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전통 민속 놀이 놀이구조 연구 : 로제 카이오와(Roser Caillois) 놀이이론 (Man, Play and Games)

        문만기,김태용 영상예술학회 2007 영상예술연구 Vol.11 No.-

        인류사에서 민속놀이를 단지 동물이나 어린이의 생활에 나타난 일상적인 현상으로 다루지 않고 특정한 민족의 중요한 문화적 기능으로 다룸으로써 학자들이 생물학, 심리학등 기타 학문에서 다루지 못한 영역에 비로소 접근할 수 있었다. 인간이 자신의 여러 역사적 경험에 의해 축적된 의미들을 이해 또는 표현하고자 할 때 그들의 영역사이에 구체적 관계의 표현인 행동기술, 상징, 신화, 철학들이 어떠한 유형으로 역사속에 존재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것이 가상의 이미지로 재현되는 현대에 와서는 더욱 그러하다. 한국의 전통민속놀이(한국전통놀이)는 민속오락, 민속경기, 민속유희, 민속예능, 전승놀이, 향토오락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민속놀이라는 개념 속에는 경쟁의식을 비롯해서 흥을 뜻하는 유희성, 즐김을 나타내는 오락성,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예술성이 복합적으로 숨어있는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어 오늘날처럼 단순히 시간을 보내기 위한 오락(pastime)과 즐기기 위한 오락(amusement)의 차원이 아니라, 지역과 민족을 단합시키고 일상적인 완고한 스케줄에서 해방되어 유의미한 학습정보 등을 제공하는 중요한 특징을 내포하고 있음이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나고 있다. 한국전통놀이의 각 요소들이 어떠한 구조를 가지며, 향후 컴퓨터게임 등 현대의 문화산업 소재로서의 효율적 활용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로제카이오와 놀이이론(Roger Caillois, Les Jeux Et Les Hommes)이론에 근거한 분석된 상관계수들을 바탕으로 무작위로 선정된 총67종의 한국의 전통민속놀이를 조합해 본 결과 Mimicry와 Agon의 조합이 총67종의 게임 중 P=85.6, Alea와 Ilinx조합이 P=10.0으로 조사되어 대부분 몰입적 요소가 높아 디지털게임등의 소재로 적용하기에 유리한 구조적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raditional Plays must be dealt with as cultural important features of a people through the history of human rather than general phenomena appeared in animals or children so that we can approach the new area that other studies such as biology or psychology haven't covered yet(Huzina, 1968; Douglas, 1978, 1982, 1996). When one tries to comprehend the meanings with prior experience, it should be taken care of in what form they exist such as behaviour description, symbols, myth and philosophy among which they represent the relation(Duvignaud, 1973; Huzinga, 1968), specially in these days that they are represented in virtual form(Berman,1989; Jencks, 1980, 1984, 1988), it is more important than ever(Man-Ki Moon, 2006; Benjamin, 1989,1994; Harvey, 1989; Preecel, 1999, 2000). Korean Folk Plays includes folk amusement, folk competition, folk entertainments, traditional plays, native recreation and inside the folk plays it accommodates a competitive sense, entertainments for fun, recreation for enjoying, artistic amusement for beauty that are the characteristically mixed. It contrasts the current pastime for time-killing or amusement for just enjoying but strengthen a region and people and released from strict schedule, gives meaningful learning(Isaacs & Senge, 1992; Prensky, 2001; Nielsen-Englyst, 2003) information and takes important role that we have studied. To know how the elements of Korea Folk Plays incorporate as a effective material into current cultural industry, with statistical correlation coefficients based on <Roger Caillois, Les Jeux Et Les Hommes> theory, we found that the mixture of Mimicry and Agon is 85.6% out of 67 games, the mixture of Alea and Ilinx is 10% so that they have the proper narrative structure(Abelson, 1996; Barthes, 1992; Minsky, 1986, 1988; Moser, 1996; Jay, 1995) for digital games.

      • KCI등재

        skemp 이론에 따른 곱셈 놀이활동이 수학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박만구,박경선 한국학교수학회 2009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Skemp 이론에 따른 곱셈 놀이활동이 학생들의 수학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학생들이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잃지 않도록 곱셈을 좀 더 재미있고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써 Skemp 이론에 따른 놀이활동을 재구성하여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적용해 보고 수학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Skemp 이론에 따른 곱셈 놀이활동은 수학학업성취도면에서 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둘째, Skemp 이론에 따른 곱셈 놀이활동은 수학학업성취도면에서 중?상위 그룹보다 하위 그룹의 학생들에게 상대적으로 더 효과적이었으며, 셋째, Skemp 이론에 따른 곱셈 놀이활동은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쉴러의 『인간의 미적교육에 관한 편지』에 나타난 ‘놀이충동’의 이해-잉여에너지이론에 대한 재고-

        윤미정 한국체육철학회 2010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8 No.3

        스포츠를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이 두 가지 있는 데 그것은 경쟁성과 유희성이다. 놀이는 스포츠와 예술의 기초적 형태이다. 놀이에 관한 이론 중 쉴러의 잉여에너지 이론은 놀이 개념의 초기 이론으로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잉여에너지이론은 단순한 에너지소비라는, 그리하여 그 자체의 목적을 갖고 있지 않는 한계점을 갖는다. 『인간의 미적교육에 관한 편지』에서 쉴러가 주장하는 것은 놀이를 통해 인간의 전체성 회복이 가능한 것이다. 인간성의 이념을 해명하기 위하여, 인간성의 속성으로 감각충동과 형식충동이라는 두 기본충동을 설정하고, 인간성의 통일은 그 두 충동이 조화롭게 결합된 놀이 충동에 의해서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는 놀이 충동에 의해 놀이할 때의 인간을 완전한 인간으로 규정하고 그리스인을 그 전형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쉴러의 놀이이론은 칸트의 선험적 관점에서 인간학적 관점으로의 전환이라는 의의를 갖는다. 과도한 합리주의, 즉 ‘이성중심주의’를 극복하여, 이성과 감성이 조화된 완전한 인간, 다시 말해 ‘놀이하는 한에서 완전한 인간’이라는 전인적 인간관을 나타내 주는 것이다. 스포츠가 갖는 경쟁의 측면에서 놀이의 측면으로 관심을 전향함으로써 현대스포츠의 과도한 상업주의로 인한 지나친 경쟁과 도덕적 쇠퇴의 현상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play in『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In a Series of Letters』by Friedrich schiller. Important concepts to describe the sport are competitive and play. And sport and art have common roots. That is Play. Friedrich Schiller advanced the theory that play was primarily motivated by the need to burn up excess energy. However, this surplus energy theory has limitation that it does not have its own purposes. In『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In a Series of Letters』, Schiller wrote that play will be capable of recovering the totality of human beings. According to Schiller, there are two impulses of man. One is sensuous material impulse and the other is rational form impulse. Humanity were unified by the play impulse which was a product of the harmonious combination of the two impulse. He regulated perfect human beings by play impulse. And ancient Greeks were presented as examples. Schiller's play theory extend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and overcome dualism of rationality and sensitivity, subject and object. We should turn our attention from competitive sport to play sport. So we will be able to overcome excessive commercialism of modern sport and the moral decline of excessive competition.

      • KCI등재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천 -구성주의 근거이론적 접근-

        최유리,김미애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children’s play in outdoor playgrounds. Seven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willing to share their awareness and practices of children’s play in the outdoor playground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nsive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developed by Charmaz(2013). The data analysis included three steps of initial, focused, and theoretical coding processes. Themes and categories that emerged from focused coding were conceptualized as ‘freedom’, ‘child-initiative’, and ‘child-respect’ through theoretical coding.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categorized into four themes. First, the teachers perceived that children’s play in the outdoor playground is a play led by children themselves in the freedom of the outdoor space. Second,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children’s play in the outdoor playground is a play with limitations and variations. Third, the teachers, with the children together, were making the outdoor playground into a space with a difference. Fourth, the teachers were making efforts to strike a balance between play and safety. The results were discussed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outdoor play is a medium through which children’s freedom and initiative are expressed while the teachers’ respect for child is practiced. Second, the children’s outdoor playground is a space that contains children’s freedom and initiative, breaking away from the space that restricts their freedom and play. 본 연구는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천을 탐색하고, 자료로부터 이론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2월부터 10월까지 7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집중면접을 진행하였고, 바깥놀이 사진과 동영상, 교사의 놀이기록 등 참여자의 맥락을 다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타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Charmaz (2013)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들은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에 대해 바깥 공간의 자유로움 속에서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에 대해 제한과 변주가 있는 놀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를 위해 교사들은 유아와 함께 바깥놀이터를 차이가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가는 실천을 하고 있었다. 넷째,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를 위해 교사들은 놀이와 안전 사이에서 균형점을 잡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자유’와 ‘주도성’이 발현됨과 동시에 교사의 ‘유아 존중’을 실천하는 장으로서의 바깥놀이, 유아의 놀이를 제한하는 모순에서 탈피하여 자유와 주도성을 담는 공간으로서의 바깥놀이터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통합학급 유아특수교사의 자유선택활동 놀이지도 전략 탐색 :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강성리,이병인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ocess of play instruction and to suggest play instruction strategies through play instruction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in inclusive class. To solve research purpose, grounded theory approach developed by Strauss & Corbin(1990/1996) was used. The data for analysis were obtained mainly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9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and organized after passing through coding and conditional matrix work with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ory indu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tegory related to teachers’ play instructions experience, it elicited totally 132 concepts, 60 sub-categories, and 16 categories. Second, the process of teachers’ play instruction was indicated to stages such as ‘recognition on necessity of play instruction’, ‘difficulty of implementation’ and ‘strategy & application of play instruction’. Third, the core categories in the selective coding were indicated to be ‘repeating effort and trial-error for play instruction’. And as a result of utilizing conditional matrix for integra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each of categories was indicated to be different, respectively, in the dimension of individual, educational organization, and society. Finally, the strategies, which were elicited in this study, will be able to utilized as basic data for play instruction strategies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본 연구는 통합 학급을 담당하는 유아특수교사들의 놀이지도 경험을 토대로, 놀이지도에 영향을 주는 조건과 자유선택활동 지도 과정을 분석하고, 놀이지도 전략을 제시하여 자유선택활동 지도의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특정 주제나현상에 대해 귀납적 분석으로 하나의 이론적 모형을 구축할 수 있는 Strauss와Corbin(1990/1996)의 근거이론접근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19명의 통합학급 유 아특수교사들을 단계별 심층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 코딩 작업을 거쳐 귀납적으로 이론을 통합하는 방법에 따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유아특수교사의 놀이지도 경험은 60개 의 하위범주와 16개의 대범주로 분석되었으며, 근거이론에 절차에 따라 도출된 유아특수 교사들의 놀이 지도 과정은 ‘놀이지도의 필요성 인식’, ‘놀이지도 실행의 어려움’, ‘놀이지 도 전략 모색 및 적용’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학급 유아특수교사의 자유선택활동 지도 의 핵심범주는 ‘놀이지도를 위한 노력과 시행착오 거듭하기’로 도출되었으며, 구체적인 자 유선택활동 지도 전략은 ‘놀이개입전략’, ‘가정연계전략’, ‘또래놀이지원전략’, ‘물리적 환경 구조화 및 교재교구 수정 전략’, ‘교육과정 수정 적용 및 놀이 개발 전략’, ‘놀이지도 관련 연수 및 보조인력 배치’의 6가지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자유선택활동 지도 전략에 관한 최종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특수교사의 자유선택활동 지도 과정 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내적ㆍ외적요인들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유아특수교사들이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지도 전략과내용을 다루고 있다는 측면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놀이의 심리적 기제와 방법적 기제 : 피아제의 놀이이론의 재조명

        김덕영(Deok-Young Kim) 한국도덕교육학회 2017 道德敎育硏究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피아제의 놀이이론을 그의 인지발달 이론과 관련하여 규명함으로써 놀이가 정신구조의 확충 과정과 맺는 관련을 밝히는 데에 있다. 이에 관건이 되는 것은 피아제가 인지발달의 심리적 기제의 하나로 언급하고 있는 동화와 조절 개념이다. 동화와 조절은 정신구조와 대상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정신구조와 대상 사이의 끊임없는 순환을 의미한다. 피아제의 정신구조는 바깥의 대상을 인식하기 이전에 이미 갖추어져 있는 타고난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그러나 피아제는 정신구조를 이전의 지식에 한정하여 파악하고 있다. 피아제가 규명하고 있는 인지발달―개념획득―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정신구조의 생득적 측면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안 된다. 피아제에 의하면 아동은 인지발달의 첫 단계에서부터 놀이와 모방을 시작하며, 놀이는 그 인지발달 단계에 상응하여 놀이의 세 유형―실행놀이, 상징놀이, 규칙놀이―을 거치며 정신구조를 확충해간다. 놀이에 관한 피아제의 설명은, 놀이는 동화가 조절보다 두드러지게 작용하여 나타난다는 점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동화와 조절은 개념상 구분해낸 것일 뿐 그 두 가지 과정은 동시에 일어난다. 이 점을 정당히 존중한다면 놀이는 아동의 유희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지식을 통하여 획득되는 개념과 함께 정신구조를 확충하는 또 한 가지의 경로로서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urn out how play is related with the process of building schema by examining Piaget’s theory of play on the relationship with his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The key point to examine Piaget’s theory of play is the conceptions of assimilation and accommodation which he suggests as psychological mechanisms of cognitive development. Assimilation and accommodation are interpreted as the interaction between inner schema and the outer object, which indicates the continuous circulation between them. Piaget’s schema should be considered to be early existed and innate prior to recognizing the outer object, but Piaget regards schema to former knowledge. To make cognitive development(concept acquisition) possible that Piaget examines, the innate aspect of schema should be kept in mind. According to Piaget, a child starts play and imitation at the first stage of cognitive development and play shows three types(practice play, symbolic play, play with rules) in correspondence of the stages of cognitive development(the process of schema building). Piaget’s explanation for play focuses on the fact that play is the primacy of assimilation over accommodation. However, assimilation and accommodation are the conceptual distinction to explain the process of cognitive development, which means they are two aspects of identical process. Play has great significance as a tool and way to build schema in collaboration with the concept which is acquired through the knowledge.

      • KCI등재

        A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and Creativity

        최병연(Choi Byung yeon)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5 Global Creative Leader Vol.5 No.3

        놀이는 인간이 스스로 선택하고 자발적으로 즐기는 활동이다. 놀이는 인간의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많지만, 치열한 경쟁과 성과에 대한 압력으로 학생들의 놀 권리는 충분히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놀이와 창의성은 즐거움을 수반하고 내재적으로 동기화된 활동이며, 기존 규칙이나 질서를 융통성 있게 파괴하고 재구조화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놀이 과정에서 아동들은 상상력을 발휘하고 사물이나 현상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갖는데, 이러한 활동이 창의성의 뿌리가 된다. 놀이와 창의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들은 두 요인 간에 상관관계가 있으며, 놀이가 창의성 신장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지지해 준다. 그러나 창의성 발달과 관련된 요인들이 다양하기 때문에 기존 연구 결과들을 해석하는데 유의해야 한다. 놀이는 창의성 발현과 신장에 중요하지만 그 자체가 창의성은 아니다. 창의성 발현과 신장을 위해 놀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놀이를 주도하도록 해야 하며, 창의성 신장에 도움이 되는 기법들을 수업 중에 놀이로 활용해야 하고, 다양한 놀이가 개발되고 학생들의 놀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Play contributes to the cognitive, affective, and 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 Play and creativity share positive mood, intrinsic motivation, and flexibility. Positive emotion and a good mood have beneficial influences on creative performance, even if the results have not always been consistent. Some studies of the motivation research have shown that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were not negatively affected by a reward. But the overall research trend suggests that intrinsic motivation helps creativity. Creativity fostered by play can bring its own reward. Research has reported that play and creativity ar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But most research tested creativity with Torrence Test of Creativity Test, which is focused on testing the divergent thinking. Play by itself is not a strong context for creativity. Nevertheless, play is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The experiences accumulated during play may be of greate significance later on.

      • KCI등재

        등교를 거부하는 아동의 사례연구 -놀이치료를 중심으로-

        박연주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09 교육연구논총 Vol.30 No.1

        본 연구는 아동상담의 한 방법인 놀이치료이론에 관한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를 통하여 치료목표와 개념을 소개하였고, 실제로 아동상담사례를 놀이치료로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아동중심놀이치료, 정신분석적 놀이치료, 인지-행동놀이치료, 발달놀이치료, 부모놀이치료 이론과 놀이치료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상담사례는 등교를 거부하는 초등학교 1학년 여자아동으로 불안과 위축으로 학교가기를 싫어하는 내용이다. 24회기의 놀이치료를 실시하였는데 내담아동은 치료자와 함께 놀이를 통해 심리적, 정서적 어려움을 표출하였다. 내담아동은 놀이치료를 통해 불안감과 스트레스가 감소되었으며 자신감과 사회적 기술을 터득하게 되었고 내담 어머니는 상담을 통해 아동에 대해 적절하고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학교부적응 아동에게 놀이치료를 실시하여 학교를 가게 되고 친구와 잘 지내게 되었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eory of play therapy and the effect of the individual play therapy on a child with school refusal. She was anxious and coward.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24 sessions play therapy. The subject was a 8-year old girl with school refusal. This therapy used child-centered play therapy, psychodynamic play therapy, cognitive-behavioral play therapy, developmental play therapy, filial play therapy approach. Also counseling with the child`s mother was implemented to facilitate the effect of the play therapy. Observed outcomes of therapy reported decreased anxiety, heighten self-esteem, improved socialization skills, and reduced her level of stress. This study supports play therapy as effective intervention for children who have school refusal.

      • KCI등재

        놀이치료의 정신분석적 주제와 문학치료적 함축

        장정은 ( Jung Eun Ja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5 문학치료연구 Vol.37 No.-

        본 논문의 목적은 정신분석적 놀이치료 사례를 통해 아동분석관계에서 나타나는 놀이의 핵심적인 주제를 문학치료의 서사이론과 비교하고 연결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자가 정신분석적 놀이치료의 임상사례에서 경험한 아동의 놀이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정신분석 주제는 과대자기감, 박해자로서의 초자아, 그리고 투사적 동일시이었다. 첫 번째, 아동은 부모와의 공감적인 관계의 부재에서 자기감의 결핍을 경험했고, 그 반대급부로 놀이를 통해 과대자기감을 드러내게 된다. 이것은 부적절한 자기애 환상으로 치부될 것이 아니라, 견고한 자기 구조를 향해 나아가는 일종의 자기애 발달 단계가 활성화 된 결과이다. 그렇기에 상담자는 과대자기감의 표현을 수용하는 자기대상으로 기능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과대자기감은 내담 아동의 지배와 피지배라는 내적 대상세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그 내면에 가혹한 초자아의 존재를 가정한다. 이것은 놀이의 주제로 등장하는데, 이것은 내면의 박해자로 인한 심리내적 갈등과 긴장을 표현하고 숙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세 번째, 내적 대상관계의 능동적 표현은 상담 관계에서 투사적 동일시로 일어나게 되어, 상담자는 자신의 정체성을 잃고 놀이에서 내담 아동화 된다. 상담자는 통합되기 어려워 분리된 내담 아동의 일부분을 담아주고 다시금 독이 빠진 형태로 되돌려줌으로 치료가 일어나게 할 수 있다. 이런 정신분석 주제들은 문학치료의 서사이론과 비교할 수 있다. 내담 아동이 처한 실제 현실의 입장에서 보면, 그들에 의해 창조되는 놀이의 세 주제들, 곧 과대자기감, 가혹한 초자아, 투사적 동일시는, 문학치료 서사이론에서 자녀서사로 분류될 수 있다. 자녀서사의 핵심과제가 순응에 있듯이, 정신분석적 놀이에서 표현되는 과대자기감, 가혹한 초자아, 투사적 동일시는 순응의 문제가 잘못되어 발생한 결과로 볼 수 있다. 공감적으로 반응하지 못하고, 참된 권위의 역할을 제공하지 못한 부모에 의해 아동의 내적 세계에서 과대한 자기의 느낌을 경험하는 것이 시급해지는 동시에 가혹한 박해자의 이미지를 가진 초자아를 내적인 한 부분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런 부모와의 인간관계의 순응에 실패한 아동은 투사적 동일시의 과정을 통해 자신의 내적 세계를 외부 대상과 일치시키려 한다. 때로 외부 대상은 내면화된 가혹한 초자아로 동일시되거나, 혹은 그 가혹한 초자아에 의해 학대받는 내면의 부분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놀이 상황에서 내담 아동들이 창조한 정신분석적 개념들은 기본적으로 자녀의 입장에서 부모와의 관계를 묘사한 자녀서사에 해당된다. 정신분석적 놀이치료의 치료적 개입은 치료자의 새로움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적 서사가 이러한 자녀서사와 융합되는 과정으로 묘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nect key psychoanalytic themes of play therapy with literary therapeutics through my clinical case. Child analysts can verify three psychoanalytic topics in their play therapy with children. They are 1) a grandiose sense of self, 2) superego as a persecutor, and 3) projective identification. First, child patients experienced self deficits due to the absence of an empathetic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in response, they displayed grandiosity in play therapy. This can be observed as a result of reactivation of the narcissistic developmental stage that is arrested due to the lack of an empathetic response of the parents. Therefore, therapists need to allow the patients to disclose the narcissistic fantasy of grandiosity. Second, grandiosity reflects the domination and subordination structure of their inner minds and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the strict superego. Play therapy provides an opportunity of making themselves the master of inner conflicts and tension produced by the internal persecutor. It can occur by experiencing a new relationship with child therapists who reveal a protecting and loving superego. Third, active expression of the inner structure occurs through projective identification in the analytic setting, and the therapists lose their identification to become an aspect of the patients` internal object. The therapists contain the patients` internal object, which cannot be integrated into the patients` inner structure and return it to them as an innoxious form. The unconscious process causes therapeutic effects. When child analysts can understand their analytic relationships with children in terms of these essential concepts, they can use therapeutic interventions psychoanalytically. It is important for child analysts to see their patients` play through the lens of these concepts in order to analyze the children`s inner worlds and conflicts. This paper attempts to connect these essential topics of play therapy to the theory of epic in literary therapeutics and elaborates on approaching to literary therapeutics with regard to the psychoanalytic perspective. The three main psychoanalytic concepts displayed in the play therapy fall under the purview of son and daughter epic whose interests lie in the adaptation of children to the way parents` bring up children. Therapeutic effects of the psychoanalytic play therapy with children can be described as a mixture of both children`s own epics and therapists` therapeutic epics. Children can disclose their own epics in the play therapy, which will be mixed later with the therapeutic epics of therapists. This comparison lays the foundation for implementing the theory of epic psychoanalytically for children and even adults who struggle with their own psychological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