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시조에 나타난 녹색담론

        류해춘(Ryoo, Hae-choon) 한국시조학회 2012 시조학논총 Vol.37 No.-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 생태계의 환경보호는 세기의 문제가 되었다. 환경문제는 본질상 자연의 생태계와 인간의 사회체계가 교차하는 지점에 있으므로 그 복잡성이 배가 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는 일이다. 이처럼 지구환경에 관한 녹색담론은 복잡한 환경과 생태계의 문제를 함께 지니고 있다. 여기서는 전통문화에 나타난 생태주의의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조선시대 자연시조에 나타난 녹색사상과 환경담론을 분석하여 그 의미가 시사하고 있는 바를 살펴보았다. 자연시조란 조선시대 선비들이 자연과 함께 살아가면서 전원생활과 산수자연 그리고 생활현장에서 생태계의 자연을 노래한 일련의 시조를 의미한다. 자연시조는 그 주제와 지구환경에 관련된 녹색담론의 의식지향에 따라서 크게 세 갈래로 나누어질 수 있다. ‘자연으로 돌아가자!’라는 표어를 강조하면서 귀향이나 귀거래를 통해서 귀향의식의 주제를 설파하는 전원시조, ‘자연과 함께 공생하자!’라는 표어로 정리할 수 있는 규범과 함께 강호가도와 자연의 흥취를 노래하는 산수시조, ‘자연을 이용하자!’라는 표어로 정리하여 농촌현실과 생활현장을 묘사하고 전달하는 생활시조가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자연시조들은 세속적인 가치를 부정하면서 자연과 함께 행복한 생활을 영위하고 조화롭게 살아가야 한다는 공통된 녹색담론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처럼 자연시조에 나타난 녹색담론은 전원시조, 산수시조, 생활시조 등의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조선전기 전원시조에 나타난 녹색담론은 귀거래를 통한 귀향의식을 주된 미의식으로 하면서 녹색낭만주의의 시각을 견지하고 있으며, 16세기 산수시조에서는 자연과 인간이 대등한 관계에서 산수자연을 통해 예술미를 발견하는 녹색합리주의의 시각을 견지하고 있고, 조선후기 생활시조에 나타난 녹색담론은 생활의 체험을 위주로 하여 생산성의 발전을 기대하면서 자연을 잘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이라 할 수 있는 녹색경제주의 시각을 견지하고 있다. 21세기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에 관련된 생태문제는 시민단체와 정치권이 연합하여 생태계 파괴문제를 쟁점화하면서 평행선을 달리며 투쟁하고 있는 현상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생태계 파괴라는 무지에서 탈출해 나가려고 노력하는 현대인들에게 조선시대 자연시조에 나타난 녹색담론을 살펴봄으로써 그 대안을 모색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and meanings of the discourse on ecologism in Nature Sijo. Sijo. Nature Sijo are a group of short poems written by the Sarim, literati authors of the mid Chosun period who removed themselves from the political struggle of the time, retired to the countryside, gained enlightenment concerning the laws of nature and then expressed their own individual world views through poetry. A focus was particularly placed on the discourse of ecologism in Nature Sijo as the investigator reviewed Green Romanticism, Green Rationalism and Green Economicism related to the discourse of ecologism in traditional culture. Nature Sijo of Chosun have three type as Pastoral Sijo, Scene Sijo and Life Sijo. In short, Korea’s discourse of ecologism in Nature Sijo was initated with the integration with Orental ideology. Firstly Pastoral Sijo with Green Romantism were derived to the theme : ‘Return to Nature’, secondly Scene Sijo with Green Rationalism were derived to the theme : ‘Symbiosis to the nature’, and thirdly Life Sijo with Green Economicism were derived to the theme : ’Improve to the nature’. The discourse of ecologism in Nature Sijo that can make active responses to the changes of reality and cause fundamental change of human is possible when those ideologies are combined together.

      • KCI등재

        한국의 대외원조 녹색화 담론 분석

        박효진(Hyojin Pak),윤순진(Sun-Jin Yun) 비판사회학회 2011 경제와 사회 Vol.- No.89

        이 글에서는 한국의 양자 간 무상원조를 중심으로 대외원조의 녹색화 담론을 분석한다. 한국에서 대외원조와 환경의 결합은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계기로 원조가 녹색화되는 역사적 흐름에서 녹색성장을 중심으로 환경을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녹색 ODA는 환경 보전을 기후변화 대응으로 치환하고 환경을 경제성장의 도구화하는 환경적 지식을 형성하였으며, 이를 대외원조 담론과 결합시킨 것이다. 새롭게 구성된 환경은 기후변화와 에너지를 중심으로 환경을 자본화하고 이에 적합한 분야들을 중점적으로 지원함으로써 해외시장개척이라는 대외원조의 지배 담론을 공고화하였으며, 녹색 ODA와 대립관계에 있던 자원·에너지외교는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포함시켜 연속성을 부여하였다. 하지만 환경을 주요 쟁점으로 부각시키면서도 실질적인 환경주류화를 저해하는 녹색 ODA의 이중성으로 인해 오히려 환경과 대외원조의 건강한 결합이 위험에 처하게 되고, 환경에 대한 협소한 이해로 인해 수원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이 제약될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발전담론 내에서 자본에 의한 환경적 지식의 전유가 중층적으로 심화되고 있기에 환경이 전면화하지 못한 채 이중적 역할에 머무르는 한계를 보이게 되며, 한국의 대외원조 분야 선정이 전체권력관계 내 지식형성과 담론간의 세력관계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드러낸다. 고도의 압축적 성장을 통해 전 지구적 환경위기에 일조해온 한국이 녹색 ODA를 통해 전 지구적 생태부채를 갚고 한국의 역사적 책임에 걸맞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외원조정책 담론에 녹색 가치를 진정성 있게 결합시키고 녹색 ODA의 실천적 잠재력을 담보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discourse on greening assistance in Korea focusing on bilateral untied aids. In Korea, foreign aid and the environment have been combined within the context of the global greening process resulting from sustainable development discourse on the one hand, while restructuring development discourse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environment based on the Green Growth paradigm on the other hand. The environment represented in green ODA has been successfully combined with foreign aid discourses by reformulating its concept which regards the environment as an instrument for economic growth and reduces environmental protection as a response to climate change. In the meantime, the current greening process operates its strategic intention to capitalize the environment which has consequently contributed to secure a dominant discourse by concentrating relevant fields. At the same time, green ODA and resource and energy diplomacy have acquired continuity, thanks to the conceptual expansion of resource and energy diplomacy with inclus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However, green ODA’s duplicity, with its crucial contribution to bringing the environment indoors and simultaneous hesitation in making the environment mainstream, may jeopardize the sound combination of the environment and foreign aid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recipient countries. Findings of this study embrace implications in both environmental and developmental discourses. First, though the appropriation of environmental knowledge by capital has been strengthened through continual normalization, it only serves a duplicative role due to its conceptual limitation; secondly, it revealed that sector selection in Korean ODA has largely been decided by knowledge formations and discursive competitions within the whole power relations. This study argues that Korea has to fulfill its obligation to promote green ODA based on its historical contribution to global environmental crisis through compressed economic growth by reestablishing environmental knowledges and reinforcing environmental consideration in all stages of development cooperation.

      • KCI등재

        개발동맹과 녹색연대

        구도완(Do-Wan Ku) 한국환경사회학회 2004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7 No.-

        이 글은 정부, 기업, 환경(생명)운동조직들의 담론을 통시적·공시적으로 비교·분석한다. 분석을 통해 개발동맹과 녹색연대라는 세력연합이 형성되었고, 이들이 서로 다른 담론구성체 속에서 말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다. 담론분석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했다. 첫째, 1960년 이후 모든 한국정부는 경제성장이라는 개발국가의 목표를 공유한다. 둘째, 1987년 이후 개발-반공동맹은 급속히 해체되었지만 개발담론은 여전히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셋째, 1980년대 이후 반공해, 환경, 지속가능한 발전, 생명담론 등이 형성되면서 녹색담론구성체가 영향력을 확대해왔다. 넷째, 환경과 지속가능한 발전담론을 둘러싸고 개발담론구성체와 녹색담론구성체의 투쟁이 지속돼왔다. This article analyse the discourses of governments, capital, and environmental NGOs in Korea. I could find that 'development coalition' and 'green solidarity' have their own discourse and ideology in different discursive formations. We can call them 'development discursive formation' and 'green discursive formation'.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ly, every administrations in Korea gave first priority to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Secondly, while development-anti-communism coalition was weakened since 1987, development discursive formation is still influential. Thirdly, green discursive formation was proliferated as discourse of anti-pollution, environment, sustainable development, life and so on were communicated in civil society since the 1990s. Fourthly, discursive conflict concerning 'environ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made between green and development discursive formations.

      • KCI등재

        김정은 시대 녹색담론의 정치경제: 녹색경제와 녹색성장을 중심으로

        강채연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4 국제정치연구 Vol.27 No.2

        이 연구는 김정은 시대 녹색담론의 태동에 주목하고 빅데이터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대내외적 관점에서 북한 녹색전략의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북한의 녹색담론들은 지속적인 대북제재속에서 전 지구적 녹색이슈를 매개로 하는 유일한 대외협력(유엔기구 등)로써의 출구전략, 세계 녹색무역확대에 따른 필수참여문제, 그에 따른 실질적 이해관계 등 사이에서 태동하고 있다. 둘째, 북한이 국내적으로 주목하는 녹색전략들은 에너지 자급자족과 자원절약, 기후대응과 농업생태계 변화, 녹색생산구조 및 품질관리체계 구축, 녹색생활환경 구축과 관련된 분야들에 있다. 셋째, 특히 2021년 이후로 환경보호, 오염관리, 품질감독, 탄소배출, 녹색생산, 녹색생활환경 등과 관련하여 보다 제도적인 통제 및 제어를 내용으로 하는 법률개정과 녹색제도화의 강력한 움직임들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이러한 북한 녹색전략의 긍정적인 방향성에도 불구하고 실효성측면에서 분명한 한계가 드러난다. 그것은 역시‘투자없는 계획’이나 대외협력이 부재한 기술개발, 자발적 참여가 결여된 동원정치 등과 같은 체제적 특수성이 북한의 녹색정책을 이끌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focused on the birth of green discourse in the Kim Jong-un era and applied big data analysis methods to analyze the implications of North Korea's green strategy from an internal and external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rth Korea's green discourse is currently being developed between the exit strategy as the only external cooperation (United Nations Organization, etc.) that mediates global green issues amid continuou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e issue of essential participation due to the expansion of global green trade, and practical interests. Second, the green strategies that North Korea focuses on domestically are in areas related to energy self-sufficiency and resource conservation, climate response and agricultural ecosystem change, establishment of a green production structure and quality control system, and establishment of a green living environment. Third, since 2021,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strong actions for legal revision and green institutionalization that involve more institutional control and control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protection, pollution control, quality supervision, carbon emissions, green production, and green living environment, etc. Fourth, compared to the direction of North Korea's green strategy, there are clear limitations in terms of effectiveness. This is because North Korea's green policy is driven by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Korean regime such as ‘plans without investment’, technology development without external cooperation, and mobilization politics without voluntary participation.

      • KCI등재

        『녹색평론』의 인간중심주의 생태담론과 정치적 상상

        김예리 상허학회 2018 상허학보 Vol.53 No.-

        The 1990’s is perceived as a period where individuals that had been suppressed by history, started expressing themselves after dominant discourses of the 1980’s like Marxism fell back. The new individuals of the 1990’s were consuming individuals inherently dependent on the movement of capital, and, in the sense, the basis of the capitalistic orders now dominating our world was formed in the 1990’s. Greenview, the magazine mainly dealing with humanistic topics related to environmental ecology, started in the historical context. It criticizes the capitalistic way of life and thinking, and imagines different ways of life from that of capitalistic development. Thus, it explores the external of capitalism. The discourses in Greenview is based on anthropocentrism; it argues that we have to protect environment based in the instinct of self-preservation, not on compassion for Nature. In the argument, destroyed Nature and environment are like symptoms that tell we humans are sick. Part of me is the others, and the others form me. Through this, I become a being of change and creation. Co-existence of Nature and mankind sounds like the goal of ecological movement. At the moment humans start to take back the right of pursuing their desire, they discover themselves living with Nature. Depending on the anthropocentric perspective that Greenview is based on, individuals and community, and being public and being private are not conflictual but complementary, so there is no contradiction between pursuing the community spirit and enjoying the freedom of privacy. Greenview imagines the community where the voices of separate individuals communicate one another 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things are created and change. Revitalizing local community that Greenview proposes means helping public relations in the level of actual lives, not merely developing economically underdeveloped areas. Adopting local currency and basic income system is the political experiments by Greenview that dreams of different movements from those based on capitalistic desire. In this regard, this paper examines the political meaning of Greenview that explores possibilities of new life different from modern life based on capitalistic logic of development. 1990년대는 1980년대를 지배하던 마르크시즘과 같은 거대 담론이 물러나면서 역사에 억눌렸던 개인 주체가 자신을 표출하기 시작한 시대로 인식된다. 그러나 새롭게 등장한 1990년대의 개인 주체는 자본의 운동에 내속된 소비 주체이며, 그런 점에서 1990년대는 자본의 명령이 절대적으로 기능하기 시작한 현재를 정초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대적 맥락 속에서 등장한 『녹색평론』은 환경생태학에 관련된 주제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인문교양잡지로서, 자본주의적 생활방식과 사고방식에 대해 비판하는 동시에 자본주의 성장논리에 기반하고 있는 삶의 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상상하고 이를 통해 자본의 논리의 바깥을 탐색한다. 『녹색평론』의 생태담론은 기본적으로 인간중심주의이다. 『녹색평론』의 주장은 인간이 동정심을 베풀어 자연을 보호하자는 것이 아니라 자기보존충동에 따라 인간을 보호하자는 것이다. 파괴된 자연과 환경은 인간인 우리가 아프다는 것을 알려주는 증상과도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나의 일부는 타자이고, 타자는 나를 구성하며, 이를 통해 나는 변화와 생성의 존재가 된다. 그런 점에서 생태주의 운동의 목표처럼 들리는 자연과의 공생은 인간이 자기보존충동에 따라 자신의 욕망의 주체적 권리를 되찾으려 시도하는 순간 이미 공생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되는 수행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녹색평론』의 생성에 기초한 인간중심주의의 관점에서 보자면 개인과 공동체,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은 대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것이며, 공동체 정신을 추구하는 것과 사생활의 자유를 갖는 것 사이에는 아무런 모순도 없게 된다. 『녹색평론』은 단독적인 인간으로서의 개인의 목소리가 서로 소통할 수 있고, 그러한 소통을 통해 끊임없이 무엇인가 변화하고 생성하는 공동체를 상상한다. 『녹색평론』이 주장하는 지역공동체의 활성화는 단순히 경제적으로 낙후한 지방을 균형 있게 발전시키자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삶의 수준에서 이루어지는 공적 관계를 활성화시키자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지역화폐제도, 기본소득운동 역시 자본의 충동과는 다른 운동을 상상하는 『녹색평론』의 정치적 실험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고는 자본주의 성장논리에 기반하고 있는 근대적 삶의 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는 『녹색평론』의 주장과 그것의 정치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The Anthropocene and Green-wash Revisited

        Lee, Joo-yeon(이주연) 문학과환경학회 2016 문학과 환경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백인 중심의 자연 이미지를 이용한 녹색사업의 편향적 마케팅 전략이 대중의 환경적 인식과 자연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미국의 한 상업광고 미디어를 통해 비평적으로 분석하고, 전 인류적 차원에서의 자연환경과 사회 문제의 공정한 해결을 위해 그린와쉬에 대한 기업과 소비자들의 현실적인 상호적 대응방안을 재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현재진행중인 녹색 마케팅은 모든 인간 중심의 녹색소비를 강조하는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환경보호보다 차별적인 자연 이미지 상품화로 인해 실재 자연의 중요성과 가치가 자연의 실재 경험보다 자연의 소비 중심으로만 왜곡되고 편향되고 있다는 것이다. 인간성 회복과 반체제 자연찬미를 강조 했던 백인 히피족에서 비롯된 녹색사업은 여전히 백인중심체제의 자연화라는 모순을 보여주며 기술적 대중 매체 수단에 의한 더 많은 자연을 소비를 하게 하여 환경을 더욱 훼손할 가능성을 내포한다. 우리가 추구해야 할 자연과 인간 삶의 본질은 - 최상의 대안인 것으로 여겨지는 - 감각적이고 무조건적인 녹색소비에 의존하는 것보다, 소로우의 깨어있음과 소박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결국 이 연구는 인종, 나이, 성별, 민족성과 상관없이 모든 인류와 자연의 지속가능한 상호공존을 위해서 윤리적이고 공정한 녹색 경제에 바탕을 둔, 분별적인 주체적 소비의식을 갖고 있는 것이 여러 환경 문제들을 안고 있는 인류세에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investigate potential impacts on public’s environmental awareness and nature consumption via lopsided green marketing strategies using white supremacists’ nature image in a specific American commercial media and to redress the matter of environmental and social justice in the Anthropocene. To cope with accelerating climate change, ongoing green marketing is responsible for straightening environmental and social injustice. However, with discriminative merchandising of nature images contradictory to nature conservation, the value of real nature is noticeably distorted and biased compared to experiencing nature around us. The practice of Green Business inherited from white hippies, who emphasized recovering humanity and glorifying wilderness, still conflicts with white-based naturalization on real nature. It also involves the possibility to damage natural environment with more consumption by means of powerful mass media. Finally, in this research, the essence of nature and human life needs be sought with the idea of David Henry Thoreau’s awakeness and simplicity. In the Anthropocene, for sustainable coexistence of all mankinds and nature (regardless of race, age, gender, ethnicity), sensible and self-reliant consumption based on ethical and fair green economy is considered more significant than relying on sensuous and unconditional green consumption as the best alternative.

      • KCI등재

        독일 녹색당 조직개혁과 민주주의담론

        유진숙(JIN SOOK JU) 21세기정치학회 2012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2 No.2

        This article analyses the influence of idea on institutional changes by looking at the case of the German Green Party. This article focuses especially on sensible and complex tension between direct democracy and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Germen Green Party has introduced several radical organizational principles on the base of 'grassroots democracy'. But dur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Party, the German Green Party has almost completely discarded the direct democratic principles. This article analyses the history of organizational and discoursive changes within the German Green Party, separated in three stages, adaption of Idea, coalition building and institutional construction and consolidation. The analysis shows that organizational reform was not only driven by the logic of efficiency but also accompanied by the changes of democracy discourse. The analysis demonstrates rather clearly the influence of idea on institutional changes, while it also provides the logic of justification, interpretation of situation and perspective for the futur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hallenge from direct democracy is likely to have limited effects on the modern society.

      • KCI등재

        이슬람에서의 녹색담론과 성장정책 - 사우디아라비아 SD 환경정책을 중심으로 -

        정상률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중동문제연구소 2018 중동문제연구 Vol.17 No.4

        After the Second World War, especially in the first detente of the 1970s, humanity began to recognize and respond to the eco-environmental crisis. The Limitations of Growth report of the Rome Club in 1972, the United Nations Stockholm Conference on the Human Environment held in 1972, and Legal Principle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WCED) in 1987, and the 1992 Rio Declaration were human responses to the eco-environmental crisis. These responses are summarized as ‘Sustainable Development (SD)’ and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SSD).’ In this situation, many green discourses have been discussed academically, and among these various green discourses, techno-centrism reflects SD the most. With this global trend, not only Islamic scholars but also Islamic and Arab countries have begun to find alternatives. Howe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green discourse of Islamic society is not diversified and focused on SD, which is a core concept of techno-centrism. In this paper, I discuss the SD environmental policy of Saudi Arabia, and confirm that Saudi Arabia considers SD in the water, air, and energy policies of Saudi Vision 2030 released in 2016, although it does not directly address the SD environmental polic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Governance in State Management: Focusing on the Roh Moo-hyun Government and the Lee Myung-bak Government

        이정환,윤순진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1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0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development discourses of the Roh Moo-hyun and Lee Myung-bak governments and evaluate their governance in achieving their respective visions of development. The two governments advocat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reen growth, respectively, as their national development paradigms, and strategies, laws, and organizations were developed to realize their goals. This research analysis reveals that the Roh administration perceived and reflected the concept and the importance of governance into its own policy framework while the Lee administration has not. The Roh administration perceived civil society as the subject of governance and policy process whereas the Lee administration perceives it as the object. In conclusion, the Roh administration can summarily be described as non-authoritarian with civil societycentered governance that pursues sustainable development, while the Lee administration is authoritarian with token state-centered governance that pursues green growth. This difference result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nature of development discourse, principles of government management, perception of governance, leadership style and values, and the support basis of each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