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도로 식재 배치 유형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분석

        이승헌,김찬민,김락우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3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해 미세먼지 저감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는 식재를 선정하고 CFD를 이용하여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중앙분리대, 가로수의 식재 배치유형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검증 및분석 방법론을 적용하여 미세먼지 저감 농도를 효과적으로예측하였고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최적의 식재 구조를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가로녹지 식재기준(가이드라인) 마련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도시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 연구 진행에 선행연구의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활용된 기상 데이터는 기상청 자료를 이용한 것으로, 대상 지역에서 직접 실측을 통해 얻은 데이터가 아니기 때문에데이터의 신뢰성에 제한을 둘 수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중앙분리대와 가로수 배치의 경우 다양한 유형별로분석하였으나 식재 종류는 단일 식재로만 적용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현장 데이터 확보 및 실증을 통한 모델의 신뢰도 향상과 다양한 식재들을 적용한 미세먼지 저감효과 분석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적 요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가장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은 도시 지역의 녹지 조성으로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 도시 특성상 도로변에 녹지를 조성할 경우 별도의 녹지 조성없이 대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먼지나 차량에서 발생한 미세먼지가 도로변 가로수에 흡착돼 미세먼지 저감에 효과적이다. 하지만, 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부유하며 존재하고 지역별 미세먼지 농도 차이와 식재 배치 차이로 인해 때문에 미세먼지 농도 현장 측정 및 대기 중 이동 경로에 대해 예측과 도로 식재 배치 유형별 미세먼지 저감효과에 대한 규명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FD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도로 중앙분리대와 가로수의 식재 유형별로 미세먼지 농도변화 및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서는 중앙분리대에 식재가 있는 것이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탁월할 것으로 보이며 가로수에 교목과 관목을 동시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가로녹지 식재 기준(가이드라인) 마련에효과적으로 이용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도시 도로변 미세먼지 저감 연구 진행에 선행연구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The importance of urban green space creation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the most realistic and efficient approach for fine dust mitigation in urban areas.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cities, the application of buffer green spaces along roads can maximize the efficiency of fine dust reduction without the need for separate green space cre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fine dust mitigation effects based on the types of plantings in the central dividers and roadside trees in Jeonju City, Jeollabuk-do. To do this, we controlled various external variables of urban space and considered the planting arrangement types in the central dividers, carrying out the analysis using a CFD simulation. The simulation results confirmed that the central dividers with plantings demonstrated more effective ultrafine dust reduction than those without. Moreover, the arrangement of roadside trees showed a greater ultrafine dust reduction effect when adopting a multilayered structure compared to a single layer.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cluded that installing both trees and shrubs simultaneously in the central dividers and along roads was effective for ultrafine dust mitigation. On this basis, we quantified the dust reduction effects of plants in urban street environments and proposed planting guidelines for roadside green spaces to improve air quality.

      • 공원 및 녹지배치에 따른 공동주거시설의 에너지 소비량 분석 - 서울시를 중심으로 -

        김소연(Kim, So-Yeon),박초롱(Park, Cho-Rong),손동욱(Shon, Dong-Wook)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1 No.2

        This study analyzes the energy saving and heat island mitigation effects of the arrangement of parks and green spaces that provide benefits to city residents in various aspects of the city’s various urban planning facilities, and is based on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feasibility of securing standards for urban park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standard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act range of green areas by dividing them into 500m, 1㎞, and 1km or more, it was analyzed that electricity consumption increased in summer and gas consumption decreased in winter as the distance from green areas increased.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