어진 이들 풍속화 병풍들이 조선 초기부터 궁중에서 제작된 빈풍칠월도(豳風七月圖) 병풍 제작 전통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보았으며, 정월대보름을 기점으로 시간 순서로 배열된 벼농사 위주의 다양한 농가 세시풍속을 연작으로 묘사한 그림을 ‘세시풍속도(歲時風俗圖)’ 병풍으로 명명하였다. 농민의 다양한 생활상을 묘사한 빈풍칠월도와 세시풍속도 병풍은 당대에 풍농을 기원하는 농경의례이자 세시의례와의 밀접한 연관성 속에서 제작된 회화적 관습의 산물이다. 빈풍칠월도는 왕이 백성들의 생업에 힘쓰는 수고로움을 이해하고 안일함을 경계하는 무일(無逸)정신을 반영한 그림으로 왕도정치를 표방하는 조선시대 왕실에서 무일도(無逸圖), 경직도(耕織圖) 등과 함께 중요한 시각적 매체인 감계화로서 활용되었다. 한편, 궁중의 후원에 천지간의 자연물과 농사짓는 인물의 형상을 재현한 내농작(內農作)을 행하면서 빈풍칠월도에 근거함을 재차 강조하였다. 내농작과 볏가릿대[禾積竿]와 같이 풍년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입체조형물을 만들어 풍년을 미리 축하하고 기원하는 주술적인 사고방식은 농부가 밭을 갈고 땀 흘려 일구어 가을에 풍성한 수확을 맞는 농사 장면을 그린 병풍 그림에도 자연스럽게 투영되었을 것이다. 조선시대의 빈풍칠월도와 세시풍속도 병풍은 이처럼 감계적인 기능에 머무르지 않고 풍년을 기원하는 제의적인 기능이 중시되었다. 세시풍속도 병풍이 19세기 후반에 민간에서 저변화되면서 성행한 것은 이러한 그림에 담긴 제의적 기능과 그와 연결되는 길상적인 상징 때문이었을 것이다. In the history of painting of the Joseon period, the nineteenth century is often recorded as the time when genre paintings experienced a decline. Art historians have paid scarce attention to the nineteenth century anonymous genre paintings in the form of folding screens that were created among the common people. It is my understanding that these folding screens of genre paintings, generally designated as “a group of paintings of farming and weaving (耕織圖類),” are an extension of the tradition of the folding screens of the Illustrations of “Seventh Month” from the “Odes of Bin” (豳風七月圖), which were produced by the royal court since the early Joseon period. Further, the series of paintings depicting sesi pungsok (annual cyclical rituals) related to rice farming in chronological order beginning with Jeongwol Daeboreum (the fifteenth day of the New Year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were referred to as folding screens of sesi pungsokdo paintings. Illustrations of “Seventh Month” from the “Odes of Bin” and sesi pungsokdo folding screens depicting the daily activities of farmers are the products of pictorial conventions closely associated with agricultural and annual cyclical rituals held for wishing good harvest. Illustrations of “Seventh Month” from the “Odes of Bin,” reflecting the spirit of noncomplacency of the king, empathizing with the hard work and efforts of the people to make a living while staying alert against complacency, were utilized as didactic paintings which functioned as an important visual medium together with muildo (paintings based on the contents of Seogyeong Muilpyeon) and gyeongjikdo (paintings depicting daily activities related to farming) in the royal court of the Joseon Dynasty claiming to stand for rule by virtue. Meanwhile, the paintings further emphasized their association with the Illustrations of “Seventh Month” from the “Odes of Bin” by conducting Naenongjak (mimic farming) reproducing the image of natural objects and farming figures in the rear garden of the royal court. The shamanistic way of celebrating and wishing for a good harvest in the forthcoming year by creat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s embodying images associated with a good harvest including Naenongjank and Byeokkarittae (a pole for suspending grains wrapped with straws) was presumably naturally reflected in the paintings on folding screens depicting scenes of achieving a rich harvest in the fall through the great efforts of plowing and cultivating the lands by the farmers. In this way, the Illustrations of “Seventh Month” from the “Odes of Bin” and the sesi pungsokdo folding screens of the Joseon period were not just limited to their didactic function but were closely intertwined with the ritualistic function of praying for a prosperous year. It appears that the growing prevalence of sesi pungsokdo folding screens in the late-nineteenth century had more to do with the ritualistic function and the auspicious symbols embodied in these paintings.

      • KCI등재

        古代의 裸耕

        權五榮(Kwon Oh Young) 중부고고학회 2008 고고학 Vol.7 No.2

        대전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는 농경문 청동기에는 봄에 벌거벗은 남성이 커다란 농기구를 들고 밭을 경작 하는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16세기의 인물인 유희춘이 남긴 「立春裸耕義」에는 입춘에 벌거벗고 木牛를 몰면서 농경행위를 연기하는 함경도지역의 농경의례가 표현되어 있다. 나경이란 측면에서 양자는 상통한다. 최근 용인 언남리유적을 비롯하여 통일신라기의 유적조사 과정에서 철제 보습을 비롯한 농기구를 매납한 수혈이 자주 발견되고 있다. 유물의 내용이나 출토 정황을 볼 때 지방의 관리들이 중심이 되어서 치러진 모종의 의례의 결과로 추정되는데 그 의례는 봄의 기경제일기능성 이 매우높고 그 형태는 裸耕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중국적인 의례의 수용과 시행에도 불구하고 농경의례로서 봄에 남성이 발가벗고 농경의 과정을 시연 하는 나경은 오랫동안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e bronze ware for agricultural ritual, which was told to be discovered in Daejeon, has a figure of naked man cultivating with fanning utensils inscribed on. A scholar called Yoo Hee Choon in 16th century described a cultivation ritual which was executed by naked man and wooden bull in Hamgyong region in his work. These two rituals have distinctive feature of naked man in common. Recently, pits which contain iron plows of Unified Silla, including remains of Unnamri, Yongin can be seen easily. According to me contents or an excavation situation of the remains, me managers of this rituals were not farmers but government employees. The purpose of these rituals was golden harvest and rituals might be conducted by naked man. In conclusion, it can be presumed that me traditional rituals for golden harvest were succeeded for a long time in spite of accommodation of Chinese Confucianism.

      • KCI등재

        조선후기 권농책의 추이와 실학

        최윤오(Choi, Yoon-Oh) 한국사학회 2013 史學硏究 Vol.- No.109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권농책의 추이를 정부지배층의 전통적인 방식과 실학자들의 개혁적인 방식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전자의 경우는 완만하게나마 장기 지속적인 변화를 보인 반면에 후자는 대단히 현실적이며 개혁적 성격을 보여주었다. 때문에 극단적으로 대비되어 나타났다. 우선 정부층의 권농정책은 제천의례와 농경의례를 통해 조선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이 같은 농경의례는 조선후기 세계관이 변화함에 따라 조선국가 중심의 자존적인 의례로 변화되고 있었다. 영조와 정조대의 친경의례는 기왕의 형식적인 제례를 벗어나 농업현장에서 구현되는 방식으로 바뀌어 나갔고, 정조는 남단[풍우뇌우단]의 의례를 곧 세조대 시행했던 환구단의 제천의례로까지 생각하고 있던 것이 대표적 사례였다. 비록 환구단 의례가 천자만이 지낼 수 있는 의례라는 이유로 축소되었지만, 그것을 농경의례로 분화시켜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존적인 의례로 변화시키고 있었다. 한편, 실학적 지식인들의 권농대책은 근본적으로는 토지개혁을 지향하고 있었다. 따라서 주자권농문에 표현된 지주제 중심의 권농책과 다른 현실 개혁적인 논의로 나타났다. 반계의 경우 적전(籍田) 친경(親耕)을 간소화시키는 가운데 정전제를 응용하였고, 특히 진전(陳田) 개간이나 수리(水利) 시설 확보를 권농정책의 요체로 삼았다. 다산의 경우는 목민관이 농민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는 개혁적인 발상을 제시하고, 나아가 농민이 부유해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牧民心書』에서는 현재 시행할 수 있는 개간문제나 농기구, 농우(農牛)를 활용하는 문제 외에도, 앞으로 정전제도가 시행된 후 시행할 문제도 같이 언급하고 있었다. 양자의 권농 대책은 극단적인 방안이었지만 상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18세기 영조나 정조의 경우 반계의『磻溪隨錄』을 다시 간행하도록 한 것은 실학자들의 권농책에 대해서도 국왕들이 참조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farm encouragement policy(勸農策) in the late Joseon period by making a comparison between the traditional way of the ruling hierarchy and the reformed way of the ‘Silhak scholars(實學者).’ The latter showed the practical and reformative attributes while the former showed the slow and long term changes. It was the extreme contrast. First, the farm encouragement policy of the ruling hierarchy was proceeded in the Joseon’s way through the ‘rites to the heavens(祭天儀禮)’ and ‘agricultural ritual(勸農儀禮).’ Especially, ‘Sinocentrism(中華主義)’ becoming crack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se rituals were also nationally emphasized and conducted more autonomously. For instance, in the reign of King Yeongjo(英祖) and Jeongjo(正祖) ‘the ritual of Royal plowing(親耕儀禮)’ which had been conducted perfunctorily was changed practically by the King’s plowing real land. Furthermore, King Jeongjo elevated the position of the ritual of ‘Nam-dan(南壇)’ and ‘Pungu-Noewu-dan(風雨雷雨壇)’ to ‘Hwangu-dan(?丘壇)’ in the reign of King Sejo(世祖). Finally it could not help being diminished, as the ritual must be conducted only by the emperor. However, it was changing to the autonomous ritual as it was classified and emphasized as the ‘agricultural ritual.’ Secondly, ‘Silhak scholars’ proposed the farm encouragement policies that aimed the reformation of landlordism. It was the actual reformative discussion,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policy of ‘Zhu Xi(朱熹)’ that had been based on the landlordism. For instance, Ban-gye Yu Hyoung-won(磻溪柳馨遠) made a application of Jeong-jeon system(井田制) by simplifying ‘the ritual of Royal plowing(籍田親耕)’. Especially, he regarded cultivation and irrigation facilities as the key points of the farm encouragement policies. For another example, Da-san Jeong Yak-yong(茶山丁若鏞) proposed the reformative thought that the governors(牧民官) were existing just for the peasants. Futhermore, he suggested the way the peasants could be wealthy. Especially, in Mok-min Sim-seo(牧民心書), the book he wrote, he spoke about not only the present problems in cultivation, farming tools, and farming cattle but also the future problems after the Jeong-jeon system implemented. Although the farm encouragement policies of the both sides were extremely different, they seemed to have mutual interactions. The fact that King Yeongjo and Jeongjo in 18th century republished Ban-gye su-rok(磻溪隧錄), written by Ban-gye Yu Hyoung-won, means that the kings of the dynasty also referred the farm encouragement policy of the ‘Silhak scholars’.

      • KCI등재

        고려시기 연등회의 운영과 추이

        채상식(Chae, Sang-Si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한국민족문화 Vol.54 No.-

        연등회는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되면서 함께 수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연등’이라는 행위는 반드시 불교에만 적용된 것은 아니었다. 연등 행위는 우리의 각종 전통 신앙에서도 행해졌던 행사였다. 이러한 이중적 성격을 갖는 연등이라는 행위는 후대에 이르러 불교의 행사로 정착되었다. 연등회가 가장 활발하게 전개된 시기는 고려시기였다. 연등회는 고려 전 시기를 통하여 개최된 불교의례들 중 팔관회와 함께 가장 중요한 의례였다. 연등회는 정기연등회, 특설연등회, 불탄일 연등회등 세 종류가 있었다. 이 세 가지 중 고려 전 시기를 통하여 가장 많이 개최된 연등회는 정기연등회였다. 특설연등회는 필요에 따라 특정 기간에만 열렸으며, 개최 횟수는 정기연등회보다 훨씬 적었다. 불탄일 연등회는 4월 8일에 열렸는데, 고려 후기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개최되었다. 정기연등회와 특설연등회는 왕실이 주도하는 행사였지만 국가적인 차원으로 설치된 것이었다. 이들은 고려에서 조선으로 왕조가 교체되면서 서서히 사라졌으나, 불탄일 연등회는 왕경과 지방의 민중들도 같이 즐겼던 행사로서 조선시대를 거쳐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불교의례이다. 정기연등회(상원연등회)는 1월 15일 또는 2월 15일에 열렸다. 상원연등회는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하여 풍년화복을 비는 농경의례적인 요소를 띠었다. 이때 대규모의 연희 무대를 열어 축제의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기록상 왕실이 주도하여 왕실의 조상제사를 거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은 경향 각지의 토호세력들이 개최하던 지역공동체적인 축제를 국가적인 차원으로 승화시켜 도성과 지방, 지배층과 일반 민중을 결집하는 의미를 갖고 있었다. 한편 상원연등회의 기능과 성격을 현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농경의례로만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성종년간에 상원연등회를 대신한 원구단 제사를 유념할 필요가 있다. 원구단의 제사는 일차적으로 천신(天神)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원연등은 원구단에 제사를 지내는 것처럼 단순한 농경의례가 아니라 제천(祭天)을 상위개념으로 하여 조상숭배와 농경까지도 포괄하는 복합적인 기능을 가졌다. 이는 고구려의 동맹을 계승하는 것이며, 그 이념적 기반은 고조선 이래의 전통사상(신앙), 곧 최치원이 밝힌 풍류도에서 찾을 수 있다. 현묘한 도인 풍류도는 포괄적인 이념으로 유불선의 상위 개념인데, 상원연등회는 그러한 사상적(신앙적) 기반을 갖고 행해지던 연중행사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원연등회를 농경의례적인 성격으로 좁게만 해석할 수는 없다. 곧 상원연등회는 불교적인 성격을 지닌 연등 행위를 빌려 왔다고 해도 그 본래적인 의미는 전통신앙을 표방한 것이었으며, 좁게는 농경의례적인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는 연중행사라고 할 수 있다. Yeondeunghoe(燃燈會, Lotus Lantern Festivals) was accepted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the Korean peninsula. "Yeondeung," as an act to lighten lanterns, were adopted not only for the sphere of Buddhism, but also for that of Korean traditional beliefs. There were three kinds of Yeondeunghoe: regular Yeondeunghoe, special Yeondeunghoe, and Yeondeunghoe on Buddha"s birthday. Regular Yeondeunghoe (Sangwon-Yeondeunghoe) was the most often held one in the Goryeo Dynasty era. Yeondeunghoe on Buddha"s birthday on April 8 became regularized in the later Goryeo Dynasty and was the last remaining one after the fall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Dynasty. Regular Yeondeunghoe was hosted on January 15 or February 15. Sangwon-Yeondeunghoe was in a festive mood, greeting the New Year and providing large-scale stages for performances. Even if it was supposed to be conducted as a memorial service for royal ancestors under the leadership of the royal family, it was, in fact, an event that sublimated festivals of local communities, held by local powers across the country, at national level. This means to unify the capital with the provinces and the ruling class and the public, respectively. Sangwon-Yeondeunghoe had multipl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so far as to include the whole agriculture, having the idea of the harvest ritual(祭天) as a superordinate concept, not merely one of the agricultural rites. It was a kind of inheritance from Tongmaeng Ritual(東盟) of Goguryeo, ideologically based on one of the traditional thoughts since Gojoseon, namely Poongryudo, suggested by Choi, Chi-Won. Poongryudo is a superordinate concept to the unified thought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儒佛仙), as a comprehensive idea. Therefore, Sangwon-Yeondeunghoe was an annual event with such ideological and religious basis.

      • KCI등재후보

        천황의 기원과 한국

        야노 다카요시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09 평화학연구 Vol.10 No.4

        This is the study about the origin of the Emperor of Japa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Emperor and the ancient Korea. According to the theory of history, the baronial family in Kaya lands left his home and moved to the Japan Islands and built his land in Nara region in the end of 3th century. At that time ancient Korean people already cultivated the rice and had high technique of the cultivation. They believed gods of cultivation and thanked for the harvest. They celebrated the harvest together and enjoyed festivals in the year. It was written that people gathered and ate and drunk and danced all night in the festival in the ancient Korea. The people who went over to Japanese Islands from the part of south Korea initiated the technique of rice farming cultivation and harvest festival. It is recorded that men performed gods and women performed virgin who welcomed god at night. The marriage of god and virgin in the festival promised the good crop in the next year. The first Emperor of Japan spread his extent of influence through the ceremony of agriculture. The Emperor married with virgins in native powerful families as the god of harvest. He ruled Japan Islands through the religion of marriage of agriculture and the blood of the Emperor. The Emperor Tenmu in 8th century built up the system of Japan country. He said he is the god and Japan Islands belongs to him. In this way the religion turned to politics and the Japanese Emperor insists that he has the divine right of King. 본고는 고대아시아 농경민족에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고대농경의례와 그 전승으로서의 신혼신화(神婚神話)와 신혼의례(神婚儀禮)가 한반도에서 일본열도로 이동해가는 과정을 천황의 일본도래 전승을 통해 살피고 일본 천황제와 왕권 수립의 과정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신(神)이 처녀와 신혼(神婚)한다고 믿어 온 고대일본에서는 처녀는 신의 아내로 믿었다. 그러므로 인간 남자와의 결혼식은 신의 허락을 받은 의식이었던 것이다. 원래 모계(母系)적 사회를 오래 유지해 온 고대일본에서는 여성은 신과 가까운 존재로 보고 왔다. 고대시대에 천황은 각 지방의 호족(豪族) 등 세력자의 여동생이나 딸을 무녀(巫女)의 자격으로 궁중에 보내도록 하기도 하고 혈연관계를 맺고 지방 세력과의 관계를 확대해 갔다. 여성을 통해 종교적 지배와 혈연적 지배를 동시에 행한 것이다. 고대농경의례는 농경민족에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보편적 의례이지만, 한국이나 일본의 경우, 이것이 조신(祖神)신앙과 겹치면서 신(神)과 처녀의 신혼의례(神婚儀禮)의 형태로 전승해 왔다. 특히 일본은 한반도에서 건너온 호족으로 인한 일본열도 지배의 방법으로 종교를 중심으로 민속적으로 천신(天神)과 국신(國神)의 결혼의례가 확대해 갔다. 이것이 일본국가 건설의 핵심사상이고 일본의 건국신화가 되어 국가의례가 되었다. 이렇게 해서 종교가 정치로 귀결했다. 천황가의 신혼신화는 천황가의 일본 도래를 천손강림(天孫降臨)으로 묘사하고 천신의 자손의 가라쿠니 봉우리(韓國岳) 근처에 내린 천황가의 조상신과 땅에 있던 처녀와의 신혼(神婚)으로부터 시작한다. 천신(天神)과 국신(國神)의 결혼이야기를 통해 국신이 천신에게 땅을 양보해서 천신의 지배에 맡긴다는 이야기로 설명되어 있다. 이것은 도래세력이 토착세력을 정복하는 과정을 묘사한다. 이와 같이 일본열도의 국토 지배는 한반도 농경민족의 일본열도 도래와 그 신혼의례를 통해 시작했으며 도래세력에 의한 여성을 중심으로 하는 토착민에 대한 종교적 지배가 정치적 지배로 귀결함으로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콩쥐 팥쥐>의 농경 신화적 성격

        이혜정 ( Hye Jeong Lee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3

        민담의 여주인공들에게는 그녀들의 행복한 결혼만큼이나 이에 대조되는 통과의례적인 고난의 과정이 요구된다. 특히 ``신데렐라`` 유형의 설화들에는 일반적인 고난을 넘어 여주인공들의 죽음의 체험이 폭넓게 각인되어 있다. 이런 특성은 인도-게르만계보다 우리나라의 <콩쥐팥쥐>를 비롯한 동-아시아계 신데렐라 이야기들에 보다 더 직접적으로 수용되어 있는 바, 그것은 죽음과 변신 및 환생과 재혼의 과정을 통해 ``진짜신부``로서의 여성성을 증명해야 하는 내적 요구와 깊은 관련이 있다. 여성의 생산성이 최고로 잘 구현된 설화가 바로 농경과 관련된 설화들일 것이다. 여성의 생산성은 자연이나 대지의 생산성과 등가적인 관계로서 창조의 능력 그 자체였다. 또한 다른 한 편으로 농경신화는 신의 주검으로부터 농경이 시작되었다는 것을 전하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농경의식에서 보편적으로 있어온 희생제의는 신의 주검을 상징하는 제의였다. 초기 농경사회에서는 상징이든 실제든 간에 직접적으로 몸을 훼손하는 절단행위가 폭넓게 행해졌으며, 이런 신체절단의 의식은 불의 의식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그러므로 농경신화에서 여성신들의 죽음과 희생은 여성신으로서의 생산력을 보다 강화시키기 위한 통과의례적인 의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이와 같은 통과의례적인 절단과 불에 의한 불구의 모습들을 ``콩쥐``들이 아닌 ``팥쥐``들에게서 더욱 확연하게 발견된다는 점이다. 그것은 세계관의 변화에 기인한다. 달의 체계, 즉 대지와 여성의 이미지가 낮의 체계로 이전되었기 때문이다. 이제 대지의 신성함은 낯설음과 두려움으로 바뀌었다. ``콩쥐``가 화려한 차림의 신데렐라처럼 태양을 의미하는 노란색이라면, ``팥쥐``는 어두운 피의 색깔, 대지와 여성의 색이다. 따라서 대지의 의미를 지닌 ``팥쥐``들의 ``발 절단``이나 ``눈알 쪼이기``, ``젓갈처럼 잘게 잘리기`` 등의 사건은 대지의 의미를 지닌 존재들의 희생제의를 상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콩쥐와 팥쥐는 양면적이나 하나의 존재이다. 죽음의 통과의례를 거쳐환생해야 하는 콩쥐의 통과의례적인 모습이 팥쥐에 내재화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태양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달의 신화는 폄하되 었으며, 이와 아울러 사람의 신체를 훼손해야 하는 불편한 진실을 합리화하고자 하는 생각들이 반영되어, 희생제의에 받쳐졌던 소녀들이 죽어마땅한 부정적인 존재의 ``팥쥐``들로 변질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Cinderella-type tales highlight heroines`rites of passage, such as initiation and deaths, more markedly than other ones. Especially, East-Asian tales, including Kongjwi Patjwi (Pigling and Her Proud Sister), a Korean Cinderella version, deeply involve the requirements for heroines to prove their identities as "real brides" through death, metamorphosis, reincarnation and remarriage, i.e. the femininity of heroines, as compared to Indo-Germanic ones. More specifically, female productivity is expressed best in agricultural tales. Equal to the productivity of land in value, the productivity of women was a creative ability itself. When goddesses disappeared, every creature on the earth had to go through winter without bearing any fruit as well as the world of gods. It was not until the return of goddesses to the earth that the world could see new lives grow. On the other hand, agricultural myths also indicate that farming was derived from the dead bodies of gods. According to French anthropologist Gilbert Durand, amputation, whether symbolic or practical, was done for sacrificial rites universally held as a type of agricultural ones. Further, he points out that such ritual was closely related to that of fire. Yet interestingly enough, Patjwis, not Kongjwis, show such bodily amputation and crippling by fire as in the rites of passage. This is because the moon system, i.e. the image of land and women, was transferred to the day system. Now, the divinity of land was changed into strangeness and fear. While "Kongjwi" is yellow, meaning the sun likeCinderella in gorgeous costume, "Patjwi" takes on a dark color of blood, i.e. a color of land and women. This enables to know that the sacrificial rites of the beings meaning land are symbolized by "having feet amputated," "having eyeballs pecked," "being sliced like chopsticks," etc., as seen in "Patjwis" meaning land. Kongjwi and Patjwi are, in essence, one being with dual aspects. Then, Patjwi internalizes the immature figure of Kongjwi who has to be reborn through the passage rite of death. However, the lunar myth was degraded with the advent of the solar age. Also to rationalize the uncomfortable truth that human body should be damaged, the girls devoted to sacrificial rites were degenerated into negative Patjwi who deserved to be killed.

      • KCI등재

        불교의례 풍속의 의미 연구

        김용덕(Kim Yong-Duk)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6

        이 글은 정기적으로 행해지는 불교의례 풍속의 현황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고자 시도한 글이다. 이 글을 작성하는데 활용한 자료는 2010년 경기?서울(조계사 용주사), 전라(송광사 대흥사), 경상도(통도사 동화사)에서 전통사찰을 중심으로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의 관점은 불교민속이 이루어지는 신앙 행태를 시간과 공간 요소를 바탕으로 풍속의 성격을 결정하는 요소를 고려하여 시간소?공간소?행위소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時間素에서 태음력과 태양력을 중심으로 삼는 24절후의 농경세시와 관계가 있다. 空間素는 사찰을 중심으로 종교 행위가 이루어지는 신성 공간이다. 行爲素는 수행과 신행이라는 목적에서 이루어지는 불공?기도?예참?수행 등의 의례행위가 된다.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 불교 풍속은 하루 동안 이루어지는 조석예불과 사시예불, 주간에 이루어지는 일요법회, 한 달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10재일 중 현재 실행되는 관음재일, 미타재일, 지장재일을 중심으로 살폈다. 다음으로 민간 풍속에서 불교적 요소와 불교 풍속에서 민간적 요소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전승되는 현상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불교와 민속의 관계는 불교가 전래되어 정착하기 위해서 민간신앙에 의지하여 민간신앙을 포용한 경우가 있으며 불교신앙이 민간신앙화한 문화접변 현상도 발견할 수 있다. 농경세시는 농사력의 순환체계에 따라서 진행되는데 불교세시도 농경세시와 자연스레 교섭하면서 그 의미를 확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전개되는 불교 풍속의 성격은 신앙의례의 측면과 수련정진의 측면에서 의미를 해석하였다.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urrent condition and interpret the system and meaning of the seasonal customs of Buddhism on the basis of specific cases. The references of this article include data investigated at traditional temples such as Jogyesasa Temple and Yongjusa Temple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Songgwangsa Temple and Daeheungsa Temple in Jeonla province, and Tongdosa Temple and Donghwasa Temple in Gyungsang province. The data is analyzed in three factors, time, space, and action, which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asonal customs.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seasonal customs of Buddhism is investigated focused on the Buddhist service held in a day and every Sunday, Ten Jaeil -days of uposadha which means avoiding or refraining from misfortune- held every month, especially Kwanyinjaeil, Mitajaeil, and Jigangjaeil which are still performed. And then the phenomenon in which Buddhist factors in the seasonal customs of the common people and folk factors in the seasonal customs of Buddhism are transmitted influenced by each other is examined. For example, it can be observed that Buddhism depends on and embraces folk belief in the process of settlement, while Buddhism itself began to become a kind of folk belief according to acculturation. The system and the meaning of the seasonal customs of Buddhism are interpreted in the aspects of circulation system, religious ritual, and religious purification by training. The seasonal customs of Buddhism broaden their meaning interacting with seasonal farming activities which follow the circulation system of a farming cale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